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014-2015년 경기지역 노로바이러스성 식중독의 분자역학적 특성분석

        남수정,박포현,방선재,허정원,윤희정,박광희,윤미혜,Nam, Soo-Jung,Park, Po-Hyun,Bang, Sun-Jae,Huh, Jeong-Weon,Yun, Hee-Jeong,Park, Kwang-Hee,Yoon, Mi-Hye 한국미생물학회 2018 미생물학회지 Vol.54 No.1

        Norovirus infection is a leading cause of nonbacterial gastroenteritis outbreaks. New variants of GII.4 have emerged approximately every 2~3 years and have caused norovirus gastroenteritis pandemics globally. In this study, analysis and molecular genetic characteristics of the norovirus gastroenteritis outbreaks 2,917 samples in Gyeonggi-Do from 2014 to 2015. As a result, 247 samples out of 2,917 samples are positive for norovirus. Norovirus molecular genetic characteristics of the GI 8 types (GI-1, 2, 3, 4, 5, 6, 12, 14), GII 10 types (GII - 2, 3, 4, 5, 6, 11, 12, 14, 16, 17). Genome sequences of isolated noroviruses were similar to those of new GII.17 Kawasaki 2014 variants with 96.6 identity, suggesting that these viruses were imported from overseas. 44% of virus incidence was originated from school meal service. Therefore, a continuous monitoring and school sanitation should be required for preventing a massive virus outbreak. 노로바이러스는 식중독을 유발하는 주요 병원체이며, 최근 GII.4 변이주의 출현으로 전세계적으로 2~3년 주기로 유행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14년부터 2015년까지 2년간 경기도 내 집단식중독 검체 2,917건을 대상으로 노로바이러스성 식중독 발생양상을 파악하고 분자유전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검사결과 노로바이러스가 247건으로 가장 많았으며, 분자유전학적 특성은 GI 형에서 8종(GI-1, 2, 3, 4, 5, 6, 12, 14), GII형에서 10종(GII-2, 3, 4, 5, 6, 11, 12, 14, 16, 17)으로 다양하게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5년 초 집단발생한 노로바이러스 35건에 대한 유전계통학적 분석결과 GII-17 kawasaki 2014형으로 알려진 분리주와 96.6% 이상 일치하여 새로운 변이주에 의한 유행이었음을 확인하였으며, 학교 등 급식에 의한 비율이 44%로 단체급식 위생에 주의하는 한편 발생 원인을 파악하여, 대규모 식중독 유행에 대비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경기도내에서 분리한 캠필로박터 제주니균의 유전적특성 및 항생제내성 연구

        허은선,박포현,김종화,손종성,윤희정,이예은,최연숙,윤미혜,이정복,Hur, Eun-Seon,Park, Po-Hyun,Kim, Jong-Hwa,Son, Jong-Sung,Yun, Hee-Jeong,Lee, Yea-Eun,Choi, Yun-Sook,Yoon, Mi-Hye,Lee, Jong-Bok 한국미생물학회 2013 미생물학회지 Vol.49 No.3

        Campylobacter jejuni는 사람에서 매우 중요한 식중독 원인균의 하나이며, 2010년 경기도내 병원을 내원한 설사 환자와 4번의 식중독 outbreak에서 42균주를 분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분리된 C. jejuni 42균주의 유전적 특성과 혈청형, 항균제 내성율을 분석하였다. hipO 종특이 유전자(100%), cdtB 독소 유전자(100%)가 검출되었고, gyrA 돌연변이 유전자(95.2%)가 PCR 실험결과 검출되었다. gyrA 돌연변이 유전자는 ciprofloxacin 내성과 연관이 깊으며, 디스크 확산법에 의해 실험한 결과 gyrA 돌연변이 유전자가 검출된 40균주(95.2%)에서 실제 ciprofloxacin에 대해 내성을 보였다. 분리된 42균주 C. jejuni에 대한 gyrA 유전자의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ciprofloxacin에 내성을 가진 40균주에서 아미노산 서열이 ACA (트레오닌)에서 ATA (이소루신)으로 돌연변이 되어있음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대체 치료제인 erythromycin과 azithromycin에 대해서는 97.6% (41균주) 감수성을 보였다. 또한 C. jejuni의 혈청형을 분석한 결과 4가지 타입으로 분류되었는데, HS2(B), HS3(C), HS4(D), HS19(O)로 확인되었다. 도내에서 분리한 C. jejuni 42균주의 유전형을 rep-PCR과 PFGE로 확인한 결과 PFGE에 의해서는 12 cluster, rep-PCR에 의해서는 11 cluster의 유전형으로 구분되었다. Campylobacter jejuni is one of important food-borne pathogens causing human gastroenteritis. We isolated 42 strains of C. jejuni from diarrhea patients and 4 food-poisoning outbreaks in 2010, Gyeonggi-do. In this study, 42 strains were tested for genetic characteristics, the serotype distribution and antimicrobial resistant rate. The presence of hipO (100%), cdtB (100%), and mutated gyrA (95.2%) genes was detected in C. jejuni by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Detection of mutated gyrA gene correlated with ciprofloxacin resistance. Forty isolates had mutated gyrA gene and were actually resistant to ciprofloxacin. Furthermore, comparing the gyrA DNA sequence data, ciprofloxacin-resistant isolates had a mutation of the DNA sequence from ACA (threonine) to ATA (isoleucine). But 41 strains (97.6%) of patient isolates were susceptible to erythromycin and azithromycin. A total of 35.7% among 42 C. jejuni isolates were identified into 4 different serotypes. The serotype distribution of C. jejuni strains were shown to be HS2(B), HS3(C), HS4(D), HS19(O). To investigate the genotypes of C. jejuni isolated in Gyeonggi province, repetitive sequence polymerase chain reaction (rep-PCR) analysis and SmaI-digested pulsed-filed gel electrophoresis (PFGE) profile analysis were performed. From the PFGE analysis of 42 C. jejuni strains, 12 clusters of PFGE profile were obtained. On the other hand, 11 clusters of rep-PCR profile were obtained from 42 strains of C. jejuni.

      • KCI등재

        2014년 경기지역에서 발생한 해외유입 홍역 바이러스의 분자역학적 특성 분석

        윤희정,박포현,황선일,허정원,남수정,용금찬,윤미혜,Yun, Hee-Jeong,Park, Po-Hyun,Hwang, Sun-Il,Huh, Jeong-Weon,Nam, Soo-Jung,Yong, Kum-Chan,Yoon, Mi-Hye 한국미생물학회 2017 미생물학회지 Vol.53 No.1

        Measles virus is a highly contagious, exanthematic virus, preventable by the use of an effective live-attenuated vaccine. However, measles virus remains endemic in many area of the world causing nearly 200,000 deaths per year and still a major cause of child mortality, mostly in developing countries. In March 2014, Republic of Korea was certified as a 'national measles elimination' by the WHO as a result of a high-quality case-based surveillance system and population immunity, which was achieved by a high vaccination rate (>95.0% since 1996). But, since the beginning of 2014, the Gyeonggi province has experienced a resurgence of measles case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measles viruses isolated from confirmed measles in Gyeonggi province during January 1, 2014 ~ July 31, 2014, 60 isolates were obtained from 72 confirmed measles specimens. Genotypic distributions and genetic diversities of isolated measles virus were analyzed by sequencing of nucleoprotein (N) gene. 58 (96.7%) imported cases were identified. The predominant genotype was B3, which reflects the circulating measles virus in adjacent countries. The sequences of nucleoprotein (N) gene of isolated MeV were showed that the strains characterized showed the highest degree of identity (99%) with the Philippine related strains in 2013-2014. Therefore, infected traveler returning from the Philippines transmitted secondary infection in Korea. 홍역바이러스(Measles virus)는 전염성이 매우 높은 발진성 열병을 일으키는 바이러스이며, 약독화된 생백신 접종으로 충분히 예방할 수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개발도상국에서 어린아이들의 주요 사망원인이며 해마다 20만명이 사망하는 풍토병이다. 우리나라는 1996년 이후부터 국가적으로 시행된 정기예방접종으로 인한 높은 백신 접종률(>95.0%)로 획득된 집단면역과 고도의 기술적 감시체계의 결과로 홍역이 퇴치되었으며, 2014년 3월 WHO로부터 '홍역퇴치국가'로 인증 받았다. 그러나 2014년 초부터 경기도에서 홍역환자가 다시 발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2014년 1월부터 2014년 7월까지 경기도에서 발생한 홍역 확진 환자를 대상으로 홍역바이러스의 유행양상 및 유전형 분포양상을 분석하였다. 72건의 홍역바이러스 양성검체에서 60주의 홍역바이러스를 분리하였고, nucleoprotein(N) 유전자의 염기서열 분석을 통하여 유전형의 확인 및 유전자변이를 분석하였다. 총 60건의 홍역 확진검체를 분석한 결과 58건(96.7%)에서 B3 genotype을 확인하였다. 또한 nucleoprotein(N) 유전자 부위의 유전자 변이 분석결과, 경기도내 분리주들이 2013년에서 2014년 필리핀에서 유행한 홍역 분리주들과 99% 일치하였다. 따라서 필리핀 등에서 감염된 후 국내에 유입되어 2차 감염이 된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어린이집 유아 휴대 수저 및 수저집의 미생물학적 위해 분석 및 저감화

        김중범(Jung-Beom Kim),박용배(Yong-Bae Park),김기철(Ki-Cheol Kim),김대환(Dae-Hwan Kim),강석호(Suk-Ho Kang),임영식(Young-Sik Lim),박포현(Po-Hyun Park),윤미혜(Mi-Hye Yoon),이정복(Jong-Bok Le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1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0 No.1

        어린이집 유아 휴대 수저 및 수저집의 미생물 오염도를 분석하고, 가정과 어린이집에서 수저 및 수저집의 위생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세척 방법과 자외선 살균소독 시간을 제시하고자 유아 휴대 수저 36건 및 수저집 42건 등 총 78건을 실험하였다. 수저 36건 중 20건(55.6%), 지퍼형 수저집 20건 중 9건(45.0%), 플라스틱형 수저집 22건 중 13건(59.1%)에서 2.7 log CFU/100 ㎠ 이상의 일반세균수가 검출되어 즉각적인 위생조치를 강구해야 하는 수준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수저 36건 중 19건(52.8%), 지퍼형 수저집 20건 중 14건(70.0%), 플라스틱형 수저집 22건 중 14건(63.6%)에서 대장균군이 검출되어 어린이집 유아 휴대 수저 및 수저집에 대한 위생조치가 요구되며, 가장 높은 위해수준을 나타낸 지퍼형 수저집에 대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수저와 플라스틱형 수저집에서는 실험한 모든 식중독 미생물이 검출되지 않았으나, 지퍼형 수저집 20건 중 2건 (10.0%)에서 Staph. aureus가 검출되었고, 3건(13.6%)에서 B. cereus가 검출되어 지퍼형 수저집이 식중독 미생물 오염에 가장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세척 방법에 따른 미생물 저감화 효과를 실험한 결과 수세미에 주방세제를 첨가하여 30초간 세척한 후 30초간 흐르는 수돗물로 세척했을 경우 수저, 지퍼형 및 플라스틱형 수저집 모두 대장균이 검출되지 않았다. 따라서 가정에서 수저 및 수저집을 1분 이상 깨끗이 세척, 건조시켜야 될 것으로 판단되었다. 자외선 살균소독시간에 따른 미생물 저감화 효과를 실험한 결과 15분 살균시 대장균이 검출되지 않아 어린이집에서 수저 및 수저집을 15분 이상 자외선 살균소독기로 살균할 경우 대장균을 제어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나, 각 어린이집의 자외선 살균소독기의 램프 출력량과 살균대상 수저집의 수량을 고려하여 각각의 제조사가 제시하는 자외선 살균소독기 권장살균시간 이상 수저 및 수저집을 살균하여 제공하여야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microbiological hazard of spoons and their cases carried by nursery school children and to evaluate the reduction effects of washing methods and ultraviolet (UV) treatments against Escherichia coli on the spoon and spoon case. A total of 78 spoons and their cases were sampled to test about total aerobic bacteria, coliform bacteria, Staphylococcus aureus, Bacillus cereus and Salmonella spp. Total aerobic bacteria were detected over 2.7 log CFU/100 ㎠ in 20 out of 36 spoons (55.6%), 9 out of 20 zipper-type spoon cases (45.0%) and 13 out of 22 plastic-type spoon cases (59.1%). Coliform bacteria were also detected in 19 out of 36 spoons (52.8%), 14 out of 20 zipper-type spoon cases (70.0%) and 14 out of 22 plastic-type spoon cases (63.6%). The pathogens tested in this study were not found in all samples except for the zipper-type spoon cases which were contaminated with Staph. aureus (2 samples) and B. cereus (3 sample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sanitary conditions of spoons and their cases should be improved promptly. To evaluate the reduction effects of washing methods and UV treatments against E. coli, the spoons and their cases were treated at different cleaning times with and without soap, and different UV exposure times, respectively. E. coli with initial cell number of 4 log CFU on the spoons and their cases was not detected when they were cleaned at running water for 30 sec after dish sponging with soap for 30 sec. In UV treatments, E. coli with the same level of washing method was not detected after UV exposure for 15 minute in the spoons and their cases. From the results, the washing and UV treatment should be used to control the microbial contamination of spoons and their cases for more than 1 and 15 minutes, respectively.

      • Vibrio parahaemolyticus의 전균체 및 편모항원에 대한 항혈청의 민감성과 특이성에 관한 연구

        朴抱鉉,宋哲鏞,金鎬薰 中央大學校 自然科學硏究所 1988 自然科學硏究所 論文集 Vol.2 No.-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examine the sensitvity and specificity of antisera against whole cell antigen (WCA) and flagella antigen (FA) of Vibrio parahaemolyticus. Antiserum against WCA of V. parahaemolyticus showed 8-fold high agglutination titre with homologous H-antigen (1:25,600), while low cross-reactions were obesrved with H-antigen of W. alginolyicus (1:3,200), V. furnissii (1:200) and V. vulnificus (1:100). The antiWCA serum showed not only 2-fold agglutination titre with homologous O-antigen (1:320), but also showed high cross-reactions were observed with V. holisae (1:160), V. vulnificus (1:10), V. alginolyticus (1:10) and V. cholerae (1:10). The anti-WCA serum of V. aprahaemolyticus which absorbed with homologen O-antigen and heterologous H-antigen of V. alhinolyticus showed 32-fold high agglutination titre with homologous H-antigen (1:L 12,800). whereas heterologous reaction with /v. alhinolticus decreased from 1:3,200 to 1:200. Flagella antiserum against V. parahaemlyticus did not reacted with H-antigens of other Vibrio specices. Both absorbed anti-WCA serum and flagella antiserum were reacted specifically with 32 stains of V. parahaemoluticus isolated from patients other specimens. This result indicated that the antisera against whole cell antigen of V. parahaemolyticus followed by absorption with homologus O-antigen and H antigen V. alginolyticus and flagella antigen is preferable to O-antisera in respect of sensitivity and specific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