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회적 구성주의 관점을 고려한 과학에 대한 태도 측정과 활용에 대한 탐색

        조선미 ( Son Mi Jo ),구자옥 ( Ja Ok Ku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3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3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적 구성주의 관점에서 개발된 과학에 대한 태도 척도의 타당성 검증과 척도의 활용 가능성을 살펴보는데 있다. 설문지를 통해 833명의 중학교 2학년 학생들의 자료가 수집되었다. 먼저 요인분석을 통해 사회적 구성주의 관점을 고려한 Krogh와 Thomsen(2005)의 문화적 경계넘기 중 평판 척도(reputation in culture border crossings: R-CBC)의 타당성을 살펴보았는데 요인분석 결과 타당성이 검증되었다. 다음으로 상관관계를 통해 수렴타당도와 변별타당도를 살펴보았는데 사회적 구성주의에 기반을 둔 R-CBC 척도와 Simpson-Troost Attitude Questionnaire(STAQ) 척도는 높은 정적 상관을 보였다. 사회적 구성주의에 기반한 STAQ 척도와 개인적 구성주의에 기반한 Test of Science-Related Attitudes(TOSRA) 척도는 낮은 상관성을 보였고 R-CBC 척도는 TOSRA 척도와 상관성이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희망 진학 고등학교별 과학에 대한 태도를 3개 척도를 통해 비교 분석하였는데 R-CBC 척도와 STAQ 척도로 측정된 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태도는 학교유형별(과학고, 인문고, 실업고) 차이를 보였다. 이는 사회적 구성주의 관점에 기반을 둔 척도가 중학생의 과학고 진학 희망을 예측할 수 있는 평가 도구임을 보여주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measurement of attitude towards science based on social constructivism and the application of this scale.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questionnaires from 833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 second grade. First, factor analysis were used to assess the construct validity of the scale of Reputation in Culture Border Crossings (R-CBC) developed by Krogh and Thomsen (2005). This finding indicated the construct validity of R-CBC scale based on social constructivism. Second, the correlation among two scales based on social constructivism and Test of Science-Related Attitudes (TOSRA) scale based on individual constructivism were investigated to examine the convergent validity and the discriminant validity. The R-CBC scale was correlated with Simpson-Troost Attitude Questionnaire (STAQ) scale and the STAQ scale, while the TOSRA scale was weakly connected. But the R-CBC scale and TOSRA scale were not connected. Third, students` attitude toward science assessed by three forms of measurements were compared according to the choice of high school type. Students` attitude toward science measured by R-CBC scale and STAQ scale were different in three types of high school. This finding indicated that two scales based on social constructivism are useful measurements that can predict the choice of high school type.

      • KCI등재
      • KCI등재

        핵심역량과 융합교육에 초점을 둔 과학과 교육과정 개선방향 연구

        곽영순 ( Youngsun Kwak ),손정우 ( Jeong Woo Son ),김미영 ( Mi Young Kim ),구자옥 ( Ja Ok Ku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4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4 No.3

        미래 사회의 변화는 미래 교육의 변화를 요청하며, 이러한 미래 교육의 변화 요청을 과학과 교육과정에서도 적극적으로 반영해 나갈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현재 교육과정인 2009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 대한 실태를 진단하고, 미래교육의 변화 방향에 비추어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초·중·고 과학교사 447명의 설문조사와 12명의 전문가 심층면담을 통해 과학과 교육과정의 주요 쟁점 및 개선 방안을 탐색하였다. 과학과 선택과목 구성, 일반선택과목인 융합형 ‘과학’, 과학 과목 집중이수제, 진로집중과정, 과학과 선택과목의 이수단위 증감, 대학 입시에서 과학과 선택과목 간 형평성 등으로 구분하여 2009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문제점을 살펴보았다. 이어서 현장교사들과 전문가들이 제안한 과학과 교육과정 개정방향들 중 핵심역량과 융합교육에 초점을 두고 과학과 교육과정을 구상하는 방안을 탐색하였다. 그 결과 과학과의 핵심역량은 기존 교육과정에서 강조한 문제해결력, 의사소통 능력뿐만 아니라 기초학습능력과 자아정체성, 도덕적 역량 등이 추가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융합교육은 다른 교과와의 융합 이전에 과학과 내부 과목 간 융합이 먼저 이뤄져야 하며, 과학 과목을 중심으로 한 STEM 형태의 융합이 바람직함을 알았다. 이러한 결과를 실천하기 위해서는 과학과 교육과정 연구·개발을 전담할 교육과정 개발센터의 구축이 필요하다. Changes are expected in the future, and the future society will expect changes in education. Science curriculum needs to reflect such demands for changes in the future of education. Hence, this study explored ways to reflect the changes demanded by the future society in science education.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major issues and directions for improvements based on the findings from questionnaires given to 447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science teachers as well as in-depth interviews with 12 experts. We explored the problems of the 2009 revised national science curriculum including organization of science elective courses, fusion ‘science’ as an elective course, intensive course-taking of science, career-focused science curriculum, variation of completion units in science elective courses, and fairness of science elective course selection in college entrance. In addition, we proposed ways to organize science curriculum around core competencies and STEAM education suggested by science teachers. According to the results, we need to add such key competencies as basic learning abilities, self-identity, and moral competencies to science curriculum in addition to existing key competencies including problem solving and communication. Regarding the fusion science, experts contended that convergence of science courses should come before that of science and other subjects, and that STEAM with science as the axis was the desired form of convergence. We also need to establish a curriculum development center that exclusively focuses on science curriculum research and development.

      • KCI등재
      • KCI등재

        PISA 2012 결과에 나타난 성별에 따른 학업성취 영향요인 비교

        송미영,임현정,임해미,박혜영,구자옥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15 교육과학연구 Vol.46 No.4

        The existence of gender gaps in the Programme for International Student Assessment (PISA) scores has been documented in the literature. In particular, it was revealed that on average Korean female students underperform/outperform their male counterparts in mathematics/reading scores for PISA 2012.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crucial determinants in understanding gender differences. We examined whether or not the influence of educational contextual variables on mathematics, reading and science achievement differs by gender using multilevel model with each group of male and female students. As a result, there were variables that had more influence on male or female students, though there were some differences by subject. It can be concluded that females have been affected more by teachers than by parents, while males have been affected more by parents. Also, creative extracurricular activities had much more of an effect male students than females. In addition, participation in math-related activities only influenced females, and academic and vocational expectation in math and class management of math teachers only influenced male students. Based on the results, we proposed an educational and political plan that may bridge disparity gaps in academic achievement by gend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