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김조순 집권의 정치사적 조명

        김태희,Kim. Tae-Heui 대동한문학회 2015 大東漢文學 Vol.43 No.-

        김조순의 집권은 정조의 선택으로부터 비롯되었다. 정조는 왜 김조순 또는 안동 김문을 선택했는가? 이즈음 정치세력 내지 정치지형에 나타난 추세를 어떻게 볼 것인가? 정조의 탕평정치의 성과에도 불구하고 왜 정조가 죽자 세도정치가 출현했는가? 외척 세도는 종래 외척의 전횡과 어떻게 다르며, 군주제적 질서와 어떤 관계를 갖고 있는가? 정조에 의한 김조순의 집권은 안동 김문의 정치적 승리를 의미했다. 안동 김문은 17세기 이래 주자학적 의리명분론의 상징이었으며, 영조를 즉위하게 한 노론의 핵심이었다. 안동 김문은 정조의 지향에 부합했다. 붕당이 퇴조하고 가문이 정치세력으로 부상했다. 벌열을 중심으로 정치 의 독과점이 추진되어가는 큰 흐름이 있었다. 정조의 탕평은 일시적으로 이를 저지했을 뿐이다. 더욱이 탕평정치의 유산은 노론 벽파가 파괴해버렸다. 노론 벽파가 축출되었지만 정치 참여 축소의 흐름은 결국 세도정치로 귀결되었다. 전제권력을 견제하기 위한 유교정치의 여러 장치가 약화된 가운데, 벌열 의 배경을 지닌 외척 세도가가 비변사를 통해 효과적으로 전권을 장악했다. 김조순은 자제력과 조정력으로 벌열 중심의 타협과 안정을 이뤘지만, 사족 층의 소외, 서민층의 불만이라는 시대적 문제에 대해 별다른 공업을 남기지 못했다. Kim Jo-soon(金祖淳)'s seizure of power originated from King Jeongjo (正祖)'s choice. Why did King Jeongjo choose Kim and Andong Kim's family(安東 金門)? What trend was seen in politics power change in the late of Joseon(朝鮮)? In spite of King Jeongjo's Tangpyeong(蕩平, Impartiality)-politics, why Sedo(勢道)-politics appeared after the death of King Jeongjo? What's difference between the Sedo-politics and usual arbitrariness by the maternal relatives of the King? Which relations the Sedo-politics did have with monarchy order? Kim Jo-soon's seizure of power means the political victory of Andong Kim's family. Andong Kim's family had been the symbol of neo-Confucian justice and cause since 17C. And the family was the core of Noron(老論) who made King Yeongjo ascend the throne. The family accorded with King Jeongjo's orientation. The faction(朋黨) was in decline and Family was rising as political power. There was a growing trend of political monopoly or oligopoly by meritorious families(閥閱). It was stopped temporarily by King Jeongjo's Tangpyeong-politics and that's all. The heritage of King Jeongjo's Tangpyeong-politics was destroyed by Noron Byeok-pa(僻派). Even though Noron Byeok-pa was ousted, the trend of political monopoly or oligopoly resulted in Sedo-politics. The Confucianism-politics system restraining despotic power had been weakened. Meanwhile the influential maternal relatives backed by his meritorious family seized power through Bibyeonsa(備邊司) and it's effective means. Kim made a compromise and calmness among powerful families with self-control and coordination. But he didn't try to cope with alienation of scholar-gentry and complaints of ordinary people. he failed to meet the requirements of the time.

      • KCI등재

        다산 정약용의 군주론과 『경세유표』

        김태희 ( Kim Tae Heui )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21 동방학지 Vol.181 No.-

        「원목」, 「탕론」, 「일주서극은편변」의 세 논설은 일관성을 유지하고 있다. 「원목」에서 군주의 기원을 밝히고 군주 권력의 정당성이 민에 있음을 선언했다(‘牧爲民有’). 「탕론」에서 ‘하이상(下而上)’의 원칙을 다시 밝히고, 군주 교체의 정당성과 한계를 제시했다. 이러한 논의는 「일주서극은편변」에서 ‘제명(帝命)’과 ‘후대(侯戴)’의 두 개념으로 정리했다. 군주론(君主論)이요 민론(民論)이며 민의(民意)와 천명(天命)이 강조되지만, 현실적으로는 제후(諸侯)와 같은 중간 지도자와 ‘지천명자(知天命者)’와 같은 현명한 신료가 중요한 존재가 되어 있다. 다분히 엘리트주의적이다. 세 논설에서 ‘옛날’과 ‘지금(또는 후세)’으로 시대를 구분하고 있는데, 이는 방편의 성격이 강하다. 즉 현실의 좁은 인식의 한계를 넘어 현실을 지양할 수 있게 하고, 이념형을 대립적으로 제시함으로써 바람직한 형태를 지향할 수 있게 한다. 『경세유표』는 군주의 소임과 바람직한 군주상을 제시한 것으로, 군주권의 근거를 밝힌 세 논설과 그 논의의 초점이 다르다. 『경세유표』는 황극(皇極)으로 표현되는 강력한 군주와 ‘군주 중심의 일원적 관료 시스템’을 지향하고 있다. 그러나 강력한 군주는 전제적 절대군주가 아니다. 왕정(王政)의 시행을 위해 공적(公的) 시스템이 효율적으로 작동하게 하는 최종책임자로서의 의미를 가진다. 지도자의 부지런함과 치밀함을 요구하는 유위(有爲)의 정치론이 이를 뒷받침한다. 군주중심이고 사공적(事功的)이지만, 공적(公的) 존재로서의 신료를 강조하고 궁극적으로 도덕적 사회를 지향함으로써 유가적(儒家的) 특성을 벗어나진 않고 있다. 다산의 군-신-민의 3단계 구조에서 각자는 매우 적극적인 지위를 점하고 있다. 상호 보완적 성격을 띠지만, 문제적 상황에서는 ‘견제와 균형’의 원리와 비견할 만한 긴장관계를 조성할 가능성이 있다. There is logical consistency between "Wonmok (原牧)", "Tangron (蕩論)" and "Iljuseogeukeunpyeonbyeon (逸周書克殷篇辨)," which were all written by Jeong Yakyong (丁若鏞, 1762-1836). In "Wonmok," he proved the origin of the monarch and declared that the legitimacy of power lay in people. He showed the principle of “Up from below (下而上)” again and the justification and limitations of changing the ruler in "Tangron". His discussion was summarized in “Jemyeong (帝命)” and “Hudae (侯戴)” in "Iljuseogeukeunpyeonbyeon". His monarch theory emphasized the will of the people and Heaven's will. Middle leaders such as Jehu (諸侯) and wise advisers who knew Heaven's will were also important. His discussion was rather elitist. In his three articles, he invoked two periods: the past and present. This was a kind of expedient to overcome cognitive limitations and suggest an opposite ideal type. Gyeongseyupyo (經世遺表) detailed what should been done by the monarch and what a desirable monarch is like. The three article outlined where the power of the monarch came from. In Gyeongseyupyo, a strong monarch as Hwanggeuk (皇極) and a unitary bureaucratic system are advocated. The strong monarch is not an absolute monarch, but the final man responsible for making the public system work efficiently to realize Wangjeong (王政). In this one-elite-people system, each position has a very positive meaning.

      • KCI등재

        조선후기 상업진흥론과 실학담론의 재구성

        김태희(Kim, Tae Heui)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2017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Vol.16 No.1

        본 논문은 조선후기 상업진흥론의 사상사적 위상을 살피면서, 실학담론을 재구성하기 위한 것이다. 유수원과 박제가는 중의경리, 무본억말, 절검론을 극복했다. 상업진흥을 주장했으며, 아울러 사민평등과 사회적 분업과 전문화를 기대했다. 국부보다 민부를 우선시하고, 수기치인론적 논리 기반을 갖고 있다는 점에서 유가적 경세론이었다. 치인의 경세론은 구체적 방법론으로서 논자마다 차이가 있을 수 있는데, 실학파 사이의 상업관의 차이도 그런 것이다. 세 가지 명제에 초점을 맞춤으로써 실학담론을 재구성해보았다. 첫째, 수기치인론 내지 도기론에 입각하여 치인의 경세론에 고민하며 정신과 물질의 조화와 균형을 도모하는 것이다. 둘째, 중심과 주변의 구조에서 고유성과 세계성의 조화를 이루고, 선진문명을 적극 수용하면서도 주체성을 유지하는 것이다. 셋째, 진리와 실천의 기준을 실사에서 찾는 실사구시의 태도를 견지하는 것이다. 유수원과 박제가는 이용후생과 북학을 주장했고, 실사구시적 태도를 견지했다. This paper focussed on Commerce Promotion Theories" position in the history of thought and I attempted to recast Silhak Discourse. Yu Su-won and Pak Je-ga overcame the disvalue of profit, the restrain of commerce and the trend of thrift. They insisted on commercial promotion and expected the equality of the four classes(scholars, farmers, artisans and tradesmen), social division and specialization. Their argument put the wealth of people above that of nation and was based on the theory of "self-discipline" and "ruling the other". So it was the so-called "Confucian Statecraft Theory". The Statecraft Theory was a specific method. There were specific differences in accordance with the advocates. The different view-point on commerce among Silhak scholars was something like that. Focusing on three propositions in Silhak contents, I reformed Silhak Discourse. The first one is Statecraft Theory of "ruling the other." It"s to keep a balan ce betw een sp iritual th in gs and m aterial thin gs. The second is to pursue the harmony between uniqueness and universality incenter-surround structure, and to keep its independence on accepting an advanced civilization. The third is to maintain the practical attitude. Yu and Pak called for promoting public welfare and accepting the advanced civilization with the practical attitude.

      • KCI등재후보

        정조(正祖)의 문체정책의 양면성

        김태희(Kim, Tae Heui)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2012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Vol.11 No.1

        본 논문은 정조의 문체정책이 학문적 성격과 정치적 성격의 양면성을 갖고 있다는 입장에서 본 것이다. 학자군주로서 군사(君師)를 자임하고 학문정치를 지향하는 정조에게 문체는 본래부터 중요한 문제였다. 그러나 정조가 본격적으로 문체정책을 제기한 것은 천주교 문제로 탕평정국의 일각을 이루던 남인들이 위기에 처했기 때문이었다. 정조의 학문관은 실제적ㆍ실천적 학문관, 개방적ㆍ포용적 학문관, 육경을 종주로 하는 일통적 학문관 등으로 정리할 수 있다. 정조가 천주교 문제에 문체 문제를 바로 결부시켜 정학론을 주장한 것은 이러한 평소의 학문관에 입각한 것이었다. 이와 동시에 갈등전략이 작동했다. 정치적 대립과 균형 속에 갈등을 완화하고 상위의 문제를 통해 갈등을 해소하려는 것이었다. 정조의 학문정치 내지 정학론은 정치문제의 학문적 접근을 강조함으로써 폭력을 배제하거나 완화하는 효과를 거두었다. 그렇지만 다른 한편으로 학문의 내용 자체와 학문정책이 보수화되는 현상을 초래했다. This treatise studies the academic and political aspects of King Jeongjo’s policy on writing style(文體). King Jeongjo regarded himself as a Goonsa(君師, lord and teacher at the same time) and aimed at scholarship politics(學問政治), where scholastic learning would be fully reflected in governance. So he regarded writing style very important politically. However what spurred him to action regarding policies on writing styles was the advent of Catholicism. This is because many of the Namin(南人, one of political factions during the Joseon dynasty) joining Jeongjo’s cabinet of integration became Catholics and King Jeongjo intended to protect them from political attack of the opposite faction. King Jeongjo had practical, open but authentic attitude on scholarship. He combined the issue of Catholicism with the issue of writing style, in promoting his ideas on Jeonghak(正學: authentic scholarship). His efforts were also an attempt to manage political conflict in court, keeping antagonistic forces in check and balance by not engaging a problem directly but creating an issue on a higher plane. The academic approach on the political problem had the positive effect of excluding or alleviating violence. On the other hand, there were also negative effects, namely a more rigid and conservative scholarship as opposed to academic openness and tolerance.

      • KCI등재

        실학담론의 재구성과 양득중의 실사구시론

        김태희 ( Kim Tae-heui ) 한국실학학회 2021 한국실학연구 Vol.- No.41

        실학담론은 역사적 소산이다. 근대주의와 민족주의를 지향하는 실학담론은 이제 한계에 이르렀다. 종래 실학으로 파악했던 내용을 세 가지 명제로 재구성해 보았다. 첫째 道器不相離論. 道와 器(또는 修己와 治人)는 서로 떨어질 수 없는 보완 관계라는 생각이다. 그동안 ‘경세치용론’과 ‘이용후생론’의 기술개발, 제도개혁, 민생개선 주장에 주목해왔다. 이것이 여전히 중요하지만, 이제는 물질적인 부분만 강조할 수는 없다. 정신과 물질의 조화와 균형을 도모해야 한다. 둘째 華夷一也論. 모든 공동체와 문명은 동등한 가치를 갖는다는 관점이다. 그동안 탈중국중심주의 경향과 북학론 등을 실학으로 파악해왔다. 주체성의 강조가 자칫 자폐에 빠질 수 있고, 보편성 추구가 자칫 종속으로 흐를 수 있다. 양 편향을 극복하고, 세계의 보편성과 주체의 고유성을 조화롭게 결합해야 한다. 이것은 문명과 야만을 구분하는 프레임 자체를 극복한 ‘華夷一’ 사상에서 출발해야 한다. 셋째 實事求是論. 진리와 실천의 준거를 實心과 實事에서 찾는 자세 또는 作風이다. 실사구시의 의미는 덕촌 양득중의 실사구시론에서 구해야 한다. 덕촌은 ‘실사구시’의 제창과 함께, 『반계수록』을 추천함으로써 실학의 역사에 중요한 기여를 했다. 본고는 새로운 실학담론 논의에 일조하기 위한 것이다. 이 논의에는 法古創新의 정신이 필요하다. Silhak discourse is a historical product. Silhak discourse oriented towards modernism and nationalism has now reached its limit. I have reconstructed the contents that had been grasped as Silhak into three propositions. The first is ‘Dogi Inseparability Theory(道器不相離論)’. It is the idea is that Do[道] and Gi[器](or Sugi[修己] and Chiin[治人]) are complementary to each other. In the meantime, we have been paying attention to the claims of technology development, institutional reform, and improvement of people's livelihoods in ‘Gyeongsechiyong Theory(經世致用論)’ and ‘Iyonghusaeng Theory[利用厚生論]’. This is still important, but now we can't just focus on material things. We must seek harmony and balance between the spiritual and the material. The second is ‘Civilization and Barbarian’s Equality Theory(Hwaiilya Theory(華夷一也論))’. It is the viewpoint that all communities and civilizations have equal values. In the meantime, we have grasped the De-Sinocentrism(脫-中華主義) tendency and the ‘Bukhak Theory(北學論)’ as Silhak. The emphasis on subjectivity could fall into autism, and the pursuit of universality could lead to subordination. We must overcome both biases and harmonize the universality of the world with the uniqueness of the subject. This should start with the idea of ‘Hwaiil(華夷一)’ that overcomes the frame itself that separates civilization from barbarism. The third is ‘Silsagusi Theory(實事求是論)’. ‘Silsagusi’ is an attitude or style that seeks the basis of truth and practice in sincerity and reality. The meaning of ‘Silsagusi’ should be drawn from the argument of Yang Deuk-joong(梁得中). He made an important contribution to the history of Silhak by recommending < Bangyesurok(磻溪隨錄) > along with the proposition of ‘Silsagusi’. This paper is intended to contribute to the discussion of a new Silhak discourse. This discussion requires the spirit of ‘Beopgochangshin(法古創新)’.

      • KCI등재

        Resveratrol이 포도주의 관능평가에 미치는 영향

        김태희(Tae-Hee Kim),이동희(Dong-Heui Yi),김형주(Hyung Joo Ki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9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8 No.12

        본 연구에서는 한국에서 시판되고 있는 14종의 포도주를 포도주 생산 연도별(2003, 2006, 2007), 포도 품종별(Malbec, Carmenere, Merlot, Syrah, Cabernet Sauvignon, Chardonnay), 포도주 생산 지역별(남아프리카 공화국, 아르헨티나, 호주, 미국, 칠레)로 준비하여 각 포도주의 resveratrol 함량을 HPLC로 분석하였다. 분석을 통하여 동일 회사, 동종 포도주라도 연도에 따라서 resveratrol 함량이 다르고, 같은 품종이라도 지역에 따라, 같은 자연환경이라도 품종에 따라 resveratrol 함량의 차이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포도주 생산 연도별(2003, 2006, 2007), 포도주를 제조할 때 사용한 포도 품종별(Malbec, Carmenere, Merlot, Syrah, Cabernet Sauvignon, Chardonnay), 포도주를 생산한 나라별(남아프리카 공화국, 아르헨티나, 호주, 미국, 칠레)로 관능평가를 실시하여 resveratrol 함량이 포도주에서 향(나무냄새, 페놀향), 맛(떫은맛), 색(붉은색, 황금색), 수렴성(쓴맛)과 무게감등에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대부분의 적포도주는 resveratrol 평균 함량 0.2~5.8 ㎎/L 범주에 있었고, 백포도주는 대부분의 적포도주보다 낮은 함량으로 확인되었다. Resveratrol 함량의 분석 결과와 관능평가를 비교한 결과 phenol 화합물의 한 종류인 resveratrol 함량이 높을수록 관능평가의 점수도 평균적으로 높이 평가되었다. 14종의 포도주를 관능평가에서 백포도주는 대부분의 적포도주보다 모든 항목에서 낮은 점수를 얻었고, 적포도주는 껍질이 두껍고 씨가 굵고 많은 품종일수록 관능평가의 각 항목에서 평균적으로 높은 점수로 평가되었다. Resveratrol를 포함하는 포도주의 각종 phenol 화합물 성분은 포도껍질에 많이 존재하며, 포도주 제조 시 발효로 생성된 에탄올에 의하여 포도주에 용출되어, 적포도주는 백포도주보다 그 함량이 많고, 일반적으로 포도주는 1700~1900 ㎎/L의 농도를 가지고 있는데, 본 연구 결과 resveratrol 농도 비례관계에 있는 phenol계 물질들은 주로 적포도주에서 붉은 색깔과 씁쓸하고 텁텁한 맛의 평가에 영향을 주고, 포도주의 숙성에 많은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포도주의 향중 나무 냄새, 페놀 향에 영향을 주며, 수렴성과 무게감 등 관능평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In this study, effect of resveratrol concentration on wine taste was investigated. Content of resveratrol in 14 different wines were quantified using HPLC. The resveratrol concentrations in the Australian wine samples (grape species: Syrah) with 3 vintage years were analyzed and different concentrations of resveratrol were observed (2.89~3.84 ㎎/L). Variation in wine grape species with the same wine manufacturer (Chile, 2006) and variation in different manufacturing country of origin with same wine grape species (Cabernet Sauvignon, 2006) also produced the variations in resveratrol concentration. The preference analysis (color, aroma, taste, astringency and overall acceptability) of the sample wines were determined by 15 panelists using 5-point hedonic scale. When the analysis results of the resveratrol concentrations in the sample wines were compared with the preference analysis of sample wines, the resveratrol concentration in the wine produced the positive effects in the wine preference analysis in the factors of aroma, taste and color.

      • KCI등재

        다산 정약용의 군주론과 『경세유표 』

        김태희(Kim, Tae Heui)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17 동방학지 Vol.181 No.-

        원목 , 탕론 , 일주서극은편변 의 세 논설은 일관성을 유지하고 있다. 원목 에서 군주의 기원을 밝히고 군주 권력의 정당성이 민에 있음을 선언했다(‘牧爲民有’). 탕론 에서 ‘하이상(下而上)’의 원칙을 다시 밝히고, 군주 교체의 정당성과 한계를 제시했다. 이러한 논의는 일 주서극은편변 에서 ‘제명(帝命)’과 ‘후대(侯戴)’의 두 개념으로 정리했다. 군주론(君主論)이요 민론(民論)이며 민의(民意)와 천명(天命)이 강조되지만, 현실적으로는 제후(諸侯)와 같은 중간 지도자와 ‘지천명자(知天命者)’와 같은 현명한 신료가 중요한 존재가 되어 있다. 다분히 엘리트주의적이다. 세 논설에서 ‘옛날’과 ‘지금(또는 후세)’으로 시대를 구분하고 있는데, 이는 방편의 성격이 강하다. 즉 현실의 좁은 인식의 한계를 넘어 현실을 지양할 수 있게 하고, 이념형을 대립적으로 제시함으로써 바람직한 형태를 지향할 수 있게한다. 『경세유표』는 군주의 소임과 바람직한 군주상을 제시한 것으로, 군주권의 근거를 밝힌 세 논설과 그 논의의 초점이 다르다. 『경세유표 』는 황극(皇極)으로 표현되는 강력한 군주와 ‘군주 중심의 일원적 관료 시스템’을 지향하고 있다. 그러나 강력한 군주는 전제적 절대군주가 아니다. 왕정(王政)의 시행을 위해 공적(公的) 시스템이 효율적으로 작동하게 하는 최종책임자로서의 의미를 가진다. 지도자의 부지런함과 치밀함을 요구하는 유위(有爲)의 정치론이 이를 뒷받침한다. 군주중심이고 사공적(事功的)이지만, 공적(公的) 존재로서의 신료를 강조하고 궁극적으로 도덕적 사회를 지향함으로써 유가적(儒家的) 특성을 벗어나진 않고 있다. 다산의 군-신-민의 3단계 구조에서 각자는 매우 적극적인 지위를 점하고 있다. 상호 보완적성격을 띠지만, 문제적 상황에서는 ‘견제와 균형’의 원리와 비견할 만한 긴장관계를 조성할 가능성이 있다. There is logical consistency between Wonmok (原牧) , Tangron (蕩論) and Iljuseogeukeunpyeonbyeon (逸周書克殷篇辨), which were all written by Jeong Yakyong (丁若鏞, 1762-1836). In Wonmok, he proved the origin of the monarch and declared that the legitimacy of power lay in people. He showed the principle of “Up from below (下而上)” again and the justification and limitations of changing the ruler in Tangron . His discussion was summarized in “Jemyeong (帝命)” and “Hudae (侯戴)” in Iljuseogeukeunpyeonbyeon . His monarch theory emphasized the will of the people and Heaven s will. Middle leaders such as Jehu (諸侯) and wise advisers who knew Heaven s will were also important. His discussion was rather elitist. In his three articles, he invoked two periods: the past and present. This was a kind of expedient to overcome cognitive limitations and suggest an opposite ideal type. Gyeongseyupyo (經世遺表) detailed what should been done by the monarch and what a desirable monarch is like. The three article outlined where the power of the monarch came from. In Gyeongseyupyo, a strong monarch as Hwanggeuk (皇極) and a unitary bureaucratic system are advocated. The strong monarch is not an absolute monarch, but the final man responsible for making the public system work efficiently to realize Wangjeong (王政). In this one-elite-people system, each position has a very positive meaning.

      • 근대 이전 시기 "동인(東人)"의식의 구조와 그 변천 -단군(檀君)인식과 기자(箕子)인식 및 화이론(華夷論)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김태희 ( Tae Heui Kim ) 한국민족학회 2009 민족학연구 Vol.8 No.-

        이 논문은 근대이전 시기 한국사 속에 존재하였던 민족의식의 한 표출양상이라 할 수 있는 동인의식(東人意識)에 대해 살핀 것이다. 동인의식은 고려가 강력한 외세인 몽골제국의 침입에 맞서는 시기에 형성되었다. 동인의식은 단군과 기자를 매개로 고유성과 보편성, 종족성과 세계성, 자주의식과 문명의식을 조화롭게 결합시켰다. 특히 기자인식은 화이관에 입각한 문명의식과 함께 상대적 독립성을 확보하는 절묘한 장치였다. 그러나 기자는 문명의식과 함께 중화주의의 침식과 융합을 허용하는 미묘한 존재이기도 하였다. 그리하여 근대 이전 시기의 동인의식이 중화라는 보편적 문명으로 보강되거나 중국 중심의 타자준거(他者準據)적 사유에 의해 공허해지는 현상들이 교착되었다. 내외적 충격을 계기로 단군인식과 기자인식의 결합구조는 논자에 따라 다양한 변주를 낳았다. 현실세계에서의 열패감을 자존의식의 회복과 문화의식의 고취로 대응하고자 했으며, 주자성리학의 지배적 지위가 더욱 공고히 되면서 화이론 또한 강화된 형태를 띠게 되었다. 중화에 결코 문화적으로 뒤지지 않는다고 자부하는 소중화의식은, 아예 유일한 중화임을 자처하는 조선중화주의로 나아갔다. 화이론은 보편적 선진문명에 대한 적극적 태도를 낳고 세계적응에 긍정적 기여를 했지만, 심각한 한계도 드러냈다. 소중화의식 내지 조선중화주의가 갖는 자존의식에도 불구하고, 화이론은 타자준거적 성격을 잠재하고 있었다. 관념적 명분론에 가려 현실을 직시하는 것을 어렵게 하고, 분별과 배제의 논리는 과잉된 배외의식과 자폐를 초래하여, 세계를 객관적으로 보고 현실을 타개해 나가는 것을 방해하였다. 역사상 북벌론의 귀추가 이를 잘보여준다. 또 한국 근대내셔널리즘 형성기에 위정척사 계열이 지도력 상실한 것이나, 시대의 흐름에 따라 기자조선이 탈락한 것은 화이론의 종말을 보여주는 것이었다.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cognition structure and its change of national consciousness or the equivalent before modern times. In the late Goryeo Dynasty, Dongin-Consciousness(東人意識) was formed against strong foreign power, the Mongol Empire. There were Dangun(檀君) and Gija(箕子) on the base of Dongin-Consciousness. While Dangun symbolized the originality and the identity, Gija was perceived as the messenger of the universality and the civilization. Comming from Hwai-Theory(華夷論), the cognition structure of Gija connoted both civilization and independence. The respect for Gija did not mean to be subject to Chinese civilization. After two war, Joseon-Joonghwa theory changed viewpoint from China-centric to Joseon-centric. But it was still in Hwai theory. Joseon-Joonghwa theory was good for self-respect, but made it difficult to adapt to the new surroundings because of excessive antiforeign and close attitude. Overall reflection on this problem made Silhak scholars to try to overcome Hwai-Theory. As China-centric world was gone and western Europe-centric world came, Gija was unnecessary and Dangun remained alone.

      • 다산의 해배과정과 19세기 정치적 상황

        김태희(Kim, Tae-Heui) 연세대학교 강진다산실학연구원 2018 다산과현대 Vol.11 No.-

        정약용이 유배를 가게 된 것은 정순왕후 집안인 경주 김씨 세력과 노론벽파가 일으킨 신유옥사에 의해서였다. 여기에 남인계의 반(反)채제공 세력의 가세가 있었다. 신유옥사를 일으킨 경주 김씨 세력과 노론벽파가 정치적으로 패퇴한 후에, 정국은 김조순 세력과 박종경 세력의 대립 양상으로 바뀌었다. 정약용의 해배 움직임은 채제공 신원운동으로 시작되었다(1806). 정약용 아들의 격쟁을 계기로 유배보다 가벼운 방축향리의 명령이 내려졌으나 이기경의 대계로 저지되었다(1810). 채제공 신원운동이 다시 전개되고, 정약용 사건이 정계되었다(1814). 그렇지만 일부 반발 속에 석방 공문을 보내지 않아 정약용은 풀려나지 못했다. 채제공의 신원과 정약용의 해배에는 죽란시사 멤버들의 적극적인 활약이 있었고, 다른 한편으론 일부 남인계 인사들의 극렬한 저지활동이 있었다. 1817년 12월 박종경의 죽음으로 김조순이 독점적으로 권력을 장악했다. 조정이 김조순 세력으로 포진된 가운데, 정약용에 대한 석방 공문이 발해졌다. 정약용은 마침내 18년의 유배에서 풀려나 9월 고향에 돌아올 수 있었다. Jeong Yak-yong[丁若鏞]"s exile was caused by Shin-yoook-sa[辛酉獄事] judgment initiated by Queen Jeongsun[貞純王后] and Noron Byeok-pa[老論僻派]. There was the join of Namin[南人] anti Chae Je-gong[蔡濟恭](so-called Gong-seopa[攻西派]). After Queen Jeongsun and Noron-Byeokpa were defeated politically, the political situation had changed into a rivalry between Kim Jo-soon[金祖淳] and Park Jong-gyeong[朴宗慶]. The activity for the release of Jeong Yak-yong was launched along with a campaign to restore Chae Je-gong"s honor(1806). In the wake of Jeong Yak-yong"s son"s appeal, he was or dered to live in the countryside lighter than in exile, but was prevented by Lee Gi-gyeong[李基慶](1810). While the campaign to restore Chae Je-gong"s honor had been reopened, Jeong was removed from the list of criminals(1814). But Jeong was not released because an official document for release wasn"t issued due to some opposition. There was an active effort by the members of Juk-ranshi-sha[竹欄詩社] for Chae"s reinstatement and Jeong"s release, on the other hand there was a sharp deterrent by some Namins. In December 1817, with Park Jong-kyung"s death, Kim Jo-soon gained exclusive power. With the administration comprised of Kim figures, an official document of release was issued for Jeong. Jeong was finally released from his 18-year exile and was able to return to his hometown in September.

      • KCI등재

        무열분해법으로 증착한 SnO₂ 박막의 방향성과 결함구조

        김태희(Tae Heui Kim),박경봉(Kyung Bong Park) 한국태양에너지학회 1998 한국태양에너지학회 논문집 Vol.18 No.2

        분무열분해법으로 SnO₂ 박막을 증착하여 기판표면의 온도에 따른 방향성과 결함을 조사하였다. 기판의 온도가 300℃ 일 때부터 결정성 박막이 증착되었다. 기판의 온도가 400℃까지 증가함에 따라 (200)면이 우선적으로 성장하였으며 결정립의 크기도 증가하였다. Sb를 첨가하지 않은 박막은 Sn과 O로 구성되어 있으며 산소공위를 포함한다. Sb를 첨가한 박막은 산소공위 외에 Sn 위치와 O위치에 각각 치환된 Sb와 Cl을 가진다. Tin oxide films deposited by spray pyrolysis have defects and preferred orientations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of substrate. The growth of crystalline deposits began at the substrate temperature of 300℃. With increasing substrate temperature the plane (200) growed preferentially and above 400 ℃, planes of higher indices. Grain size increased with increasing substrate temperature up to 400℃. Undoped film is composed of Sn and O, and contains oxygen vacancies. Film doped with antimony has defects such as oxygen vacancies, antimony substituted on Sn and chlorine on oxyg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