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샌더스’와 ‘코빈’ 신드롬

        김만권(Kim Man Kwon) 역사비평사 2016 역사비평 Vol.- No.114

        This article, from a context of globalization, explores the question of why grassroots movements enthusiastically support two radical leftist figures, Bernie Sanders in the United States and Jeremy Corbyn in United Kingdom. To better understand these syndromes spreading throughout the transatlantic lefts, democrats, and liberals, it will try to answer these four following questions. First, how has economic inequality magnified throughout the process of globalization since 1980s generated both political and social inequality even in advanced democracies? Second, why did middle class beneficiaries of welfare states become supporters of neo-liberalism as the ideology of promoting global economy? Third, what are the political implications of grassroots support for Sanders and Corbyn from a global perspective? Finally, are these grassroots movements providing a new revolutionary vision against economic, political, and social inequality embedded in the process of contemporary globalization?

      • KCI등재
      • KCI우수등재

        ‘탈진실’ 시대의 정치와 논쟁적 민주주의 모델

        김만권(Man Kwon Kim) 한국철학회 2021 철학 Vol.- No.147

        이 논문의 목적은 21세기에 등장한 ‘탈진실’ 시대의 정치가 어떻게 민주주의 사회에서 구축될 수 있었는지 정치철학적 입장에서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첫째, 적용 가능한 민주주의 모델을 정치철학적 견지에서 점검한다. 둘째, 탈진실화와 연관성이 깊은 모델로서 샹탈 무페의 논쟁적 민주주의를 점검한다. 셋째, 논쟁적 민주주의 모델이 강조하는 헤게모니 투쟁이 탈진실화와 갖는 친화력을 보여주는 정치현상으로서 21세기 포퓰리즘을 살펴본다. 넷째, 우리사회에서 일어나고 있는 탈진실화의 이데올로기적 요소로서 ‘분단모순’과 ‘신자유주의’를 분석한다. 이를 바탕으로 우리사회에서 ‘탈진실’ 정치가 구축되는 과정에서, 특히 이데올로기가 동원의 정치와 연관하여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밝힌다. 마지막으로 탈진실의 시대에 무페의 논쟁적 민주주의 모델이 지닌 정치철학적 의미를 평가한다. Taking the perspective of political philosophy, this paper delves into the question of how the politics of post-truth emerged in the early 21st century has become prevailed in the contemporary democracies. To answer this question, it develops a five fold discussion: first, it examines four models of democracy provided in the field of political philosophy; second, it specifically explores the agonistic model of democracy provided by Chantal Mouffe as a theory which is able to explain the politics of post-truth; third, as the significant element of post-truth it critically discusses the affinity between the struggle for hegemony, which Mouffe emphasizes, and populism, which is globally prevailed in the 21st century; fourth, it investigates anti-communism and neo-liberalism as the ideological elements provoking the politics of post-truth in South Korea; finally, it evaluates political and philosophical implications of agonistic model of democracy in the age of post-truth.

      • KCI등재

        디지털 시민권과 시민정치의 활성화

        김만권(Kim, Man Kwon) 한양대학교 평화연구소 2014 문화와 정치 Vol.1 No.2

        본 논문은 21세기 들어 시민권의 새로운 영역으로 등장한 ‘디지털 시민권’의 개념과 더불어, 디지털 시민권이 대표자 민주주의 아래서 약화된 시민의 정치참여를 강화시킬 수 있는 요소가 될 수 있다는 점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런 측면에서 이 논문은 디지털 시민으로서 구체적으로 영향을 발휘할 수 있는 시민정치의 세 가지 방식을 제시했다. 첫째, 제도권 정치 및 공공행정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시민정치참여. 둘째, 시민사회의 영역별 활동으로서 시민관여활동. 셋째, 초일상의 정치형태로서 시민불복종. 한편, 디지털을 기반으로 확장되는 시민정치가 엘리트 중심으로 치우치는 정당정치와 대립적인 것이 아니라 오히려 긍정적인 측면에서 상호보완적일 수 있음을 보이고자 했다. 덧붙여 디지털 시민권 강화를 위해 민주정체가 유의해야할 사항도 제안했다. The main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introduce the concept of ‘digital citizenship’ and use it as a means to promote civic participation under representative government system whose main actors are political elites rather than ordinary citizens. To do so, this paper provides three different type of activities, as independent but interconnected, which digital citizenship can take: political participation, civic engagement, and civil disobedience. This paper also suggests that ‘digital citizenship’ is not an antagonistic element against elite model of formal politics but a complementary one that makes democracy work more democratic.

      • KCI우수등재

        대한민국 ‘도래할’ 헌법의 정치철학

        김만권(Man Kwon Kim) 한국철학회 2018 철학 Vol.0 No.135

        이 논문은 2018년 시작된 개헌 논의에 맞추어 ‘도래할’ 헌법(constitution to come)이 담고 있어야 할 정치철학의 내용이 무엇인지, 한나 아렌트의 헌정이론을 이론적 틀로 삼아 ‘새로운 시작’과 ‘인민헌정주의’라는 개념을 중심으로 논한다. 도래할 헌법이 반영해야할 혁명 정신의 근거로서 ‘2016-17년 촛불혁명’에서 시작하는 이 논의는 다음 세 단계를 거친다. 첫째, 초일상의 정치로서 혁명과 헌법의 관계를 논하고, 헌법이 지니는 ‘새로운 시작’의 기능에 대해 살펴본다. 둘째, 도래할 헌법의 정치철학적 기초로서 인민헌정주의의 특징을 ‘헌정민주주의’와 ‘포스트주권’의 개념을 통해 제시한다. 셋째, 인민헌정주의에 기초를 둔 새로운 시작이란 관점에서 ‘대한민국 기본질서를 어떻게 규정할 것인가’와 ‘자발적 동원의 혁명정신을 헌법에 담을 것인가’라는 두 논쟁을 분석하고 대안을 제시한다. 마지막으로 헌법의 혁명정신을 보존하기 위해서는 헌법제정 과정에서 시민들이 헌법의 공동저자(constitutional authorship)가 될 수 있는 제도적 채널이 확보되어야만 한다고 주장한다. Taking seriously Hannah Arendt’s constitutional thinking as a theoretical framework, this paper debates what should be political and legal philosophy of ‘constitution to come’ in South Korea. In this discussion, two concepts are cental: ‘a new beginning’ and ‘popular constitutionalism.’ Highlighting the revolutionary spirit of candle protests in 2016 and 2017 against the political and economic corruption in the Park Geun Hye government, it will develop a threefold discussion: First, the constitution to come should function as defining ‘a new beginning’ of South Korea ruptured from its unacceptable past. Second, ‘popular constitutionalism’ compatible with the idea of ‘post-sovereignty’ should be the foundation of ‘the constitutional order to come.’ Third, ‘popular constitutionalism’ should be the foundation of interpreting constitution laws and issues. Finally, I argue that the best way to preserve the revolutionary spirit in the constitution to come is to open a variety of institutional channels for ordinary citizens in the process of constitution-building, which make them ‘co-authors of the constitution to come.’

      • KCI등재

        초일상의 정치와 정체의 재구성

        김만권(Man Kwon Kim) 참여연대 참여사회연구소 2017 시민과세계 Vol.- No.30

        2017년 3월 10일 박근혜 대통령을 탄핵에 이르도록 만든 ‘2016년 촛불집회’는, 시민들이 기존의 헌정시스템을 지키기 위해 일어난 시민불복종(civil disobedience) 운동으로 시작되었다. 하지만 2016년 촛불집회는 기득권적 이익을 보호하는 권력 및 제도적 구조를 혁파하고 새로운 국가를 건설하자는 요구로 확산되고 있다. 혁명이 ‘국가체계(regime)의 새로운 시작’이라는데 초점을 맞춘다면, 2016년 촛불은 기존 헌정질서의 보호를 위한 ‘시민불복종’에서 오히려 본질적으로 상반되는 새로운 헌정질서의 창조라는 ‘혁명’으로 전환된 셈이다. 규범적 관점에서 제시되는 이 논문은 2016년 촛불혁명이 지니고 있는 민주성을 ‘초일상의 정치’라는 관점에서 ‘정체를 재구성하는 순간’(constitutional moment)으로 해석한다. 더하여 촛불 혁명의 의의를 혁명과 폭력의 습관적 결합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전통에서 찾고자 하며 필자는 이를 ‘말로 하는 혁명’으로 표현한다. 최종적으로 "말로 하는 혁명"의 완수를 위해 새로운 헌법을 제정하는 과정에 시민들이 집단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 및 비제도적 채널이 마련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Beginning in November 2016 as a civil disobedience movement the candlelight protest in South Korea sparked and eventually led to the impeachment of President Park Geun-hye in March 10, 2017. This massive protest has evolved, and continues to grow as a popular demand to extirpate the corrupted establishment and reconstitute entire political, legal, and economic systems of South Korea. By focusing on the significance of this popular demand that aspires to the creation of a new constitutional order, this paper, from the perspective of extraordinary politics, aims to interpret the candlelight movement of 2016-2017 in South Korea as a constitutional moment. Understanding that constitutional moments imply revolutionary politics which transforms an old regime to a new one, I make twofold argument: First, as a non-violent popular constitutional activity, the candlelight movement escapes from the habitual coupling between revolution and violence. Second, collective constitution-building based on the people’s participation and deliberation is the most justifiable means of transforming its constitutional order into a revolutionary one.

      • KCI등재
      • SCOPUS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