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 후기 책거리자수병풍에 대한 연구

        차영순(Cha Young soon),김우경(Kim Wu kyoung) 한국조형디자인학회 2016 조형디자인연구 Vol.19 No.1

        본 연구는 조선후기 책거리 자수 병풍에 관한 것이다. 주요 연구 대상은 현존하는 유물 중 한국자수박물관 소장 책거리 자수 병풍을 중심으로 하였다. 특히 책거리 자수 병풍을 조선 후기의 책거리 그림과 비교함으로써 두 분야의 상호 영향 관계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한국자수박물관 소장 책거리 자수 병풍은 당대의 책거리 그림 병풍과 비슷한 형식과 내용을 가지고 있다. 책거리 그림은 중국의 영향을 크게 받았는데, 초기에는 궁중 화원들에 의해 그려진 책가도 형식이 발전했다. 이후에는 서가가 없는 나열형이 함께 제작되었다. 특히 책거리 자수 병풍은 나열형 책거리 그림과 동일한 구성을 하고 있어 그 연관성을 유추할 수 있다. 조선 후기의 초기작에서부터 조선 말기에 이르기까지, 국내에서 발견되는 대부분의 책거리 그림들이 비슷한 형태와 구도를 유지할 수 있었던 것은 모방하여 그릴 수 있는 원본도판이 존재하였기 때문이다. 이것은 책거리 자수 병풍의 수본(繡本)이 책거리 그림의 모본(模本)과 관련이 있음을 알려주는 명확한 증거이다. 또한 책거리 자수 병풍은 형식, 구도나 내용 등에서 중국 자수청공도와 유사한 면이 있어 그로부터 이루어진 적잖은 영향을 추론할 수 있으므로 중국 자수청공도(刺繡淸供圖)는 책거리 그림 양식 중 나열형이 나오게 된 근거 중의 하나라고 말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책거리 그림과 자수병풍은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제작되었으며 회화 못지않은 예술성과 대중성을 확보하고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책거리 자수 병풍은 책거리 그림과 함께 궁중과 민간을 아우르는 한국적인 특성을 잘 표현해주는 작품이기도 하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아볼 수 있을 것이다. The Chaek-geo-ri embroidery folding screen collectioned at the Museum of Korean embroidery has similar form and contents of the other Chaek-geo-ri painting on the folding screen of the era. The Chaek-geo-ri paintings are produced by the court painters with the influence of Chinese paintings first as a Scholar’s accoutrements and then it goes through the courses to be painted as an listed type without having the bookshelf. The Chaek-geo-ri embroidery folding screen has the same form of the enumerated type of drawing. The Chaek-geo-ri paintings continued to take the similar form and composition thanks to their original references. This show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embroidery design of the Chaek-geo-ri embroidery folding screen and example of the Chaek-geo-ri painting. The Chaek-geo-ri embroidery folding screen heavily reflects Chinese influence as it has some similarity with the Chinese embroidery Qingontu in forms and compositions due to active trade with Qing dynasty during the late Joseon period. The Chinese embroidery Qingongtu is one of the basis that the listed type is developed among the forms of Chaek-geo-ri painting. Therefore, the Chaek-geo-ri drawing and the embroidery were produced while influencing one another. Also, the Chaek-geo-ri embroidery folding screen is very meaningful that it expresses Korean character well by embracing the court and the civilians with the form of Chaek-geo-ri.

      • KCI등재

        16 세기 이집트, 터키, 페르시아 카펫의 역사적 고찰

        차영순(Cha Young Soon),박성림(Park Sung Rim) 한국조형디자인학회 2017 조형디자인연구 Vol.20 No.1

        카펫은 원시 시대로부터 오랜 세월동안 인류의 주거생활에서 실용적, 장식적 용도로 사용되어 왔으며 인간의 삶을 풍요롭게 해 주는 필수품 가운데 하나이다. 카펫은 각 나라와 지방, 마을과 가족단위로 다양한 제조 기술과 디자인의 특성을 지니고 있는바 그 다양성은 오랜 세월을 거치며 전승되었다. 현대에 이르러서는 산업화를 통해 그러한 다양한 전통들이 계승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수요와 공급에 있어서 경쟁력 있는 섬유 문화산업의 한 축으로 굳건히 그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카펫은 주로 중앙아시아, 스칸디나비아 반도 및 근동지방에서 사회, 경제, 문화, 역사, 종교, 예술 등의 제반 분야에서 그 가치와 다양한 상징적 의미를 지니는 역사적 문화유산의 산물로서 인간의 삶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며 발전해 왔다. 기계에 의한 대량 생산 방식이 지배적인 오늘날에도 숙련된 장인의 정성과 솜씨가 깃든 카펫은 여전히 카펫 문화권에서는 최고의 가치를 지닌 수공예품(手工藝品) 중 하나이며, 중앙아시아 제국은 물론 구미에 이르기까지 현대 주거 문화에 있어 주요한 인테리어 제품으로 자리 잡고 있다. 오늘날 수직(手織) 카펫은 각국에서 전통과 문화의 맥을 계승하려는 노력과 함께 홈 인테리어의 관심과 수요의 급증으로 다시금 부흥의 기회를 맞이하고 있음을 국제적인 카펫 전시회나 박람회(ex. DOMO Tex, Heim Tex 등)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16세기 이전의 사료가 많이 남아 있지 않아 다양한 연구와 조사가 필요한 것으로 추정되는 카펫의 기원, 그리고 발전과정에 관한 사료가 풍성한 시점인 16세기 이집트, 터키, 페르시아 삼국의 화려하고 융성했던 카펫에 초점을 맞추어 역사적인 맥락을 고려하여 그 특성을 비교ㆍ분석하였다. 아울러 카펫에 내재된 상징과 의미, 디자인적 특징과 역사적 고찰을 통해 서유럽으로의 전파 및 발전과정이 현대 카펫 산업에 끼친 영향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국내외적으로 관련분야의 섬유 산업에 관한 비전과 전망을 제시하고자 한다. Since the primitive times, carpets have been used for decorative and practical purposes in residential areas for a long time, enriching human life. Carpets have a variety of manufacturing techniques and design characteristics by country, region, or village and family. Carpet production skills have been handed down through several generations. These days, through the industrialization, it has been rapidly developed and settled in the textile and cultural industry. In Central Asia, Scandinavia or the Near East, carpets have been developed with a close relationship with human life as a historical product with various symbolic meanings in the fields of society, economy, culture, history, religion and art of each age. Even today, although the mass production by the machines is prevalent, carpets with skilled craftsmanship and technology are still considered to be one of the most valuable handicrafts, which are one of the indispensable factors of modern human life. In particular, with the current efforts to succeed tradition and culture, and with the increased interest and demand of home interiors, handcrafted carpets are seeking for the next Renaissance through a variety of international carpet fairs (ex. DOMO Tex, Heim Tex). In this study, we aimed to explore the origins and development process of carpets in many different aspects, where various researches and investigations are considered to be necessary because of the insufficient information and records. In addition, this study focused on the carpets of Egypt, Turkey, and Persia in the 16th century, which boasted a splendid and brilliant culture, and examined their influence on the design, color, and pattern of the modern carpets. Based on this study, we hope to present the clues for developing various textile materials and for the future textile industry.

      • KCI등재

        구축적 조형소재로서 펠트의 융합가능성에 대한 연구

        차영순(Cha Young soon),안은선(An Eun-sun) 한국조형디자인학회 2018 조형디자인연구 Vol.21 No.1

        오늘날 현대사회는 그 구조가 불명확하고 탈 경계적인 특성을 강하게 강조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특성은 하나, 또는 주요 이상이나 이념에 구애 받는 사회가 아닌, 다양성과 상대성을 통해 자신의 의지와 생각을 자유롭게 표출할 수 있는 사회를 웅변하고 있는 것이다. 즉, 우리의 시대는 모더니즘의 특징인 이성적 주체 개념의 틀을 벗어나는 경향을 보이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사회적 변화는 문화, 예술에도 많은 영향을 끼쳤다. 그리하여 현대미술은 다양하고 복합적인 양상으로 급격한 변화를 가져왔으며 두드러진 현상으로 다원화를 통해 그 방향이 모색되고 있어 규정지어진 장르의 구분을 넘거나 혼합매체의 사용과 소재에 대한 새로운 해석으로써 작품을 표현하고 있다. 결과적으로 오브제의 조소성과 독립성이 강조되는 구체적 형태보다는 작품이 설치될 공간과의 상호작용 관계에 대한 시도가 이루어져 설치미술의 장르가 부각되곤 한다. 이러한 설치미술은 여러 가지 소재로써 시도되었는데 그러한 특성을 잘 구현할 수 있는 섬유는 유연성, 촉감성, 가변성을 지니고 있는 소재로 각광받곤 한다. 섬유소재 중 펠트는 자연에서 나온 양모를 소재로 한다. 펠트는 모섬유의 특징인 축융성을 이용하고 있는바 수축과 팽창을 통해 발생하는 가소성으로 인해 다양한 변화를 유도하므로 양모문화권은 물론 비문화권에서도 사용이 넓게 확대되고 있다. 펠트는 일반 섬유로 된 직물과는 구조가 다르다. 펠트는 개별적인 실과 실의 교차를 전혀 찾아볼 수 없으며, 압축에 의해 얻어지는 섬유의 얽힘으로 이루어진 매우 작은 섬유조각들이 서로 얽혀있는 소재이다. 그러므로 천편일률(千篇 -律)적으로 정해진 규칙이 있는 계통화, 위계화된 수직적 구조가 아닌 자유로운 형태의 수평적 구조로 프랑스의 철학자 질 들뢰즈(Gilles Deleuze)가 언급한 ‘반-직물(Anti-tissu)’의 성격을 지니며, 리좀(Rhizome)의 개념에 해당하는 흥미로운 소재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펠트소재의 가변적인 특성과 입체조형으로서의 전개에 대해 연구함으로써 조형소재로서 확장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현대미술의 매체로써 섬유소재가 갖는 펠트의 재료적 특성에 따른 의미를 살펴보고 이를 실현한 섬유조형사례에 대해 연구하였다. 또한 펠트의 특성 중 주목받지 못했던 가변성과 다른 소재와의 융합성을 살펴보았는데 이는 구축적 소재로서 펠트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해보았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Today’s modern society is a tendency to strongly emphasize unclear and demarcated characteristics. It is not a society that is subject to one and major ideal, but a society that can express people’s own will and thoughts freely through diversity and relativity. In other words, the contemporary era has moved beyond the framework of modernism, the concept of rational subject, which has been dominating modern trends of thought. These social changes have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culture and art. And they have brought on dramatic changes in various and complex aspects which have been sought after through diversification. Work has been expressed beyond the categories of defined genres through use of mixed media and with new interpretation of materials. Therefore, rather than existence in a specific form, attempts of expansion of the form and interaction with the space in which the work would be installed, and it led to the genre of installation art. This installation has been attempted with various materials, especially fibers, which have been popular as elastic, tactile, and flexible materials. Among the textile material, felt is a wool material derived from nature and is used in regions of wool heritage as well as regions of non-wool heritage because it induces changes due to plasticity caused by shrinkage and expansion by utilizing the melting property which is the property of fiber. It is different in structure from a fabric made of ordinary fibers, and no individual yarns or crosses can be found at all, and there is only the entanglement of the fibers obtained by compression. It can be said that very small pieces of fiber are intertwined. It is not a vertical structure with hierarchical rules but a horizontal structure that is as described and can be said that It has an anti-tissue character and is the concept of Rhizome by combining fixed and flexible at the same time by the French philosopher Gilles Deleuze. This paper attempts to propose the possibilities of felt as a sculpting material by examining the transformable characteristics of felt and its development as a three dimensional sculpture. To this end, this study has examined the meaning of fiber materials by nature of felt as media of contemporary art and examples of fiber formations. In addition, it has studied felt’s flexibility which has not been highlighted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felt and its convergence with other materials, which is significant in that it has studied the new possibility of felt as a constructive material.

      • KCI등재

        지속가능성 측면에서 바라본 종이 조형 사례 연구

        이주연 ( Lee¸ Ju-youn ),차영순 ( Cha¸ Young-soon ) 한국기초조형학회 2021 기초조형학연구 Vol.22 No.1

        이 연구는 종이 조형물을 조형적 관점만이 아닌 지속가능성을 위한 노력이라는 관점에서도 바라보고 그 관점의 기준에 적합한 작품들에 관해 조명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한 연구 방법은 문헌과 자료조사 진행 후, 종이 조형 사례를 찾는 것이다. 자료와 문헌 조사를 통해서 미술사 속 위치와 친환경성을 알 수 있고, 1960~70년대 미국을 중심으로 한 환경운동과 미술사적 사건들을 통해 조형 작가들이 종이를 매체로 자신들의 생각을 표현할 수 있게 된 배경을 알 수 있다. 조형 사례 연구에서 는 지속가능성을 위해 필요한 세 가지 측면을 근거로 제작과정에서의 환경적 노력, 자원의 경제적 노력, 사회 반영적 노력으로 나누어 분류하였다. 선별된 작가와 작품은 국내외에서는 이미 조형성과 예술적 가치가 높게 평가된 작가와 작품들이다. 이들 작품을 다음의 세 단계로 분류해 보았다. 제작과정 에서의 환경적 노력은 작품 제작에 있어서 종이를 직접 만드는 작가들의 사례, 자원의 경제적 노력은 폐지를 재활용하여 작품을 진행하는 작가들의 사례로, 사회 반영적 노력에서는 지속가능성에 대한 의 미를 대중에게 전달하고자 종이로 제작되는 퍼포먼스 형식으로 전시된 설치작품들이다. 작품설명은 작품 평론과 작가의 인터뷰를 토대로 진행했으며 작품이 제작되는 과정과 작가의 작품세계를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 같은 사례 연구는 창의적인 조형물이 환경을 생각하는 관점과 병행 해 왔음을 살필 수 있다. 이 연구 과정을 통해서 종이 조형 작가들은 전술한 바와 같은 관점에서 지속 가능성에 부합하는 독창성 있는 작품세계를 발전시켜왔음을 알 수 있다. 결과적으로, 종이 조형 사례를 통해서 조형성과 지속가능성이 공존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ocus on works that meet the standards of this perspective by looking at paper sculptures not only from a figurative perspective but also from the perspective of efforts for sustainability. The research method is to search for cases of paper molding after researching documents and materials. Data and literature surveys show the position of paper in art history and the eco-friendliness of paper, and environmental movements and art historical events centered on the United States in the 1960s and 1970s allow sculptors to express their thoughts through paper media. In the formative case study, based on the three aspects necessary for sustainability, environmental efforts in the production process, economic efforts of resources, and social reflection efforts were classified. The selected artists and works are those whose formativeness and artistic value are already highly evaluated at home and abroad. I classified these works into the following three stages. The environmental effort in the production process is the case of the artists who make paper themselves in the production of the work, the economic effort of resources is the case of the artists who recycle the waste paper to proceed with the work. These are installation works that are exhibited in the form of a performance made out of paper to convey to the audience. The description of the work was conducted based on the work criticism and the artist's interview, and the process of the work and the artist's work world were understood. This case study shows that creative sculptures have been in parallel with the perspective of thinking about the environment. Through this study, it can be seen that the paper formative artists have developed a unique world of work that is suitable for sustainability from the above point of view. As a result, it can be confirmed that formativeness and sustainability can coexist in the case of paper art works.

      • KCI등재

        애브젝션으로서의 출산 이미지 연구

        김누리(Kim, Nuri),차영순(Cha, Young Soon) 서양미술사학회 2020 서양미술사학회논문집 Vol.53 No.-

        본고는 대표적인 애브젝션의 순간인 출산에 대해 줄리아 크리스테바의 애브젝션 개념을 통해 고찰하고, 현대 미술에 표현된 출산의 순간들을 분석한다. 정신분석학을 태동시킨 프로이트와 인간의 의식세계를 상상계, 상징계, 실재계로 분류한 라캉, 프로이트와 라캉의 이론을 수용하며 동시에 그들의 이론이 가진 가부장적 성격에 대해 반기를 들며 그들의 학설에서 배제되었던 여성을 발굴해낸 이리가레의 학설을 살펴본다. 크리스테바는 이리가레가 남성 위주의 정신분석학에 반론을 제기한 점에 동조하며, 나아가 상상계에서 상징계로 진입할 때, 즉 주체의 정체성을 확보하고자 버려지는 것들을 애브젝트, 그러한 심리작용에 대하여 애브젝션이라고 명명한다. 크리스테바는 출산을 결정적인 애브젝션의 순간이라 칭하는데, 출산은 한 몸이었던 어머니와 아이가 분리되는, 주체와 대상의 구분이 모호해지는 순간이고, 어머니와 아이는 서로에게 애브젝트가 되는 순간이다. 과거에는 금기시되어온 출산에 대한 담론을 현대 여성미술가들은 다양한 방법으로 표현하였다. 루이스 부르주아는 다양한 매체를 사용하여 자신의 출산 경험을 표현하기도 하였고, 자신과 어머니의 관계나 가족간의 경험을 가감 없이 표현하였다. 주디 시카고는 자수나 태피스트리와 같은 여성적 기법을 이용하여 출산에 대한 연작을 제작하였는데, 출산을 단순한 생물학적 현상이 아니라 죽음과 삶을 넘나드는 과정으로, 성스럽고도 공포스러운 애브젝션의 순간으로 표현하였다. 니키 드 생 팔은 아상블라주 기법을 사용하여 출산하는 어머니를 기괴하면서도 동시에 여신과 같은 애브젝트한 이미지로 표현하고 있다. 현대 미술에 나타난 애브젝트한 여성의 몸은 크리스테바의 정신분석에서 말하는 어머니의 자리를 복원시키고, 여성의 언어로 표현하며, 이분법적 경계를 허무는 다양성의 미학을 추구한다. 크리스테바의 애브젝션 개념과 여성작가들의 경험이 표현된 작품을 통해 논제에 대한 인식의 확장이 심화되었다.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the moment of delivery as a representative moment of abjection and analyze the images of delivery expressed in contemporary art in the light of Julia Kristeva’s abject concept. It also examines the theories of Sigmund Freud who founded psychoanalysis, Jacques Lacan who established the Imaginary-Symbolic-Real framework, and Luce Irigaray who opposed to the patriarchal traits of these two theorists and put forward the concerns on women. Kristeva agreed with Irigaray who made counterarguments against male-dominated psychoanalysis theories. She referred to the things which are thrown away to secure the self-identity as abject, and the psychotic action as abjection. Kristeva also considered the delivery as a decisive moment of abjection. She postulated that the delivery is an ambiguous moment at which mother and child, who were one body,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become abject. Contemporary female artists like Louise Bourgeois, Judy Chicago, and Niki de Saint-Phalle expressed the delivery, which has been regarded as taboo, with various methods such as assemblage together with tapestry and embroidery. The meanings of abject have been expanded through Kristeva’s conceptual framework and various perspectives manifested by such artists.

      • KCI등재

        쉬빙의 문자 작품에 내재된 기호적 특성 연구

        조연경 ( Cho¸ Yuhn Kyung ),차영순 ( Cha¸ Young Soon ) 한국기초조형학회 2021 기초조형학연구 Vol.22 No.5

        본 논문은 현대미술에서 문자의 기호 역할과 의미작용의 연구를 위해 쉬빙의 문자 작품 중에서 문자를 소재로 사용한 작품을 주목하고, 작품에 내재한 특징을 기호에 대한 관점에서 분석한 것이다. 기호학 이론을 바탕으로 하여 의미작용 과정에 의해 문자 작품을 해석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연구의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문자와 기호의 이론적 배경을 이해하기 위해 문자의 기원을 비롯한 문자의 변화 과정과 기호의 개념에 대해 살펴볼 것이다. 다음으로, 소쉬르와 퍼스의 이론을 살펴봄으로써 기호학의 주요 내용을 파악한다. 마지막으로 쉬빙의 작품 중 문자를 이용한 작품을 대상으로 삼아 기호학의 이론에 근거하여 문자 작품에 나타난 시각기호의 특징을 기호적 관점으로 접근하여 분석할 것이다. 이번 연구를 통해 도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호학 이론은 언어라는 기호를 다루고 있으므로 쉬빙의 작품을 언어로 해석하는데 유용한 개념을 제공하였다. 둘째, 문자는 체계의 해체와 재구성을 통해 의미작용의 과정에서 기호의 무한한 확장이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상형문자인 한자는 본질적으로 기호의 성격을 지니고 있으므로 단일 기호로 활용이 가능하고, 시각기호의 표현에 효과적이었다. 넷째, 보편적 기호들로 구축한 문법 체계는 개인의 경험 차이에 의해 다양한 의미작용이 생성되었다. 또한 기호학의 틀로 쉬빙의 작품이 드러내고 있는 기호화 과정을 통해 작품 속의 문자가 갖고 있는 의미를 확인할 수 있었다. 기호학의 기호와 시각예술의 기호는 분명 다르지만 이 두 기호의 간극을 좁히고, 기호학의 의미작용과정을 통해 시각기호를 해석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했다는 것에 본 논문의 의의를 두고자 한다. In order to study the role of texts as signs and their signification in contemporary art, this study took notice of works that used texts as materials among Xu Bing's works and analyzed the inherent characteristics of the works from the viewpoint of sig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erpret the text works by the signification process based on the semiotic theory. The method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process of changes in texts including the origin of texts and the concept of signs will be examined. Next, the main contents of semiotics will be grasped by examining the theories of Saussure and Peirce. Lastly, the characteristics of visual signs appearing in text works will be approached and analyzed from a semiotic viewpoint based on the theory of semiotics with the works that used texts among Xu Bing's works. The results derived through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ince semiotic theories deal with the signs termed language, they provided a useful concept for interpreting Xu Bing's works in language. Second, it could be identified that signs can be infinitely expanded in the process of signification through the dissolution and reconstruction of the text system. Third, since Chinese characters, which are hieroglyphics, essentially have the characteristics of signs, they could be used as single signs and were effective in expressing visual signs. Fourth, in the grammatical system constructed with universal symbols, various meanings were created due to differences in individuals experiences. In addition, it was possible to identify the meanings of the texts in the works through the process of signification revealed by Xu Bing's works as a framework for semiotics. The signs in semiotics and those in visual art are clearly different, and this paper can be regarded as meaningful in that it narrowed the gap between these two different signs and presented the possibility of interpreting visual signs through the signification process of semiotics.

      • KCI등재

        벼 밀양 23호 $\times$ 기호벼 재조합 자식계통의 지역에 따른 품질 특성 관련 QTL 분석

        곽태순,여준환,은무영,차영순,Kwak Tae-Soon,Yeo Jun-Hwan,Eun Moo-Young,Cha Young-Soon 한국작물학회 2004 한국작물학회지 Vol.49 No.6

        M/G RIL 164계통과 그 유전자지도를 이용하여 지역에 따른 벼의 품질과 관련된 양적형질 유전자좌(QTL)를 분석한 결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M/G RIL 164계통의 지역에 따른 단백질함량, 아밀로오스 함량, 지방산함량 및 식미평가치에 있어 빈도분포는 정규분포에 가까운 연속변이를 보였으며, 양친의 범위를 벗어나는 초월분리 현상을 나타내었다. 또한 지역에 따라 품질형질의 분포범위의 폭이 다양하게 나타났으며, 단백질함량은 원주>익산>대구의 순으로, 아밀로오스함량, 지방산함량 및 식미평가치는 대구>익산>원주의 순으로 나타났다. 품질에 관련된 QTLs분석에 있어 단백질함량과 관련하여서는 8개의 QTLs를 확인하였으며, 1번 염색체에서 2개, 3번, 6번, 7번 염색체에서 각각 1개, 8번 염색체에서 3개의 QTLs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들 8개의 QTLs가 설명할 수 있는 표현형 변이는 $6.0\~15.2\%$로 나타났다. 아밀로오스함량과 관련하여 6번 염색체에서 1개, 7번 염색체에서 2개의 QTLs를 확인하였다. 3개의 QTLs가 설명할 수 있는 표현형 변이는 $7.3\~24.4\%$로 나타났다. 지방산함량과 관련하여서는 2번과 6번 염색체에서 각각 깨, 3번과 7번 염색체에서 각각 1개의 QTLs를 분석하였으며, 6개의 QTLs로 설명할 수 있는 표현형 변이는 $5.5\~14.0\%$를 보였다. 식미평가치와 관련된 QTLs는 2번과 6번 염색체에서 각각 1개, 7번과 8번 염색체에서 각각 2개의 QTLs가 분석되었으며, 그 6개의 표현형 변이는 $5.5\~10.3\%$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locate the quantitative trait loci (QTL) associated with quality properties in the recombinant inbred lines derived from the 'Milyang 23' and 'Gihobyeo' cross. Four quality-related traits; protein content, amylose content, fat acid content and sensory value were measured. Eight QTLs for protein content were detected on chromosomes 1 (two loci), 3, 6, 7 and 8 (three loci), each accounting for $6.0\%\~15.2\%$ of the phenotypic variation. Three QTLs for amylose content were detected on chromosomes 6 and 7 (two loci), each explaining from $7.3\%\;to\;24.4\%$ of the phenotypic variation. Six QTLs for fat acid content were detected on chromosomes 2 (two loci), 3, 6 (two loci) and 7, each explaining form $5.5\%\;to\;14.0\%$ of the phenotypic variation. Six QTLs for sensory value were detected on chromosomes 2, 6, 7(two loci) and 8 (two loci), each accounting for $5.5\%\~10.3\%$ of the phenotypic variation.

      • KCI등재

        섬유예술과 현대미술을 탈경계화한 쉴라 힉스 작품의 예술적 함의에 관한 연구

        조경민(Cho, Kyung Min),차영순(Cha, Young Soon) 서양미술사학회 2021 서양미술사학회논문집 Vol.54 No.-

        본고는 현대섬유예술의 거장이라 할 수 있는 쉴라 힉스의 작품세계를 유형별로 나누어 표현적 특성과 조형성을 고찰하고, 이를 통해 동시대 현대미술에서 섬유예술, 공예, 디자인, 건축공간의 융합적 모델을 제시한 힉스의 작품세계를 분석하고 현대미술의 역사 안에서 그 의미를 파악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힉스의 초기작품은 미니미즈 시리즈 작품들로서 그녀가 습득한 직조의 제직 원리를 기반으로 한 다양한 기법적, 재료적 시도와 색채 실험에 대한 연구 결과물임을 확인할 수 있다. 수많은 여정 속에서 체득한 문화와 경험은 재료에 대한 확장된 시각을 갖게 하고, 재료 본연의 물질성과 자율성에 주목하게 한다. 섬유의 촉각성과 함께 합일을 이루는 색채는 작품에서 다채로우면서 대비적인 효과를 나타내며 표현적 수단이 아닌 그 자체로서 주요한 키워드로 등장한다. 힉스는 날실과 씨실의 구조를 갖는 전형적인 방식의 직조 작업도 진행하지만, 직조에 대한 총체적인 개념과 이해를 바탕으로 기법을 변형하고 응용하여 독자적인 조형 언어를 구축한다. 이러한 재해석된 직조기법을 디자인과 순수미술의 융합을 통해 설치작업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며, 미니미즈 시리즈보다 작품의 스케일을 확장시켜 설치작업들을 통해 섬유의 물성이 강력히 대두된 작품들을 펼치게 된다. 아울러 건축학적 프로젝트에서는 물리적 공간과 예술적 오브제 간의 관계성에 대해 주목하며, 현장과 예술작품이 서로를 정의하고 의미를 형성하면서 공존할 수 있음을 밝힌다. 섬유예술의 영역을 구분 짓는 경계선에 대한 그녀의 끊임없는 의문은 더욱 확대되고 융합된 형태의 섬유예술작품을 탄생시켰고, 이러한 과정에서 직조의 형식은 단순히 기법으로서가 아닌 다양한 형태로 변모하여 표현될 수 있는 은유의 도구로 나타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ategorize and examine the expressive and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Sheila Hicks, one of the preeminent figures of modern fiber art; it further seeks to analyze her convergence model that synthesizes fiber, art, craft, design, and architectural space and understand her significance in the evolution of contemporary art. Hicks’ early works, consisting of a series of “minimes”, were the results of her elaborate experiments with various techniques, materials, and colors based on the principles of weaving. In her works, colors, in conjunction with tactile nature of fibers, emerge as a major keyword. Her reinterpreted weaving techniques stand out in installation works as a fusion of design and pure art. By expanding the scale of work beyond the “minime” series, Hicks unfolds strong fabric properties through installation work. In addition, her architectural projects bring attention to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space and artistic objects. Hicks’ constant push to challenge the boundaries that separate the domain of fiber art gave birth to a more extensive and fused form of fiber art in which weaving is not merely a technique but also a metaphorical tool that can be transformed and expressed in various forms.

      • KCI등재

        한산모시와 에치고조후·오지야치지미 제직 비교

        김보연(Kim Bo-Yeun),차영순(Cha Young-Soon) 한복문화학회 2021 韓服文化 Vol.24 No.1

        Mosi is ramie in Korea and jofu is the one in Japan. ‘Weaving of Mosi(fine ramie) in the Hansan region’ is registered a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nd the techniques preserved. Ojiya-chijimi, Echigo-jofu also same in Japan. Both are UNESCO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Humanity. The materials same but the process and the final result are different. Main difference is that Hansan Mosi weaves no pattern, it’s either natural or white plain weave. Whereas Echigo-jofu mainly weaves stripes or kasuri with delicate patterns, Ojiya-chijimi has overall wrinkle surface due to high twist applied on weft ramie threads. Hansan Mosi focuses on making delicate threads with special tools and all possible methods to present clean and half transparent ramie surface, the technique level required without twist as bast fiber for weaving is high. Due to applied twist, Echigo-jofu·Ojiya-chijimi threads preparation becomes to have silk threads characters after twist process. Both weaving culture face difficulties in transmit the techniques to next generation thus have special programme of weaving, this study includes how they make efforts to preserve and transmit and the main differences between the programmes. Hansan educate overall process from fiber extraction to weaving, focusing on modified modern type loom. Echigo-jofu·Ojiya-chijimi devide process into threads making, Kasuri pattern course and weaving course with traditional loo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