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내고정한 슬개골 골절에서 슬와공을 통한 조기 파절된 강선 조각의 슬와부로의 이동 - 증례보고 -

        전호승,전승주,문찬삼,노행기,정형준,Jeon, Ho-Seung,Jeon, Seung-Ju,Moon, Chan-Sam,Noh, Hang-Gi,Jeong, Hyung-Jun 대한관절경학회 2009 대한관절경학회지 Vol.13 No.2

        슬개골 골절의 고정 방법에 있어 강선 고정술은 흔히 사용되는 수술 방법중 하나이다. 슬관절의 조기 재활을 위해서는 견고한 고정술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슬개골 골절의 수술적 내고정술 후 장기간 제거하지 않을 경우, 강선의 파절이 흔히 발생하며, 파절된 강선 조각은 관절막 외부의 연부조직 내에서 이동한다. 그러나, 저자들은 슬개골 골절의 수술 후 조기 파절된 강선 조각이 관절강내의 슬와공을 통하여 슬와부로 이동한 64세 남자를 관절경적 및 관혈적 방법을 이용하여 성공적으로 치료하였으며, 이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Wiring techniques in the fixation of patellar fracture are commonly used. Rigid fixation is essential for early rehabilitation. Breakages of wires after the fixation of patellar fracture are common with extracapsular migration if not removed for long term. But, we experienced a case of patellar fracture with early breakage of wiring and migration of the broken wire fragment into the popliteal fossa through the popliteal hiatus in 64- year-old man and we successfully treated this case, using both arthroscopic and open procedures. So we report this unusual case with a review of current literatures.

      • 연부조직 육종으로 오인된 대퇴부의 결절성 근막염 - 2예 보고 -

        전호승,전승주,강유미,문찬삼,하승주,Jeon, Ho-Seung,Jeon, Seung-Ju,Kang, Yu-Mi,Moon, Chan-Sam,Ha, Seung-Joo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07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13 No.2

        결절성 근막염은 섬유모세포와 근모세포의 증식에 의하여 발생하는 양성 질환으로 그 크기도 보통 3 cm 이내로 작다. 이 질환은 빠른 성장, 풍부한 세포충실성 및 유사 분열과 같은 특징들을 보일 수 있어 연부조직 육종으로 오인될 수 있다. 저자들은 기존의 보고와는 달리 그 크기가 5 cm 이상으로 큰 연부조직 육종으로 오인한 2예의 대퇴부에 발생한 결절성 근막염을 치험하였다. 그 중 1예는 임상적으로 뿐 아니라 조직학적으로까지 연부조직 육종으로 오인하였으나 외부의 숙련된 병리학자들의 도움으로 결절성 근막염으로 최종 진단되었으며, 2예 모두 2년 추시관찰에서 재발의 증거가 없었다. 저자들의 예들처럼 그 크기가 일반적인 것과는 달리 5 cm 이상으로 큰 종괴성 병변인 경우에는 연부조직 육종의 감별 진단으로서 매우 중요하기에, 대퇴부에 발생한 2예의 결절성 근막염을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Nodular faciitis is generally considered to be benign proliferation of fibroblasts and myoblasts, and it measures dimension up to 3cm. The characteristics such as rapid growth, abundant cellularity, and mitotic activity occasionally cause these lesions to mimic sarcoma. The authors experienced two cases of nodular fasciitis of the thigh, which were unusually large with dimension of more than 5cm. All of these two cases mimicked sarcoma and one of two cases, which initially mimicked sarcoma clinically and histologically in our hospital, was finally diagnosed as nodular fasciitis after requesting external consultation to several experienced pathologists. All of two cases had no evidence of recurrence at 2 years postoperatively. The lesions of unusually large dimension such as in our cases must be included in the differential diagnosis of soft tissue sarcoma. So we report two cases of nodular fasciitis of the thigh with a review of the current literature.

      • KCI등재

        만성 족근 관절 외측 불안정성 환자에서 $Brostr{\ddot{o}}m$ 변형 술식의 치료 결과

        전호승,전승주,김종민,박병문,장병근,Jeon, Ho-Seung,Jeon, Seung-Ju,Kim, Jong-Min,Park, Byeong-Mun,Chang, Byung-Keun 대한족부족관절학회 2006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Vol.10 No.1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clinical and radiographical results of treatment of chronic lateral ankle instability with modified Brostrom procedure. Materials and Methods: This is a retrospective study of 22 cases in 22 patients treated with modified $Brostr{\ddot{o}}m$ procedure under the diagnosis of chronic lateral ankle instability from May 2000 to August 2004. Average age was 32.3 years. Average follow-up period was 23 months.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radiographs of ankle anteroposterior view, lateral view and varus stress view were analyzed. The clinical evaluation was performed according to the Americal Orthopaedic Foot and Ankle Society scales. Results: After the modified $Brostr{\ddot{o}}m$ procedure, Americal Orthopaedic Foot and Ankle Society scales score was improved by average 28 points. Among the 22 cases, 13 cases were excellent, 3 cases good, 4 cases fair, and 2 cases poor with satisfaction of 73%. Five cases had intermittent ankle pain of whom 3 cases had difficulty during competitive sports activity. Lateral tilting of talus improved by average 5.4 degrees on varus stress view. Conclusions: The modified $Brostr{\ddot{o}}m$ procedure is one of the most effective methods for treating of chronic lateral ankle instability.

      •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 후 발생한 전경골 결절종 - 1례 보고 -

        전호승,전승주,김종민,서영래,Jeon, Ho-Seung,Jeon, Seung-Ju,Kim, Jong-Min,Seo, Young-Ray 대한관절경학회 2010 대한관절경학회지 Vol.14 No.2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 후에 발생한 전경골 결절종은 매우 드문 합병증으로 국내외에 그 보고가 매우 적으며, 몇몇 저자들이 그 발생 시기 및 원인들이 다양하다고 보고하고 있다. 저자들은 34세 남자에서 아킬레스 동종건과 생체 흡수성 간섭나사를 이용한 관절경적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 후 발생한 전경골 결절종 1예를 치험하였기에, 그 발생 원인 및 치료를 포함하여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Pretibial ganglion cyst after arthroscopic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is a very rare complication, and a few are reported in and outside the country. Some authors report that it may break out with a variety of causes at any time. We experienced a case of pretibial ganglion cyst after arthroscopic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using Achilles tendon allograft and bioabsorbable interference screw in 34-year-old male. So we report this case including the cause and the treatment with a review of the literature.

      • 원위 대퇴부 후방에 발생한 광범위 심부 농양의 내시경적 치료 - 증례 보고 -

        전호승,송지웅,Jeon, Ho-Seung,Song, Ji-Ung 대한관절경학회 2013 대한관절경학회지 Vol.17 No.1

        원위 대퇴부 후방은 주요 신경과 혈관이 위치하고 있고 여러개의 힘줄들과 근육들이 위치하여, 심부 근막 내에 농양이 발생시 근막, 힘줄과 근육을 따라 근위 대퇴부, 슬와부, 근위 하퇴부 후방 및 무릎 관절의 주변으로 광범위하게 퍼질 수 있다. 이런 경우에 단순히 항생제 투여만으로는 치료가 어렵고, 수술적인 배농과 변연 절제술이 필요하다. 하지만 고식적인 방법으로는 충분한 시야를 확보하기 어려울 수 있으며, 슬와부의 주요 신경과 혈관 등에 치명적인 손상을 줄 수도 있다. 저자들은 64세 남자 환자에서 발생한 좌측 원위 대퇴부의 광범위 심부 농양에 대하여 내시경적 치료를 시행하여 주요 신경, 혈관 등 정상 조직에 대한 손상이 없이 성공적인 결과를 얻었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At the posterior aspect of distal thigh, major nerves, vessels, muscles and tendons were located. So, if abscess occurs within deep muscular fascia of posterior aspect of distal thigh, it can be widely and deeply spread to proximal thigh, popliteal fossa, posterior proximal leg, surrounding areas of knee joint along deep fascia, muscles and tendons. In that case, it is difficult to eradicate the abscess using antibiotics without surgical drainage and debridement. But, it is often impossible to obtain satisfactory view of operative field with conventional technique and critical damage to major nerves and vessels in the popliteal fossa during operation may occur. We performed endoscopic treatment for extensive deep abscesses occurred in posterior aspect of distal thigh in 64-year-old man, and obtained satisfactory result without injury to the normal structures including major nerves and vessels. So we report this case with a review of relevant literatures.

      • 비복근 파열 후 혈종에 병발한 광범위 심부 농양의 내시경적 치료 - 1예 보고 -

        전호승,문찬삼,노행기,전성광,김종민,Jeon, Ho-Seung,Moon, Chan-Sam,Noh, Haeng-Kee,Jeon, Sung-Kwang,Kim, Jong-Min 대한관절경학회 2011 대한관절경학회지 Vol.15 No.2

        광범위 심부 농양의 치료는 일반적으로 절개 및 배농이 원칙이다. 그러나 철저한 절개배농을 위해서는 피부 절개의 범위가 커지게 된다. 또한 큰 절개에도 불구하고 좋지 않은 수술 영상 및 시야 확보가 힘든 경우가 있을 수 있어, 수술 과정에서 정상 조직에 대한 추가적인 손상과 큰 절개 반흔이 문제가 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고자 저자들은 비복근 파열로 인한 혈종에 병발한 광범위 심부 농양에 대하여 내시경적 치료를 시행하여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었으며, 기존에 보고된 바 없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For the treatment of deep extensive abscess, the incision and drainage is necessary. But in order to make a thorough incisional drainage we can't avoid the skin incision enlarged. Even if the incision is enlarged, it is often impossible to obtain a satisfactory view of operative field. Also, the additional damage to surrounding normal tissue during operation and the scars made by large incision may be problematic. To solve these problems, we performed the endoscopic treatment for extensive deep abscesses occurred in hematoma after rupture of gastrocnemius muscle and obtained the satisfactory results. It has not been previously described, so we report it with a review of the literature.

      • KCI등재

        불안정 대퇴골 전자간 골절 치료에서 ITST(TM) [Intertrochanteric/Subtrochanteric] 내고정과 활강 압박 고 나사 내고정 간의 비교

        전호승 ( Ho Seung Jeon ),박병문 ( Byung Mun Park ),송경섭 ( Kyung Sub Song ),김형규 ( Hyung Gyu Kim ),윤종주 ( Jong Ju Yun ) 대한골절학회 2009 대한골절학회지 Vol.22 No.2

        목적: 고령의 불안정 대퇴골 전자간 골절에서 활강 압박 고 나사와 ITST 골수강내 정을 이용한 치료의 유용성을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3년 3월부터 2007년 9월까지 대퇴골 전자간 골절로 내원하여 치료받은 150예 환자 중 70세 미만의 연령군 및 안정성 골절을 제외하고 1년 이상 추시가 가능했던 환자로 활강 압박 고 나사를 사용했던 37예 (DHS group)와 ITST 정을 사용했던 24예 (ITST group)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결과의 평가는 골유합 시기, 유합 후 전자부 골절 부위의 함몰 정도, 수술 시간, 출혈량, 술 후 합병증 및 Skovron의 기능적 회복 지수 평가표를 이용해 조사하였다. 결과: 평균 골 유합 시기는 활강 압박 고 나사를 이용한 경우와 ITST 골수강내 정을 이용한 경우 각각 16.2주, 14.7주가 걸렸고 유합 후 골절부 함몰 정도는 각각 8.7 mm, 7.2 mm로 측정되었다. 평균 수술 시간은 각각 76.9분, 57.9분, 평균 출혈량은 각각 227.4 ml, 67.7 ml로 측정되었다. 합병증은 두 군 모두 4예였다. Skovron의 기능적 회복 지수는 각각 73.7%, 76.5%였다. 결론: 불안정 대퇴골 전자간 골절 치료에 있어 ITST 골수강내 정은 수술시간, 출혈량 및 합병증을 줄이기 위해서는 권장할 만한 치료 방법 중의 하나라고 생각된다. Purpose: To evaluate between DHS and ITST nail (2nd generation) on the treatment of unstable femur intertrochanteric fracture in patients over 70 years old. Materials and Methods: 61 cases of unstable intertrochanteric fracture (grouped 37 patients with DHS and 24 patients with ITST) who were taken the operation from Mar. 2003 to Sep. 2007 were analysed regarding to union time, sliding length of lag screws, operation time, blood loss, postoperative complications and functional recovery score by Skovron. Results: The mean union time was 14.7 weeks in study group (ITST). The mean union time was 16.2 weeks in control group (DHS). The lag screw slidings were 7.2 mm in study group and 8.7 mm in control group. The operation times were 57.9 min in study group and 76.9 min in control group. The amount of blood loss were 67.7 ml in study group and 227.4 ml in control group. The complications were 4 cases in study group and 4 cases in control group. The Skovron recovery scores were 76.5% in study group and 73.7% in control group. Conclusion: From a practical point of short operation time, less amount of bleeding and less complication, author think that the ITST nail is useful implant for treatment of unstable femur intertrochanteric fracture in patient of old age.

      • KCI등재

        Hook 금속판을 이용한 쇄골 원위부 불안정성 골절의 치료 결과 분석

        전호승(Ho-Seung Jeon),우영균(Young-Kyun Woo),황석하(Seok-Ha Hwang),서승표(Seung-Pyo Suh),강서구(Seo-Goo Kang),이준경(Joon-Kyung Lee) 대한정형외과학회 2014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9 No.5

        목적: 쇄골 원위부 불안정성 골절을 Hook 금속판으로 치료한 결과 및 합병증을 분석하고, 금속판 제거 전, 후의 기능적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9년 3월부터 2012년 12월까지 쇄골 원위부 불안정성 골절(Neer type II)을 Hook 금속판으로 수술 후 금속판을 제거한 20예를 분석하였다. 술 후 평균 추시는 12개월(8-20개월), 금속판 제거는 술 후 평균 18주(10-36주)였다. 임상적 기능 평가는 University of California at Los Angeles (UCLA)와 Korean Shoulder Scoring System (KSS) 점수를, 방사선학적 평가는 단순 방사선사진을 이용하였다. 결과: 방사선학적 평가상 20예 중 20예 모두 술 후 평균 11.4주(8-20주)에 골 유합을 얻었다. 20예 모두 술 후 견관절 운동 감소, 동통 등을 보였고, 금속판 제거 후 20예 모두 제거 전보다 UCLA 및 KSS 점수가 향상되었다. 결론: 쇄골 원위부 불안정성 골절 치료에서 Hook 금속판 고정술은 견고한 고정력을 얻을 수 있어 유용한 방법이나 술 후 견관절 운동 감소, 동통 등 합병증이 있어 골 유합 시 가능한 한 조기에 Hook 금속판을 제거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reatment results and complications in unstable distal clavicle fractures which were treated with a Hook plate, and, in particular, to compare the functional results before and after removal of the Hook plate. Materials and Methods: We examined 20 cases in 20 patients who underwent removal of Hook plates after bony union was obtained in an unstable fracture of the distal clavicle (Neer type II) from March 2009 to December 2012. The average follow-up period after initial surgery was 12 months (8-20 months). Plates were removed at 18 weeks (ranged from 10-36 weeks) after initial fixa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at Los Angeles (UCLA) and Korean Shoulder Scoring System (KSS) scores were used for clinical functional evaluation, and plain radiographs were used for radiological evaluation. Results: In radiological evaluation, bony union was obtained at an average of 11.4 weeks (ranged from 8-14 weeks) in all of the 20 patients. All of the 20 patients showed limited range of motion, mild pain, and discomfort of the shoulder before removal of the Hook plate, and all of the 20 patients showed better results in UCLA and KSS score after removal of the plate, when compared to before removal. Stress fracture as a major complication, was united completely with a ‘figure of 8’ bandage and deep wound infection was resolved after repeated debridement and antibiotic treatment with satisfactory functional results. Conclusion: Hook plate in treatment of unstable fracture of the distal clavicle is considered to be a useful method because rigid fixation can be obtained. However, there are some complications, such as limited range of motion, pain, and discomfort of the shoulder joint, before removal of the Hook plate. Therefore, we think that removal of the Hook plate as soon as possible if bony union is obtained would be desirable.

      • KCI등재

        원인 미상의 요추의 유착성 지주막염에 의해 발생한 마미 증후군

        전호승(Ho-Seung Jeon),황석하(Seok-Ha Hwang),서승표(Seung-Pyo Suh),김재남(Jae-Nam Kim) 대한정형외과학회 2019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4 No.4

        유착성 지주막염은 지주막하 공간과 연수막의 염증과 섬유화를 의미하며, 이는 심한 진행성 병변으로 대부분의 경우 중추신경계의 감염, 척추의 외상, 척추 혈관의 비정상, 이전 수술 과거력과 척추로 마취제나 조영제의 주입 등 대부분 척추에 대한 손상에 의하여 발생한다. 척수와 신경근이 압박되어 보행장애, 하지의 방사통증, 마비, 대소변의 실금 등과 같은 신경학적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그러나 유착성 지주막염으로 인하여 발생한 마미 증후군에 대한 보고는 아직까지 국내에서는 없었다. 저자들은 명확한 원인을 찾을 수 없었던 요추의 유착성 지주막염으로 인하여 발생한 마미 증후군 1예의 환자에 대하여 감압술을 시행하였으며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었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Spinal adhesive arachnoiditis is an inflammation and fibrosis of the subarachnoid space and pia mater caused by infection, trauma, spinal vascular anomalies, and iatrogenic (surgery and/or puncture). Adhesive arachnoiditis develops various symptoms and signs (gait disturbances, radiating pain, paralysis, and incontinence). On the other hand, adhesive arachnoiditis associated with cauda equina syndrome has not been reported in Korea until now. The authors experienced cauda equina syndrome caused by adhesive arachnoiditis of the lumbar spine with satisfactory results following decompression. We report this case with a review of the relevant literature.

      • KCI등재

        관절경적 반월연골판 봉합술 후 발생한 수술 후 화농성 관절염

        전호승(Ho Seung Jeon),우영균(Young Kyun Woo),황석하(Seok Ha Hwang),서승표(Seung Pyo Suh),정호원(Ho Wong Jeong) 대한정형외과학회 2017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2 No.1

        슬관절 관절경 수술 후 발생한 화농성 관절염의 발생률은 대략적으로 0.04%-3.4%로 보고되고 있다. 관절경하 반월연골판 봉합술 후 발생한 화농성 관절염은 더욱 드물어 해외에서는 몇몇 사례가 보고되어 있으나, 국내에서는 아직까지 보고된 바 없다. 저자들은 관절경적 반월연골판 봉합술을 시행한 환자에서 발생한 수술 후 화농성 관절염 2예를 경험하였으며, 이를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The incidence of septic arthritis after knee arthroscopy surgery has rarely been reported in approximately 0.04% to 3.4%. Moreover, septic arthritis after arthroscopic meniscal repair is more rare. There have been some reported cases, but in Korea, it has not been reported thus far. Herein, we report two cases of septic arthritis after arthroscopic meniscal repair with review of litera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