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회곡(晦谷) 권춘란(權春蘭)의 「태극통체인사도(太極統體人事圖)」연구 -『진학도(進學圖)』의 위기지학(爲己之學) 방법론 설계와 관련하여

        劉權鍾 ( Yoo Kwon-jong ) 한국유교학회 2010 유교사상문화연구 Vol.42 No.-

        본 연구는 『진학도』 전체 26건의 도설 중 제1도인 「태극통체인사도」의 도상과 그에 대한 해설을 중심으로 고찰한 것이다. 그 내용은 조선의 유학자들이 제작하였던 도상들 가운데 「태극도」와 주제 혹은 도상의 형태가 같거나 주제와 형태를 변화시킨 도상들을 회곡의 「태극통체인사도」와 비교하였고, 「태극통체인사도」의 도상과 해설의 구조와 내용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그것을 바탕으로 「태극통체인사도」와 해설의 특징과 의의를 논하였다. 특히 중점적으로 고찰한 것은 『진학도』의 위기지학의 방향과 방법에 관한 설계에서 「태극통체인사도」가 제1도로서의 중요성의 위상과 그 역할에 관한 것이다. 고찰의 결론으로 얻은 것은 첫째 「태극통체인사도」의 주제는 조선시대 전체를 통털어서 「태극도」의 위기지학 지향적 변형과 응용이라는 점에서 매우 독특하며, 둘째 「태극통체인사도」는 그의 위기지학의 강령을 심학적 관점에 입각하여 체계화하는 것임을 보여주며, 셋째 도상의 면에서 볼 때 「태극통체인사도」는 태극을 근원적 은유로 삼는 발상법과 그로부터 연역되는 지식의 체계에 대한 신념 및 그에 입각하여 실천해야 하는 인사의 과정과 내용을 위계를 갖춰 하나의 도상 속에 표상한 점이 특징이다. 이는 회곡 당시의 여러 학자들이 사용하거나 개발하였던 도상적 표현 형태와 비교할 때 매우 치밀하면서도 상세한 표상 방법으로서 독창성을 보여주는 것이다. This is a study on the diagram and its explanation of Tae-geuk-tong-che-in-sa-do(太極統體人事圖, Taiji as the Ultimate includes all the human things) which is the first in all 26 diagrams of Hoegok(晦谷) Kwon Chun lan(權春蘭)'s Jin-hak-do(進學圖, a book of diagrams and explanations for promoting one's learning). The method of this syudy relies on at least three ways. The first is the comparative research of his diagram to others that include the concept of Taegeuk(Taiji) in their titles and show various variant in composition of shape or theme. The second is the analysis on his diagram and its explanation and the discussion about the specialities and significance of it. Especially discussed is about the role and significant phase of the diagram Tae-geuk-tong-che-in-sa-do as the first of all diagrams of the Jin-hak-do, if the book Jin-hak-do holds on the whole a design for the methodology pointing to learning to become a sage. The remarks of the conclusion are as follow: firstly the theme of the diagram Tae-geuk-tong-che-in-sa-do is very special and unique through the whole history of the Confucianism in the Chosun Dynasty in the transformation and application of original diagram of taiji(太極圖, Taijitu) made by Zhou Dun Yi(周敦頤) for the sake of promotion of the learning to become a Sage, secondly the diagram shows that the general principles of his design for the learning to become a Sage are constructed based on the viewpoint of the mind learning stressed by Yi Hwang(李滉), and finally viewing from the aspects of the diagram's shape makes it an elaborated representation that integrates into one systematic process his way of thinking to signify the taegeuk as the root metaphor, his faith in the knowledge deduced from the metaphor, and the process and contents of the main haman affairs. Any other scholar's diagram at his time cannot show the elaborateness and creativity as his.

      • KCI등재

        노하우로서의 倫理 : 프란시스코 바렐라의 인지과학과 동양철학 연구

        유권종(Yoo, Kwon-Jong) 한국동양철학회 2010 동양철학 Vol.0 No.34

        급진적 구성주의의 학문 연구를 주도했던 인물들 가운데 한 사람인 프란시스코 바렐라(1946~2001)의 강연집 『윤리적 노하우』는 동양의 전통적 가르침이 정립했던 것을 윤리적 노하우라는 관점으로 조명한 내용을 담고 있다. 그의 저서는 동양철학 전공자에게 연구의 중요한 진전을 가져올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주고 있음에 틀림없는 것이다. 본 연구는 바렐라의 견해를 분석하고, 그의 관점과 연구 내용을 동양철학 연구 특히 유교 연구에 적용할 수 있는 가능성과 그 방향을 탐구하였다. 본 연구의 순서는 인지과학의 흐름과 프란시스코 바렐라의 학문, 『윤리적 노하우』의 체계와 주요 관점, 윤리에 관한 지식의 본질, 윤리를 노하우로 보는 것이 타당한가? 동양철학 연구의 새로운 관점의 논의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동양철학연구에 적용가능한 『윤리적 노하우』의 특징적 구도를 네 가지로 파악하였다. 그 내용은 첫째 현대인의 윤리적 실천의 현실에 관한 그의 문제의식, 둘째 서구철학적 사고 내지는 초기 인지과학의 계산주의적 모델의 극복과 구성주의 모델의 확립, 셋째 존재론적 이원론의 구도를 넘어서는 생명론적 일원론의 구도로의 전환, 넷째 숙련에 의한 자기창조의 원리 등이다. One of leading members of radical constructivism on the basis of cognitive science, Francisco J. Varela's Ethical Know-how, which is a collective publication of his speeches, newly explains the Asian traditional teachings as a very useful and meaningful wisdom depending on a new conception of ethical know-how he developed. It is sure that his work gives a moment to specialists of Asian traditional thoughts. This article is for the analysis of his ideas about the ethical know-how and at the same time for a search for possible way to apply his ideas and methodology to the studies of Asian traditional thoughts. This study is going on with the order as follows; current stream of cognitive science and Varela's researches, the principle of Ethical Know-how and main viewpoints, the essence of knowledge of ethics, the explanary structure of Ethical Know-how, and new viewpoint of Asian philosophical studies. According to this study, his ideas and theoretical points that can be applied to the studies of Asian traditional thoughts are summarized as follow; his strong and consistent willingness to improve the low level practice of ethics in contemporary societies up to a higher level practice, changing the thinking model for the improvement leaving from the Western philosophical tradition or the computational style of the early cognitive science settling to radical constructivist model, establishment of the monistic principle on the basis of the life itself with rejection of the ontological dualism, and construction of autopoiesis(self-organization) by means of mastery of the know-how.

      • KCI등재

        시스템적 생명이론과 동양철학 연구 -프리초프 카프라의 학문관을 중심으로

        유권종(Yoo, Kwon Jong) 중앙대학교 중앙철학연구소 2020 철학탐구 Vol.60 No.-

        이 글의 목적은 카프라의 생명이론의 핵심을 밝히는 것이며 그것이 동양철학 연구에 시사하는 바에 대해 간략히 결론으로 맺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방대한 카프라의 저술 속에서 그의 학문적 관점과 (동양)철학연구가 관련되는 이론이나 관점들을 추출하여 검토하고, 아울러 그들로부터 동양철학 연구에 긴요하다고 보는 시사점을 간략하게 논의하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는 다음 내용들을 주요 논의사항으로 삼는다. 첫째 카프라의 생태학 및 시스템적 생명관의 핵심적 이론의 검토, 둘째 그의 이론에서 특히 철학 연구의 틀이나 방향의 전환을 요청하는 내용들의 검토, 셋째 동양철학 연구에 수용할 내용과 수용 방향의 논의 등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고찰과 논의는 생태학적 전제, 시스템과 생명, 자기제작 이론의 순서로 진행하며, 결론에서 동양철학 연구 관점의 조정 방향 및 방법과 관련하여 간단하게 제안하도록 한다. 그의 이론을 수용한다면 근대철학적 틀에 머물러서 철학적 논제를 개발해 온 기존의 동양철학 연구에 근본적인 관점의 변화가 가능할 것이다. 연구자마다 입장이 다르겠지만, 적어도 현대 학문의 동향과 연동하여 현대의 학문적 논의의 틀과 준거를 담아내는 것은 동양철학의 지혜와 가치를 현재화하는 작업이다. 이 현재화는 동양철학의 지혜를 타학문들과 널리 공유하여 세상의 앎을 지혜롭게 만드는 길로 통하게 될 것이다. This paper purports to explain Fritjof Capra’s systems view of life and concludes what his view proposes to studies of East Asian traditional philosophies. For this purpose, Capra’s viewpoint and theories that are related to studies of the East Asian traditional philosophies are reviewed with many explanations about context of present time sciences development in his books and key points of his understandings to make the studies of the East Asian traditional philosophies developed are discussed. This study has three main discussions: to review on Capra’s essential ideas of ecology and essential understanding of the systems view of life, to discuss about what his ideas require philosophical studies for turning their theoretical framework and direction of construction of theory, and to discuss about what should be taken into studies of the East Asian traditional philosophies from Capra’s ideas. In these ideas this paper has three sub titles for effective discussion as presupposition of ecology, system and life, and autopoietic theory. And a new direction for understanding of the East Asian traditional philosophies and its vision are discussed as a conclusion.

      • KCI등재
      • KCI등재

        野堂 柳赫然의 生涯에 대한 哲學的 小考

        유권종(Yoo, Kwon Jong) 한국인물사연구회 2013 한국인물사연구 Vol.20 No.-

        This research is a philosophical study on the life of Ryu Hyeok Yeon who had served as a military officer and military general under 4 Kings of Chosun Korea Dynasty in 17th Century in focusing on looking for the features of his life which has kept ethical instruction. In summary, he had embodied filial love for his parents and loyalty to his kings since his youth and performed his all the duties as a government official with the attitude of reverence of substance. He had controlled himself and his family strictly to morally become pure and perfect in his all life and in execution of official duties and thus had always been modesty and selfless. Therefore we can say he has shaped perfect fairness and impartiality in his life. Even though his own expressions are not enough to infer his philosophical thoughts, his practices and achievements of every stage of his life show absolute fairness and strict impartiality. It is so much valuable that he has shown a typical life which is actions over words. The cultural climate in which Confucian self-cultivation was stressed as a true methodology for building an authentic character can be indicated as the background where the prominent figure as him could appear on the historical stage of Chosun Dynasty. The valuation of his life in this study is really the results from the viewpoint of the self-cultivation theory, especially developed former studies of the author.

      • KCI등재
      • KCI등재

        비교인문학의 방법과 방향

        유권종(Kwon Jong Yoo) 중앙대학교 중앙철학연구소 2010 철학탐구 Vol.27 No.-

        본 연구는 지금까지 마음을 연구하는 여러 분야에서 이루어진 연구들을 종합하면서, 이에 동양철학적 마음 이해의 이론적 체계를 현대의 인문학적 맥락속에 자리잡게 하는 방법을 찾아본 것이다. 국내외에서 아직까지 유교의 심학을 인지과학이나 심리학적 주제와 연결시킨 예가 매우 드물고, 또 마음에 관한 연구가 철학이나 심리학의 범위를 넘어서서 다른 학문들과 적극적으로 교섭하는 예가 드물었다는 점을 반성하고, 마음 연구의 범위를 확장하고 여러 학문들을 하나의 목적에 종합하여 보고자 하는 구상을 논술한 것이다. 마음학을 통한 비교인문학의 추구는 사실 인문학을 학제간 연구의 주축으로 삼고자 하는 것, 특히 동양의 전통적인 마음 연구의 맥락을 현대의 학문맥락 속에 定位하고자 하는 것이 중요한 목적의 하나이다. 마음학은 아직 구상의 단계이고 구체적인 연구가 진행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더 자세한 언급을 하기 어렵다. 앞으로 연구를 하게 되면 더 자세한 경험적 사례와 그로부터 입증된 내용을 바탕으로 더 깊이 있고 체계적인 설명이 가능할 것이다. 다만 이것을 통해서 기대하는 바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첫째 동양에서 개발된 마음이해를 비교의 준거로 삼아서 인문학 상호간, 인문학과 자연과학, 문화 상호간의 상호 이해와 소통이 가능한 비교 인문학적 연구방법의 정착이다. 둘째 그러한 방법이 시대적 문맥에 따라서 끊임없이 재생산될 수 있는 이론적 토대를 구축하려는 것도 하나의 기대효과이다. 셋째 교육현장과 사회현실에 적용 가능한 이론 실천이 통합된 마음 모형을 개발하여 후속연구를 촉진하려는 것도 그에 포함된다. 이를 통해서 인문학의 현실 적합성을 극대화하려는 것이 마음학이 목적하는 바이다. This article aims at looking for a methodology to make a new discussion about the human mind from a viewpoint synthesized with already established theories and plus the context of East Asian traditional understandings of mind. In reflecting that in Korean academic circles the number of connecting theories of traditional Confucian mind learning to studies of cognitive science or psychology has been small and in Humanities area it is few times that studies of mind from the viewpoints of philosophy or psychology have met with ones from other fields, this article argues that the range of studying the mind must be broadened and synthesize various viewpoints of mind studies into a more comprehensive system. This mind study using the comparative humanities methodology has two targets; the one is to make the humanities the main axis of this interdisciplinary studies, and the other to push the traditional context of Confucian mind-learning on the right track of the contemporary context of mind studies. This mind study has not finished its formulation of its system and methodology, so that it will be difficult to discuss more details. However it will be possible to explain more details with more examples of study experience and established facts by the methodology of this. It will be expected by this study as follow: the first is establishment of the comparative Humanities on the authority of the mind understanding system of Confucianism, the second is to establish a theoretical basement that makes such an comprehensive or integrated methods to be reproduced infinitely in accordance with the charging context. And the last is to promote succeeding studies by the means of developing a mind model integrating theoria and praxis that will be able to be applied to the field of education and social life. To maximize the suitability of the humanities of this mind study must be the reason why this mind study will be asked.

      • KCI등재

        마음과 뇌

        유권종(Yoo, Kwon Jong) 한국동양철학회 2011 동양철학 Vol.0 No.36

        본 연구는 뇌과학/신경과학의 연구성과를 유교의 수양론을 해명하는 새로운 과학적 원리로 채택할 수 있는 가능성을 논의하는 것, 그리고 유교의 마음 이해의 맥락을 뇌과학/신경과학의 탐구에 접맥함으로써 과학에 근거한 인문학적 담론의 관점을 다양화시키고 담론을 풍성하게 하는 방향을 탐구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하여 논의한 내용은 첫째 마음과 뇌에 관한 접근 가설의 비교, 둘째 유교 심학의 마음 이해의 특징, 셋째 유교적 마음이해의 인지과학적 재해석, 넷째 바렐라의 생명중심 관점과 유교적 마음 이해의 연결점 등이다. 논의의 방법은 최근 인지과학 특히 뇌과학/신경과학의 성과를 바탕으로 전개되고 있는 인문학적 담론의 갈래를 크게 세 가지 계통으로 나누어보고 이 가운데 프란시스코 바렐라의 관점을 유교의 수양론 내지 그것에 작용한 유교적 마음 이해를 설명하기에 적합한 것으로 판단하고 그 타당성을 논증하는 것이다. 뇌와 신경에 관한 과학적 연구성과에 기초하여 전개되는 인문학적 담론의 갈래는 크게 기존의 물리주의 혹은 유물론적 입장을 견지하는 패트리셔처칠랜드의 제거적 유물론이 있으며, 이에 대해서 의식은 뇌로 환원될 수 없음을 주장하면서 뇌 외적인 요소들이 의식과 상호 연관되어 있음을 강조하는 계열이 있다. 그리고 이와는 달리 현상학적 방법을 통해서 생명 현상을 인지하고 이를 바탕으로 생명 개체의 목적론적 활동을 인지연구의 중요사항으로 보는 프란시스코 바렐라의 신경현상학적 입장이 대립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본 연구에서는 유교의 마음 이해는 바렐라의 관점과 근접해 있음을 논의하였으며, 그리고 유교적 마음 이해가 현대의 뇌과학/신경과학의 연구방향, 혹은 그에 바탕으로 두고 이루어지는 인문학적 담론에 중요한 경험적 지혜를 줄 수 있음도 함께 논하였다. The target of this article is as follows. It is to discuss the possibility of the results of brain/neuro-science to be adopted as a new scientific theory for the explanation of the methodological propriety of Confucian self-cultivation. For this, four items are researched. The first is comparisons of accessible hypotheses concerning the mind and the brain. The second is the features of understanding of mind from the viewpoint of Confucian Mind-learning. The third is the re-interpretation of Confucian understanding of mind under the cognitive science. And the last is the connection between Francisco Varela’s viewpoint which is based on the life itself not on the ontology and Confucian understanding of mind. The discourses of the Humanities based on the latest products of the brain/neuro-science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but among them only F. Varela’s discourse is appropriate for explain and support the propriety of Confucian self-cultivation and understanding of mind. The discussion on this article is focused on the demonstration of the validity of F. Varela’s viewpoint and Confucian methodology of self-cultivation. Patricia S. Churchland, as a pioneer of Neurophilosophy, strongly discerns her Neurophilosophy as the eliminative materialism from the folk psychology, and insists all the philosophical discussions should be reduced to the results of the brain science. There is a strong opposition against her attitude from the side of Alva Noё and according to this human mind or consciousness cannot be reduced to the brain. However F. Varela’s attitude belongs to none of the two groups. He opened a new field, that is Neurophenomenology, which stressed, through the phenomenological methods and neuroscience, on the cognition of the life phenomena and regarded the teleological activities of the living things as the most important target of the research of the cognitive science. This Varela’s attitude can be the closest to the Confucian attitudes of self-cultivation methodology. And instead the Confucian viewpoint will be able to suggest a way of wisdom to brain/neuro-science and related discourses of Humanities.

      • KCI등재
      • KCI등재

        哲學 : 儒敎的禮文化與心學 -以朝鮮時代的李退溪思想爲中心

        유권종 ( Kwon Jong Yoo ) 한국중국학회 2004 國際中國學硏究 Vol.7 No.-

        The co-relations between mind learning and Confucian proprieties have been ignored in Korean studies, because most of scholars have been thinking that the subjects of Toegye`s mind learning are only related to the mind not to the body. They have not given no attention to find out the way to connect between the two and so in addition even to the Confucian proprieties as norms of Confucian cultures they could not find out the feasible way to connect. But this study regarded co-relations between mind learning and Confucian proprieties as objective norms and tried to catch Toegye`s experiences from which his ideas of mind-body relations can be explained and his proposals for Confucian moral cultivation necessarily with Confucian proprieties can be understood. He constructed and completed his ideas of mind-body relations and his theories of moral cultivation and presented the constructed ideas and theories in his famous work, Ten Diagrams of Sage Learning(聖學十圖). This study analyzed his ideas and theories especially form the viewpoints of cultural psychology and philosophy of language. With the ideas and viewpoints of cultural psychology and philosophy of language, the co-relations between mind and culture or mind and body can be explained more persuasively and clearly. And this study can make the styles of discussing about Toegye`s mind learning more various and give a wider vision of studying his mind learning. Finally this study can make a new beginning for the discussing which wisdom his mind learning can give to modern pers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