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배드민턴 선수의 양측 슬개 내 추벽 증후군에 의한 대퇴골 내과의 거대 연골 결손 - 1례 보고 -

        문찬삼,노행기,김종민,김형규,홍성환,Moon, Chan-Sam,Noh, Haeng-Kee,Kim, Jong-Min,Kim, Hyung-Gyu,Hong, Seong-Hwan 대한관절경학회 2009 대한관절경학회지 Vol.13 No.3

        슬개골 추벽은 슬관절 형성이 시작되는 태생기 관절낭을 나누는 활막이 완전히 흡수되지 않고 남아있는 잔유물이다. 추벽은 위치에 따라 슬개 상, 슬개 내, 슬개 하, 슬개 외측 추벽으로 분류된다. 위치에 따른 4가지 형태의 추벽중 임상적으로 문제를 가장 많이 일으키는 것은 슬개 내측 추벽이다. 이러한 슬개 내측 추벽 증후군으로 인한 대퇴골 내과의 연골 연화증 및 연골 결손에 대한 문헌은 보고되어 있다.하지만 Outerbridge 분류 Grade III-IV, $2{\times}1.5cm$ 크기 이상의 양측성 거대 연골 결손에 대한 문헌은 없어 관절경적 치료 후 문헌 고찰과 함께 이를 보고 하고자 한다. The plica is a remnant of the synovial folds during fetal development. The plica is classified suprapatellar, medial patellar, infrapatellar, and lateral patellar plica according to the anatomic site. The one most likely cause of clinical problem is medial patellar plica. There are many reports of problems caused by medial patellar plica syndrome. But there has been no documented case report of Outerbridge classification Grade III-IV, above $2{\times}1.5\;cm$ sized huge cartilage defect of both medial femoral condyle, due to medial patellar plica. So we report this unusual case with a review of relevant literatures.

      • 비복근 파열 후 혈종에 병발한 광범위 심부 농양의 내시경적 치료 - 1예 보고 -

        전호승,문찬삼,노행기,전성광,김종민,Jeon, Ho-Seung,Moon, Chan-Sam,Noh, Haeng-Kee,Jeon, Sung-Kwang,Kim, Jong-Min 대한관절경학회 2011 대한관절경학회지 Vol.15 No.2

        광범위 심부 농양의 치료는 일반적으로 절개 및 배농이 원칙이다. 그러나 철저한 절개배농을 위해서는 피부 절개의 범위가 커지게 된다. 또한 큰 절개에도 불구하고 좋지 않은 수술 영상 및 시야 확보가 힘든 경우가 있을 수 있어, 수술 과정에서 정상 조직에 대한 추가적인 손상과 큰 절개 반흔이 문제가 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고자 저자들은 비복근 파열로 인한 혈종에 병발한 광범위 심부 농양에 대하여 내시경적 치료를 시행하여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었으며, 기존에 보고된 바 없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For the treatment of deep extensive abscess, the incision and drainage is necessary. But in order to make a thorough incisional drainage we can't avoid the skin incision enlarged. Even if the incision is enlarged, it is often impossible to obtain a satisfactory view of operative field. Also, the additional damage to surrounding normal tissue during operation and the scars made by large incision may be problematic. To solve these problems, we performed the endoscopic treatment for extensive deep abscesses occurred in hematoma after rupture of gastrocnemius muscle and obtained the satisfactory results. It has not been previously described, so we report it with a review of the literature.

      • 내고정한 슬개골 골절에서 슬와공을 통한 조기 파절된 강선 조각의 슬와부로의 이동 - 증례보고 -

        전호승,전승주,문찬삼,노행기,정형준,Jeon, Ho-Seung,Jeon, Seung-Ju,Moon, Chan-Sam,Noh, Hang-Gi,Jeong, Hyung-Jun 대한관절경학회 2009 대한관절경학회지 Vol.13 No.2

        슬개골 골절의 고정 방법에 있어 강선 고정술은 흔히 사용되는 수술 방법중 하나이다. 슬관절의 조기 재활을 위해서는 견고한 고정술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슬개골 골절의 수술적 내고정술 후 장기간 제거하지 않을 경우, 강선의 파절이 흔히 발생하며, 파절된 강선 조각은 관절막 외부의 연부조직 내에서 이동한다. 그러나, 저자들은 슬개골 골절의 수술 후 조기 파절된 강선 조각이 관절강내의 슬와공을 통하여 슬와부로 이동한 64세 남자를 관절경적 및 관혈적 방법을 이용하여 성공적으로 치료하였으며, 이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Wiring techniques in the fixation of patellar fracture are commonly used. Rigid fixation is essential for early rehabilitation. Breakages of wires after the fixation of patellar fracture are common with extracapsular migration if not removed for long term. But, we experienced a case of patellar fracture with early breakage of wiring and migration of the broken wire fragment into the popliteal fossa through the popliteal hiatus in 64- year-old man and we successfully treated this case, using both arthroscopic and open procedures. So we report this unusual case with a review of current literatures.

      • 릴레이 경주 중에 발생한 대퇴직근 기시부의 완전 파열 - 증례보고 -

        전승주,전호승,문찬삼,노행기,하승주,Jeon, Seung-Ju,Jeon, Ho-Seung,Moon, Chan-Sam,Noh, Haeng-Kee,Ha, Seung-Joo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 2008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Vol.7 No.2

        대퇴직근은 슬관절을 신전하고 고관절을 굴곡하는 근육이며, 빠르고 강한 수축을 하는 제 2형 근섬유로 이루어져 있으며 두개의 관절을 거치므로, 운동 경기 중에 근위부 대퇴직근의 손상이 흔히 발생할 수 있다. 소아에서 발생하는 전하장골극에서의 대퇴직근 견열 골절이 가끔 보고가 되고 있고, 성인에서의 대퇴직근 근위부의 근-건 결합부 완전 파열은 반복적인 운동에 의해 드물게 발생하며, 외상과 관련이 없는 경우 대퇴부에서의 연부조직 종양으로 오인될 수 있다. 그러나, 릴레이 경주 중에 대퇴직근 근위부의 기시부가 급성으로 완전 파열된 예는 아직까지 보고된 바가 없다. 이에 저자들은 릴레이 경주 중에 발생한 중년 남성의 대퇴직근 기시부의 급성 완전 파열에 대하여 자기공명영상을 통하여 확인한 후 수술적 치료를 시행하였으며, 이를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During sports activity, rectus femoris muscle can be commonly injured as the quadriceps contracts forcefully to extend the knee and flex the hip, and rectus femoris muscle has a high percentage of type II muscle fibers which enable it to produce rapid forceful activity and the muscle is the only biarticular muscle of the quadriceps. Avulsion fractures by the traction of rectus femoris from the anterior inferior iliac spine in children are often reported. Rarely, complete rupture of proximal musculotendinous junction of rectus femoris muscle in adult may occurs by chronic repetitive stimulation and may mimic soft tissue neoplasm in the case of no history of antecedent trauma. However, there has been no report of acute complete rupture of origins of the rectus femoris muscle during relay race till now. So, we report a case of acute complete rupture of origins of the rectus femoris muscle occurred during relay race in middle-aged man, diagnosed by magnetic resonance image and treated by surgical repair with review of current literature.

      • KCI등재후보

        증상이 있는 청소년기 부주상골의 수술적 치료

        김종민,정성훈,박병문,문찬삼,이길형,Kim, Jong-Min,Jung, Sung-Hoon,Park, Byeong-Mun,Moon, Chan-Sam,Lee, Kil-Hyeong 대한족부족관절학회 2010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Vol.14 No.1

        Purpose: To investigate the results of surgical treatment of the symptomatic accessory navicular in adolescent. Materials and Methods: 11 patients who were 11-16 years old with symptomatic accessory navicular were identified between 2001 and 2009. Six cases were diagnosed after trauma and 8 cases were diagnosed by accident with painful bony protrusion on medial aspect of foot. In cases after at least 3 months of ineffective conservative treatment, patients were treated by resection of accessory navicular and reattachment of tibialis posterior tendon to the apex of the medial longitudinal arch using periosteum and ligamentous soft tissue without transposition of its course. And then short leg cast was applied for correction of the flat foot (if it is combined) which was molded into the longitudinal arch with the talonavicular joint released and foot inverted during about 6 weeks. Results: All were type II accessory navicular without tibialis posterior tendon lesions. In most cases pain was improved, results were excellent in seven and good in four. Calcaneal pitch angle and talus-first metatarsal angle was improved about $4.64^{\circ}$ and $5.79^{\circ}$ in average. Conclusion: Symptomatic accessory navicular in adolescent might not be associated with the tibialis posterior tendon lesions. The surgical treatment composed of excision of the accessory navicular with simple replication of the tibialis posterior tendon without altering its course led to good results in most cases. The procedure has a low rate of complications. And it is easy to be performed with a good satisfaction.

      • 연부조직 육종으로 오인된 대퇴부의 결절성 근막염 - 2예 보고 -

        전호승,전승주,강유미,문찬삼,하승주,Jeon, Ho-Seung,Jeon, Seung-Ju,Kang, Yu-Mi,Moon, Chan-Sam,Ha, Seung-Joo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07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13 No.2

        결절성 근막염은 섬유모세포와 근모세포의 증식에 의하여 발생하는 양성 질환으로 그 크기도 보통 3 cm 이내로 작다. 이 질환은 빠른 성장, 풍부한 세포충실성 및 유사 분열과 같은 특징들을 보일 수 있어 연부조직 육종으로 오인될 수 있다. 저자들은 기존의 보고와는 달리 그 크기가 5 cm 이상으로 큰 연부조직 육종으로 오인한 2예의 대퇴부에 발생한 결절성 근막염을 치험하였다. 그 중 1예는 임상적으로 뿐 아니라 조직학적으로까지 연부조직 육종으로 오인하였으나 외부의 숙련된 병리학자들의 도움으로 결절성 근막염으로 최종 진단되었으며, 2예 모두 2년 추시관찰에서 재발의 증거가 없었다. 저자들의 예들처럼 그 크기가 일반적인 것과는 달리 5 cm 이상으로 큰 종괴성 병변인 경우에는 연부조직 육종의 감별 진단으로서 매우 중요하기에, 대퇴부에 발생한 2예의 결절성 근막염을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Nodular faciitis is generally considered to be benign proliferation of fibroblasts and myoblasts, and it measures dimension up to 3cm. The characteristics such as rapid growth, abundant cellularity, and mitotic activity occasionally cause these lesions to mimic sarcoma. The authors experienced two cases of nodular fasciitis of the thigh, which were unusually large with dimension of more than 5cm. All of these two cases mimicked sarcoma and one of two cases, which initially mimicked sarcoma clinically and histologically in our hospital, was finally diagnosed as nodular fasciitis after requesting external consultation to several experienced pathologists. All of two cases had no evidence of recurrence at 2 years postoperatively. The lesions of unusually large dimension such as in our cases must be included in the differential diagnosis of soft tissue sarcoma. So we report two cases of nodular fasciitis of the thigh with a review of the current literature.

      • 제3족지 근위지골에 발생한 기괴성 방골성 골연골성 증식증: 1예 보고

        노행기,전호승,전승주,문찬삼,강서구,송경섭,Noh, Haeng-Kee,Jeon, Ho-Seung,Jeon, Seung-Joo,Moon, Chan-Sam,Kang, Seo-Goo,Song, Gyung-Sub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11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17 No.2

        기괴성 방골성 골연골성 증식증은 수부와 족부의 단관골의 표면에 발생하는 양성 종양이다. 치료는 일반적으로 변연부 절제술을 시행하지만 절제 후 국소적인 재발을 잘한다. 국내에서는 족부에 발생한 기괴성 방골성 골연골성 증식증에 대한 보고가 극히 드물다. 저자들은 44세 여자 환자에서 우측 제3족지의 근위지골에 발생한 기괴성 방골성 골연골성 증식증을 경험하고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Bizarre parosteal osteochondromatous proliferation (BPOP) otherwise known as Nora's lesion, is a benign surface tumor of the small tubular bone of the hands and feet with high probability of local recurrence. The report of BPOP in the foot is very rare in our country. We report a case of BPOP of proximal phalanx of right $3^{rd}$ toe in 44-year-old female, successfully managed by en-bloc marginal excision with a review of the literatures.

      • KCI등재

        삼각 섬유연골 복합체의 외상성 변연부 파열에서 관절경적 봉합술

        전승주 ( Seung Ju Jeon ),문찬삼 ( Chan Sam Moon ),전호승 ( Ho Seung Jeon ),노행기 ( Haeng Kee Noh ),김성환 ( Sung Hwan Kim ) 대한골절학회 2007 대한골절학회지 Vol.20 No.4

        목적: 삼각 섬유연골 복합체 파열 중 외상성 변연부 파열에 대해 관절경적 봉합술을 시행하고 그 결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삼각 섬유연골 복합체 파열 중 외상성 변연부 파열로 관절경적 봉합술을 시행한 10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10예 모두 outside-in 방법을 이용하여 봉합술을 시행하였고, 평균 추시기간은 1년 7개월이었다. 임상적 치료 결과는 동통, 관절 운동 범위, 파지력, 수술 후 직업 복귀 여부 및 환자의 만족도에 따라 평가하였다. 결과: 10예 중 8예에서 우수의 결과를 보였고, 1예에서 양호, 1예에서는 보통의 결과를 보였다. 최종 추시상, 완관절의 운동 범위는 굴곡 76˚~86˚로 평균 79˚였고, 신전 70˚~84˚로 평균 78˚였다. 그리고 내회전은 75˚~91˚로 평균 85˚였고, 외회전은 79˚~92˚로 평균 87˚였다. 9예에서 수술 전 직업으로의 복귀가 가능 하였으나, 1예에서는 과도한 완관절의 사용 후 동통이 재발되어 직업 전환이 필요하였다. 결론: 삼각 섬유연골 복합체의 외상성 변연부 파열에 있어서 관절경적 봉합술은 임상적 증상을 호전시킬 수 있는 좋은 치료 방법으로 사료되었다. Purpose: To assess the results of an arthroscopic repair for traumatic peripheral tears of triangular fibrocartilage complex (TFCC, Palmer type Ib). Materials and Methods: 10 patients with traumatic peripheral TFCC tear were treated with outside-in technique with arthroscope and evaluated with an average follow-up of 19 months (range, 15 to 28 months). The clinical outcomes were assessed with investigation of pain, range of motion, grip strength, return to job and patient`s satisfaction. Results: The arthroscopic repair of traumatic peripheral TFCC tear resulted in significant pain relief and increase in functional ability of wrist, that is, 8 excellent, 1 good and 1 fair results. At last follow-up, the average of flexion was 79˚ (range 76~86˚), average of extension was 78˚ (range 70~84˚), average pronation was 85˚ (range 75~91˚) and average supination was 87˚ (range 79~92˚). Nine patients except one were back to their original job. Conclusion: Arthroscopic repair of traumatic peripheral TFCC tear could be used for pain relief and increase in functional ability of wrist.

      • 진행성 골화성 근염 - 2예 보고 -

        박병문,김동수,고영관,송경섭,전광표,윤형구,문찬삼,Park, Byeong-Mun,Kim, Dong-Soo,Ko, Young-Kwan,Song, Kyung-Sub,Jeon, Kwang-Pyo,Yoon, Hyung-Ku,Moon, Chan-Sam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02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8 No.2

        진행성 골화성 근염은 매우 드물게 보는 유전성 질환으로서 선천성 족무지 기형과 근막, 건막, 건, 인대 및 골격근육의 간질조직내 결체조직의 부종, 석회화를 거쳐 진행성으로 골화를 일으킴을 특징으로 하는 질환이다. 본 질환은 근본적으로 골격근 자체는 정상이나 근본 병리결함이 결체조직에 발생함으로 종래 사용하던 병명인 '진행성 골화성 근염' 대신 '진행성 골화성 섬유이형성증'이라 칭하는 것이 합당하다고 주장되고 있다. 저자는 최근 일가족 남매에 발생한 진행성 골화성 근염 2예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Myositis ossificans progressiva, also known as 'fibrodysplasia ossificans progressiva' is a rare disorder, most probably inherited as a mendelian dominant trait with irregular penetrance. It is characterized by congenital malformations of the great toes and progressive edema, calcification and ossification of the fasciae, aponeurosis, ligaments, tendons, and connective tissue in interstitial tissues of skeletal muscle. The basic defect is in the connective tissue, whereas the skeletal muscle remains fundamentally normal. We report two cases of a brother and sister whose the disorder is involved in a same family.

      • KCI등재

        급성 증상을 동반한 슬관절의 종양성 석회증 -1례 보고-

        김종민 ( Jong Min Kim ),전호승 ( Ho Seung Jeon ),전승주 ( Seung Ju Jeon ),문찬삼 ( Chan Sam Moon ),김성환 ( Sung Hwan Kim ) 대한슬관절학회 2006 대한슬관절학회지 Vol.18 No.2

        A sixty-eight-year-old female presented with suddenly developed pain in the left knee joint. On the first visit, there was severe tenderness on the anterolateral aspect of the knee joint with active flexion and extension limited by pain. Radiographs revealed multiple round calcific masses in the anterolateral aspect of the knee joint. Under the impression of intraarticular lesions, we performed arthroscopic examination of the knee joint, which revealed no intraarticular pathology. The masses were found in the extracapsular soft tissue and we performed excisional biopsy of the masses completely. The masses were confirmed as tumoral calcinosis by histopathologic examination. It rarely occurs around the knee joint and is usually asymptomatic. Idiopathic tumoral calcinosis with acute symptoms must be differentiated from other pathologic conditions such as gout or infection. The clinical manifestation of this case was opposed to the previous reports. So we report a rare case of idiopathic tumoral calcinosis of the knee joint with acute sympto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