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가정외보호 학대피해아동의 가족재결합에 관한 실증연구

        윤수경(Yoon, Sookyung) 한국아동복지학회 2020 한국아동복지학 Vol.69 No.4

        본 연구는 학대로 인해 가정외보호에 배치된 아동의 가족재결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밝히고 시간에 따른 가족재결합 확률의 변화추이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가아동학대정보시스템에 기록된 행정데이터를 활용하여 2015년에서 2017년까지 학대판정을 받은 아동 중 부모의 학대로 가정외보호에 배치된 아동 7,895명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사건사 분석방법인 Cox 비례해저드 모형과 모수적 모형을 적용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기초생활수급, 한부모 가족구조, 빈번한 가정외보호 제공주체의 변경, 상담원 1인당 사례수의 증가는 가족재결합의 가능성을 낮추는 위험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반면 사례관리 기간의 증가, 사례종결 후 행위자 부모에 대한 사례관리는 가족재결합의 가능성을 높이는 보호요인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시간에 따른 가족재결합 확률의 변화추이 살펴본 결과 가족재결합의 가능성은 가정외보호 이후 약 8개월까지 매우 높고 이러한 가능성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정외보호 이후 약 20개월이 되는 시점에서는 가족재결합이 더 이상 발생하지 않으며 최종적으로 가정외보호아동의 약 34%가 가족과 재결합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에 기반해 학대로 인해 가정외보호에 배치된 아동의 가족재결합을 지원하기 위한 실천적,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clarify the factors influencing the family reunification of children in out-of-home placement due to maltreatment, and to examine the probability of family reunification change over time. This study used the national administrative data from the National Child Maltreatment Information System collected by the National Child Protection Agency. The sample included 7,895 children who were protected outside the home due to parental maltreatment from 2015 to 2017. An event history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Cox proportional hazard model and parametric models. The result showed that the eligibility for national basic livelihood, single-parent families, an increased number of changing out-of-home placements, and an increased number of cases per worker were risk factors that may lower the possibility of family reunification. On the other hand, a long period of case management and the case management for parents after its termination were found to be protective factors that may increase the possibility of reunification. When the possibility of family reunification over time was examin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possibility of family reunification was high until about eight months after children were protected in out-of-home placement, and this possibility decreased over time. Family reunification does not occur after twenty months, and 34 percent of children in out-of-home placement reunified with their families. Based on the results, we suggested the prac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for supporting family reunification of children in out-of-home placement due to maltreatment.

      • KCI등재

        가족재결합 이후 아동학대 재발생에 관한 실증연구

        윤수경 ( Yoon Sookyung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21 사회복지연구 Vol.5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가족재결합 이후 아동학대 재발생 현상을 탐색적으로 살펴보고자 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국가아동학대정보시스템에 입력된 정보를 활용하여, 2015년 초부터 2017년 말까지 가정외보호 후 가족과 재결합 한 아동 2,879명을 2019년 7월까지 추적하였다. 분석 방법으로는 사건사 분석 방법 중 생명표 분석과 Cox 비례해저드 모형을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3.79%의 아동이 가족재결합 이후 재학대를 당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재학대 발생가능성은 가족재결합 이후 1개월 이내가 가장 높았고 전체 재학대 사례의 95.41%가 6개월 이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재결합 이후 재학대 위험요인을 살펴본 결과 아동의 외현화 문제행동, 행위자 부모의 알코올 남용 및 양육기술 부족, 가족의 경제적 어려움 및 단기의 가정외보호 기간은 가족재결합 이후 재학대 발생의 가능성을 높이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기반으로 성공적인 가족재결합을 위한 실천적·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recurrence of child maltreatment after family reunification. Using administrative data entered in the National Child Maltreatment Information System, 2,879 children reunited with their families after being protected in out-of-home placement due to maltreatment from 2015 to 2017 were followed up until July 15, 2019. An event history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life table analysis and Cox proportional hazard model. The result showed that the recurrence of maltreatment occurred in 3.79% of all cases. The possibility of recurrence of maltreatment was highest within 1 month after family reunification, and 95.41% of all recurrence of maltreatment occurred within the 6 months. Children’s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 parental alcohol problem, lack of parenting skills, family economic difficulty, and shorter lengths of stay in out-of-home placement were risk factors that increase the possibility of recurrence of maltreatment after family reunification. Based on the above results, prac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for successful family reunification were discussed.

      • KCI등재

        디지털교과서의 상호작용성이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윤수경(Su-Kyung Yoon),김명지(Myeong-Ji Kim),최준호(Jun-Ho Choi) 한국콘텐츠학회 2014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4 No.2

        본 논문은 디지털교과서의 전국적 시행을 앞두고 디지털교과서의 상호작용성이 학생의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그동안 진행되어 온 디지털교과서 연구는 주로 디지털교과서 집단과 서책형 집단의 학습효과 비교가 주를 이루었다. 그러나 본 연구는 매체 풍요도로서의 상호작용성을 도입해 인지된 상호작용성의 관점에서 학습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디지털교과서의 상호작용성 요인을 도출하여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사회와 과학 디지털교과서 시범학교의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해 실증적 검증을 하였다. 연구 결과, 상호작용성 요인인 능동적 제어권, 쌍방향 커뮤니케이션, 동시성이 학습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디지털교과서 개발 시 상호작용성을 효과적으로 구현하는 방향으로 가야 함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디지털교과서의 고정된 상호작용성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사용자인 학생이 이를 어떻게 느끼고 활용하는지가 중요하므로 본 연구에서 확인된 능동적 제어권, 쌍방향 커뮤니케이션, 동시성을 비롯해 디지털교과서에 적합한 상호작용성이 구현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interactivity on the learning attitude in the tablet PC-based digital textbook environment. Most of digital textbook studies focused on comparison of learning effect between digital textbook and paper textbook. This study, instead, focused on the interaction between students and digital textbook, and examined the hypothesis that, in the digital textbook-based learning environment, interactivity factors affect learning attitude. The results showed that active control, two-way communication, and synchronicity have significant effects on the learning attitude. Those findings indicate that its necessary to effectively realize interactivity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digital textbooks. Also, important implication is not the fixed interactivity but how students perceive the digital textbook and make use of it. Therefore, for the interactive digital textbook, perceived user control, two-way communication, and synchronicity should be realized properly.

      • KCI등재

        대학생의 취업성과 영향 요인 분석

        윤수경(Yoon Soo Kyung),한유경(Han You Kyung)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014 敎育財政 經濟硏究 Vol.23 No.4

        대학교육이 보편화된 시대에 우리나라 대다수의 학생들은 대학교육을 받고 있으나, 실제로 다양한 개인 배경을 가지고 대학에 진학한 학생들이 대학에서의 경험들을 통해 어떠한 성과를 거두고 있는지에 대해서 아직 많은 부분 밝혀지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교육고용패널(KEEP: Korean Education and Employ ment Panel) 중 고등학교 3학년 집단 자료(1-7차)를 이용하여 대학생의 취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취업성과는 최종 교육기관 졸업 후 2년 이내의 취업성과이며, 고용형태, 전공일치 취업여부, 임금으로 구분하였다. 연구결과, 먼저 개인배경 중에는 남학생에 비해 여학생의 정규직 취업가능성이 낮으며, 내적 동기로 전공을 선택한 학생에 비해 외적 동기로 전공을 선택한 학생들의 전공일치 취업가능성과 임금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환경 중에는, 전공계열이 취업성과에 상당한 영향을 주고 있었다. 인문계열 전공 학생에 비해 사회계열, 교육계열, 의약계열 등이 더 나은 취업성과를 보이고 있었다. 학생의 학업참여 및 학업외참여 요인들 중 학업태도는 정규직 취업가능성과 임금을 낮추고, 영어 사교육을 받은 시간은 정규직 취업가능성 및 임금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대학과 정부 차원에서 바람직한 대학교육성과를 가져올 수 있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Higher education is widespread in South Korea. However,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students' achievement in post-college career and higher education are not yet clearly understood, and analyzing the relationships is a challenging task because individual students have different social and personal background. We conducted an empirical analysis that identifies the factors influencing the performance of higher education, using the 1st ~ 7th data on the cohort of 3rd-grade high-school students in Korean Education and Employment Panel (KEEP), and present the findings in this paper. In this study, career outcomes within two years after graduation are considered, and the outcome includes employment type, relevance to major, and salary. Main results from the analysis for the question (What factors affect students' career outcome?) are as follows. The employment rate was lower for female students, and the major-relevant employment rate was higher for the students when they selected majors from internal motives. In the analysis results of the college environment factors on the employment outcome, we see that the employment outcome is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field of study. Students majoring in social studies, education, medical science or pharmacy were more employed and earned higher salaries, compared to students in humanities. The factors on students' involvement in curricular and extra-curricular activities also influence the employment outcome. It turned out that the hours spent for private English education positively affected both the salary and the opportunity to be hired as a regular employee. In contrast, learning attitude negatively affected both the salary and the opportunity to be hired as a regular employee. Based on the findings above, we present several suggestions to enhance the educational performance for universities and the government.

      • KCI우수등재

        항만에서 위험물 운송 중 유해화학물질 누출 위험성에 관한 연구

        윤수경(Sukyoung Yoon),자연(Jayeon Yun),한지(Jiyun Han),정승호(Seungho Jung) 한국해양공학회 2018 韓國海洋工學會誌 Vol.32 No.4

        Recently, the use of hazardous chemicals has been continuously increasing. Therefore, the international trade volume is growing and chemical accidents have increased. Nowadays, the safety awareness of the public has increased. As a result, the management and supervision of hazardous chemicals have been strengthened. However, the port policy of Korea has focused on increasing the volume of cargo through facility development. Thus, the port management of hazardous chemicals has been relatively neglected. For national economic growth and society, the port management of hazardous chemicals should be considered to efficiently ensure safety and economic growth. Therefore, this study assumed scenarios where hazardous materials were moved in a dangerous container, not only on appropriate wharfs but also in ports that were close to a big city. The BTX substances were selected among the toxic chemicals with large import and export volumes, and the risk distance and damage effects were predicted using various risk assessment programs. It is expected that this could be used to improve a port safety management system and could be utilized to determine the safety distance in case of an accid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