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육각강에서 보고된 미토콘드리아 COI 염기서열과 이들을 이용한 분자 연구 논문 분석, 파트 I: 2000년~2009년

        이원훈,박종선,김소라,김양수,이예림,김광호,이시혁,이용환,이승환,Lee, Wonhoon,Park, Jongsun,Akimoto, Shin-Ichi,Kim, Sora,Kim, Yang-Su,Lee, Yerim,Kim, Kwang-Ho,Lee, Si Hyeock,Lee, Yong-Hwan,Lee, Seunghwan Korean Society of Applied Entomology 2013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52 No.4

        Since 2000, a large number of molecular studies have been conducted in Hexapoda with generating large amount of mitochondrial sequences. In this study, to review mitochondrial COI sequences and their molecular studies reported in Hexapoda from 2000 to 2009, 488 molecular studies conducted based on 58,323 COI sequences were categorized according to 26 orders and the positions of COI sequences (5', 3', and entire regions). The numbers of molecular studies in which the three regions utilized varied largely among the 26 orders; however, seven orders showed preferred positions of COI sequences in the researches: Diptera and Orthoptera revealed the largest number of studies in the 5' region; while, Coleoptera, Phthiraptera, Odonata, Phasmatodea, and Psocoptera, showed the largest number of studies in the 3' region. From comparing 84 molecular studies published before 2000, we observed the possibilities that molecular studies in Coleoptera, Diptera, Phthiraptera, and Phasmatodea from 2000 to 2009 had been followed classical studies using the positions of COI sequences well-known until 1999. This study provides useful information to understand the overall trends in COI sequence usages as well as molecular studies conducted from 2000 to 2009 in Hexapoda. 2000년도 이후로 많은 분자 연구 논문들이 육각강에서 진행되었으며, 그 결과 방대한 양의 미토콘드리아 유전자 염기서열이 생산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2000년도부터 2009년까지 육각강에 보고된 COI 염기서열과 이들을 활용한 분자 연구 논문들을 분석하기 위하여, 58,323개의 COI 염기서열들을 바탕으로 보고된 488개의 분자 연구 논문들을 26개 목들과 사용된 COI 염기서열들의 5', 3', 중간 위치에 따라 재분류하였다. 세 지역의 COI 염기서열을 이용한 연구 논문의 수는 26개 목들에 따라 매우 다양하였다. 하지만, 7개 목들은 특정 지역의 COI 염기서열들이 선호되었음을 나타내었다. 예를 들어, 파리목과 메뚜기목에서는 5' 지역의 COI 염기서열을 사용하는 논문의 수가 가장 높았으며, 이에 반해 딱정벌레, 이목, 잠자리목, 더듬이벌레목, 대벌레목에서는 3' 지역의 COI 염기서열을 사용하는 논문의 수가 가장 높았다. 2000년 이전에 보고된 84개의 분자 연구 논문들과의 비교를 통해, 2000년부터 2009년까지 딱정벌레목, 파리목, 이목, 대벌레목에서는 1999년 이전에 각 목들에서 주로 사용되었던 COI 염기서열의 특정 지역과 같은 지역을 사용하는 경향성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는 육각강에서 2000년에서 2009년까지 보고되었던 분자 연구 논문 뿐만 아니라 이들 논문에서 사용된 COI 염기서열에 대한 전체적인 경향을 이해하는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한다.

      • KCI등재

        Current status of exotic insect pests in Korea: comparing border interception and incursion during 1996-2014

        이원훈,이예림,김소라,이종호,Heungsik Lee,이승환,홍기정 한국응용곤충학회 2016 Journal of Asia-Pacific Entomology Vol.19 No.4

        Interception data pertaining to Coleoptera, Hemiptera, Lepidoptera, Diptera, Thysanoptera, and Hymenoptera collected at the Korean quarantine border were cross-checked with incursion data during 1996–2014. Overall, 114,636 interception records of 1,075 species belonging to the six orders were detected, while 33 species (out of 2,710 newly recorded species belonging to the six orders) were confirmed as incursion species in Korea. Of the 33 species, only 14 (42.42%)were recorded as being intercepted at the quarantine border. These results indicate that recent incursion species in Korea are not subject to inspection at Korean borders. Of the 33 incursion species, 30 (90.90%) are agricultural pests, and 10 species (30.30%) are hemipteran. About these species, two factors, greenhouse cultivation and parthenogenesis of exotic species, are newly suggested as reasons for successful incursion into Korea. This study reveals that border inspections do not provide useful information to protect against occurrences of exotic incursive species and that the current quarantine system needs improvement.

      • KCI등재

        미토콘드리아 COI 유전자 분석을 통한 담배가루이 종복합군의 분류학적 재평가

        이원훈,이관석,Lee, Wonhoon,Lee, Gwan-Seok 한국응용곤충학회 2017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56 No.2

        담배가루이는 경제적으로 매우 중요한 농업 해충들 중의 하나이며, 전세계적으로 40개 이상의 종들로 구성된 종복합군(species complex)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담배가루이 종복합군의 유전적 변이와 구성하는 종들의 수를 550개의 COI 염기서열들을 바탕으로 재평가하였다. 담배가루이의 유전적 변이는 0% - 27.8%이며(평균 11.1%), 이는 담배가루이 종복합군이 서로 다른 속들 혹은 아과들에 속하는 다양한 종들로 구성되어 있음을 나타낸다. 217개 COI 염기서열들을 바탕으로 분석된 계통수는 담배가루이 종복합군이 잠재적인 신종(Java)을 포함한 43개 종들로 구성되어 있고, 이 가운데 9종(Australia, Asia II 1, Asia II 6, Asia II 7, Asia II 10, Mediterranean, New world, New world 2, Sub Saharan Africa 1)의 종내 유전적 변이는 기존의 종구분 한계인 4.0%가 담배가루이 종복합군의 종들을 구분하는데 적합하며, 높은 종내 유전변이를 보이는 종들은 은밀종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Bemisia tabaci (Hemiptera: Aleyrodidae)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insect pests in the world. In the present study, the taxonomic status of B. tabaci and the number of species composing the B. tabaci complex were determined based on 550 COI gene sequences of B. tabaci. Genetic divergence within B. tabaci ranged from 0% to 27.8% (average 11.1%). This result indicates that the B. tabaci complex is composed of multiple species that may belong to different genera or subfamilies. A phylogenetic tree constructed based on 217 COI gene sequences without duplications revealed that the B. tabaci complex is composed of a total of 43 putative species, including a new species, Java. In addition, genetic divergence within nine species (Australia, Asia II 1, Asia II 6, Asia II 7, Asia II 10, Mediterranean, New world, New world 2, Sub Saharan Africa 1) indicates that 4.0% is reasonable to be used as a threshold of species boundaries within the B. tabaci complex, and species with high intraspecific genetic divergences can be related with cryptic species.

      • KCI등재

        JEAC 4601에 의한 전단벽 구조물의 비선형 복원력 특성에 대한 고찰

        이원훈,김희균,송성빈,황기태,Lee, Won Hun,Kim, Hee Kyun,Song, Sung Bin,Hwang, Kee Tae 한국지진공학회 2021 한국지진공학회논문집 Vol.25 No.3

        Structures of domestic nuclear power plants are designed to perform elastic behavior against beyond design earthquakes, but studies on the nonlinear behavior of structures have been insufficient since the beyond design earthquake. Accordingly, it is judged that it will be necessary to develop an evaluation method that considers the nonlinear behavioral characteristics to check the safety margin for a standard nuclear power plant structure. It is confirmed that the restoring force characteristics for each member level can be identified through the calculation formula, and the lateral stiffness for each story can also be easily calculated by JEAC 4601. In addition, as a result of applying the evaluation method of JEAC 4601 as a nonlinear restoring force model of the nuclear power plant, a certain degree of safety margin can be identified.

      • KCI등재

        미국선녀벌레(Metcalfa pruinosa) (Hemiptera: Flatidae) 월동난 부화 예측 모델 개발

        이원훈,박창규,서보윤,이상구,Lee, Wonhoon,Park, Chang-Gyu,Seo, Bo Yoon,Lee, Sang-Ku 한국응용곤충학회 2016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55 No.1

        채집 시기에 따른 미국선녀벌레(Metcalfa pruinosa) 월동난 발육을 다양한 항온조건에서 조사하였다. 2012년의 경우 4월 13일 이전에 채집된 월동난은 부화에 실패하였으나, 2013년 4월 11일 채집한 개체들이 일부 온도 조건에서 성공적으로 부화하였다. 온도에 따른 월동난의 발육 조사 결과 $12.5^{\circ}C$와 $35^{\circ}C$를 제외한 모든 온도 조건에서 발육이 가능하였다. 2013년 4월 26일 채집하여 가온한 결과 $15^{\circ}C$에서 49.6일로 발육기간이 가장 길었고 $30^{\circ}C$에서 13.3일로 가장 짧았다.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발육기간이 짧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나 $32.5^{\circ}C$에서는 $30^{\circ}C$에서 보다 발육기간이 길어 고온에서 발육이 지연되는 현상을 보였다. 온도와 발육율과의 관계를 설명한 선형 모형을 이용하여 추정된 미국선녀벌레의 발육영점온도는 $10.1^{\circ}C$, 유효적산온도는 252.5DD였다. 온도 의존적인 발육율을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된 선형 및 비선형 5개 모델 중 Lactin 2 모델이 가장 높은 해석력을 보여주었다. 월동난 개체군의 발육 완료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Two-parameter Weibull 함수는 발육기간을 기반으로 하였을 경우 결정계수 0.92로 높은 결정력을 보였다. 개발된 발육율, 발육완료 모델들을 이용하여 추정된 50% 누적 우화일과 실측된 우화일의 차이를 보면 Poikilotherm rate 모델을 이용하여 추정한 결과가 세 지역 편차일의 평균이 1.7일로 상대적으로 다른 모델들 보다 가장 정확하게 50% 누적 부화일을 예측할 수 있었다. The temperature-dependent development of Metcalfa pruinosa overwintering eggs was investigated at ten constant temperatures (12.5, 15, 17.5, 20, 22.5, 25, 27.5, 30, 32.5, and $35{\pm}1^{\circ}C$, Relative Humidity 20~30%). All individuals collected before April 13, 2012 failed to develop into first instar larvae. In contrast, some individuals that were collected on April 11, 2013 successfully developed when reared under $20{\sim}32.5^{\circ}C$ temperature regimes. The developmental duration was shortest at $30^{\circ}C$ (13.3 days) and longest at $15^{\circ}C$ (49.6 days) in the fourth collected colony (April 26 2013). Developmental duration decreased with increasing temperature up to $30^{\circ}C$ and development was retarded at high-temperature regimes ($32.5^{\circ}C$). The lower developmental threshold was $10.1^{\circ}C$ and the thermal constant required to complete egg overwintering was 252DD. The Lactin 2 model provided the best statistical descrip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emperature and the developmental rate of M. pruinosa overwintering eggs ($r^2=0.99$). The distribution of the developmental completion of overwintering eggs was well described by the 2-parameter Weibull function ($r^2=0.92$) based on the standardized development duration. However, the estimated cumulative 50% spring emergence dates of overwintering eggs were best predicted by poikilotherm rate model combined with the 2-parameter Weibull model (average difference of 1.7days between observed and estimated dates).

      • KCI등재

        한국에서 새로운 해충 석류가루이, Siphoninus phillyreae (Haliday, 1835) 발견 보고

        이흥수,박덕기,이석민,이관석,이종호,홍기정,이원훈,Lee, Heungsu,Park, Deog Kee,Lee, Sukmin,Lee, Gwan-Seok,Lee, Jongho,Hong, Ki-Jeong,Lee, Wonhoon 한국응용곤충학회 2020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59 No.3

        2019년 경남 진주시 배나무에서 석류가루이(신칭) Siphoninus phillyreae (Haliday, 1835) 가 발견되었다. 분포조사를 통하여, 부산, 창원, 진주, 광양, 순천, 고흥, 고성에서 발생을 확인하였고, 기주식물로 석류, 배, 모과, 매실, 산사, 비파, 홍가시, 피라칸타, 배롱나무, 꽃사과나무를 확인하였다. 이 해충의 피해 상황과 분류학적 특징을 기재한다. In 2019, the ash whitefly, Siphoninus phillyreae (Haliday, 1835), was firstly found on a pear tree in Jinju-si, Gyeongsangnam-do. From occurrence survey, we confirmed that S. phillyreae was occurred in seven cities, Busan, Changwon, Jinju, Gwangyang, Suncheon, Goheung, and Goseong. In addition, seven plants, such as Punica granatum, Pyrus pyrifolia, Cydonia oblonga, Prunus mume, Crataegus pinnatifida, Eriobotrya japonica, Photinia glabra, Pyracantha angustifolia, Lagerstroemia indica, and Malus prunifolia, were detected as hostplants. In this study, we present the first report of this species in Korea and describe the damage caused by S. phillyrease and its taxonomic information.

      • 수직변형 마찰댐퍼와 철골프레임을 이용한 내진보강공법개발

        이원훈 ( Lee Won-hun ),송성빈 ( Song Sung-bin ),이강석 ( Lee Kang-seok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023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7 No.1

        최근 한반도에 발생한 큰 지진으로 비내진 상세가 적용된 기존 건물에 대한 내진안전성의 여부가 큰 문제점으로 부각되고 있으며 향후 발생할 지진에 대한 내진안전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기존 건축물의 내진보강에는 강도보강형이나, 연성보강형 또는 에너지소산형을 들 수 있는데, 본 보강설계는 반복지진에 대한 지진에너지를 소산하여 건축물의 내진안전성을 확보하는 마찰댐퍼와 철골프레임을 이용한 내진보강공법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