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문장편소설의 유통 지형과 서지학적 과제 -판본별 서지 데이터를 중심으로-

        정혜경 ( Jung Hyekyung ) 우리어문학회 2021 우리어문연구 Vol.70 No.-

        본고는 판본별 서지 데이터를 한데 모아 분석함으로써 국문장편소설의 유통 환경과 지형을 입체적으로 조감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국문장편소설사에서 인지도가 높고 오랜 생명력을 유지한 작품군을 찾고, 유통 환경과 구조에 따라 달라진 국문장편소설의 위상과 전개 과정을 살필 수 있었다. 지금까지 발굴된 판본별 서지 데이터는 필사본 1,106편, 활자본 67편, 석인 본 1편으로 그 총량이 1,174여 편에 달했다. 국문장편소설사에서 예외적으로 풍부한 필사본을 남긴 작품은 <현씨양웅쌍린기>, <유씨삼대록>, <옥린몽>, <창란호연록>, <유효공선행록>, <명주기봉>이며, 굴곡진 유통사에서 가장 다채로운 채널과 플랫폼을 확보한 작품은 <옥린몽>이었다. 이들 작품이 보유한 필사량과 유통 채널은 작품의 인지도, 생명력, 장르의 전변 과정 등을 탐색하는 근거가 된다는 점에서 유의미하다. 94%의 이본이 필사본으로 유통되었으며, 작품별 필사량을 확인한 결과 25% 안팎의 작품이 소설사를 주도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작형 소설의 경우 후속편이 전편의 흥행에 미치지 못하는 소포모어 징크스를 보였다. 아울러 작품의 길이와 필사량은 상관성이 떨어지는 등 필사시 작품성과 흥미성 등 다른 요인이 우선 고려된 정황이 포착되었다. 18세기 중엽부터 국문장편소설은 책쾌와 세책점을 통해 영토 확장에 나갔다. 현존하는 세책본은 35종으로 추산되며 세책 시장에서도 연작 지향성이 강한 장르적 특질을 확인할 수 있었다. 19세기 후반 고소설이 주도한 활자 인쇄 시장에서 국문장편소설은 큰 영향력을 발휘하지 못했다. 1913년 <옥린몽>과 <임화정연>을 시작으로 7~11종이 출간되었을 뿐이다. 이러한 출판 환경 속에서 긴 생명력을 보인 작품은 <하진양문록>이며, 시장에서 잘 팔린 작품은 <임화정연>이었다. 활자본으로 탄생한 작품은 영웅 서사와 부부 갈등/애정 문제를 다룬 활자본 DNA를 가진 것들인데, 이들은 새로운 독자층의 기호에 맞게 당시 유행하던 영웅소설 또는 기봉류계 소설과 더 가까운 형태로 변모하는 양상을 드러냈다. 국문장편소설은 출판시장의 다변화 전략의 하나로 1915년과 1925년 사이에 주로 발행되지만, 1930년대 이후부터는 그마저도 위축되고 1956년에 <하진양문록>을 끝으로 활자본 국문장편소설사는 막을 내렸다. 유통 환경의 변화는 국문장편소설의 향유 구조와 방식에도 영향을 미쳤다. 특히 세책 시장은 거대한 국문장편소설의 스토리 월드를 집합적으로 소비할 수 있는 향유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새로운 시장가치와 팬덤을 형성해낸 의미가 있다. 그러나 80여 종 가까이 되던 작품은 세책본으로 가면서 절반 가까이 줄었고 활판 인쇄 시장에서는 1/5로 감소했다. 이는 19세기 중후반부터 새로운 작품을 시장에 내놓은 위험성 대신에 대중성이 확보된 작품을 지정 선택하여 유통한 결과였다. 이러한 유통 구조는 국문장편소설의 영토를 축소하고 장르적 기반을 흔드는 요인 중 하나로 작용했다. 그런데 장르적 위기는 19세기 중엽 이후 창작량이 급감한 때부터 응축된 것이다. 상층에 기반을 두고 성장한 장르의 고유한 미감과 특질이 태생적 한계로 작용하면서 점차 독자의 흥미를 끌지 못했던 것이다. 방대한 판본별 서지 데이터를 끌어모아 거기에 담긴 의미를 해독하는 일은 장르의 현재성을 확보하고 미래를 탐색하는 과정으로써 의미가 있다. 이 과정에서 발견한 서지학적 과제는 서지 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고 새로운 연구 방향을 모색하는 토대가 될 것이다. This study would stereoscopically see the entire view of the topography of the distribution of Korean full-length novels, collecting and analyzing bibliographic data by version. Through this, it was possible to excavate groups of works that had high awareness and maintained a long life force in the history of Korean full-length novels and the position and flow of Korean full-length novels that differed depending on the distribution environment and structure. The bibliographic data of Korean full-length novels by version excavated until now, including various lists and advertisements are 1,106 manuscripts, 0 commercial wooden printing edition, 67 printed books, and 1 stone seal edition, 1,174 in total. The works that left exceptionally rich manuscripts in the history of Korean full-length novels are Hyeonssiyangungssangninki, Yussisamdaerok, Okrinmong, Changranhoyeonrok, Yuhyogongseonhaengrok, and Myeongjugibong. In the series of novels, there was Sophomore Jinx in which the volume of different versions of subsequent books decreased. Meanwhil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length of the works and the volume of transcription decreased. Novels for lending created new market values and formed fandom of full-length novels by providing an environment of enjoyment in which readers could consume the story world of Korean full-length novels collectively. 7-11 printed books were published, starting with Okrinmong and Imhwajeongyeon in 1913. They were intensively published between 1915 and 1925, but since the 1930s, the vigor was discouraged, and there was no more publication after Hajinyangmunrok in 1956. Printed books were circulated after modification/summarization for the readers’ preferences and tastes, centered around full-length heroic novels or full-length family novels that dealt with marital conflicts and eccentric encounters. Changes in the distribution environment also affected the structure of Korean full-length novels and the method of the enjoyment of them. The number of works which had been about 80 halved works decreased to nearly half as they moved to novels for lending, and reaching printed books, the volume was reduced to one-fifth. Since the mid-to-late-19th century, Korean full-length novels tended to selectively designate and distribute the works with popularity guaranteed, instead of the risk of putting new works on the market. This enjoyment structure worked as a factor reducing the vitalization of enjoyment by reducing the domain of Korean full-length novels and weakening active enjoyment. Collecting bibliographic data by version and interpreting meanings in them has significance as an attempt to seek a new research direction. This is because the bibliographic tasks discovered in the process of collecting and organizing bibliographic data can open up the way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research utilizing bibliographic data and fill up the gaps in bibliographic research.

      • KCI등재

        서지 데이터로 본 국문 장편소설 -작품의 목록과 존재 양상을 중심으로-

        정혜경 ( Jung¸ Hyekyung ) 한국고소설학회 2020 古小說 硏究 Vol.50 No.-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overall topography of Korean classical novels by collecting and organizing its bibliographic data. Because the total amount of bibliographic data of the novel has increased, and many errors on previous studies has corrected. It is meaningful as the study that objectively complemented the history of the Korean long story. First, classical novels written in Korean were selected from among 1,500 works in Joseon Dynasty and its list was made. The total amount of works on the classical novel was approximately 103 works, including 65 existing works and 36 undiscovered works. Based on a work, 50% of the works are around 25.7 volumes, and the work of less than 30 books reaches 75%. There were only eight works of more than 70 volumes. However, based on the series, the length and volume of the work are doubled. Most notable is the fact that more works have been entangled in the series and derivative works than the researchers expected. Including undiscovered works, that figure is more then 80%. It shows that the genre has strong series orientation and great interaction between works. It contributed to build one world of stories. As writers and readers cross each other's roles when they read or created to the works, and the genre had a circular structure of production-connection-consumption.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novels are like the principle of trans-media storytelling. It is valuable in that it presents new possibilities for classical novels.

      • KCI등재

        애니메이션에서 관찰되는 분할화면에 대한 연구

        정혜경(Hyekyung Jung) 한국애니메이션학회 2012 애니메이션연구 Vol.8 No.4

        이논문은 영화와 애니메이션 비선형 편집에서 나타나는 분할화면의 개념을 살펴보고 형태에 따른 구분과 내러티브적 역할에 대하여 논의한다. 영상화면에서 연출되는 분할화면은 각 프레임간의 상호관계를 내러티브에 접목시키며 프레임의 형태에 따라 그 상징과 의미를 가지고 있다. 애니메이션은 영화와는 달리 한 콤마씩 촬영하는 제작특성 상 애니메이션만이 연출할 수 있는 분할화면의 형태와 또한 스토리텔링 역할의 가능성을 주목한다. 폴 드리센(Paul Driessen)은 그의 애니메이션 작품에서 자신만의 독특한 방법으로 분할화면을 연출하였다. 그의 작품분석을 통해 분할화면 형태의 다양성과 다중화면 프레임들 간의 시간과 공간의 경계를 초월한 새로운 내러티브의 구조를 제시한다. 본 논문은 영화적 해석에서 독립하여 애니메이션에서만이 표현할 수 있는 분할화면의 형태와 함축적 영상언어로서의 기능에 대해 서술하고자 한다. 폴 드리센은 단순히 전체 이야기 테두리에서 종속의 도구가 아닌 그 자체로서의 분할화면의 이미지텔링 가능성을 제시한다. 폴 드리센 분할화면 사례와 분석을 통해 실험적인 방법을 추구하는 작가주의 감독들에게 내러티브 전달의 다양성을 제시하고 예술적 이해와 응용에 도움을 주고자하는 것이 본 논문의 목적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concept of the split-screen in the non-linear editing of films and animations, and discuss the classification narrative roles according to the type. With the correlation between frames integrated into a narrative, the frame has its symbol and signification that varies depending on the type. Due to the nature of the animation production that is shot by one comma unlike film, it is worth noting there is the type that can be directed by animation only and the possibility as story telling. Paul Driessen has directed the split-screen in his animations in his unique way. This paper suggests the structure of new narrative transcending spatial and temporal boundaries between frames and the diversity of the split-screen types through the analysis of his animations. Furthermore this paper describes the split-screen types that be expressed only in animations independently from the interpretation from the viewpoint of films and its function as implicit film language.

      • KCI등재

        A Between-School Design Approach in Multi-Site Evaluations of Programs Involving Eligibility Cutoffs

        정혜경(Hyekyung Jung) 한국교육평가학회 2012 교육평가연구 Vol.25 No.2

        기초수준 미달 학생 지원 정책의 일환으로 도입된 학력 향상 중점학교와 같이 교육정책 혹은 지원 프로그램들을 배정하는데 있어 특정 수준 이상 또는 이하의 자격조건에 근거하는 경우가 많다. 이처럼 비실험연구 중에서도 자격조건을 결정하는 분할점을 기준으로 교육 프로그램이나 정책 수혜 대상을 선정하는 경우 이에 대한 인과효과 추정을 위한 유사 비교집단을 구성하는 데 어려움이 따른다. 본 연구는 이러한 상황에서 선정기준(예, 기초수준 미달 비율) 정보를 활용하여 분할점 주변의 비교집단을 활용하는 학교간 설계 및 분석 방법을 소개하고, 읽기에 어려움을 겪는 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제공된 읽기 처지 프로그램 효과 분석 사례를 통해 학교간 설계ㆍ분석 방식의 유용성을 논의하였다. 아울러 이와 같은 비실험연구 상황에서의 인과효과 추정 시 프로그램 대상 목표 집단, 관심 모수치, 자격조건과 실제 참여 정도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Assigning education services targeting certain subpopulations often involves eligibility cutoff points (e.g., School for Improvement policy). However, challenges arise in evaluating the causal effects of such programs, because there are insufficient comparable comparison groups due to the predetermined eligibility criteria. This study suggests a between-school design strategy entailing the use of control schools that just missed a school-level eligibility criterion. The basic idea is to attempt to approximate a cluster-randomized design for treatment and control schools by focusing on subsets of comparable schools close to the school-level cutoff point. Data from an evaluation of a reading intervention for elementary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a large school district were used for illustrative purposes. This study discusses an approach combing a design and analysis strategy based on an array of factors, including careful consideration of the target populations, the treatment effects of interest, the degree of the association between the eligibility criterion and actual participation.

      • KCI등재

        직업훈련교사의 디지털 역량 측정 설문도구 개발 연구

        유다선(Daseon Yu),정혜경(Hyekyung Jung) 한국직업교육학회 2023 職業 敎育 硏究 Vol.42 No.1

        디지털 전환에 따라 산업구조와 기술변화가 빠르게 변하는 시대에 직업훈련의 고도화를 위해 직업훈련교사의 전문성과 역량을 파악하고 부족한 역량을 강화해야 한다. 이를 위해 직업훈련교사의 디지털 역량을 자기보고식으로 측정할 수 있는 설문도구를 개발하는 것이 주요 연구 목적이다. 선행연구 조사 및 전문가 FGI를 통해 예비 설문 문항을 개발하고 직업훈련교사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수집된 221건의 응답 데이터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추출된 요인을 파악하였다. 최종적으로 개발된 직업훈련교사의 디지털 역량 측정 도구는 디지털 기본 역량과 디지털 교수 역량으로 구분하였다. 디지털 기본 역량은 3개 하위 요인, 22개 문항으로 구성하였고, 디지털 교수 역량은 3개 하위 요인, 24개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향후 본 연구의 결과물은 직업훈련교사가 자가로 디지털 역량을 진단하여 부족한 부분을 보완할 수 있는 지표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으며, 더 나아가 여러 직업훈련교사의 설문 결과 분석을 통해 직업훈련교사의 보수 교육 과정 개설, 보수 교육 콘텐츠 개발 등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In an era where industrial structures and technologies are rapidly changing due to digital transformation, vocational training teachers should be identified and their insufficient capabilities should be strengthened to advance vocational training. To this end, the main purpose of the study is to develop a questionnaire tool that can measure the digital competency of vocational training teachers in a self-report manner. Preliminary questionnaire items were developed through precedent research and expert FGI, and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for vocational training teacher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with the collected 221 response data to identify the extracted factors. The finally developed digital competency measurement tool for vocational training teachers was divided into digital basic competency and digital teaching competency. Basic digital competency consisted of 3 sub-factors and 22 questions, and digital teaching competency consisted of 3 sub-factors and 24 questions. Using the study results, it is expected that vocational training teachers will be able to diagnose digital competencies and use them as an index to find and supplement their shortcomings on their own.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used as basic data for opening teachers' refresher education courses and developing refresher education contents.

      • KCI등재

        3수준 로지스틱 회귀 모형을 활용한 재수생 특성 분석

        이명애(Myungae Lee),정혜경(Hyekyung Jung) 한국교육평가학회 2014 교육평가연구 Vol.27 No.2

        본 연구는 대학수학능력시험과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를 연계한 대규모 자료를 활용하여 재수생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통계 분석을 위하여 3수준 임의 절편 로지스틱 회귀 모형을 적용함으로써 학생, 학교, 시군구가 내재된 다층 구조를 통계 분석에 반영하였으며, 학생 성취도 점수, 학생 배경 변수, 학교 및 지역 특성 정보 중에서 어떠한 변수들이 재수에 영향을 미치는지와 그 관련성 정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수능 성적 또는 학업성취도 점수가 높을수록 재수와 정적 상관을, 학생의 방과후학교 참여와 재수는 부적 상관을 보였다. 학교 및 시군구별 재수 비율에 대한 분산이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생 변수를 통제한 후 수능 학교 평균이 높을수록 재수 비율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고, 16개 시도 구분 정보가 재수를 예측하는데 중요한 요인으로 파악되었다. This study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CSAT) re-takers based on the CSAT data combined with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NAEA). For analyses, three-level random intercept logistic regression models were employed in order to reflect the data structures in analyses such that students are nested within schools, and schools were nested within districts. Key findings include that CSAT scores or NAEA scores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CSAT retaking, and female or students participating in after-school programs were less likely to re-take the CSAT. Proportions of CSAT re-takers varied across schools and districts, and students attending schools with higher CSAT school means were more likely to re-take CSAT, and the dummy variables distinguishing 16 cities and provinces were statistically and substantively significant in prediction of students' CSAT retaking after controlling for other variables in the model.

      • KCI등재

        인지진단모형을 적용한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과학과 세부 학습영역 분석 사례

        김희경(Kim, HeeKyoung),정혜경(Jung, Hyekyung)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20 敎育問題硏究 Vol.33 No.4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이 각 교과 내의 어떤 구체적인 세부 학습영역에서의 학업성취에서 강점과 취약점을 가지고 있는지를 분석하고, 향후 학생의 학습 과정에 도움이 되는 피드백을 제공함으로써 좀 더 유용하고 상세한 교육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였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 첫째, 대규모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를 교과 내 세부 학습영역 단위에서 산출하고 제공하는 방안을 탐색하였다. 2017년 학업성취도 평가 과학교과 검사 문항을 예시로 중학교 3학년 과학과 세부 학습영역을 도출한 후, 과학 교과 학업성취도 문항과 세부 학습영역의 연결 관계를 제시하는 Q행렬을 개발하였다. 세부 학습영역을 도출하기 위해서 학업성취도 평가 문항의 출제 근거인 교육과정상의 성취기준에 기반을 두었으며,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교과 역량 함양 및 역량 평가를 강조하는 점을 최대한 반영하고자 노력하였다. 둘째, 인지진단모형(Cognitive Diagnostic Model)을 적용하여 우리나라 중학교 3학년 학생들의 과학교과 8개 학습영역에서의 학업성취도를 산출함으로써 우리나라 학생들의 과학교과에서의 세부적인 특성(강약점)을 파악할 수 있는 방안을 탐색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provide more useful and detailed educational information by providing analytic assessment results in which sub-content areas of each subject the students efforts are necessary in order to improve their academic achievement. For this, first, the way to re-analyze the results of the NAEA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according to the sub-content areas of each subject was explored, and piloting with the science test items of the 2017 NAEA was conducted by extracting sub-content areas from science data of third graders in the middle school. and at the same time developing a Q matrix indicat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science test items based on its achievement standards and the sub-content areas of science as an example. Second, by measuring the academic achievement of the 8 sub-content areas in science of third graders in the middle school using the cognitive diagnostic model, students’ detailed characteristics (strengths and weaknesses) were analyzed.

      • KCI등재

        Drawing Causal Inferences Using Propensity Score Methods in Educational Research

        Junyeop Kim(김준엽),Hyekyung Jung(정혜경),Michael H. Seltzer 한국교육평가학회 2008 교육평가연구 Vol.21 No.3

          관찰자료를 사용하는 교육 프로그램 또는 정책의 효과성 연구에서 인과효과에 대한 추론에는 많은 난점이 있다. 그 주된 이유는 관찰 연구 혹은 준실험 연구에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은 거의 모든 경우에 무선 할당되지 않고, 따라서 직접 비교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Rubin의 인과모형은 인과적 효과를 규정하고 그에 따라 타당한 인과효과를 추론하기 위해 충족시켜야 하는 가정들을 명확히 하기 위한 중요한 개념적 틀을 제공한다. 또한 이러한 인과모형에 따른 성향점수(propensity score)를 활용한 인과효과 추정방법(Rosenbaum & Rubin, 1983a)은 관찰자료 및 준실험 자료를 이용한 인과효과 추정연구에서 중요한 도구로 활용될 수 있다. 본 연구는 Rubin의 인과모형과 성향점수를 활용한 다양한 인과적 효과의 추정 방법을 소개하고, 이러한 연구방법을 교육평가 연구에 적용하기 위해 고려해야할 중요한 쟁점들에 대해 논의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미국의 한 통합 교육구에서 실시된 Early Academic Outreach Program (EAOP)의 효과를 예시적 목적에서 분석하였다.   In estimating the effect of an educational program or policy using observational data, drawing causal inferences is challenging because the treatment and control groups in such studies are almost always not directly comparable. Rubin’s causal model provides a valuable conceptual framework for defining causal effects and clarifying the assumptions that must be met in order to draw sound causal inferences. In conjunction with this framework, propensity score methodology (Rosenbaum & Rubin, 1983a) provides an important tool in efforts to estimate causal effects when working with observational or quasi­experimental data. Propensity score approaches provide the basis for forming comparable subgroups given the estimated probability of being assigned to treatmen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troduce Rubin’s causal model (RCM) and various propensity score methods for estimation of causal effects in educational program evaluation, and to provide detailed discussion of the critical issues that should be considered when implementing these methods in educational settings. Data from the Early Academic Outreach Program (EAOP), which was implemented in a large U.S. school district, are used for illustrative purposes.

      • KCI우수등재

        Different Role Between Academic Self-Concept and Self-Efficacy in the Big-Fish-Little-Pond Effect : 큰 물고기 작은 연못 효과에 대한 자기개념과 자기효능감의 역할 차이 연구

        김은주(Kim, Eun Joo),정혜경(Jung, Hyekyung) 한국교육학회 2022 敎育學硏究 Vol.60 No.3

        이 연구는 개별 학생의 학업적 자기개념이 학교의 학업 성취 수준이 높을수록 부정적인 영향을 받는다는 BFLPE(큰 물고기 작은 연못 효과) 이론에 대해 경험적 자료 분석을 통한 실증적 검증을 하는데 주요 목적이 있다. PISA 2006 및 PISA 2012 국제비교연구 데이터를 분석함으로써 BFLPE의 이론적 틀에서 자기개념에 대한 교과목과 국가별 BFLPE를 확인할 뿐만 아니라 자기효능감에 대한 BFLPE 효과를 검증하고 자기개념과 자기효능감의 개념적 차이를 경험적 분석 결과에 기반하여 비교하였다. PISA 데이터 분석을 위해 다층모형 적용하였으며, 국가별 분석 및 두 가지 영역(과학과 수학영역)에서 BFLPE가 일관성 있게 나타나는지를 탐색하였다. 연구 결과 BFLPE가 OECD 국가 과학과 수학과목 모두에서 학생들의 자아 개념에 보편적으로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BFLPE의 크기는 과학보다 수학에서 다소 크게 나타났다. 반면 자기 효능감에서는 일관성 있는 BFLPE 결과를 발견하지 못하였으며, 이러한 실증분석을 바탕으로 기존의 선행 이론과 연계하여 학업적 자기개념과 자기 효 능감에 대해 논의하였다. We revisited a theory called the big-fish-little-pond effect (BFLPE) that an individual student’s academic self-concept was negatively affected by their schools’ academic achievement levels. By analyzing PISA 2006 and PISA 2012 data, this study attempts to provide empirical support for conceptual differences between self-concept and self-efficacy under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the BFLPE. This study examined the BFLPE on the academic self-concept as well as self-efficacy. We also examined if the BFLPE was consistent on different achievement domains (science vs. mathematics) across countries using multilevel analyses. The results show that the BFLPE appeared universal for students’ self-concept in both science and mathematics across OECD countries, but the magnitudes of the BFLPE appeared slightly larger in math than in science. However, the BFLPE was not consistently found in the academic self-efficacy. We discussed the different results between the academic self-concept and self-efficacy based on the previous litera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