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가족재결합 이후 아동학대 재발생에 관한 실증연구

        윤수경 ( Yoon Sookyung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21 사회복지연구 Vol.5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가족재결합 이후 아동학대 재발생 현상을 탐색적으로 살펴보고자 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국가아동학대정보시스템에 입력된 정보를 활용하여, 2015년 초부터 2017년 말까지 가정외보호 후 가족과 재결합 한 아동 2,879명을 2019년 7월까지 추적하였다. 분석 방법으로는 사건사 분석 방법 중 생명표 분석과 Cox 비례해저드 모형을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3.79%의 아동이 가족재결합 이후 재학대를 당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재학대 발생가능성은 가족재결합 이후 1개월 이내가 가장 높았고 전체 재학대 사례의 95.41%가 6개월 이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재결합 이후 재학대 위험요인을 살펴본 결과 아동의 외현화 문제행동, 행위자 부모의 알코올 남용 및 양육기술 부족, 가족의 경제적 어려움 및 단기의 가정외보호 기간은 가족재결합 이후 재학대 발생의 가능성을 높이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기반으로 성공적인 가족재결합을 위한 실천적·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recurrence of child maltreatment after family reunification. Using administrative data entered in the National Child Maltreatment Information System, 2,879 children reunited with their families after being protected in out-of-home placement due to maltreatment from 2015 to 2017 were followed up until July 15, 2019. An event history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life table analysis and Cox proportional hazard model. The result showed that the recurrence of maltreatment occurred in 3.79% of all cases. The possibility of recurrence of maltreatment was highest within 1 month after family reunification, and 95.41% of all recurrence of maltreatment occurred within the 6 months. Children’s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 parental alcohol problem, lack of parenting skills, family economic difficulty, and shorter lengths of stay in out-of-home placement were risk factors that increase the possibility of recurrence of maltreatment after family reunification. Based on the above results, prac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for successful family reunification were discussed.

      • KCI등재

        가정외보호 학대피해아동의 가족재결합에 관한 실증연구

        윤수경(Yoon, Sookyung) 한국아동복지학회 2020 한국아동복지학 Vol.69 No.4

        본 연구는 학대로 인해 가정외보호에 배치된 아동의 가족재결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밝히고 시간에 따른 가족재결합 확률의 변화추이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가아동학대정보시스템에 기록된 행정데이터를 활용하여 2015년에서 2017년까지 학대판정을 받은 아동 중 부모의 학대로 가정외보호에 배치된 아동 7,895명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사건사 분석방법인 Cox 비례해저드 모형과 모수적 모형을 적용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기초생활수급, 한부모 가족구조, 빈번한 가정외보호 제공주체의 변경, 상담원 1인당 사례수의 증가는 가족재결합의 가능성을 낮추는 위험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반면 사례관리 기간의 증가, 사례종결 후 행위자 부모에 대한 사례관리는 가족재결합의 가능성을 높이는 보호요인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시간에 따른 가족재결합 확률의 변화추이 살펴본 결과 가족재결합의 가능성은 가정외보호 이후 약 8개월까지 매우 높고 이러한 가능성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정외보호 이후 약 20개월이 되는 시점에서는 가족재결합이 더 이상 발생하지 않으며 최종적으로 가정외보호아동의 약 34%가 가족과 재결합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에 기반해 학대로 인해 가정외보호에 배치된 아동의 가족재결합을 지원하기 위한 실천적,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clarify the factors influencing the family reunification of children in out-of-home placement due to maltreatment, and to examine the probability of family reunification change over time. This study used the national administrative data from the National Child Maltreatment Information System collected by the National Child Protection Agency. The sample included 7,895 children who were protected outside the home due to parental maltreatment from 2015 to 2017. An event history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Cox proportional hazard model and parametric models. The result showed that the eligibility for national basic livelihood, single-parent families, an increased number of changing out-of-home placements, and an increased number of cases per worker were risk factors that may lower the possibility of family reunification. On the other hand, a long period of case management and the case management for parents after its termination were found to be protective factors that may increase the possibility of reunification. When the possibility of family reunification over time was examin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possibility of family reunification was high until about eight months after children were protected in out-of-home placement, and this possibility decreased over time. Family reunification does not occur after twenty months, and 34 percent of children in out-of-home placement reunified with their families. Based on the results, we suggested the prac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for supporting family reunification of children in out-of-home placement due to maltreatment.

      • KCI우수등재

        학대피해아동 재분리보호의 영향요인과 변화추이

        윤수경(Yoon, Sookyung) 한국사회복지학회 2022 한국사회복지학 Vol.74 No.2

        본 연구는 아동학대로 인해 가정외보호된 이후 가족과 재결합한 아동의 재분리보호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검증하고 시간 경과에 따른 재분리보호의 변화추이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분석자료로 국가아동학대정보시스템을 통해 수집된 행정데이터를 활용하였다. 분석대상은 2015년 1월에서 2017년 12월까지 부모의 학대로 가정외보호된 이후 가족과 재결합한 아동 2,879명이며 자료추출 시점인 2019년 7월에 관찰종료 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다변량 사건사 분석방법 중 Cox 비례해저드 모형과 모수적 모형을 적용하였다. 분석결과 아동의 외현화 문제행동의 증가, 기초생활 수급, 한부모 가족구조, 성학대, 단기의 가정외보호 기간은 재분리보호의 가능성을 높이는 위험요인으로 나타났다. 재분리보호의 가능성은 가족재결합 이후 약 10개월까지 매우 높고 이후 감소해 약23개월 시점에서는 재분리보호가 더이상 발생하지 않았으며 최종적으로 가족과 재결합한 아동의 약 6.4%가 재분리보호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성공적인 가족재결합의 골든타임을 추론한 결과 가정외보호 이후 6개월에서 8개월 사이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성공적인 가족재결합 위한 실천적 · 정책적 지원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factors influencing the reentry of children who were reunified with their families after being out-of-home placement due to parental maltreatment and to examine the probability of reentry change over time. This study used National administrative data from the National Child Maltreatment Information System collected by the National Child Protection Agency. The sample included 2,879 children who were reunified with their families after being out-of-home placement due to parental maltreatment from 2015 to 2017. Observation of the sample was completed in July 2019, the time of data extraction. A multivariate event history analysis was carried out using Cox proportional hazard model and parametric models. The result showed that children’s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 the eligibility for national basic livelihood, single-parent families, sexual maltreatment, and shorter lengths of stay in out-of-home placement were risk factors that may increase the possibility of reentry. When the possibility of reentry over time was examin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possibility of reentry was high until about 10 months after family reunification, and this possibility decreased over time. Reentry does not occur after about 23 months, and about 6.4% of children who reunified with their family reentered.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as a result of inferring the golden time of successful family reunification, it was confirmed between 6 and 8 months after out-of-home protection. Finally, prac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for supporting successful family reunification were presented.

      • KCI우수등재

        주거빈곤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종단연구

        박정민(Park, Jungmin),허용창(Heo, Yongchang),오욱찬(Oh, Ukchan),윤수경(Yoon, Sookyung) 한국사회복지학회 2015 한국사회복지학 Vol.67 No.2

        본 연구는 개인적 특성, 물리적·사회적 환경, 제도적 특성을 포괄하는 건강결정요인에 관한 분석틀을 토대로, 최저주거기준미달과 주거비 과부담을 기준으로 한 주거빈곤이 개인의 주관적 건강, 신체 및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종단분석하였다. 분석대상은 전국적인 대표성을 지닌 한국복지패널에서 추출된, 2009-2013년에 실시된 조사에 모두 참여한 만 18세 이상 성인으로, 총 8,583명이다. 분석방 법으로는 종단연구에서 자주 사용되는 고정효과모형의 장점에 일반화추정방정식 혹은 확률효과모형의 장점을 결합한 회귀분석-하이브리드방법을 적용하였다. 연구결과는 주거의 물리적 환경이 최저주거기준에 미달하는 것과 주거의 경제사회적 측면인 주거비 과부담이 발생하는 것 모두 정신건강(e.g., 우울)에 부정적임을 보여 주었다. 최저주거기준에 미달하는 가구는 전체인구의 4분의 1, 빈곤층에서는 3 분의 1에 달하며, 주거비 비중이 30%를 초과하는 가구의 비율은 빈곤층에서 약 23%에 이르러 전체 인구에서의 비율보다 4배 이상 높았다. 이 연구의 결과는 첫째, 최저주거기준을 온전히 적용할 경우 거주에 적합하지 않은 환경에 사는 가구의 비율이 기존의 보고보다 매우 높고, 둘째, 빈곤층의 경우 적절한 주거환경에서 거주하는 것과 적정한 비용으로 거주공간을 확보하는 것 모두 큰 도전이라는 것, 셋째, 주거급여의 제공과 주택개량사업과 같은 저소득층을 위한 주거지원 정책이 주거비부담 완화 및 주거환경 개선이라는 주효과와 더불어 수혜자의 우울감 완화와 같은 정신건강 증진의 부수적 효과도 수반할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최저주거기준 및 주거비 과부담의 실태에 대한 새로운 정보를 제공하고, 나아가 주거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의 방향성과 정도를 보다 명확히 밝히 는데 기여하였다. This longitudinal study examined the influence of substandard housing conditions and housing affordability on physical and mental health. Using data from the Korea Welfare Panel Study, this study followed 8,583 adults who continued to participate in the survey from 2009 to 2013. Multivariate analyses involved linear and logistic regression models with the hybrid method that incorporates both fixed and random effects. Results show that substandard housing conditions and excess housing cost burden had significant adverse effects on adults’ mental health (e.g., depressive symptoms). About one fourth of the entire sample and one third of those in poverty reported having lived in substandard housing conditions. Additionally, nearly one fourth of those in poverty reported having experienced excess housing cost burden, which is 4 times greater than that of the entire sample. Our findings show that a substantial proportion of individuals, particularly among the poor, have a difficulty in accessing to decent, affordable housing, and that housing assistance may have additional benefits of improving the mental health of individuals with housing issu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