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농촌 어메니티 인식의 구조와 의미

        조영국 ( Young Kug Joh ),박창석 ( Chang Sug Park ),전영옥 ( Young Ok Jeon ) 한국경제지리학회 2002 한국경제지리학회지 Vol.5 No.2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structure and meaning of the perception of rural amenity which rural and urban residents have. Many Lickert scaled questions measure how much important the respondents think about the various items related to rural amenity respectively. It reveals that there is not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relative importance among three upper dimensions composing the construct of rural amenity, historic-cultural dimension, natural environmental dimension and living condition dimension. This means that our respondents are not willing to pursue historic- cultural aspects and natural environmental aspects at the risk of living condition being able to enjoy comfortable and affluent opportunities. And also, this results reveals that people might have a quite different perception compared with academic discourse putting much weight on historic-cultural dimension and natural environmental dimension.

      • KCI등재

        베트남 닥락성(Dak Lak Province)에서의 커피생산지리 변화과정과 그 배경 -변경적 특성, 전환경제적 특성의 영향을 중심으로-

        조영국 ( Young Kug Joh ) 한국경제지리학회 2013 한국경제지리학회지 Vol.16 No.3

        변경지역, 전환경제, 글로벌커피시장, 베트남 중부고원지대, frontier, transitional economies, global offee market, Central Highland of Vietnam This study explores spatial and temporal evloution of Dak Lak as one of coffee frontiers in Vietnam. So far, many authiors have studied this region underthe framework of global-local interactions and emphasized the impacts from globla coffee market. However not only unique past situation as the underdeveloped fromtier and slso the interventions of Vietamese government for transforming her socio-eeonomic system have played not less pivotal role than the globla market in forging the present geography of Dak Lak. Under this logic, this study have traced restueturing in production system of state farms and smallholders` particpation in coffee farming. This study shows that various and unique localities as a frontier and specific situation accrued from transitional process has reflected in the present geography of coffee production in Dak Lak. Finally, this paper can be arguable to contribute some useful insights for understanding the evolution of coffee frontier in Vietnam.

      • KCI등재

        월경적 상호작용과 북중 접경도시의 발전: 중국 랴오닝성 단둥시를 중심으로

        조영국 ( Young-kug Joh ) 한국경제지리학회 2017 한국경제지리학회지 Vol.20 No.3

        본 연구는 다양한 문헌자료, 현지인터뷰 그리고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북중 교역의 중심지인 단둥을 대상으로 월경적 상호작용에서 나타난 특징을 분석하고 북중 접경도시 단둥의 성격을 평가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접경도시 단둥에서 이루어지는 월경적 상호작용의 구체적 실태를 분석하여 주체들의 지대추구적 행위, 비공식적 또는 비시장적 기제에 의한 월경적 상호작용이 지배하고 있음을 밝혔다. 이는 통제의 수준이 높은 국경의 성격 때문에 비롯된것인데, 본 연구에서는 중국 정부 및 지방정부의 정책들이 이와 같은 국경의 성격을 형성하는데 기여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흥변부민행동규획(興邊富民行動規劃)은 그 대표적인 예인데, 정책의 명칭에도 불구하고 그 기본전략은 변경지역의 안정을 통한 영토 보전에 두고 있다. 이처럼 북한의 폐쇄성, UN제재 요인 이외에도 영토 보전을 우선시하는 중국 정부의 기본 입장으로 인해 북중접경지역은 교역 이외에 높은 수준의 분업체계 발전을 특징으로 하는 하나의 기능지역으로서 접경지역 발전을 기대하기는 용이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필자는 최근의 북중교역의 발전을 계기로 북중교역의 중심지인 단둥에 대해 접경도시적 발전이 전개되고 있다는 일부의 견해는 지나친 확대해석이라고 주장하고자 한다. 필자는 현재까지 단둥은 북한과 중국이 만나는 위치적 장점만이 활용되는 변경도시(bordercity)에 불과하고 다양한 그리고 높은 수준의 월경적 상호작용이 이루어지는 접경도시(cross border city)로 간주하기는 어렵다는 점을 강조하고자 한다. This paper attempts to elaborate on features of cross-border interaction conducted on Dandong, the main city of China-North Korea trade. Through the deep interview with some trader or firms and also questionnaire survey, this paper can reveal the supremacy of informal or non-market mechanism in the cross-border trade and inter-firm linkages, and also trader and firm`s rent-seeking behaviour. These features show the uniqueness of border regime between China and North Korea. Even though it is getting more porous than before, I argue that China keeps the stance toward quite controlled borderland. As the proof of this argument, I show that main tenet of China`s bordland policies is the borderland stability rather than the development. The striking one is the `Prosperous Borders, Wealthy Minorities Program(興 邊富民行動規劃)`. In spite of the program`s title, its utmost purpose is to secure the `borderland stability and territorial integrity` rather than to enhance the border`s openness and borderland`s development.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베트남 중부고원지대 커피재배지역의 확대와 토지소유관행의 제도화: 닥락성(省)을 사례로

        김두철 ( Doo-chul Kim ),쯔응쾅호앙 ( Truong Quang Hoang ),조영국 ( Young Kug Joh ) 한국경제지리학회 2016 한국경제지리학회지 Vol.19 No.2

        이 논문은 베트남 중부고원지역의 닥락省을 사례로 커피재배지역의 확대와 토지소유관행의 제도화 과정을 고찰하였다. 베트남은 세계 2위의 커피 수출국이며, 닥락 지역은 베트남 최대 커피 생산지이다. 이처럼 닥락이 커피생산의 중심지역으로 성장하면서 커피재배지를 확보하려는 경쟁도 심화되었다. 특히 국가권력이 새로운 토지소유권 제도를 도입하고 이를 실천하는 과정에서 토지를 둘러싼 경쟁은 격렬하게 전개되었다. 새로운 토지소유권 제도의 도입은 닥락지역 소수민족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국가권력이 이 제도를 도입하기 이전, 소수민족에게 있어서 토지는 마을 공동체에 귀속되는 공유자원이었으며 결코 배타적 권리의 대상이 아니었다. 그러나 새로운 토지제도가 도입되면 서 토지는 배타적 권리를 보장받는 사적 자산으로 그 성격이 변화되었다. 따라서 소수민족이 가졌던 토지에 대한 관습적 권리는 새로운 토지제도의 틀 속에 재편될 수 밖에 없었다. 그러나 이러한 관습적 토지소유의 제도화는 닥락 지역전체에서 동일하게 전개된 것이 아니라, 통치체계의 중심지로부터의 거리와 토지자원의 가치에 따라 상이하게 나타났다. 이 논문에서는 입지 그리고 자연 조건이 상이한 세 지역을 선정하여 변경에서의 통치체계의 확립과 관습적 토지소유의 제도화 과정이 소수민족의 일상적 저항(everyday resistance)에 따라 불완전한 양태로 전개되었음을 조명하였다. This paper aims to clarify the process of institutionalization of customary land ownership along with the expansion of coffee plantation in Dak Lak Province, Vietnam. Vietnam is the second-largest coffee exporter in the world. Most of the coffee areas are concentrated in Dak Lak-a province of commercial agricultural production. The expansion of coffee plantation in Dak Lak have brought a severe competition of land resouces, and resulted in the transition of land ownership scheme from custamary commons by ethnic minorities to those of exculsive private assets which is secured by the state. Institutionalization of customary land ownership in Dak Lak, however, was differently happened according to the geography from the center of state power as well as the value of land resources. In this paper, the authors argue that institutionalization of customary land ownership in Dak Lak was a result of compromising between statemaking process in the frontiers and “everday resistance” of ethnic minorities, comparing 3 geographically different ethnic minorities’ communities.

      • KCI등재

        베트남 중부고원지대 커피농가의 사회경제적 격차: 민족성의 영향을 중심으로

        정수열 ( Su-yeul Chung ),이승철 ( Sung-cheol Lee ),조영국 ( Young Kug Joh ) 한국경제지리학회 2016 한국경제지리학회지 Vol.19 No.2

        베트남 중부고원 지대는 1986년 개혁개방 이후 커피생산의 비약적 증대, 글로벌 커피시장과의 적극적 연계 등 을 통해 베트남뿐만 아니라 세계 유수의 커피생산 지역으로 변모하였다. 중부고원지대 커피산업의 비약적 발전은 베트남 저지 주민의 대규모 유입과 맞물려 진행되었다. 그 결과 중부고원지대는 소수민족 중심 사회에서 저지 출신 주류민족, 킨(Kinh )족 중심 사회로 변모하였다. 한편 커피산업의 발전은 중부고원지대 가족농의 사회경제적 격차 나아가 계층 분화를 촉발하는 계기가 되었다. 커피 재배 여부 및 커피재배에서의 생산성 격차가 그대로 사회경제적 격차로 발현되었다. 이 과정에서 민족간 사회경제적 격차 문제, 소수민족의 주변화 문제가 부각되었다. 민족간 사회경제적 격차는 단순히 커피재배 참여 여부만이 아니라 커피경영에 있어서 수익성 격차에 의해서도 나타나고 있다. 기존 연구들은 소수민족농가의 커피 경영에 있어서 상대적 저효율이 소수민족의 인적 자본 및 사회적 자본의 취약성과, 문화적 특성에 따른 상업적 농업 부적응 측면을 지적하였다. 하지만 기존 연구들은 여전히 생산성의 격차가 발생하는 구체적인 메카니즘을 충분히 밝히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소수민족 원주민 커피농가와 다수민족 이주민 커피농가의 커피 생산·판매 과정을 비교 분석하여 커피소득 격차가 나타나게 되는 원인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사례 연구로 닥락 성의 다수민족 이주민인 킨족과 소수민족 원주민인 에데(Ede )족 커피농가를 설문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민족성은 커피농가간 토지생산성 격차를 설명하는 핵심 변인으로 확인되었다. 아울러 소수민족 커피농가의 낮은 생산성은 취약한 자본에 따른 조방적 경영, 부채 문제, 나아가 낮은 소득과 부채부담으로 인한 비효율적 판매전략-대표적으로 판매시기 조절-에서 비롯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Since after the 1986 economic reform policy(Doi Moi), the central highland in Vietnam has transformed into one of the largest coffee producing areas. The transformation had been supported by mass migration of ethnic Kinhs from the coastal lowland. It did not take long for the Kinh migrants to be the ethnic majority in the region. Meanwhile the growth of coffee industry entailed in socio-economic disparity, specially between Kinh migrants and native ethnic minorities. The disparity has becomed obvious not only between coffee farming Kinhs and non-coffee farming ethnic minorities but also between coffee farming Kinhs and ehtnic minorities. The previous literatures highlight the lack of human and social capital and the lagging modernization in ethnic minority societies. However, they fall short in showing the explicit processes why ethnic minority coffee farmers earn less than ethnic majority counterparts. With a case study of Dak Lak province, this research attempts to show the reason why there is income gap between Kinh and ethnic minority Ede coffee farmers by comparing their ways of producing coffee and selling their products. The results show that Ede’s land productivity is significantly lower than Kinh’s. It is because Ede farmers use less fertilizer due to the shortage of the capital. Also they often get into debt for coffee production and should pay it back right after the harvest. It deprives them of chance to raise earning by selling the coffee beans at a higher price.

      • KCI등재

        베트남 커피변경지역의 글로벌 가치사슬과 공유가치 창출

        이승철 ( Sung-cheol Lee ),정수열 ( Su-yuel Chung ),조영국 ( Young-kug Joh ) 한국경제지리학회 2016 한국경제지리학회지 Vol.19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베트남 커피변경지역이 글로벌 가치사슬에 통합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가치의 전유 및 실현관계를 고찰하고, 공유가치창출에 대한 지속가능한 커피 글로벌 가치사슬의 의미를 분석하고자 한다. 최근 베트남의 대표적 커피 변경지역인 닥락성은 일반 커피생산의 착취적 가치사슬에서 인증 커피 생산에 따른 공유가치사슬로의 전환을 경험하였다. 이와 같은 전환은 글로벌 가치사슬에서 지역의 교섭력과 경쟁우위를 강화시킴으로써 지속적인 가치창출을 수반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었다. 그러나 실질적으로 농가, 중개인, 외국 가공업체와 같은 지역 이해관계자간 이윤 분배의 위계성이 더욱 심화되는 현상이 나타났다. 이와 같은 현상의 원인은 크게 두 가지 측면에서 나타났다.첫째, 다국적기업, 중개인, 농가 간 전속관계의 형성은 이해관계자에게 안정적인 시장을 확보해 주었지만, 다국적 기업이 전속 커피 중개인을 통해 농가를 간접적으로 통제함으로써 이해관계자 간 위계가 더욱 심화되었다. 둘째, 공유가치창출의 명목으로 농가로 전가된 사회적 및 생태적 비용이 농가의 경제적 이윤 획득을 악화시킨 반면에 다국적기업으로의 비대칭적이고 위계적인 이윤 분배를 가져왔다. 그 결과, 닥락성에 보다 위계적이고 종속적인 글로벌 가치사슬이 형성되었다. The main aim of the research attempts to identify value relations appropriated and realized in the coffee frontier of Vietnam by investigating the ways in which it is integrated into coffee global value chains driven by multinational companies, and to provide some implications of the integration of the frontier into sustainable coffee global value chains for creating shared value in Dak Lak, Vietnam. Recently Dak Lak has gone through the transition of value relations from exploitative value chains based upon conventional coffee production into shared value chains relied upon the production of sustainable or certified coffee in Dak Lak. The transition has been expected to result in sustainability in the creation of value by enhancing regional competitive advantages and regional bargaining power in global value chains driven by multinational companies. However, the reality has shown the intensification of hierarchical profits allocation among stakeholders such as farmer, middlemen, and multinational companies in the region. The main reasons for this could be found in two perspectives. Firstly, the formation of exclusive relations among farmers, middlemen, and processors has led to stakeholders to secure market, but resulted in the intensification of hierarchy among them in global value chain, because multinational companies could control indirectly over the farming system through exclusive middlemen. Secondly, social and ecological costs imputed by multinational companies to coffee farmers in the name of creating shared value has deteriorated the economic profits of stakeholders such as farmers and middlemen. As a result, it has led to the configuration of systematically hierarchical and subordinated global value chain in Dak Lak.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