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미세캡슐화를 위한 분무건조 다당류의 특성

        이승철,임채환,이상천,Lee, Seung-Cheol,Rhim, Chae-Hwan,Lee, Sang-Chun 한국식품과학회 1997 한국식품과학회지 Vol.29 No.6

        미세캡슐화를 위한 기초 연구로 다양한 다당류의 점도를 측정하고, 분무건조법을 이용하여 미세캡슐을 제조하여 특성을 비교하였다. 10% maltodexrin의 점도는 2.2 mPa.s, 10% gum arabic은 9.2 mPa.s, 10% dextran은 13.0 mPa.s, 1% gum locust bean은 4660.0 mPa.s, 1% gum karaya는 77.0 mPa.s로 측정되었다. 분무건조기를 이용하여 제조한 각종 다당류의 미세캡슐을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gum arabic은 20%의 농도에 비하며 30%에서 입자가 크게 형성되었으나 40%에서는 섬유상의 늘어진 형태가 관찰되었다. Maltodextrin 30%메서 고른 분포의 원형 입자가 관찰되었으며, 40%의 농도에서는 다양한 크기의 입자가 뭉쳐서 관찰되었다. Dextran은 20%에서 구형의 캡슐이 골고루 관찰되었으나, 30%이상의 농초에 서는 섬유상의 형태가 관찰되었다. Gum arabic : maltodextrin (1:3, w/w) 경우에서는 20%, 30%, 40%농도에서 구형의 캡슐이 고르게 관찰되었고 농도가 높을수록 입자의 크기가 증가하였다. Characteristics of viscosity and spray dried particles for several polysaccharides were studied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ies as wall materials for microencapsulation. Viscosities of 10% maltodextrin, 10% gum arabic, 10% dextran, 1% gum locust bean, and 1% gum karaya were 2.2 mPa.s, 9.2 mPa.s, 13.0 mPa.s, 4660.0 mPa.s, and 77.0 mPa.s, respectively. In scanning electron micrographs for spray dried polysaccharides, gum arabic had spherical shapes at 20% and 30% emulsion concentration, while trailed shapes at 40%. Maltodextrin had uniform spherical shapes at 30%, while aggregated form with various kinds of capsule sizes at 40%. Dextran had spherical shapes at 20%, while trailed fibrous shapes at over 30%. Mixed polysaccharides with gum arabic:maltodextrin (1:3, w/w) had uniform spherical shapes at 20%, 30%, and 40% with increasing diameter with increasing concentration.

      • KCI등재

        북중 접경지역 단둥의 대북 생산 네트워크의 예외적 성격

        이승철,김부헌,정수열,김민호,지상현,Lee, Sung-Cheol,Kim, Boo-Heon,Chung, Su-Yeul,Kim, Minho,Chi, Sang-Hyun 한국경제지리학회 2017 한국경제지리학회지 Vol.20 No.3

        2000년대 후반 이후 북중 접경지역에 입지한 한국 투자기업은 북한의 핵실험 및 미사일 도발 행위에 대한 국제 사회 및 우리나라 독자적 대북 제재 조치로 인해 위탁가공 거래 단절과 탈입지를 경험하고 있다. 그러나 2013년 북중 접경지역에 출경가공무역 제도의 도입은 중국 내수 시장 기반의 대북 위탁가공 생산의 활성화를 가져왔다. 그 결과, 그동안 대북 위탁가공 거래에서 우리나라가 차지했던 역할을 중국기업들이 대신하면서 북중 접경지역의 대북위탁가공 네트워크의 지리는 더욱 복잡하게 형성되었다. 따라서 본 논문은 북중 접경지역 랴오닝성 단둥시에 입지하고 있는 대북 위탁가공 업체들을 사례로 이들의 대북 위탁가공 생산 네트워크의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접경지역이 갖는 예외적 성격을 분석하였다. 기본적으로 대북 위탁가공 생산 네트워크의 형성은 북한의 양질의 저임금 노동력 활용하기 위해서이다. 이와 같은 네트워크 형성을 가능하게 한 요인은 크게 두 가지 측면에서 바라볼 수 있다. 첫째, 북중간 경제교류 강화와 북한을 개발의 대상으로 바라본 지경학적 요인이다. 예를 들어, 출경가공무역의 도입은 제3국 수출보다는 중국 내수 시장을 기반으로 하는 접경지역 기업에게 대북 위탁가공무역을 허용함으로써 이들 기업이 제도적으로 북한의 풍부한 양질의 저임금 노동력에 접근 가능하게 하였다. 둘째, 지경학적 수단을 통한 북한 체제 안정을 위한 지정학적 요인이다. 대북 위탁가공 생산 네트워크의 활성화는 북한의 외화벌이를 보장하기 때문에 북한이 체제의 완충국으로서 역할을 지속 가능하게 한다. 이는 체제의 완충국으로서 북한의 경제 및 체제 안정을 적극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중국의 지전략적 의도가 반영된 것이라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대북 위탁가공 네트워크는 지경학과 지정학이라는 두 가지 대비되는 담론적 실천에 의해 영향을 받고, 더 나아가 북중 접경지역의 공간경제 특성을 우연적이면서 다채로운 모습으로 그려낸다. 결론적으로 북중 접경지역은 각종 변경무역제도와 출경가공무역제도와 같이 자본과 노동의 이동성을 높여주는 예외적인 법률과 제도가 작동하는 공간이며, 대북 위탁가공을 통해서 북한의 양질의 노동력을 매우 낮은 비용으로 활용함으로써 잉여가치가 창출되는 착취의 공간적 특성이 나타난다. Since the late 2000s Korean foreign direct investors in North Korea and China border regions have gone through the closure of outward processing trade(OPT) networks and changes in their location due to UN security council resolution and Korean independent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s nuclear and missile tests. However, the introduction of new Chinese OPT policy has led to the invigoration of domestic market-based OPT networks towards North Korea. The main aim of this paper is to identify the exceptional characteristics of Dandong in Liaoning province, a North Korea and China border region by analyzing OPT networks towards North Korea. Fundamentally the establishment of OPT networks towards North Korea is likely to be based on the utilization of a plenty of low wages in North Korea. The main reasons for this are fallen into two perspectives: geo-economics and geo-politics. The first perspective is geo-economics centering on the consolidation of economic exchange between North Korea and China, and North Korean economic development. For example, the introduction of Chinese OPT in border region has enabled Chinese local firms based on domestic market to access a plenty of low wage in North Korea in formal and institutional contexts. The second is geo-politics for the stability of North Korean regime based on the means of geo-economics. As the invigoration of domestic market-based OPT networks might make North Korea possible promoting foreign money earning, it enable North Korea to be sustainable as a buffering region between capitalist and socialist regime for China. It shows Chinese geo-strategic attempts to deal with the economic and regime stability of North Korean as a buffering state. In other words, OPT networks in North Korea should be concerned with the discourse practice of geo-economics and geo-politics which might lead to various and contingent spatial economies in border region. As a consequence, North Korea and China border regions could defined as a space in which is applicable to exceptional institutions and policies, and an exploitative space in which create surplus and rents by utilizing a plenty of low wages in North Korea through OPT networks.

      • KCI등재
      • KCI등재

        글로벌 가치사슬의 이원화 구조와 전략적 조응

        이승철(Lee, Sung-Cheol),지호철(Ji, Hochul) 한국지역지리학회 2019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25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글로벌 통합 및 편입 전략의 측면에서 베트남 커피산업과 외국인 투자기업의 전략적 조응 관계를 분석하고, 비나카페의 경쟁력 강화와 지속 가능한 글로벌 커피 가치사슬로의 편입 간의 전략적 조응 관계를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특히, 전자의 전략적 조응은 세 가지 - 1) 커피 지역자산의 확대, 2) 제도적 인센티브, 3) 제도적 제재 – 측면에서, 후자의 전략적 조응 관계는 비나카페의 거버넌스 변화를 중심으로 두 가지 측면 - 1) 기업 내 의사 결정권의 분산과 2) 외부거래 허용에 따른 생산 및 유통과정의 가치사슬 변화–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결론적으로 베트남 정부의 외국인 투자기업에 대한 인센티브는 중부고원지역과 같은 낙후심화지역인 주요 커피 생산지역으로의 외국인 투자 유입과 사업 활동을 확대시키는 제도적 토대가 되었다. 한편, 제도적 제재를 통한 외국인 투자기업의 현지 농가 장악 제재는 외국인 투자기업이 제도적 제재에 의도적으로 착근하여 지역 자산을 최대한 활용하기 위한 커피 중개인 중심의 간접 농가 관리시스템을 구축하게 했다. 이와 더불어 2004년 이후 커피 국영기업 비나카페의 ‘주식회사화(co phan hoa)’는 기업 거버넌스의 변화를 가져왔다. 특히, 주식회사화로 인해 나타난 의사 결정권의 분산과 생산 및 유통 과정의 가치사슬 변화는 외국인 투자기업과 경쟁할 수 있는 역량을 제고함으로써 글로벌 커피 가치사슬에 새롭게 편입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이와 같은 전략적 조응 과정은 외국인 투자기업과 비나카페 간 차별화된 또는 이원화된 가치사슬 체계를 형성하였다. The main aim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strategic coupling relations between the Vietnamese coffee industry and foreign-owned enterprises in Vietnam, and to analyze another strategic coupling relations between the competitiveness of Vinacafe and its integration into global coffee value chains. More specifically, a strategic coupling process of the former is could be explored in three perspectives – 1) the expansion of regional assets, 2) institutional incentives, and 3) institutional restrictions. Also, the latter is could be analyzed in two perspectives – 1) the separation of making-decision in intra-firms relations and 2) changes in coffee value chains in accordance with changes in transaction relations of Vinacafe. As a result, investment incentives provided the government has been a kind of institutional foundations which has expanded inward coffee investment into extremely disadvantaged locations in Central Highland, Vietnam. Also, institutional restrictions against foreign investors which attempt to dominate coffee farmers have resulted in the establishment of indirect farmer management system centering on exclusive coffee middlemen to maximize the use of regional assets. What is more, since 2004 the equitizaton of Vinacafe has led to changes in corporate governance. In particular, the separation of making-decision power in intra-firms relations and changes in coffee value chains resulted from Vinacafe’s equitization have enhanced firm’s competitiveness which enables it to compete with foreign coffee investors. Therefore, these strategic coupling processes have resulted in the emergence of differentiated or dualistic value chains between state-owned and foreign-owned enterprises in Vietnam.

      • KCI등재

        베트남 닥각성의 커피 중개상인: 지역 경제 변화의 매개체로서 역할을 하는 커피가치 사슬의 주요 이해 관계자

        이승철 ( Sung Cheol Lee ) 한국경제지리학회 2013 한국경제지리학회지 Vol.16 No.3

        일반적으로 커피 중개상인은 이윤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농가의 커피 생산 통제, 불공정 커피 가격 지불, 일련의 부당 행위등을 통하여 소규모 영세 커피 농가의 이윤을 착취하는 이른바 ``코요테``로 인식되어 왔다. 그러나 베트남 커피 가치사슬 상에서 중개상인이 획득하는 실질적인 이윤은 과장되었으며, 심지어 부당하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커피 농가, 중개상인, 수출가공업체들 간의 관계 및 연계 분석을 통하여 베트남 커피 가치사슬에서 커피 중개상인의 역할과 의미를 재고찰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베트남 커피 중개상인이 획득하는 이윤은 타 커피 관련 주체들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미미하였으며, 지역 커피 농가의 이윤을 착취하기 보다는 오히려 지역 경제 변화의 매개첼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베트남 닥락 커피 중개상인은 농가에 구매자를 공급해줌으로써 지역 커피 농가의 글로벌 시장 접근성을 제고시켜 시장 촉진자로서의 역할을 하였다. 또한 글로벌 수출 가공업체의 수요에 조응하는 지속 가능한 커피 생산을 활성화하여 지속 가능한 커피 생산의 매개체로서 역할을 하였다. A series of coffee middlemen has come to be regarded as an exploitative force in the lives of small and poor coffee farmers, which is called ‘coyote’, controlling production, paying unfair prices for labor and goods, and participating in fraudulent practices to maximize their own profits. However, the reality of gains captured by coffee middlemen in the value chain might be exaggerated and even unfair. Therefore, the main aim of this paper is to reconsider the implication of coffee middlemen for the development of coffee value chain in Vietnam. It also attempts to identify their characteristics by investigating relations among coffee farmers, middlemen and processing/exporting firms. In terms of middlemen’s margin in the coffee sub-sector, their margin is quite small when compared to other actors higher in the value chain. Rather, coffee middlemen in Vietnam have played a critical role as an intermediary of change in local economies. More specifically, coffee middlemen in Dak Lak has played a significant role as a market facilitator by stimulating the access of farmers to markets by providing buyers for farmers thanks to changes in institutional environment. Also, they have played a critical role as an agent of sustainable coffee production by encouraging sustainable coffee production in accordance with the demand of processing and exporting firms.

      • KCI등재

        캄보디아 외국인직접투자와 노동환경

        이승철 ( Sung Cheol Lee ) 한국경제지리학회 2014 한국경제지리학회지 Vol.17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캄보디아 외국인직접투자 동향 및 제도적 변화와 노동환경 분석을 통해 한국기업의 투자 진출을 위한 전략적 토대를 구축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2000년대 초반 이후 중국, 2000년대 후반 이후 베트남의 노동비 급상승과 첨단 산업 부문 중심의 투자 인센티브 급증 등으로 섬유 및 의류 부문과 같은 노동집약적 투자 기업들의 입지가 보다 인건비가 저렴한 지역으로 재입지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그 결과, 캄보디아는 기존 투자 지역의 저렴한 인건비와 정책 및 제도적 기반의 입지우위를 상쇄할 수 있는 새로운 투자 대안 지역으로 부상하면서 아시아 경제 지리의 변화(changes in Asian economic geographies)가 나타나고 있다. 이와 더불어 캄보디아 정부는 외국인 투자 기업에 근무하는 노동자들의 근로 여건을 개선하고 고용을 증진하기 위하여 국제노동기구(InternationalLabor Organization: ILO)와 연계하여 두 개의 정책적 노사관계 프로젝트―ILO 민간 부문 모니터링(Better FactoryCambodia: BFC)와 ILO 노동분쟁 해결 프로젝트(Labor Dispute Resolution Project)―를 수행하고 있다. 이 프로젝트는 외국인 투자기업의 국제 노동 규범 준수 여부에 대한 모니터링을 통해 외국인 투자기업이 캄보디아에서 지속적인공장 운영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제도로서 역할하기 때문에 외국인 투자기업의 캄보디아 진출 전략을 구축하는데 중요한 분석 대상이 될 뿐 아니라 국제기구와 연계된 캄보디아 정부 정책과 법에 제도적으로 착근되어 있는 기업 전략을보여준다. The main aim of this paper is to contribute to building some strategic foundations for futureKorean foreign investors in Cambodia by investigating trends and institutional changes in inward foreigndirect investment and working conditions in Cambodia. Rapid increase in labor costs, and investment incentivescentering on high-tech industries in China and Vietnam has led to the relocation of labor-intensiveindustries into low wage countries since the early 2000. As a result, Cambodia has emerged as a newalternative investment region in which enable to off-set existing locational and institutional advantages,so that it has implicated in changes in Asian economic geographies. In addition, the Cambodian governmenthas operated two labor relations projects - Better Factory Cambodia and Labor Dispute Resolution Project - with ILO to improve the working conditions of foreign investment firms. These projects couldprovide an insight into constructing strategies for foreign investment, and also imply institutional embeddednessin Cambodia.

      • KCI등재

        미국 조지아 주 메트로 애틀랜타 한인사회의 성장과 공간적 분포

        이승철 ( Sung Cheol Lee ),이의한 ( Eui Han Lee ) 한국경제지리학회 2011 한국경제지리학회지 Vol.14 No.2

        본 논문은 미국 조지아 주 애틀랜타와 인근 지역(이하 메트로 애틀란타)의 한인인구와 한인업체의 지역별 분포 및 특징을 살펴봄으로써 새롭게 부상하고 있는 메트로 애틀랜타 한인사회의 전반적인 성장과정을 파악하고자 한다. 특히 메트로 애틀랜타에 입지한 한인업체의 시기별 성장과정과 주요 지역 및 업종별 입지 동향 분석을 통해 한인업체의 공간적 분포의 특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애틀랜타 한인 이민의 역사를 살펴보았으며, 메트로 애틀랜타 한인업체의 입지 동향과 주요 업종별 입지 동향을 지역별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메트로 애틀랜타 한인업체의 주요 입지는 교통의 발달, 새로운 지역의 개발, 교육 여건, 인종별 주거 비중의 변화 등으로 인해 애틀랜타 북동쪽의 외곽으로 급속히 확산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와 함께 한인업체의 주요 업종은 미국의 제도, 한인 거주민의 이주, 시장 전략 등에 따라 소매업과 음식점 및 주점업에서 부동산업과 금융업으로 전환되었고, 소매업의 입지 비중이 상대적으로 감소되었다는 사실도 밝혀졌다.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sis the growth process of new emerging Korean society in Georgia, the USA by investigating changes in the regional distribution of Korean business located in metro Atlanta region. More specifically, it aim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spatial distribution of Korean business in metro Atalanta through their locational trends since 1980s. To this end, it has explored the history of Korean migration into Georgia and the locational trends of Korean firms in metro Atlanta by industries. As a result, the main location of Korean firms has expanded into the northeastern regions of Atlanta due to the development of transportation, new regional development, education environment and changes in residential distribution by ethnic. Also, the main Korean business has transformed from retails and restaurant to real estate and finance because of changes in market strategies, institutions and Korean local migration.

      • KCI우수등재

        대덕밸리의 지식생산 네트워크 기반의 혁신체제구축

        이승철(Sung-Cheol Lee) 대한지리학회 2003 대한지리학회지 Vol.38 No.2

        본 연구는 대덕밸리에 입지한 벤처기업들의 지식생산 및 상용화 과정을 산-(학)연 네트워크 차원에서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효율적이고 경쟁력 있는 지역혁신체제 구축방안을 제시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br/> 1997년 이후‘제 2의 실리콘밸리’구축을 위한 정부의 의지에 힘입어 조성된 대덕밸리는 기존의 과학연구단지를 기반으로 외형적인 혁신시스템을 갖추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결과 벤처기업의 지식생산과 상용화에 몇 가지 근본적인 문제점이 드러났다. 이는 혁신시스템을 구성하고 있는 경제 주체들의 역할이 제 기능을 하지 못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혁신 주체들간의 연계를 활성화하고 조정할 수 있는 적절한 제도 및 기제의 부족에 기인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와 같은 문제점은 벤처기업의 성장단계별로 그리고 지식생산 단계별로 상이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덕밸리의 효율적인 지식생산 네트워크 기반의 혁신시스템 구축을 위해서 새로운 혁신시스템 구축이라는 관점보다는 기존 혁신체제를 구성하고 있는 주체 및 제도의 역할 보완 및 확충이라는 관점에서 그리고 기업의 성장단계별 및 지식생산 단계별로 몇 가지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main aim of this paper is to provide a plan for building an effective and competitive innovation system of Daeduck Valley in Korea through analysing the process of knowledge production and<br/> commercialisation of venture firms in the perspective of industry-(university) research networks. Since 1997, with the willingness of the government aimed at building ‘second Sillicon Valley’, an ostensible innovation system cantered around the existing science technology town has been able to be built in Daeduck Valley. Nonetheless, some fundamental problems with the knowledge production and commercialisation of venture firms were appeared as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led by not only the lack of network agents and institutes that are able to facilitate and coordinate the networks of economic actors comprised of the innovation system, but also the impertinent roles of economic actors. In particular, these problems were differentiated in accordance with the growth stage of venture firms and the processes of knowledge production. Therefore, several policy implications<br/> for building innovation system are suggested in the perspective of the complement of existing innovation system of Daeduck, rather than constructing a new innovation system. At the same time, they are provided in accordance with different growth stages and knowledge production processes.

      • KCI등재

        베트남 커피변경지역의 글로벌 가치사슬과 공유가치 창출

        이승철 ( Sung-cheol Lee ),정수열 ( Su-yuel Chung ),조영국 ( Young-kug Joh ) 한국경제지리학회 2016 한국경제지리학회지 Vol.19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베트남 커피변경지역이 글로벌 가치사슬에 통합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가치의 전유 및 실현관계를 고찰하고, 공유가치창출에 대한 지속가능한 커피 글로벌 가치사슬의 의미를 분석하고자 한다. 최근 베트남의 대표적 커피 변경지역인 닥락성은 일반 커피생산의 착취적 가치사슬에서 인증 커피 생산에 따른 공유가치사슬로의 전환을 경험하였다. 이와 같은 전환은 글로벌 가치사슬에서 지역의 교섭력과 경쟁우위를 강화시킴으로써 지속적인 가치창출을 수반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었다. 그러나 실질적으로 농가, 중개인, 외국 가공업체와 같은 지역 이해관계자간 이윤 분배의 위계성이 더욱 심화되는 현상이 나타났다. 이와 같은 현상의 원인은 크게 두 가지 측면에서 나타났다.첫째, 다국적기업, 중개인, 농가 간 전속관계의 형성은 이해관계자에게 안정적인 시장을 확보해 주었지만, 다국적 기업이 전속 커피 중개인을 통해 농가를 간접적으로 통제함으로써 이해관계자 간 위계가 더욱 심화되었다. 둘째, 공유가치창출의 명목으로 농가로 전가된 사회적 및 생태적 비용이 농가의 경제적 이윤 획득을 악화시킨 반면에 다국적기업으로의 비대칭적이고 위계적인 이윤 분배를 가져왔다. 그 결과, 닥락성에 보다 위계적이고 종속적인 글로벌 가치사슬이 형성되었다. The main aim of the research attempts to identify value relations appropriated and realized in the coffee frontier of Vietnam by investigating the ways in which it is integrated into coffee global value chains driven by multinational companies, and to provide some implications of the integration of the frontier into sustainable coffee global value chains for creating shared value in Dak Lak, Vietnam. Recently Dak Lak has gone through the transition of value relations from exploitative value chains based upon conventional coffee production into shared value chains relied upon the production of sustainable or certified coffee in Dak Lak. The transition has been expected to result in sustainability in the creation of value by enhancing regional competitive advantages and regional bargaining power in global value chains driven by multinational companies. However, the reality has shown the intensification of hierarchical profits allocation among stakeholders such as farmer, middlemen, and multinational companies in the region. The main reasons for this could be found in two perspectives. Firstly, the formation of exclusive relations among farmers, middlemen, and processors has led to stakeholders to secure market, but resulted in the intensification of hierarchy among them in global value chain, because multinational companies could control indirectly over the farming system through exclusive middlemen. Secondly, social and ecological costs imputed by multinational companies to coffee farmers in the name of creating shared value has deteriorated the economic profits of stakeholders such as farmers and middlemen. As a result, it has led to the configuration of systematically hierarchical and subordinated global value chain in Dak Lak.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