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SCOPUSKCI등재

        Terlipressin 투여 후 발생한 말초 허혈 합병증 1예

        이종섭 ( Jong Sup Lee ),이홍식 ( Hong Sik Lee ),정성우 ( Sung Woo Jung ),한우식 ( Woo Sik Han ),김민정 ( Min Jeong Kim ),이상우 ( Sang Woo Lee ),최재현 ( Jai Hyun Choi ),김창덕 ( Chang Duck Kim ),류호상 ( Ho Sang Ryu ),현진해 ( Ji 대한소화기학회 2006 대한소화기학회지 Vol.47 No.6

        Hepatorenal syndrome is a severe complication of cirrhosis, Leading to death in more than 90% of cases in the absence of Liver transplantation. Several treatments have been attempted as a bridge to Liver transplantation. Among such treatments, terlipressin is a nonselective V1 vasopressin agonist. When comparing with ornipressin, it is known to have a similar vasoconstricting potency, but much Less ischemic complication. We report a case of gangrene on toes and necrosis on the infusion site of Left hand which developed after the use of terlipressin due to hepatorenal syndrome in a 41-year-old-man with Liver cirrhosis. Ischemic complication of terlipressin is rare and there has been no case report in Korea. Although it is rare, we must pay attention to the peripheral ischemic complication of terlipressin. (Korean J Gastroenterol 2006;47:454-457)

      • SCOPUS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

        표면 항원 음성인 건강 검진 수진자와 만성 음주자에서 B형 간염 바이러스 잠재 감염

        오성남 ( Sung Nam Oh ),연종은 ( Jong Eun Yeon ),한우식 ( Woo Sik Han ),최도원 ( Do Won Choi ),김지현 ( Ji Hyun Kim ),김연호 ( Yeoun Ho Kim ),박종재 ( Jong Jae Park ),김재선 ( Jae Seon Kim ),변관수 ( Kwan Soo Byun ),박영태 ( Young 대한내과학회 2008 대한내과학회지 Vol.75 No.5

        목적: B형 간염 및 만성 음주는 우리나라 만성 간질환의 가장 중요한 원인으로 두 가지 요인간의 상관관계는 확실치 않으나 알코올 투여는 B형 간염 바이러스의 활동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실험적 보고가 있다. B형 간염의 잠재감염은 표면항원 음성인 환자의 혈청에서 HBV DNA가 검출되는 것으로 정의되며 만성 음주자에서는 잠재감염의 빈도가 높다는 보고도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B형 간염 표면항원 음성이며 만성 음주력이 없는 건강검진 수진자와 표면 항원음성인 만성 음주자에서의 B형 간염의 잠재감염 발생 빈도를 조사하여 비교하고자 하였다. 방법: 만성 음주력이 없고 간기능이 정상이며 HBsAg 음성인 건강검진 수진자 198명(1군)과 HBsAg 음성인 만성음주자 85명(2군), 총 283명을 대상으로 혈청 ALT, anti-HBs, IgG anti-HBc 검사를 하였으며 혈청 HBV DNA는 real time PCR로 검출하였다. 2군에서 간경변증을 동반하지 않은 경우가 60명이었고, 동반한 경우가 25명이었다. 결과: B형 간염바이러스에 대한 노출여부를 표시하는 혈청 IgG anti-HBc의 경우 1군에서 43.4%로 2군의 64.7%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의미있게 낮았다(p=0.01). anti-HBs 양성율은 각각 65.7%, 67.1%로 양 군 간의 차이는 없었다. 혈청 HBV DNA는 전체 대상 환자 283명 중 11명(3.2%)에서 검출되었는데 1군에서 7명(3.5%), 2군에서 4명(4.7%)이 양성이었고 양 군 간의 차이는 없었다(p=0.640). 2군에서 간경변을 동반한 25명 중 3명(12.0%)이 양성으로 간경변을 동반하지 않은 60명 중 1명(1.7%)이 양성인 것보다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p=0.740). 혈청 HBV DNA 농도는 9명이 300 copies/mL 미만이었고, 단 1명만이 1000 copies/mL 이상이었다. 결론: 만성적이고 습관적인 음주의 습관을 가진 사람들은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 B형 간염 바이러스에 대한 과거 감염의 혈청학적 양성률이 높았으나, 잠재 감염의 빈도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B형 간염 표지자가 양성인 경우에 잠재 감염의 빈도가 높다는 기존 보고들을 감안할 때, 만성 음주자에서의 잠재 감염의 유병률에 대해서는 향후 보다 큰 규모의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s/Aims: Hepatitis B virus (HBV) infection and chronic alcoholism are major risk factors for chronic liver disease in Korea. Methods: We investigated the prevalence of occult HBV infection in 198 non-alcoholic (group I) and 85 chronic alcoholic subjects (group II), none of whom showed the hepatitis B surface antigen (HBsAg). Among chronic alcoholics, 25 patients showed cirrhosis. Using serum samples stored at -70℃, liver enzymes, anti-Hbs, and IgG anti-HBc were measured via EIA and serum HBV DNA was quantified via real time PCR. Results: IgG anti-HBc seropositivity, an indicator of past infection, was higher in group II (64.7%) than in group I (43.4%; p<0.01). Eleven of 283 patients (3.2%) were seropositive for HBV DNA, indicating occult infection, but this value did not differ between groups (group I: 3.5%, 7/198; group II: 4.7%, 4/85; p=0.64). In group II, HBV DNA seropositivity was higher in cirrhotic patients (12%, 3/25) than in non-cirrhotic alcoholic liver disease (1.7%, 1/60; p=0.074). Conclusions: Past HBV infection was more prevalent in alcoholics than non-alcoholics, but the prevalence of occult HBV infection did not differ between groups. However, alcoholics with cirrhosis tended to show a higher prevalence of occult HBV infection. (Korean J Med 75:539-545, 2008)

      • SCOPUSKCI등재
      • KCI등재

        췌장염에서 발생한 가성동맥류의 임상 양상: 단일기관 경험 및 국내문헌 고찰

        김지현 ( Ji Hyun Kim ),김재선 ( Jae Seon Kim ),김창덕 ( Chang Duck Kim ),이홍식 ( Hong Sik Lee ),조영직 ( Young Jig Cho ),이종섭 ( Jong Sup Lee ),최도원 ( Do Won Choi ),한우식 ( Woo Sik Han ),김연호 ( Youn Ho Kim ),연종은 ( Jong E 대한소화기학회 2007 대한소화기학회지 Vol.50 No.2

        서론: 만성 또는 급성 췌장염의 합병증으로 발생하는 가성동맥류는 복강이나 후복막 또는 위장관 출혈을 일으켜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저자들은 췌장염의 합병증으로 발생한 가성동맥류의 임상 특징을 알아보고자 이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5년 1월부터 2006년 3월까지 고려대학교 구로병원과 안암병원에서 췌장염의 합병증으로 가성동맥류를 진단받은 7예를 대상으로 환자의 특성과 임상 경과를 후향 분석하였다. 결과: 성별은 모두 남자였고, 연령은 평균 54.6세(43-67세)였다. 모든 예에서 가성낭이 동반된 만성췌장염에서 가성동맥류가 발생하였고, 음주가 만성췌장염의 원인이었다. 진단 당시의 주 증상은 5예에서 심와부 통증, 1예는 혈변, 1예는 토혈이 복통과 동반되었다. 출혈 양상은 5예에서는 가성낭 내로의 출혈이었으며 1예는 가성낭 내로의 출혈과 동반된 하행결장 누공형성에 따른 출혈, 1예는 가성낭 내로의 출혈과 동반된 췌관 출혈이었다. 증상 발생 후부터 가성동맥류 진단까지의 평균 기간은 7.8일(1-23일)이었다. 6예의 복부 전산화단층촬영에서 가성낭 내의 국소적 조영증강의 특징적인 소견이 관찰되어 진단이 가능하였으며, 3예에서 복부 전산화단층촬영 전에 복부 도플러초음파 검사를 시행하였으며 이 중 2예에서는 가성동맥류를 시사하는 소견이 관찰되지 않았다. 6예에서 초기 치료로 혈관색전술이 시행되었고 모든 예에서 재발은 없었으며 혈관색전술과 관련된 중대한 합병증은 관찰되지 않았으나 1예에서는 합병증으로 비장경색이 발생하였다. 1예는 초기 치료로 원위췌장절제술을 시행하였다. 결론: 췌장염의 합병증으로 발생한 가성동맥류는 다양한 임상 양상을 보이며, 초기 치료로 동맥색전술을 이용한 비수술적인 방법이 효과적이다. Background/Aims: Pseudoaneurysm is a life-threatening complication of chronic or acute pancreatitis.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evaluate the clinical features of pseudoaneurysm complicating pancreatitis. Methods: We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7 patients diagnosed as pseudoaneurysms with chronic pancreatitis in Korea University Guro and Anam Hospital from January 1995 to March 2006 and analyzed their demographics, clinical courses and outcomes. Results: All patients were men and mean age was 54.6 years (range, 43-67 years). All the cases occurred in the setting of chronic alcoholic pancreatitis complicated by pseudocyst. Abdominal pain was the unique initial clinical symptom in 5 cases, hematemesis in 1 case, and simultaneous abdominal pain with hematemesis in 1 case. Bleeding into pseudocyst developed in 5 cases, flowing into duodenum through pancreatic duct in 1 case and rupture into the descending colon in 1 case. Mean duration between onset of symptom and diagnosis of pseudoaneurysm was 7.8 days (range, 1-23 days). Six cases were diagnosed by abdominal computed tomography disclosing characteristic finding of focal high density area in the pseudocyst. Pulsed doppler abdominal sonography was performed before computed tomography in 3 cases and results were negative in 2 cases. Transcatheter arterial embolizations were initially performed in 6 cases, and there was no recurrent bleeding except one case of splenic infarction. Distal pancreatectomy was initially performed in 1 case. Conclusions: Pseudoaneurysms complicating chronic pancreatitis shows various clinical features. Transcatheter arterial embolization can be recommended as a primary therapeutic modality. (Korean J Gastroenterol 2007;50:108-115)

      • SCOPUSKCI등재

        간경변 환자에서 CTP, MELD, MELD-Na 점수의 단기 사망률 예측에 대한 비교 분석

        김세윤 ( Se Yune Kim ),임형준 ( Hyung Joon Yim ),이준영 ( June Young Lee ),이범재 ( Beom Jae Lee ),김동일 ( Dong Il Kim ),정성우 ( Sung Woo Jung ),한우식 ( Woo Sik Han ),이종섭 ( Jong Sup Lee ),구자설 ( Ja Seol Koo ),서연석 ( Yeon 대한소화기학회 2007 대한소화기학회지 Vol.50 No.2

        목적: MELD (model for end-stage liver disease)는 간이식 대상자의 우선 순위를 정하는 기준으로 상용되며, 말기 간질환 환자의 예후 판정에 유용한 지표이다. 최근 MELD 점수에 혈중 나트륨(Na) 수준을 반영한 MELD-Na이 MELD보이 단기 사망률을 예측하는 데 보다 유용할 것이라는 의견이 제시되었다. 그러나 아직 국내 환자를 대상으로 한 MELD-Na의 유용성 평가 자료는 없다. 따라서 이번 연구에 서는 간경변 환자들을 대상으로 Child-Turcotte-Pugh (CTP), MELD, MELD-Na 세 가지 점수의 사망률 예측에 대해 비교 분석하여 MELD-Na이 타 지표보다 단기 사망을 예측하는데 보다 유용한 것인가를 판정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6년 1월부터 2006년 9월까지 고려대학교 안산병원 소화기내과에 입원하였던 355명의 간경변증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 분석하였다. 간암, 만성 신부전, 중증 심폐질환자, 악성 종양이 있는 경우는 제외하였다. 입원 당시 각 점수에 따른 누적 생존율은 Kaplan-Meier 생존함수를 이용하여 구하였고 log rank test로 생존기간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또한 AUC를 이용해 3개월, 그리고 1년 사망률에 대한 위의 세가지 점수의 예측능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세 가지 지표 모두가 점수에 따른 누적 생존율의 차이가 유의하였다(p<0.001). 3개월 단기 사망을 예측하는 데 있어 각 지표의 AUC는 CTP 0.828, MELD 0.845, MELD-Na 0.862 (p>0.05)이었으며 1년 내 사망에 대한 각 지표의 AUC는 각각 0.792, 0.800, 0.831(p>0.05)로 유의성은 없었으나 MELD-Na이 가장 높은 경향을 보였다. 다변량 분석에서는 세 가지 지표 중 MELD-Na만이 3개월 사망과 유의한 관련성이 있었다. 결론: 국내 간경변 환자를 대상으로 분석한 세 가지 예후 평가 점수 체계 중 MELD-Na은 우수한 단기 사망 예측능을 보였다. 아직 좀 더 많은 환자를 대상으로 한 대규모의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하나 만성 간질환 환자에서 단기 사망과 예후에 대한 지표로서 MELD-Na을 우선적으로 사용할 것을 고려해 볼 수 있다. Background/Aims: MELD-Na (model for end-stage liver disease with incorporation of serum sodium) was suggested to provide better survival prediction than MELD alone for patients with end stage liver disease. However, there is no data verifying the usefulness of MELD-Na for predicting short term mortality of cirrhotic patients in Korea. This study was aimed to determine whether MELD-Na would be more accurate in predicting short term mortality than other scoring systems such as Child-Turcotte-Pugh (CTP) or MELD. Methods: Data from 355 patients admitted due to liver cirrhosis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cumulative survival rates were obtained. Prediction of mortality rate for three months and one year were analyzed using the area under the receiver`s operating characteristics curve (AUC). Results: One hundred patients (28%) died during the study period. All of the three system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umulative survival rate according to the scores on admission (p<0.001). The AUC of CTP, MELD, and MELD-Na in predicting three-months mortality were 0.828, 0.845, and 0.862 (p>0.05), and the AUC of each score system for death within one year were 0.792, 0.800, and 0.831, respectively (p>0.05). The AUC of MELD-Na in predicting short term death were the highest, although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Multivariate analysis showed that only MELD-Na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three-month mortality (p=0.012). Conclusions: MELD-Na is more appropriate in predicting short term mortality, but larger scale studies are needed to confirm the superiority of MELD-Na to MELD and CTP in patients with liver cirrhosis. (Korean J Gastroenterol 2007;50:92-100)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