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목적 그린하우스의 동절기 실내온열환경 특성에 관한 실측 연구

        김순주,나수연,Kim, Soon-Joo,Na, Su-Yeun 한국태양에너지학회 2007 한국태양에너지학회 논문집 Vol.27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passive control and energy conservation strategies of multipurpose greenhouse. Passive design strategies which are appropriate to Jeju environmental circumstance were applied in the multipurpose greenhouse. The field measurement were conducted to examine relationship of micro climate and indoor thermal environment in the multipurpose greenhouse.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 ; (1) The indoor temperature was ranged from 5 to $21^{\circ}C$ without a heating system, when the exterior temperature was -1 to $19^{\circ}C$. (2) The multi-purpose greenhouse requires almost no heating energy in winter, when it is used as a greenhouse, an exhibition hall or a cafeteria.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증례 : 소화기 ; 종격동 기종과 공기후복막증이 발현된 신경성 식욕부진 1예

        김태협 ( Tae Hyup Kim ),최기돈 ( Kee Don Choi ),김민경 ( Min Kyung Kim ),김순주 ( Soon Joo Kim ),송호준 ( Ho June Song ),정훈용 ( Hwoon Yong Jung ),김진호 ( Jin Ho Kim ) 대한내과학회 2009 대한내과학회지 Vol.76 No.3

        신경성 식욕부진은 정신과적인 문제뿐만 아니라 여러 계통의 합병증을 유발한다. 월경이상, 혈액학적 이상, 간 기능 이상 등은 흔하게 알려져 있는 합병증이고, 원인은 정확히 알려지지는 않았으나, 신체 내 비정상적인 공기 축적을 보일 수 있는데, 종격동 기종, 피하 공기증, 공기후복막증 등이 나타날 수 있다. 이러한 합병증은 드물게 발생하는 것이라 소화기계의 천공 같은 다른 이차적인 문제는 없는지 확인해 보아야 할 것이다. 저자들은 이차적인 문제없이 신경성식욕부진과 병발된 종격동 기종, 공기후복막증, 피하공기증을 보인 환자 1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Since anorexia nervosa is a multi-systemic disorder, as well as a psychiatric disorder, it needs a multidisciplinary approach. It causes many medical problems, including irregular menstruation, hematologic problems, decreased bone density, electrolyte imbalance, and dysrhythmias. Sometimes, this disorder also causes rare, unexpected complications, including abnormal air collections, such as pneumomediastinum, retropneumoperitoneum, or subcutaneous emphysema. The cause of these phenomena is unknown, although fragile parenchymal tissue that is disrupted easily when the local pressure is increased by coughing, vomiting, or defecation is a suggested cause. We experienced a case of anorexia nervosa complicated with abnormal air collections. After we excluded other possible causes, such as perforation of the gastrointestinal tract, and ordered the patient to undergo a short fast and inhale oxygen, the abnormal air collections resolved. We report this case because of its rarity and benign course. (Korean J Med 76:338-342, 2009)

      • KCI등재

        1930년대 ‘식민 도시’ 경성(京城)의 영화 소비의 장 전환

        김순주(Sun Ju Kim)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23 역사문화연구 Vol.86 No.-

        식민지 조선에서 영화를 둘러싼 정책과 환경은 몇 가지 전환점을 맞는데, 1930년대에 있어서 그 동인의 하나는 ‘영화국책(映畫國策)’이었다. 영화국책은 식민지 영화계에 대한 통제 강화로만 평가되기 쉽지만, 그 전후 사정을 들여다보면 그것은 유럽과 미국, 일본과 식민지 조선이 얽히고 매개된 일종의 ‘다국경적’ 흐름이었음을 알 수 있다. 영화국책은 일본의 영화통제사에서도 영화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제시한 획기적 전환점이었을 뿐만 아니라 유럽에서는 미국 영화에 대한 범정부적 차원의 대응을 이끌어낸 흐름으로서, 그 여파는 식민지 조선이라는 작은 영화 시장에까지 미쳤다. 영화국책에 대한 이와 같은 문제설정에 기초해서 이 글에서는 세 가지 층위에서 영화국책을 살펴본다. 우선, 일본 영화국책 수립의 일환으로 식민지 조선에 도입된 ‘상영 할당제(screen quota)’의 연원을 추적한다. 영화국책 수립에서 핵심이 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식민지 조선의 상영 할당제는 영국의 ‘1927년 영화법(Cinematograph Films Act, 1927)’을 참고하여 만들어졌다고 결론 내릴 수 있다. 이와 함께 영국과 식민지 조선의 상영 할당제의 비교를 통해 제국 일본의 영화국책의 한계성도 드러낸다. 식민지 조선에서 국책적 영화통제, 특히 상영 할당제의 실시를 통해 당국이 보호하고자 한 대상은 ‘국산(國産)’ 영화, 즉 일본 영화였다. 일본 영화는 그 활발한 제작과 국내 수요에 비해 해외 진출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그 대신 일본 영화가 ‘국외’로 유통된 주된 루트는 식민지와 이민지, 즉 일본인 정착지였다. 이와 같이 일본 영화의 유통적 특성에 대한 파악은, 식민지 조선의 당국이 흔히 언급하듯이, 식민지 조선에서 일본 영화의 상영이 저조했던 사정이 ‘식민지 조선의 특수성’ 문제만이 아니라 일본인을 중심으로 필름이 유통되고, 또 소비된, 일본 영화의 유통적 특수성이 작용했다는 점을 하나의 설명 요인으로 제시해 줄 것이다. 세 번째로는 영화국책의 로컬 층위로서, ‘쇼케이스(showcase)’로서 경성의 상영 현장에 초점을 맞춘다. 국책적 영화통제의 일환으로 1934년 9월에 상영 할당제가 시행되고부터 양화(洋畫) 상영관, 곧 조선인을 주된 소비자로 한 영화 상영 공간은 점차 자취를 감추었다. 다른 한편, 1935~1936년에 경성 ‘남촌’에서는 무려 세 곳의 영화관-메이지좌(明治座), 와카쿠사영화극장(若草映畫劇場), 고가네좌(黃金座)-이 신축되는데, 이들은 국산(일본) 영화의 상영을 진작한다는 영화국책의 취지에 걸맞게 ‘쇼치쿠(松竹)’와 ‘도호(東寶)’의 ‘작은 시장’으로 새롭게 부상하였다. 영화국책 이후 경성의 상영 현장에 나타난 일련의 변동들은 상영사만이 아니라 상영 공간의 의미 변화를 탐색하는 데도 중요하다. ‘조선인 영화관’ 또는 ‘내지인 영화관’은 경성이 ‘식민 도시’로 전환하는 프로세스에서 출현한 일종의 ‘종족 경관(ethnoscape)’이었다. 영화국책의 흐름 속에서 등장한 ‘대 영화전당(movie palaces)’은 영화적 실천이 종족적 내향성을 강화하는 시대의 퇴조를 고하면서 조선인과 일본인의 ‘접촉 지점’을 만들었다. 이는 ‘식민 도시’ 경성의 로컬리티를 보다 복합적으로 만드는 데 일조하였을 것이라고 본다. One of the transformative factors that has re-directed the realm of the cinema in colonial Korea was the move toward the nationalizing of film business that was taken in imperial Japan in the early 1930s. To mention it briefly, it was intended to protect and develop film business as a state industry. Following imperial Japan’s steps immediately, the Government-General of Korea (GGK) has promulgated a new film policy named ‘Motion Picture and Film Regulation Rule’ (No.82 ordained by the Government-General) in August 1934 and implemented the policy of ‘screen quota.’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geopolitics’ of the screen quota because the latter was one of the crucial factors that would transform the sphere of cinema consumption in colonial Korea, especially in Keijō (colonial Seoul). In the colonial city, the showing and watching of movies have long been divided between colonized Koreans and the Japanese settlers. The move toward the nationalizing of film business, along with the opening of new theaters called ‘movie palaces,’ would reconstruct the cinema of the colonial city and help to generate the ‘contact space’ between the two peoples.

      • KCI등재후보

        식민지 조선의 ‘일본인 시네마’ - 1910년대 경성의 일본인 영화상설관과 공간 문화 -

        김순주(Kim, Sun Ju) 서울시립대학교 서울학연구소 2021 서울학연구 Vol.- No.85

        2000년대 이후 영화연구는 식민지 문화 연구와 결합하여 ‘산업(industry)’으로부터 ‘문화(culture)’로 그 관심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 이러한 동향 속에서 이 논문은 ‘식민자 영화 문화’를 살펴본다. 이는 식민지 조선의 영화 문화사 밖에 위치한 또 하나의 역사를 발굴하는 작업인 바, 이를 통해 식민지 영화 문화에 배태된 형성사적 복합성과 보다 깊이 대면할 수 있다는 의의가 있다. 본고에서는 일본인 영화 문화를 1910년대의 형성기를 중심으로 살펴보고, 특히 자민족 전용의 영화 상설관을 이용하고 자국 영화를 관람하는 등의 행위가 재경성 일본인들의 식민지 생활 정향과 어떻게 연관되었는가를 해명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 재경성 ‘일본인 시네마(Japanese settlers’ cinema(s))’는 식민 외지에 정착한 일본인들이 식민 본국과의 ’동시성’을 확보하는 의미가 있는 체험이었다고 할 수 있다. 식민지 조선을 비롯해 해외 일본의 식민지에서 형성된 ‘일본인 시네마’는 ‘제국 시네마(cinema of empire)’의 형성사를 전망하게 해준다. 제국 시네마는 식민지로 이주하여 자국 영화를 주기적으로 조달하고 상영하며 관람한 외지 일본인들의 실천으로 확산된 범식민지적 문화 현상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다. 재경성 일본인 시네마는 바로 그 발상지의 하나였다. 1920년대 이후 경성의 영화상설관은 자민족 공간 문화를 더욱 공고히 하였다. 이들의 영화 문화가 식민 문화의 이해에 어떠한 함의를 띠는가를 심도 있게 고찰하는 작업이 향후의 과제가 된다. 이와 더불어, 본 논문 작업에 기초해서, 해외 일본의 식민지에 형성된 식민자 영화 문화의 미시적 역사들을 비교분석하여 제국 시네마의 형성사를 아래로부터 이해할 가능성을 기대해 본다. The category of ‘Korean cinema’ would not make us envision multiple actors and phenomena that were present in colonial Korea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al rule. Nor does the sheer focus on the history of Korean film industry offer us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complex formation of cinema culture in colonial Korea. Endeavoring to expand the subject and scope of study, this paper aims to unearth the cinema culture of the colonizers. As early as the 1910s, the Japanese settlers in Keijō, or Gyeongseong, managed their own cinemas and provided their domestic films for their compatriots on a regular basis. This formation of colonial settlers’ culture of cinema in the colonial city was sought for craving the simultaneous identity with those in their home land. A further research on the histories of Japanese settlers’ cinema that were constructed in the overseas lands of imperial Japan would enrich an understanding of the building of the empires cinema.

      • KCI등재

        연구논문 : "영화 시장" 으로서 식민지 조선: 1920년대 경성(京城)의 조선인 극장가와 일본인 극장가를 중심으로

        김순주 ( Sun Ju Kim ) 한국문화인류학회 2014 韓國文化人類學 Vol.47 No.1

        이 연구는 식민지 조선, 특히 경성이 영화 제작의 현지가 아닌 상영과 소비의 도시라는 기본적 전제하에 민족 간 영화 수요의 양상과 필름 검열의‘법역(法域)’논쟁을 통해 경성의 특수성을 드러내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1900년대 후반에 형성되기 시작한 경성의 극장가는 조선인 중심의 극장가와 일본인 중심의 극장가로 양분되면서 1920년대에 이르러서는 영화 상영과 소비에서 민족적으로 확고하게 편향된 경향을 나타내었다. 북촌 영화지구에서는 조선인들이 선호하는 서양 영화를, 남촌 영화지구에서는 일본인들이 선호하는 자국 영화를 각자의 모국어 해설을 통해 일상적으로 상영하고 관람하였다. 영화 수요에 있어 경성은 조선인만이 아닌 양 민족의 수요가 뚜렷이 견지된 곳이었다. 한편 조선인이든 일본인이든 조선 현지에서의 영화 제작활동은 매우 부진했으므로 남북촌 영화관에서는 조선 제작 영화를 제외한 대부분의 영화를 일본으로부터 들여와야 했다. 경성의 영화 공급이 대부분‘내지’를 통해 이루어지는 상황에서 사이토 마코토(齋藤實) 총독은 1926년 8월부터‘활동사진필름검열규칙(活動寫眞「フイルム」檢閱規則)’을 시행하도록 하였다. 이 검열규칙에는 내무성에서 검열한 필름을 경무국에서 다시 검열하는 데 소요되는 비용을 검열수수료로 청구한다는 조항이 포함됨으로써, 당시까지 일본을 통해 필름을 들여오고 상영하던 경성의 영화관 사업가들이 큰 타격을 받을 것으로 예상되었다. 사업가들이 당국의 정책에 대응하는 과정에서 종전까지 문제시되지 않았던 제국/ 식민지 간 필름 검열의 법역이 새로운 쟁점으로 부각되었는데,‘ 조선은 내지의 연장’으로서 ‘내지’와 조선 간 필름 검열의 법역이 결코 다를 수 없으므로 검열수수료를 면제하거나 인하하라고 요구한 사업가들의 입장이, 조선의 풍속과 관습 그리고 민심의 경향은‘내지’와 다르므로 내무성에서 검열한 필름이라 하더라도 경무국에서 다시 검열해야 하며 이에 따르는 검열수수료도 당연히 부과해야 한다는 식민당국의 방침과 노골적으로 대립하게 되었다. 동일한 검열수수료 규정을 도입하고도 검열 법역과 같은 논쟁이 일어나지 않은 일본의 상황에 견주어 볼 때, 식민지 조선, 특히 경성은 일본과 확연히 다른 영화의 수입지라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This paper endeavors to examine some of the major characteristics of the domestic film industry in colonial Korea, especially colonial Seoul (Gyeongseong, Keijo),during the period of the 1920s. In the first place, it needs to be noted that in spite of the vigorous consumption of films in the local market, domestic filmmaking was quite limited both on the part of Koreans and the Japanese in colonial Korea, and therefore, most films were imported from and via imperial Japan. Colonial Korea, especially colonial Seoul, was less a locale of film production than a film market where exhibiting and viewing movies must have been predominant. However, local film demand was never exhaustive for Japanese movies alone. Rather, the film business in colonial Seoul featured dual characteristics. Whereas Koreans in the northern cinema district mainly exhibited Western movies for viewing by ethnic Koreans, the Japanese in the southern district showed Japanese movies for their compatriots. Not only were cinemas in downtown Seoul sited according to the ethnic boundary of residential space, but features of cinematic culture, including screening and watching, were also shaped by ethnic-linguistic terms. Colonial Seoul was met with a twofold demand for film consumption. Another aspect of the domestic film industry in colonial Korea concerns its heavy dependence upon the film industry of imperial Japan, especially in film distribution. The newly introduced policy of film censorship fees, pursuant to the Film Censorship Law (Government-General Law No. 59), was enacted by the administration of Governor-General Saito - Makoto on August 1, 1926, and it aroused a fierce reaction from film exhibitors and distributors in colonial Seoul. In the course of the entrepreneurs` campaigns to call upon the colonial administration either to withdraw or to reduce the fees, it became controversial whether films once censored by the Ministry of Homeland Affairs of Imperial Japan would also be valid for public exhibition in the colony without any further censoring procedures by the colonial censorship board. Unlike the reaction of local entrepreneurs in Japan proper to the same policy of the fees, unprecedented contestation over the issue of ‘jurisdiction boundary’ in film censorship across the empire is suggestive of colonial Korea, especially colonial Seoul, as a film market for consumption rather than production.

      • KCI등재

        PHOX2B유전자의 27 다염기반복 돌연변이를 가진 Haddad증후군

        김순주 ( Soon Ju Kim ),주연수 ( Yeon Soo Cho ),최윤정 ( Yun Jung Choi ),정재희 ( Jae Hee Chung ),정민호 ( Min Ho Jung ),이순주 ( Soon Ju Lee ),성인경 ( In Kyung Sung ),김소영 ( So Young Kim ) 대한주산의학회 2011 Perinatology Vol.22 No.4

        Haddad syndrome is an extremely rare disorder which combines congenital central hypoventilation syndrome (CCHS) and Hirschsprung`s disease. Several reports have demonstrated that CCHS was related to mutation of the PHOX2B gene. We report here a newborn male infant with apnea and bowel obstruction. He has been diagnosed with combined congenital central hypoventilation syndrome and Hirschsprung`s disease, and had 27 polyalanine repeats in the PHOX2B gene. Two cases of Haddad syndrome with identified PHOX2B gene mutation have been recently reported in Korea. Both of them had extended alleles containing 26 polyalanine repeats. It is known that increased number of polyalanine repeat mutations is associated with a more severe clinical phenotype. The baby reported here had 27 alanine repeats (i.e. one more than the previously reported cases in Korea) and ganglion cells could be found only in the distal 70 cm of his small bowel.

      • KCI등재

        식민지시기 후반 ‘일본 영화’의 보급과 수용 ― 제국의 매체와 조선인의 동화

        김순주 ( Kim Sun Ju ) 한국사회사학회 2020 사회와 역사 Vol.0 No.126

        중일전쟁 발발 이후 8년간의 전쟁기(1937~1945)는 제국 일본의 총력전 수행을 위해 ‘일본 영화’가 다량 양산되고 범아시아적으로 배포된 시기이다. 식민지 조선에서는 계발선전(啓發宣傳) 루트를 통해 이런 범주의 필름이 후방으로 배포되었다. 이 연구는 필름을 활용한 후방 동원이 총동원체제의 하나의 통치 양식으로서 어느정도로 실효성이 있었는가를 고찰해 보려는 시도이다. 본고에서는 필름의 유통, 제작, 배포를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필름 같은 집단성 매체에 의한 대규모 동원이 유효한 통치 양식으로 실행된 배경에는 그렇게 소집된 수많은 사회조직들이 제국 총력전을 지지하는 전시 조직으로 가동되고 있다는 표상점으로 기능했기 때문일 것이다. 특히 필름이 가진 동원 효과는 수많은 이목을 집중시키고 전쟁과 정치 이념을 설파함으로써 전쟁 후방을 조직화하는 대중정치의 일 양식을 창출한 데 있다. 한편, 후방의 조선인들에게 영화는 그저 신기한 오락물에 그치지 않고 제국주의, 전쟁, 징병, 동원, 황민화 등 주변 현실을 반문할 ‘대항 담론(counter-discourse)’을 생산할 수 있는 여지를 제공했을 것이라 추론할 수 있다. 그런 점에서 필름 계발선전에서는 선전 효과뿐만 아니라 잠재적 역효과도 늘 우려시되었다. Since the outbreak of the Sino-Japanese War in 1937, propaganda films have aimed at mobilizing the home front not only of the formal colonies but of the militarily occupied territories of imperial Japan. Adopting Baskett’s categorical term of these works as ‘imperial Japanese films,’ this paper examines the efficacy of these films to facilitate mass mobilization of the home front, promote conscription of colonized males, and as means of imperializing colonized Koreans. This study provides further context and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film-mediated propaganda activities and responses to attempts at assimilating Koreans for Japan’s total war.

      • KCI등재

        다목적 그린하우스의 에너지절약설계 사례연구

        김순주(Kim Soon-joo),나수연(Na Su-yeun) 한국태양에너지학회 2006 한국태양에너지학회 논문집 Vol.26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energy conservation strategies of the multipurpose greenhouse which is appropriate to Jeju environmental circumstance. In this study, climatic analysis, field works, literature reviews and building load calculations were performed to identify solutions to design needs. As conceptual design strategies, various energy conservation strategies such as passive solar design, natural ventilation and high performance glazing system were examined and applied to design alternatives.

      • KCI등재

        제국의 ‘소리들’과 식민지 ‘이중 도시’의 변화

        김순주(Kim, Sun-Ju) 서울시립대학교 서울학연구소 2016 서울학연구 Vol.- No.62

        이 연구는 영화 상영의 환경이 이중의 모국어 환경에서 ‘다성적(多聲的)’ 환경으로 바뀌어 가는 1930년대 전반기의 시점을 중심으로 발성영화의 상영 양상을 파악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무성영화가 ‘보편성’을 가진 ‘무언’의 매체라면, 발성영화는 국지성을 띤 ‘소리’의 매체로 간주되어 왔다. 그러나 경성에서 “무성영화의 보편성”은 민족별 소비 집단을 재생산하는 소스(source)가 되었다. 본 연구는 무성영화가 정착한 이래 조선인과 일본인으로 각각 양분된 영화소비의 구도가 ‘제국의 소리’의 도입과 함께 어떻게 달라졌는가를 상영 현장에 초점을 맞추어 살펴보았다. 서양 무성영화를 주로 상영하던 조선인 중심의 영화관들이 일본어 버전의 서양 발성영화를 정착시키자 그간 자국영화로 일관하던 일본인 중심의 영화관에서도 일본 발성영화뿐만 아니라 서양 발성영화를 적극 도입하기 시작하였다. 이와 함께 1934년의 외국영화 상영제한 정책은 일본 발성영화가 서양영화 상영관에 도입되는 중대한 계기로 작용하였다. 이로써 조선인 중심의 영화관이 더 이상 서양영화의 ‘특별구역’이 아니게 되었듯이, 일본인 중심의 영화관도 일본영화의 ‘특별구역’이 될 수 없었다. 식민지적 이중 도시를 모사한 듯한 영화 상영의 구도가 해체되면서 경성의 도시 문화가 변화하는 징후는 관람자의 기호에서 엿볼 수 있다. 조선인과 일본인 사이에 나타난 새로운 영화 소비주의가 어떻게 민족 관계를 재범주화 하는가가 향후 연구의 과제가 된다. This article attempts to examine the ways in which sound film was introduced in colonial Korea during its initial phase of the early 1930s. It were the sounds of the empires, the West and imperial Japan, that first began to be heard in the colony. Since film consumption, characteristic of the capital city of Gyeongseong or Keijo, was divided between colonizer and colonized by the era of silent film and movie theatres thus became one of the loci that has reproduced ethnic distinctions between the two groups, the present paper takes a look at the changing aspects of the local cinemas with a special reference to the exhibition. While those that have long exhibited Western silent movies for colonial Koreans introduced Western talkies of Japanese versions, the cinemas having almost exclusively shown Japanese for their compatriots unprecedently adopted Western talkies of the same language versions as well as Japanese talkies. In 1934, the division of publication of the Government-General of Korea implemented a policy that has sought to reduce the exhibiting ratio of foreign films. As a result, the exhibition of Japanese sound films far expanded even in the cinemas where Western films have mainly been shown. This paper tries to argue that new cinematic culture unfolded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talkies was symptomatic of shifting colonial culture of the dual c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