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 개별지도 수업에 대한 형성적 목적의 수업평가를 위한 예비 문항 개발

        홍성연 ( Hong Seongyoun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0 교육문화연구 Vol.26 No.5

        최근 대학에서 학부생 연구나 자기설계과목과 같이 학생이 선택한 주제나 내용에 대해 교수가 지도하고 이를 학점으로 인정하는 개별지도 수업이 늘어나는 추세이다. 소수의 학생을 교수가 면담형태로 지도하기 때문에 교수와 학생 간에 다양한 소통이 이루어지지만, 교수의 지도에 대한 학생의 의견을 수렴하기는 쉽지 않다. 이 연구는 대학에서 교수가 개별 지도하는 수업에 대한 형성적 목적의 수업평가 문항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문헌분석을 통해 39개 문항을 추출하고 A대학에서 개별지도 수업을 운영하거나 참여한 경험이 있는 교수와 학생을 대상으로 두 차례의 설문을 진행하였다. 1차 설문에는 개별지도 과목을 운영한 교수 12명과 수강한 학생 18명 등 총 30명이 참여하였으며, 2차 설문에는 교수 2명과 학생 10명 등 총 12명이 참여하였다. 1차 설문에서 적절하다고 선정된 24개 문항과 설문에 참여한 교수와 학생이 제안한 10개 문항을 토대로 2차 설문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22개의 문항이 기준을 넘었으며, 그 중 8개가 필수 문항으로 선정되었다. 대학 교육과정의 경직성을 보완하고, 학생의 교육적 요구를 수렴하는 개별지도 수업은 논문지도, 자기설계과목, 실습이나 멘토링 등 대학에서 개설 범위가 확장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 문항은 개별지도 수업을 운영하는 대학이나 담당하는 교수가 학기 중간이나 학기 말에 형성적 목적의 수업평가를 운영하고자 할 때 참고자료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Several courses such as independent study, directed individual course and undergraduate research course provide one-on-one teaching which could give the opportunities for personalized teaching and enhanced learning experi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preliminary course evaluation tools for formative assessment in one-on-one teaching in higher education. Thirty nine preliminary questionnaires were developed as the draft items based on the review of the previous research and universities’ web sites. Two times surveys were conducted for checking the validity for these questionnaires. Twelve professors and 18 students had conducted one-on-one teaching courses participated in the first round survey. Consequently 24 items were selected and 10 new items were added according to first survey’s recommendation from open-ended questions. In the second round survey, 34 items were evaluated by the adequacy and validity from 12 participants consisting of 2 professors and 10 students, and then 24 items remained. Eight items were chosen as essential questionnaires among 24. This study is useful for the universities which are preparing the course evaluation for one-on-one teaching to confirm the course effectiveness and to improve the educational quality.

      • KCI등재

        대학 소프트웨어 기초교육 효과성 측정도구 개발

        홍성연(Seongyoun Hong),구은희(Eunhee Goo),신승훈(Seunghun Shin),이택균(Taekkyeun Lee),서주영(Jooyoung Seo)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21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Vol.24 No.1

        최근 SW중심대학을 필두로 많은 대학에서 SW교육이 교양기초교육으로 자리 잡고 있다. 이 연구는 대학에서 비전공자를 대상으로 한 SW 기초교육의 효과성 측정을 위한 도구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선행연구인 「대학 소프트웨어 기초교육 효과성 모형 탐색」의 SW 기초교육 효과성 모형을 토대로 SW인식, SW태도, 컴퓨팅사고력, SW문해력의 4개 영역, 25개 측정지표, 46개 문항으로 구성된 대학의 SW 기초교육 효과성 측정도구를 개발하였다. 특히 컴퓨팅사고력 뿐만 아니라 SW 가치와 중요성에 대한 인식 개선, SW에 대한 흥미와 자신감의 태도 변화, 빠른 기술 문명 변화를 폭넓게 조망하는 SW 문해력이 고려된 점이 특징이다. 이 연구는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한 측정도구의 타당성 검토와 CFI, TLI, RMSEA의 적합도 지수 기반 신뢰도 검사를 통해 문항의 내적 일치도를 확인하였다. 실제 A 대학의 SW 기초교육 전/후에 이 도구를 활용하여 효과성을 측정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SW교육 효과가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본 SW 기초교육 효과성 측정도구는 SW 기초교육 효과를 정량적으로 가시화하는 데 기여하리라 기대한다. SW courses have been arranged in the liberal arts curriculum in many universities including SW-oriented universities. According to the model of previous research ‘Exploratory study on the model of the software educational effectiveness for non-major undergraduate students’, we develop a measurement tool for SW education effectiveness consisting of 4 areas, 25 metrics and 46 items. As well as computational thinking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wareness of SW values, changing attitude of SW confidence, and SW literacy to understand technology changes widely. We confirmed the internal consistency of the items through the feasibility examination of measurement tools by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the reliability test based on fitness index of CFI, TLI, RMSEA. In a case study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re/post-SW education and the effectiveness perceived by students increased. We expect that the proposed tool will contribute to quantifying of the effectiveness of SW liberal arts education.

      • KCI등재
      • KCI등재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원격교육 환경에서 대학 교양교과목의 수업성찰

        홍성연(Hong, Seongyoun) 한국교양교육학회 2020 교양교육연구 Vol.14 No.6

        이 연구는 코로나19로 인해 대학의 수업이 비대면 원격수업으로 전환된 2020년 1학기 교양교과목의수업성찰 자료를 바탕으로 교수들이 변화에 어떻게 대응하고 그 결과를 어떻게 평가하는지 분석함으로써 교양수업의 운영 현황을 검토하고 질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수업목표, 수업방법, 평가방법, 개선방향 등을 되돌아 볼 수 있는 CQI 형태의 수업성찰 설문을 개발하고, A대학교에서 교양교과목을 담당하는 교수에게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다. 총 169개 과목을 담당한77명의 교수가 참여하였다. 교양교과목의 성격에 따라 기초교육(의사소통, 기초 수학 및 과학), 교양교육, 소양교육으로 분류하고, 수업목표 달성도, 수업방법 적절성, 평가방법의 적절성을 살펴본 결과 4점만점에 평균 2.5점에서 3.0점 사이로 기대만큼의 효과를 얻지는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영역별로 비대면교육이 효과적으로 운영된 사례를 살펴보면, 의사소통교육에서는 말하기보다 쓰기교육이 더 효과적이었으며, 외국어에 두려움을 갖는 초보 학습자에게 유용하였다. 기초 수학 및 과학교육에서는 동영상을통한 이론 수업과 실시간 문제풀이 수업을 균형 있게 운영함으로써 학습효과를 높일 수 있었다. 교양교육은 원격수업에 맞게 수업내용과 학습활동을 재설계하고 다양한 테크놀로지를 활용하여 상호작용을보완한 수업이 성공적이었다. 마지막으로 체육이나 예술실기와 같은 소양교육은 실시간 수업을 통해실습과 개별지도 등이 이루어졌으나 교육적 한계가 있었다. 다음 학기 수업의 개선사항으로 동영상강의와 실시간 수업의 균형, 학습과제 및 학습량 조절, 수업자료 및 동영상의 질 개선, 평가의 공정성과변별력 강화, 상호작용과 피드백 강화, 다양한 소프트웨어 도구의 활용 확대 등이 제시되었다. 이 연구는비대면 원격교육 상황에서 교수에 대한 지원과 교육환경의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찾는데 기여할 수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data regarding courses making the transition from face-to-face to non face-to-face classes, and to find areas which are in need of improvement regarding the quality of these courses. All conclusions are grounded on the teaching reflection data of instructors who taught general education courses during the 1st semester of 2020. Seventy-seven instructors in charge of 169 general education courses participated in the online course reflection survey. The reflection data were classified and analyzed in four areas: the basic communication education (BCE), the basic science and math education (BSM), the liberal arts education (LAE) and the cultivated education (CE). The outcome reveals that the degree of achievement of the teaching goals, the adequacy of the teaching methods, and the appropriateness of the evaluation methods turned out to be between 2.5 and 3.0 points on average on a 4 point scale, which is lower than in face-to-face classes. Good examples were found in some areas though. In BCE, online classes are beneficial in terms of writing more than speaking, as well as for beginners who are reticent to speak in a foreign language. In BSM, it is useful to learn theories through recorded video lectures and to solve the difficult problems through real-time online classes. LAE was successful in redesigning teaching contents and learning activities to suit online classes and supplement interactions using the digital software. CE, including aesthetic and physical education, suffered certain teaching limitations through online classes. Several ideas for improving the courses in the 2nd semester were suggested, such as balancing recorded video lectures and real-time online classes, considering proper learning tasks and assignments, improving the quality of the teaching materials, dealing fairly with the evaluations given by the students, activating interaction and feedback, and extending the use of multiple digital SW in class. The study could contribute to support future teaching methods and to elevate the quality of the distance educational environment in higher education.

      • KCI등재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원격교육환경에서 학습성과 영향 요인 분석

        홍성연 ( Seongyoun Hong ),유연재 ( Yeonjae Ryu ) 한국교육공학회 2020 교육공학연구 Vol.36 No.S

        2020년 상반기 코로나19로 인해 학생의 등교가 제한되면서 대학에서 이루어지던 다양한 교육 활동이 급감하였다. 대학의 정규 교육과정은 비대면으로 전환되었지만, 비교과 활동이나 다양한 상호작용의 위축은 피할 수 없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학생의 전반적인 학습성과를 확인하고 결손이 나타난 부분을 보완하도록 교육환경을 개선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 연구는 대면과 비대면 교육환경에서 학습성과에 영향을 미친 요인을 비교하고, 비대면 교육환경에서 학습성과 하위영역에 영향을 미친 요인과, 학습성과 상·하위집단을 구분하는데 기여하는 요인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2019년 11월과 2020년 5월 A대학에서 실시된 K-NSSE 데이터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그 결과, 비대면 교육환경에서 학습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유의미학습, 자기주도학습, 효과적 수업전략, 고효과 프로그램, 대학몰입 등 다섯 요인이었다. 대면교육 환경에서는 유의미학습, 효과적수업, 대학몰입이 학습성과에 영향을 미쳤으며, 자기주도학습과 고효과 프로그램의 영향은 확인되지 않았다. 학습성과의 하위 영역인 의사소통역량, 전공·직무역량, 핵심역량을 설명하거나, 학습성과 상·하위 집단을 구분하는데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유의미학습이었다. 논의 부분에서 비대면 교육환경에서 학습성과를 제고하기 위한 수업 및 교육환경의 설계 방안을 제안하였다. 이 연구는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비대면 교육환경에서 학습성과의 영향 요인을 분석하고, 이를 제고하기 위한 대응전략을 모색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e unexpected outbreak of Covid-19 forced the universities to transform from traditional face-to-face education to online synchronized or asynchronized education. The variety of educational activities in the campus had plummeted and the students’ learning outcomes had declined.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compare the factors affecting learning outcomes in the online education to face-to-face education last year, and to analyze the factors that distinguish the upper group and the lower group of learning outcome. K-NSSE survey data conducted at A University in November 2019 and May 2020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analysis, the five factors such as meaningful learning, self-directed learning, effective teaching strategies, high impact programs and integration in university were identified as significant. Meaningful learning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learning outcomes in both face-to-face and non-face-to-face educational environments and the most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 to divide the upper group and the lower group of learning outcome. Considering the findings of the study, some pedagogical implications were suggested for teachers in redesigning the courses and for providers in encouraging students’ meaningful learning. This study could be useful to understand the current learning outcomes of higher education in Covid-19 pandemic and contribute to establish the response strategies.

      • KCI등재

        우수한 공대생의 교육 활동 참여 분석: 개인투자이론을 기초로

        홍성연,Hong, Seongyoun 한국공학교육학회 2017 공학교육연구 Vol.20 No.4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educational experiences of competent engineering students and finding the reason why they invest their time and efforts engaging in school activities. Five students with high GPA, high K-CESA scores and successful employment or entrance test scores, participated in the survey and the interview. In checking their responses, their activities' records were gathered from school DB. According to the modified framework based on the personal investment theory, the interviews, survey and DB records were analyzed on the sense of self, the social cultural environment, and pattern of behaviors in schools. The competent engineering students are able to manage themselves, in maintaining a good relationship with the collegiate, and in having high self-efficiency. They also tend to put effort into their studies and participate in inbound and outbound school activities. At the last part, freshmen foundation, relationship within college, students' activity related future career, economic stability during studies are suggested for supporting students in universities.

      • KCI등재

        IMS Learning Design 기반 e-PBL 프로토타입 개발

        임철일(Cheolil Lim),홍성연(Seongyoun Hong),김선영(Sunyoung Kim) 한국콘텐츠학회 2012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2 No.3

        효과적인 e-PBL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학습내용 중심이 아닌 학습활동 중심의 이러닝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IMS Learning Design(IMS LD) 기반 e-PBL 프로토타입을 개발함으로써 학습활동 중심의 이러닝의 구현 가능성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IMS LD 기반 e-PBL 프로토타입은 일반적인 이러닝 프로그램과 비교하여 학습내용과 학습활동을 통합적으로 제시함으로써 적극적인 학습활동 참여를 유도하고, 학습자의 수준이나 학습자의 역할에 따라 서로 다른 학습내용 및 학습활동을 제공함으로써 적응적인 이러닝 구현을 가능하게 하였다. 또한, 학습자의 학습활동에 따라 제공될 수 있는 학습공지 등을 미리 설계하여 과정 운영상 발생하는 교수자의 부담을 경감하였다. 인터페이스 및 학습절차 구성에서 확인된 몇 가지 점들이 개선되는 것을 고려할 때 본 연구는 효과적인 이러닝 설계를 위한 대안적 시도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e-PBL prototype using IMS Learning Design(IMS LD). The e-PBL prototype using IMS LD included 1) developing learning contents and learning activities together, 2) designing learning contents and learning activities which are appropriated to learning outcome and students’ roles, and 3) designing the expected notification supporting learners’ activity and lessening the engagement of instructors in a process of e-PBL. The implications of this prototype are to expand the boundary of e-learning design for contents-oriented design to activity-oriented design and to suggest the possibility of adaptive and collaborative e-learning.

      • KCI등재

        일반논문 : 장노년층 대상 교육용 앱 설계를 위한 요구분석

        조연정 ( Yeonjung Joe ),홍성연 ( Seongyoun Hong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4 교육문화연구 Vol.20 No.3

        저렴하고 간편한 교육용 앱의 보급이 확대되면서 교육에서 소외된 장노년층의 학습기회도 확장될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장노년층에게 적절한 교육용 앱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이들의 스마트기기 및 교육용 앱의 활용실태, 인식 및 요구 등을 스마트기기의 주된 사용자인 청장년층과 비교해서 살펴보아야 한다. 이 연구는 장노년층의 교육용 앱에 대한 활용실태와 요구를 살펴보고 보편적 학습설계 원리를 적용한 교육용 앱 설계전략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50대 이상 장노년층 41명과 50대 미만의 청장년층 42명을 대상으로 교육용 앱에 대한 인식과 요구를 분석한 결과, 장노년층은 낮은 구입비용, 짧은 학습시간, 개인교수형 및 반복학습형 수업을 선호하였다. 또한, 직관적인 화면구성, 신체적 노화를 고려한 글자ㆍ화면ㆍ소리 조절 기능, 쉽게 처음으로 되돌아가는 기능, 학습을 돕는 안내나 예시 등을 설계에서 고려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nalyzing the perception and needs of educational application for elderly users. 83 smart devices` users including 41 elderly participated in survey on the perception of the smart devices, needs of educational application, and preferences of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on developing educational application. As the results, smart devices` users of elderly are rapidly increasing. They asked free or low prices policy to get educational application, short learning time below 10 min., and tutorial or iterative learning method. According to the survey based on the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they give the value of intuitive UI, function of controling the size of letter, screen, and sounds, function of return to the default screen, and guidance or advices for learning with educational application.

      • KCI등재

        e-포트폴리오 활용한 성찰활동에 대한 예비교사의 인식과 교수효능감 변화

        이수(Sooyeon Lee),홍성연(Seongyoun Hong) 한국콘텐츠학회 2013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3 No.11

        교수효능감은 교사가 학생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자기 믿음이자 신념이다. 예비교사의 교수효능감을 증진시키는 방법 중 하나는 교수활동에 대해 성찰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다. e-포트폴리오는 이러한 성찰을 지원하는 효과적인 도구로 활용될 수 있다. 본 연구는 e-포트폴리오를 활용한 성찰활동이 예비교사의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교원양성교육과정에서 e-포트폴리오 활성화 전략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예비교사 35명을 대상으로 10주간 e-포트폴리오를 활용한 교육적 성찰과 학습자료 정리활동에 참여하도록 한 후, 대응표본 t-검정을 통해 사전·사후의 교수효능감 변화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참여자의 교수효능감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참여자들은 e-포트폴리오의 장점으로 다양한 성찰 유도, 학습자료의 체계적 저장, 정보의 공유 등을, 단점으로는 익숙하지 않은 활용방법과 낮은 접근성 등을 지적하였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예비교사의 교수효능감 증진을 위한 e-포트폴리오 활성화 전략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strategies for application of e-portfolio for improving teaching efficacy of pre-service teachers. 35 pre-service teachers wrote reflection papers and uploaded their data to their personal e-portfolio during 10 weeks. They participated in two teaching efficacy surveys which were conducted before and after using e-portfolio. Twelve participants were interviewed regarding their experience and perceptions of e-portfolio. As the result of compared-sample tests, teaching efficacy increas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According to the students interview, the pros and cons of e-portfolio were identified and the strategies for application of e-portfolio were suggested for improving teaching efficacy of pre-service teach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