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래학교 공간 구축 및 개선을 위한 핵심 설계요소에 대한 탐색적 연구

        임철일 ( Cheolil Lim ),박태정 ( Taejung Park ),한형종 ( Hyeongjong Han ),김근재 ( Keunjae Kim ),권혜성 ( Hyeseong Kwon ),이지연 ( Jiyeon Lee ) 한국교육공학회 2019 교육공학연구 Vol.35 No.S

        미래사회 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학교 공간 구축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특히, 미래사회가 요구하는 역량의 효과적 향상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거시적인 측면에서 학교공간 및 시설의 구축과 개선이 이루어져야 한다. 미래 교육 환경으로서 학교 공간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종합적인 검토와 체계적인 접근은 미흡하다. 본 연구에서는 미래학교의 보다 최적화된 설계를 위해 고려해야 할 핵심 설계요소를 탐색하는 데 그 목적을 지닌다. 이를 위해 선행 연구 검토, 현장 사례 분석을 통해 고려해야 할 핵심 설계요소를 도출하였다. 이에 대해 미래학교 설계에 대해 전문성을 지닌 대학교수, 연구(위)원 및 장학관, 교사 포함 총 스물여덟 명을 대상으로 전문가 검토를 실시하여 연구 결과에 대한 수정 및 보완이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 미래 지향적 학교 공간 구축 및 개선을 위한 ‘교수·학습 및 테크놀로지’, ‘정서적 지원’, ‘커뮤니티 생태계’, ‘통합 안전망’ 총 네 개의 구성요소와 열한 개의 핵심 설계요소를 도출하였다. 교수·학습 및 테크놀로지 측면에서 ‘맞춤형 교수·학습 활동 지원’, ‘테크놀로지 활용수업 지원’ 등을 고려해야 하며 학습자의 정서적 지원을 위해서 ‘정서적 편안함 제공’, ‘정서적 즐거움 제공’을 제공해야 한다. 커뮤니티 생태계가 조성되기 위해서는 ‘지역 사회와의 다양한 연계’, ‘사용 주체별 공간 및 시간의 구획화’를 고려할 필요가 있으며 통합 안전망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인적 안전망의 체계화’와 ‘물리적 안전망의 스마트화’를 실현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design elements in the construction of a school space suitable for the future. The importance of constructing school space has been emphasized to effectively respond to future social changes. 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to build the school space in order to improve future core competencies. Despite the significance of school spaces as a learning environment for future education, there is insufficient research in a comprehensive analysis and the investigation of various stakeholder responses. Using a literature review, cases analysis, components and design elements were derived. Also, the responses of twenty-eight experts including professors, researchers, and teachers were examined to revise the design elements. As a result, the four components were as follows: learning and technology, emotional support, community ecosystem, and integrative safety net. The major design elements of teaching·learning and technology are as follows: ‘supporting customized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and ‘implementing technology-enhanced learning’. To support learner’s feelings, ‘offering affective comfort’ and ‘offering affective pleasure’ should be considered. For the community ecosystem, ‘various links with local communities’ and ‘division of space and time by users’ are included. Systematizing human safety net and making physical safety net smart are necessary for the integrative safety net.

      • KCI등재

        창의적 문제해결을 위한 대학 학습자 역량 모델 탐색과 요구도 분석

        임철일 ( Cheolil Lim ),한형종 ( Hyeongjong Han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21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7 No.1

        본 연구는 창의적 문제해결을 위해 대학 학습자가 지녀야 하는 역량이 무엇인지를 종합하는 역량 모델을 탐색하는 목적을 지닌다. 또한, 역량 모델에 대해 현재 대학의 학습자가 인식한 수준과 어떠한 역량을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하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대학 교육을 통해 달성해야 하는 핵심 역량으로서 창의적 문제해결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창의적 문제해결의 향상이 보다 체계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학습자들이 어떠한 지식이나 기술, 태도를 지녀야 하는지를 고려해야 한다. 하지만 학습자들이 창의적 문제해결을 위해 지녀야 할 구체적인 역량이 무엇인지를 종합하는 접근은 미흡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선행문헌 고찰을 통한 초기 역량 모델의 도출, 두 차례 델파이 조사 분석을 통한 정교화를 통해 수정한 역량 모델을 도출하였다. 대학의 학습자가 인식한 창의적 문제해결 역량의 수준과 어떠한 측면에서 우선적으로 접근이 필요한지를 확인하기 위해 중요도와 수행도의 차이 분석, Borich의 요구도 분석,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활용한 요구도 분석이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 지식이나 구체적인 기술이나 태도가 무엇인지를 기초ㆍ영역 지식 및 기술, 문제 확인 및 재정의, 사고 활동, 창의적 해결안 도출, 창의적 해결안의 적용 가능성 확인, 창의적 문제해결 과정 및 산출물 평가의 주 역량에 포함되는 스물 다섯 개의 세부 역량으로 구성된 역량 모델을 도출하였다. 학습자가 인식한 중요도와 수행도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대응표본 t검증을 실시한 결과, 역량 전반에 있어서 대학의 학습자들은 창의적 문제해결 역량 전반에 대한 중요성은 높게 인식한 반면 실제 대학의 교과목에서 다루는 문제를 창의적으로 해결하려는 수행 수준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문제 확인과 재정의에 있어서 다각적 검토, 실패에 대한 두려움 극복, 다양한 정보 탐색 및 종합, 실제 영역에의 적용 활동에 대한 우선적인 요구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 competency model that synthesizes the knowledge, skill, and attitude that college learners must possess for creative problem solving. Also, it is to identify the current level and what competencies need to consider first. The importance of creative problem solving is being emphasized as a core competency that must be achieved through university education. In order to improve creative problem solving more systematically, first of all, what kind of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learners have should be considered. However, the approach to synthesize competencies that learners must have for creative problem solving is insufficient. Using literature review and Delphi method, the competency model was deduced. To identify the level of creative problem solving competencies recognized by learners and which competencies need to be considered first, analysis of the difference between importance and performance, Borich's needs,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were done. There were the six key competencies including twenty-five detail competencies as follows: ‘Basic and domain knowledge & skill’, ‘Problem identification and redefinition’, ‘Thinking activity’, ‘Deduction of creative solutions’, ‘Confirming applicability of creative solutions’, ‘Evaluating creative problem solving process and product’. In terms of the competency model, university learners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overall creative problem solving competencies highly, whereas the level of performance in trying to creatively solve the problem was low. Multilateral examination for problem identification and re-definition, overcoming the fear of failure, searching and synthesizing of various information, and application to the actual field should be considered as priority.

      • KCI등재

        학습 설계를 지원하는 이러닝 플랫폼 프로토타입 탐색 연구

        임철일 ( Cheolil Lim ),한형종 ( Hyeongjong Han ),정다은 ( Daeun Jung ),( Yunus Emre Ozturk ),홍정현 ( Junghyun Hong ) 한국교육공학회 2017 교육공학연구 Vol.33 No.4

        효과적인 교육을 구현하기 위한 학습 설계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특히 기존 학습 관리시스템이 다양한 학습 활동을 지원하는 보다 거시적인 차원의 이러닝 플랫폼으로 발전하고 있다. 학습 설계 개념을 반영한 이러닝 플랫폼 기능에 대한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종합적인 검토와 사용자의 반응을 탐색하는 실제적인 연구는 미비한 상황이다. 특히 기능 측면에서 현재까지 주요 연구는 개별적인 차원에서 학습 설계를 지원하기 위한 기능들을 제시하거나 개념적인 수준에서 그치고 있다. 또한, 학습 활동보다는 학습 관리에 초점을 두고 있다. 본 연구는 학습 설계 기반 이러닝 플랫폼이 어떠한 기능을 지녀야 하는지를 탐색하면서 프로토타입을 개발하여 그것의 실제적 가능성을 확인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선행 연구 검토, 사례 분석을 통해 학습 설계를 지원하는 이러닝 플랫폼이 지녀야 할 기능을 도출하였다. 이에 대해 스토리보드 형태의 프로토타입을 개발하여 서울 소재 ‘S’ 대학교 교수자 및 학습자 총 열여덟 명을 대상으로 사용성 평가를 하여 자료 수집 및 분석이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 학습 설계를 지원하는 이러닝 플랫폼은 ‘교수 지원’, ‘학습 활동 지원’, ‘개별화 및 적응적 학습 지원ㆍ관리’, ‘콘텐츠 및 자료 저작ㆍ관리’, ‘협력 및 의사소통 지원’, ‘평가 지원 및 관리’ 총 여섯 가지 영역에서 세부 기능이 도출되었다. 사용성 평가 결과, 주요 강점으로 ‘학습 및 활동 구성의 용이성 제공’, ‘학습과 활동을 지원하는 다양한 기능 통합으로 인한 학습 도움 야기’, ‘맞춤형 학습 유도’ 등이 확인되었다. 약점을 고려한 주요 개선점으로는 ‘전공, 활용 목적 및 교수자의 활용 수준 상이성을 고려한 접근’, ‘학습과 직접 관련 있는 기능 축소’ 등이 제안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n e-learning platform prototype promoting learning design. The importance of learning activity design has been emphasizing for effective learning. In particular, e-learning platforms have been developing in a more comprehensive form, not only containing learning content management systems but also learning activity management system. Despite the significance of the e-learning platform function reflecting the learning design concept, there is a lack of practical research on comprehensively analyzing the e-learning platform containing learning design function and investigating user response to it. Using literature review and case analysis, it was deduced that what are features of e-learning platform supporting learning design. Also, the prototype as storyboard form was developed and responses of eighteen instructors and learners were examined. The principal areas were as follows: instructor support; learning activity support; personalized and adaptive learning support and management; learning content or material development and management; collaboration and communication support; and assessment support and management. The major strengths are as follows: ‘making it easier to construct learning activities’, ‘supporting learning by integrating various features’, and ‘leading adaptive learning’. For major improvements, enhancing its availability by considering differences in majors, utilization purpose and utilization level of instructors and reducing to functions directly related to learning were suggested.

      • KCI등재

        대학교육에서 하이브리드 학습 운영을 위한 개념 모형 및 교수설계전략 개발 연구

        임철일 ( Lim Cheolil ),홍수민 ( Hong Sumin ),임은선 ( Lim Eunseon ),박성경 ( Park Sungkyung ),김한휘 ( Kim Honey ),한형종 ( Han Hyeongjong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023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9 No.4

        하이브리드 학습은 물리적 공간과 가상의 공간에서 동시에 수업이 이루어지며, 학습자에게 선택권을 부여하기에 학습권 보장과 교육의 질 향상을 위하여 시도되고 있다. 실제 대학의 교수학습 현장에서는 물리적 환경 구축, 동등한 학습경험 제공, 상호작용 등의 수업 운영에 어려움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대학교육에서 효과적인 하이브리드 학습을 위하여 구성요소를 도출하고, 교수설계 전략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방법은 설계개발연구방법론을 적용하여 선행 문헌 분석과 전문가 면담을 통해 요구분석을 실시하여 초기 모형과 전략을 도출하고, 두 차례의 내적 타당화를 거쳐 최종 대학교육에서 하이브리드 학습 운영을 위한 개념 모형과 설계 전략을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하이브리드 학습의 구성요소로 교육학적 지식, 물리적인 환경과 가상 공간(오프라인, 온라인 공간), 학습자 경험, 그리고 기술을 도출하였으며, 교수설계 전략은 수업의 단계를 학기 전, 중, 후로 구분하여 하위 요소를 제시하였다. 최종적으로 교수설계 전략은 학기 전에는 수업 목표 설정, 환경 점검 등 4단계와 15개의 하위 전략, 학기 중에는 하이브리드 강의 계획 안내, 수업 중 전략 적용 등 3단계와 17개의 하위 전략, 학기 후에는 하이브리드 학습의 환경 평가, 개선사항 분석의 1단계와 6개의 하위 전략으로 구성된다. 이를 통해 하이브리드 학습을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수업 장소의 결합만으로 충분하지 않으며 교육학적 지식을 기반으로 학습자의 공간과 학습 경험, 기술을 고려하여 설계되어야 함을 확인하였다. 더불어 본 연구는 하이브리드 공간 설계에 대한 종합적 탐색의 필요성과 교수자들이 대학교육에서 체계적으로 하이브리드 학습 설계를 위한 지식 체계를 제시한 점에서 의의가 있다. Hybrid learning provides online and offline learning simultaneously and gives learners a choice, so it is attempted to ensure learning rights and improve the quality of education. However, there are difficulties in hybrid classes in university such as building a physical environment and providing equal learning experience, and interaction.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derive components for effective hybrid learning in higher education and develop instructional design strategies. In this study, the design development research methodology was applied to derive initial models and strategies through literature analysis and needs analysis. After validation, the conceptual model and design strategy were constructed. The research results identified pedagogical knowledge, physical environment and virtual space (offline and online), learner experience, and technology as the components of hybrid learning, and the instructional design strategy presented sub-components by categorizing the stages as before, during, and after the semester. Finally, the instructional design strategy consists of 4 stages and 15 sub-strategies before the semester, 3 stages and 17 sub-strategies during the semester, and 1st stage and 6 sub-strategies after the semester. The results showed that when making hybrid learning effective must be designed based on pedagogical knowledge and taking into account learners' space, learning experience, and technology. Furthermore, it is significant in that it shows the need for a comprehensive exploration of hybrid space design and the knowledge framework for instructors to systematically design hybrid learning in higher education.

      • KCI등재

        교수설계를 위한 생성형 AI 기반 챗봇의 활용 방안 탐색: ChatGPT와 RPISD모형을 중심으로

        임철일 ( Cheolil Lim ),고보경 ( Bokyung Go ),정예일 ( Yeil Jeong ),이은서 ( Eunseo Lee ),전민선 ( Minseon Jeon ),김승하 ( Seungha Kim ) 한국교육공학회 2023 교육공학연구 Vol.39 No.0

        This study explored the feasibility of integrating ChatGPT, a generative AI-based chatbot, into instructional design, offering implications for its application. Initially, we conducted a literature review and case analysis to gauge the potential of incorporating ChatGPT in instructional design. Subsequently, we developed a plan for using ChatGPT aligned with the steps of Rapid Prototyping for Instructional Systems Design, an instructional design model, utilizing prompts. A feasibility assessment involving four experts was undertaken to refine and enhance the application description. Each expert holds a PhD in instructional design and artificial intelligence with over five years of experience. The outcomes informed the proposal of guidelines for using ChatGPT across analysis, design, development, usability test,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phases. To validate the practicality of the guidelines, we conducted focus group interviews with instructional designers experienced in using ChatGPT.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highlighting the potential of technology-driven instructional design, given the growing prominence of generative AI-based chatbots in this field. This study also suggests future research directions for technology-driven instructional design.

      • KCI등재

        자기조절학습을 위한 감성조절 지원 이러닝 인터페이스 설계전략 개발

        임철일 ( Cheolil Lim ),박태정 ( Taejung Park ),박정은 ( Jungeun Park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15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1 No.3

        성공적인 이러닝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학습자들이 좌절감, 두려움, 지루함, 혼동감 등의 부정 감성을 극복하여 긍정적 감성 상태에서 자기조절학습을 지속할 수 있도록 설계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연구는 이러닝 환경에서 학습자가 자기조절적으로 학습을 진행할 수 있는 감성상태를 유발 및 유지하도록 도와줄 수 있는 감성조절 지원 인터페이스에 대한 설계전략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고찰을 통해 초기 감성조절 지원 인터페이스 설계전략을 도출한 다음, 전문가 타당화 검토 작업을 실시하였다. 전문가 피드백을 반영하여 수정보완된 설계전략을 적용하여 개발된 프로토타입에 대한 학습자의 반응 평가를 통해 설계전략의 효과성을 살펴보았다. 이러닝 환경에서 자기조절학습을 위한 감성조절 지원 인터페이스 프로토타입 설계, 개발에 적용된 최종설계전략은 학습계획, 기분전환, 감성표출, 사회적지지 추구로 구성되며 각 설계전략은 2-3개의 설계지침을 포함하고 있다. 설계전략, 지침을 적용하여 개발된 이러닝 인터페이스 프로토타입에 대한 학습자 반응 평가 결과, 본 프로토타입이 학습자의 긍정 감성을 증진하고 부정 감성을 완화시키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닝 인터페이스 설계전략 개발을 통해 확인된 자기조절학습과 감성간의 긴밀한 관계는 감성적 영역의 학습환경 설계로써 교수설계이론의 확장에 기여할 수 있다. 향후 인지, 동기, 행동뿐 아니라 감성조절 차원에서 자기조절학습을 촉진할 수 있는 통합적 교수설계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For successful e-Learning, its interface should be designed and developed to help learners sustain self-regulated learning in their positive emotional states through overcoming their negative emotions such as frustration, anger, anxiety, fear and boredom.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design strategies of e-Learning interface supporting emotion regulation for self-regulated learning. The design strategies were initially developed based on related prior research implications and reviewed by experts. Then their effectiveness was explored through learners`` evaluations of an e-Learning interface prototype reflecting the revised design strategies by expert feedback.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design strategies for designing interface of supporting emotion regulation for self-regulated e-Learning are planning for learning, distraction, venting emotions, and seeking social support. Each design strategy includes two or three detailed design guidelines. The results of learners`` evaluations of the prototype applying the design strategies show that it is help for inducing their positive emotions and reducing their negative emotions.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the self-regulating learning and emotions through this study on the design strategies of emotion regulation supporting e-Learning interface can contribute to the expansion of an instructional design theory as an emotional design of instruction. This research findings suggest a direction to integrated instructional design methods which can support emotion as well as cognition, motivation, and behavior to promote self-regulated learning.

      • KCI등재

        공학교육에서의 창의성 증진을 위한 학습환경 설계모형

        임철일(Cheolil Lim),홍미영(Miyoung Hong),이선희(Sunhee Lee) 한국공학교육학회 2011 공학교육연구 Vol.14 No.4

        This study examines the possibility of a learning environment design model for enhancing creativity in engineering education. Recent studies about the online support system and the blended learning pertinent to creativity have provided us with some new perspectives on how to teach the creativity in engineering college. A learning environment design model was developed to enhance the creativity of the engineering students. A model was developed by following three steps: finding out the general principles for enhancing creativity in engineering education by reviewing the relevant literature; extracting the theoretical components for the model by categorizing the general principles; and finally, developing specific guidelines based on those theoretical components. Seven general design principles and three theoretical components could be identified, and a set of specific design guidelines was suggested. The result of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erms of guiding the future development projects for creativity education.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기업 교육에 있어서 창의적 사고 역량 향상을 위한 설계원리 개발

        임철일 ( Cheolil Lim ),한형종 ( Hyeongjong Han ),홍수민 ( Sumin Hong ),송유경 ( Yukyeong Song ),이다연 ( Dayeon Lee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20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6 No.3

        본 연구는 기업 교육에 있어서 창의적 사고 역량 향상을 위한 설계원리를 개발하는 목적을 지닌다. 또한, 이를 국내 A 기업 프로그램에 적용하여 학습자의 반응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창의적 사고는 기업 맥락에서 새로운 아이디어의 도출과 가치 창출, 기업의 경쟁력 확보에 필수적인 요소로 이의 효과적인 향상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체계적인 교육 및 훈련이 이루어져야 한다. 특히, 기존 교육 프로그램에서의 직무 특성을 고려함과 동시에 창의적 사고의 효과적 향상을 가능하게 하는 통합적 접근이 필요하다. 하지만 이를 가능하게 하는 설계원리에 대한 개발은 미흡하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고자 선행연구 고찰 및 사례 분석을 통한 초기 설계원리 도출, 시범 적용을 통한 사용성 평가 및 전문가 검토 기반의 수정 및 보완을 통해 최종 설계원리를 개발하였다. 이를 교육 프로그램에 적용하여 운영한 후 이에 대한 학습자 반응을 분석하는 설계·개발 연구 방법론을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문제 제기 및 재정의, 생각 연결 및 축적, 사고 과정에 대한 성찰, 팀 활동, 사고 촉진 도구 활용, 코칭 및 퍼실리테이션, 물리적 환경 및 공간, 사고 증진 및 전이 평가 총 여덟 개의 구성요소와 이에 포함되는 스물 네 개의 설계원리를 개발하였다. 이를 국내 A 기업 교육 프로그램에 적용하고 학습자 반응을 분석한 결과, ‘생각의 유기적 연결 도모’, ‘문제 재정의 과정 등을 통한 새로운 관점의 형성’ 등이 주요 강점으로 나타났다. 주요 약점을 고려한 개선점으로는 중복된 과제로 인해 나타난 사고 확장의 제한을 극복하기 위해 다양한 사례를 기반으로 한 과제 설계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 온라인 환경에서의 사고 도구 활용이 보다 강조되어야 한다는 점을 확인해 볼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design principles for effectively improving creative thinking competency in corporate education. Also, it is to analyze learners’ responses to the educational program. Among various competencies, creative thinking has been considered an essential factor that leads to generating new ideas, creating values, and securing the competitiveness of companies. In order to achieve effective improvement, systematic education and training must be developed. In particular, for creative thinking ability to be enhanced optimally, the approach to integrate the strategies for creative thinking into the existing education programs should be considered. However, there is a lack of design principles for improving creative thinking by integrating it into the educational program. Using design and development research methodology including literature review, case analysis, usability test in initial implementation and experts’ review, design component and principles were derived. Also, the learners’ responses to the design principles were analyzed in a corporate education program to which the principles were applied. The design components were as follows: questions for raising and re-defining problems; connection and accumulation of thoughts; reflection for thinking process; group activity; tools of promoting thinking; coaching and facilitation; learning environment and space; evaluation of enhancement and thinking transfer. For major strengths, promoting the connection of ideas and forming new perspectives through the process of re-defining the problems were identified. For major improvement considering the weakness, task design based on various cases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expansion of thoughts caused by overlapping tasks, and the emphasis on the use of thinking tools in the online environment were sugges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