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 전기 지성사의 관점에서 본 점필재(점畢齋)와 그 문인(門人)들의 관계

        김남이 ( Nam Yi Kim )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2012 동방학 Vol.23 No.-

        점畢齋 金宗直(1431:세종13∼1492:성종23)과 그의 문인들은 조선전기 ``士林``의 시대를 연 지성인들이다. 다만, 지금까지 이루어진 이들에 대한 연구는 ``사림파``라는 특정한 정치적 집단을 전제해 놓고, 그 ``집단의 像``을 그에 선험적으로 포함된 개인에게서 추출하고, 이렇게 추출된 상을 다시 ``사림파``라는 집단에 적용하는 일종의 순환론적인 방식을 반복해온 점이 없지 않다. 이 글은 이런 문제의식에서 비롯되어 점필재와 師友의 오랜 교분을 나눈 이들이, 실제로 점필재에게서 무엇을 배우고, 무엇을 기대했으며, 그들 사이에 이루어졌던 교감의 내용은 무엇이었는지, 조선전기 지성사의 맥락에서 이를 파악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점필재와 그 ``門人``들의 관계의 실제와 의미를 점필재의 ``문인``에 관한 세 가지 기록을 중심으로 살폈다. 제자인 南孝溫의 『師友名行錄』과 金馹孫의 <供招>(1498), 그리고 후대의 李獻慶(校)의 <점畢齋門人錄>(1789)이 그것이다. 점필재의 ``문도``는 제자뿐만 벗과 선배 및 동료 관인까지 포함하는 개념이었다. 이어 지역에서의 학문 연찬과 한양에서의 문화 사업으로 나누어 그들이 함께한 활동을 살폈다. 젊은 시절 점필재에게 자발적으로 찾아온 제자 그룹은 학문 연찬과 과거 시험을 준비하는 과정을 거쳤다. 한양을 중심으로 하는 관직 생활에서 만난 인물들 또한 학문적 영향 관계에 인간적인 우의가 더해졌다. 특히 이들은 『杜詩諺解』나 『東國輿地勝覽』 編(改)纂 성종대의 중요한 문화 작업에 전격 참여하여 주도적인 역할을 하였다. 점필재와 그 문도들은 자발적인 결집과 만남을 통해 재야에서 그룹 또는 개인으로의 성장 과정을 거치면서 스승 점필재를 넘어서는 어떤 비판적 의식과 이념을 갖추어가며, 16세기 이후에 구현될 확고한 사림적 의식과 실천을 보여주기 시작하였다. This study observes the process of repeat reorganizing between Jumpiljae(점畢齋) Kim Jong Jik(金宗直), the master of Sarim(士林) and his followers in the former period of Chosun dynasty. Kim and his followers were intelligent group and active participants in realistic politics. However, so far the most research papers have not escaped from the cyclic pattern that the stereotype of Sarim reflects the individual, and the figure extract from individual applies Sarim in the same aspect. Therefore, this research suggests that we should investigate historical characters apart from group image with the new aspect. In other words, the paper will consider the concrete details of Kim`s followers before extracting ideological Sarim from them. Methodologically approach to the purpose, this study carefully notices the documents such as the Jumpiljae`s chronological list, The Record of Writers in Writing Collections of Jumpiljae, and The Disciple of Jumpiljae which Kim Il Son, one of Kim`s pupil wrote at Muosawha(戊午士禍). In addition, I will interpret the above materials according to political situation and cultural meaning in the period. Furthermore, this paper will observe how to flow Kim`s consciousness to his academic descendant after the bloody massacre of Kim and his major followers. In his own age, many young students and intelligent converged on Kim`s academy for achieving fame and prestige. They improved their literary competency under him and became a high-ranking government official. This is quite noticeable phenomena comparing with the previous time such as Jibhyunjun-scholar(集賢殿 學士) trained by the Government`s scheme, because they follow and admire Kim with their own willingness. It means Sarim power gradually increased to threaten Hungu(勳舊, the conservative aristocratic bureaucrat power) so that the bloody massacre finally caused. In addition, Kim carried out the role of center point in the development of intelligence history in the former period of Chosun dynasty.

      • KCI등재

        조선 세종의 인사(人事) 실제 - 한어(漢語) 전문가 김하(金何)를 중심으로 -

        김순남(Kim, Soon Nam) 역사실학회 2021 역사와실학 Vol.75 No.-

        본 연구는 본 논문은 김하의 사례를 통해 세종이 구사한 인사 방식의 실제를 살피고자 하는 것이다. 김하는 조선 세종대 활약한 한어 전문가였다. 세종은 김하의 한어 능력을 높이 평가하여 재상도 장수도 아니며 이학을 교육하는 임무에 종사할 뿐인 그를 기복 했다. 김하는 강상죄로 얽을 수 있는 아버지 상중의 부적절한 처신으로 관료 생활 내내 대간의 비판에 직면했다. 그러나 세종은 국가의 중대사를 맡겨야 한다며 끝까지 임용했다. 김하는 종사관·서장관·정사로서 거의 20여 회 북경을 오고 갔다. 그때마다 세종의 뜻에 부합해 활약했다. 김하의 사례는 세종이 구사한 인사 방식의 일단을 보여 준다. 이를 통해 역량을 우선으로 하는 인사를 함으로써 국정 운영의 효율성을 높이고자 했음을 알 수 있다. Kim-Ha was an expert in Chinese, who worked for King Sejong(the period of reign:1418-1450). The Chinese language spoken by Kim-Ha was highly skilled and elegant, so no alternative could be found in Joseon at that time. King Sejong highly valued Kim-Ha"s Chinese language ability. So, when his father died in 1435 (the 17th year of King Sejong"s reign), King Sejong appointed him in a very short time (less than 100 days after his father’s death : 3 years funeral period for his deceased father was required at that time). Kim-Ha was not a general nor a prime minister, but only engaged in the mission of educating Chinese language. So his case was very unusual. Kim-Ha had faced public criticism throughout his bureaucratic career for his inappropriate actions. His behavior of committing adultery with a Gisaeng, Joseon geisha, during his father"s funeral could have been regarded as a crime of undutifulness. He breached the Joseon"s Human Ethics(Kang Sang, 綱常). Such acts were an unforgivable sin in the Confucian state of Joseon. King Sejong agonized between morality and ability. Finally King Sejong decided to punish him slightly. The name of the crime was not breaking undutifulness but breaking the order of concubine. King Sejong said that Kim-Ha should be in charge of important national missions. King Sejong believed that Kim-Ha"s ability in Chinese language would be helpful for diplomatic policies and relationship with Ming dynasty. In fact King Sejong sent him to Ming as an envoy whenever needed in the course of establishing a relationship between Joseon and Geonju Jurchen. Whenever he went to Beijing to deal with diplomatic matters, Kim-Ha translated well and met King Sejong"s will. The case of Kim-Ha shows some aspects of King Sejong"s personnel policy which he used to accomplish the nation"s important mission. King Sejong was able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state administration by utilizing personnel policy that prioritized capabilities. Thanks to this flexible way of personnel policy, it can be said that King Sejong"s era could be compared to so-called "Emperor Yo and Sun"s reign of peace".

      • KCI등재

        김유진 감독의 충무로영화관 논의

        김수남 ( Su Nam Kim ) 한양대학교 현대영화연구소 2013 현대영화연구 Vol.9 No.2

        Dir. Kim, Yujin has maked various genre film. This thesis try to study on the view of Kim, Yujin`s film works in the Chungmuro film world. His film world has pursued the value of Korean film which tried to show His works to watch ordinary life and represented the popular entertainments. The real life of Kim, Yujin`s film`s makes his audience to feel the outside world of ordinary life. By his filmography his main filn are belong to realism works except <Singijeon>. His film works are divided Three part by making film period such as the first period, the middle period and the last or the new beginning period. In the first period his film images are shoot by longtake and theatrical blocking better than shot frame because of his theatical directing experience. as the result he directs his film to show the extremism ensemble image represented. His debut`s film, <Song for hero>was very enought to demonstrate a new director appeared. In the middle period his important film are <Danji geudaega yeojaraneun iyumaneuro>, <yaksok>. Those films are noticed dir. KIm`s thought for Korean Chungmuro film. His film making style is continued to the last period. <Wild Card>, <Singijeon> shows dir. Kim`s style and his creative technique by try to make new film image. We can find his responsibility for Korean film audience and Chungmuro film. Dir. Kim, Yujin`s film idea and directing style is arranged by three parts. The first, he pursued for making entertainment and social issue. The second, his social film shows very simple and turly points. The third, he has instinct will to represent the identy of Korean film. By above mention it is very difficult to determind Dir. Kim, Yujin`s film world. Anyway his instinct idea which has made various film genre creates his dream world to make ordinary peoples`s peace and happiness life. In this point Dir. Kim, Yujin is always important director of Chungmuro film.

      • KCI등재

        金久永의 『病因論』에 나타난 의학사상 연구

        김정원(Chong Won Kim),김남일(Nam il Kim),차웅석(Wung Seok Cha) 한국의사학회 2017 한국의사학회지 Vol.30 No.1

        This paper is a study on the life and clinical reasoning of Kim Goo Young (1958-2014). Offering a new perspective through his interpretation of Donguibogam (東醫寶鑑), Kim introduced his unique theory of Korean medicine, ‘The Theory of Byeongin (病因論)’. Kim recognized the confusing situation of communication between people studying Korean medicine and tried to make a new standard based on the principle that many people can share. ‘The Theory of Byeongin offers a newly constituted 󰡔Donguibogam󰡕 focusing on ‘Byeongin’ (病因, pathologic origin) which can be translated as the cause of a disease. In so doing Kim recognized ‘Byeongin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Byeonjeung’ (辨證, classifying the origin), or the classification method of symptoms. In addition, Kim recognized how ‘Byeongin was considered to be a diseased lifestyle, and tried interpreting. The patient’s lifestyle to treat diseases. As a result, ‘The Theory of Byeongin’ is a theory consisting of an intuitive structure, reducing notable elements like Yin Yang Five Movement theory. The theory s significant characteristic is its easy application in clinical settings due the established core principles which are based on Kim’s insight and clinical experience.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understanding of the theoretical and clinical development of Korean medicine through deeper studies on ‘The Theory of Byeongin and Kim s medical theory.

      • KCI등재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성별 음란물 접촉실태와 성 갈등에 대한 연구

        차남현 ( Nam Hyun Cha ),왕명자 ( Wang Myoung Ja ),유경희 ( Kyung Hui Yu ),김정아 ( Jeong Ah Kim ) 경희대학교 동서의학연구소 2007 동서간호학연구지 Vol.13 No.2

        본 연구 대상 아동 952명중 ‘음란물에 대해 들어본 경험이 있다`` 고 응답한 남아는 63. 2%,(288명) 이고 여아는 60.5% (300명)이지만,‘음란물에 접촉한 경험’이 있다 ``에는 남아 34.4% (l57명), 여아27.4% (l36명)가 응답하여, 대부분의 아동은 음란물에 대하여 들어본 경험은 있지만, 접촉한 경험은 없는 것을 알 수 있다. 초등 아동을 연구한 Kim과 woo (2001), Kim (2002)과 Kang (2004)이 음란물 접촉자율을 각각 20.3%, 28.6%, 30%로 보고한 선행연구 결과보다 더 높은 퍼센트를 나타내었다. 처음 음란물을 접촉한 시기는 ``5학년 때’가 남가 아동 39.5%, 여아 44.1%로 가장 많았고, ``4학년 이전’도 남아 31.8% , 여아 30.9% 로서, 음란물을 첫 접촉한 시기가 4학년 이전 16.8%(Kim,2002) , 19.8% (Oh, 2003)라는 선행연구에 비하면, 본 연구 대상 아동의 ``4학년 이전’ 음란물 접촉 비율이 또한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결과는 매스미디어를 통해 초등학교 아동들이 상업적인 성에 노출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이며 매스미디어의 광범위성, 대중성, 능동성, 동시성의 특성을 고려한다면 앞으로 음란물 접촉을 및 저학년 접촉빈도는 계속 증가할 것으로 생각된다. 접촉한 음란물 유형에 대한 복수응답 결과,‘컴퓨터를 통해 음란물을 보았다``는 남아 82.8%(l30명), 여아 90.4% (l23명)로 가장 빈도가 높은 접촉유형이고’ 다른 음란 접촉 유형은 비슷한 빈도 분포를 나타내었다. 컴퓨터를 통한 음란물에 초등학교 아동이 쉽게 접촉하고 있음을 지적한 선행연구 (Yom, Yun, & Lee, 2002; Hong, 2003; Kang, 2004)의 결과와 일치하고 있다. 이와 같은 결과는 개인용 컴퓨터와 인터넷 사용인구가 급증하고, 학교나 주택가 주변 PC방이 즐비 하면서 음란물들을 더욱 쉽게 볼 수 있게 된 때문으로 사료된다. 이에 대해, Kim과 woo (2001), Park(2001)는 연구에서 컴퓨터 음란물 차단프로그램의 설치가 각각 19.4%, 13.3%에 불과하다고 지적하고 있다. 사실 컴퓨터 매체를 이용한 인터넷 음란물은 대중성과 동시성 등의 특성이 있어 미성년자의 접근이 쉽고 광범위하게 노출이 될 수 있는 반면, 통제할 수 있는 시스템과 대책이 매우 부족한 실정에 있다. 따라서 인터넷 음란물에 대해 정부에서는 청소년보호법 이 실효성을 거둘 수 있도록 규제 및 처벌을 더욱 엄격하게 하고, 음란물 차단 프로그램의 설치를 강화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음란물에 접촉하는 동기는``우연히`` 라고 응답한 경우가 가장 많았고 (남아 51.6%, 여아 53.7%) ‘스팸메일’을 통해서, 친구 및 형제’의 권유로,‘호기심``으로 직접 찾아봄순으되 남녀 등 모두 우연히 접하는 경우가 많았다.‘스팸메일’을 통해사는 남아보다 여아가 접하는 경우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통계 청 (2005)에서 제시한 청소년 음란물 사이트 접속경로로 우연히 (남이 32.7%, 여아 35.5%), 친구나 선후배 소개로 (남아 31.5%, 여아 11.7%), 일부러 음란물 검색 (남아 20.9%, 여아 6.9%), 스팸메일 (남아 6.5%, 여아 14.8%)과 순서가 일부 일치함을 보이고 있다. 이와 같이 아동이 무엇보다 우연히 음란물을 접하는 경우가 많은 결과는 포르노 사이트의 무차별적 음란물 배포에 대하여, 초등학교 아동들이 무방비 상태로 노출 되어 있으며, 현재 이를 차단할 수 있는 프로그램의 설치의 미흡을 의미하는 것이다. 음란물과 접촉하는 빈도는 ‘거의 안보거나 특정 싸이클이 없다. (남아 73.7%, 여아 87. 2%)는 응답이 많았고)거의 매일 보는, 남아는 4.5%, 여아는 0.7%였다. 이는 통계청 (2005) 의 청소년음란사이트 이용경험 조사에서 ‘한번도 없음’(남아 24. 5%, 여아 70.6%), ‘일년에 l-2회, 접촉히는 남아가 l5.8%, 여아 8.5%,‘한달에 l- 2회’ 접촉하는 남아 26.8%, 여아 4.8%, ‘일주일에 l- 2회’ 접촉하는 남아 l5,9%, 여아 1.9% 라는 결과에서 제시하듯이, 대부분 이동은 음란물에 접촉하지 않고 있으나, 음란물 접촉은 남아가 여아보다 더 많았다. 음란물과 접촉하는 기간은·15분 미만이 남아 86.8%, 여아 96.2%로 가장 많았고, 15분 이상’은 남아 l3.2%, 여아 3.8%로 대부분의 아동은 음란물 접촉시간이 짧은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소수이기는 하나 정기적으로 음란물에 접촉하는 아동에 대한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음란물을 정기적으로 이용하는 아동일수록 학습에 많은 지장을 받고 있음은 물론, 성과 관련된 반응에 있어서 보다 쉽게 자극 받고 충동을 일으키며, 그 충동을 실제 행동으로 옮길 가능성이 크고 (oh, 2003), 중독성이 강하며, 성에 대해 비하하는 태도와 행위, 충동조절 능력 저하, 폭력적이 거나 모욕적인 성행위를 선호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정부와 학교당국, 부모님의 음란물에의 적극적이 고 효과적 인 대처 방안이 시급하다. 음란물과 접촉하는 장소는 자기 집이 (남아 68,8%, 여아 81.5%) 가장 않았고 친구집(남아 16.0%, 여아 7.6%), PC방 (남아 4,2%, 여아 5.9%), 학교 순으로 응답하였다. 이는 통계청 (2005)에서 보고한 6-l4세 어린이가 이용하는 인터넷 장소로 가정 90.5%, PC방 빛 게임방 25. 8%, 학교 18.2%라는 결과와 순위가 일치 하고 있다. 따라서 음란물 접촉이 가장 많다고 응답 한 가정에서 부모의 음란물을 방지 대책마련이 요구된다. 공개적으로 아이들과 PC를 공유하는 방을 마련하고 음란물 차단 시스템을 PC에 설치하며, 수시로 관심 있게 보는 사이트 및 정보를 확인,대화하고 컴퓨터 이용시간을 제한하여 아이들의 건전한 컴퓨티 이용문화를 형성하도록 지도하여야 한다. 음란물 접촉 이유는 ‘우연히’가 가장 많았고 (남아 35.7%, 여아 57.3%), 남아는 ‘호기심’때문에,‘스팸메일,을 열어보다가,‘친구``가 권해서,‘재미, 스트레스 해소와 성충동’ 때문이라고 답했고, 여아는 ‘스팸메일’ 윤 열어보다가,‘호기심’ 때문에,‘친구’가 권해서,‘재미,스트레스 해소’ 위해,‘성충동과 성적지식’을 얻기 위해 순으로 응답하였다. 이는 의도적인 접촉보다 비의도적인 접촉이 많다는 것으로 해석되어져 다행스럽긴 하나, 음란물은 처음 접했을 경우 충격적이지만, 호기심을 가지고 접하면서 무뎌지고 점차 더 자극적인 음란물을 경험하고자 하며 모방행동으로까지 발전되는 특성이 있다고 한다. 초·중 아동을 대 상으로 한 Hong(2003)의 연구에서 음란물 경험 후 실제로 ‘모방행동을 해 본적이 있다’ 에 11.l%가 응답한 것으로 볼 때 절대 간과해서논 안 될 문제이다. 음란물 접촉 후 반응은 부정적 반응에 대한 응답율이 높은 반면, 긍정적이거나 충동적 반응에 대한 응답율은 저조하였다. 부정적인 반응은 ‘부끄럽고 창피하다’가 (남아31.51%, 여아 32.05%)가장 많았고, 남아는 ‘죄책감’, ‘내가 이상한건가 하는 생각’, ‘혐오감’을, 여아는 ‘혐오감’, ‘내가 이상한건가 하는 생각’, ‘죄책감’ 순으로 반응하였다. 음란물 접촉 후 반응이 긍정적 반응보다는 부정적 반응에 대한 응답이 많은 것을 볼 때, 음란물 접촉아동은 음란물을 통해 성이 아름답고 신성한 것이 아닌 은밀하고 부끄러운 것으로 인식되 왜곡된 성의식을 가지게 되며, 혼란과 갈등을 겪게 될 것으로 보인다. 이런 결과는 선행연구(Kang, 2004; Kim, 2004; oh, 2003; Kim, 2002)에서도 지적하고 있다. 성 갈등은 남녀 아동 모두 음란물에 접촉한 아동이 접촉하지 않은 아동보다 더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으나,음란물 접촉후 아동간의 성 갈등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아 성별에 따른 성 갈등은 차이가 없었다. 음란물에 노출될수록 중독성이 강하여 성 정체성이 확립되어야 하는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들에게 성에 대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쉬우므로 음란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대책마련이 시급하다. 서구에서는 영상매체가 청소년에게 미치는 영향을 방지하기 위한 스크린 (screening) 컴퓨터 프로그램을 개발하거나 Tv에 V-chiP을 설치해 부모나 성인의 감독 없이 영상매체에 근접하지 못하게 한다 (Cho & Kim, 2004). 우리나라는 아직 그러한 방지책이 실질적으로 이용되고 있지 않기 때문에, 무조건 음란물을 못보게 막으려 시도하기 보다는 아동에게 음란물에 대한 비평능력을 심어주어 스스로 통제할 수 있도록 하는 성교육이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고 생각된다. Gruer와 Grube(2000)의하면, 얼마나 위험요인이 될 수 있는지 아무런 비판없이 무분별하게 청소년이 음란물에 접하 면,음란물에 대한 부정적인 영향을 더 많이 받을 수 있었으나, 실제로 성교육을 통해 청소년이 올바른 성 지식 습득하였을 때 성 태도가 긍정적으로 변하였고,음란물의 영향을 더 적게 받고, 직접적인 성행동을 감소시킬 수 있었다. woo, Kim과 Park (2001) 은 중학교 청소년을 대상으로 성교육이 컴퓨터와 비디오 음란물 접촉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실험연구를 한 결과,성 교육 후 실험군은 성교육을 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음란물 접촉에 대한 의식점수가 높았고’ 컴퓨터를 통한 원조교제에 대한 의식점수가 높았으며, 음란물 접촉빈도가 적었다고 하면서 음란물에 대한 성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따라서 가정과 학교에서 부모나 교사인 어른들의 입장에서 고려된 보수적이고 전 근대적인 성교육방법 과 내용만을 고수하여 무조건적으로 음란물 접촉을 막는 것보다는, 아동이 올바른 성의식을 확립하여 스스로 볼 수 있는 것과 보지 않아야 할 것을 구별할 수 있는 비판능력을 함양시킬 수 있는 성교육이 필요하다. 결과적으로 아동들 스스로가 성행동의 주체로서 음란물 공해에서도 자신 있게 맞설 수 있는 성숙한 자아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어야 하며, 이와 더불어 무차별적인 대중매체로부터 아동들을 보호하는 시스템의 조기 구축이 요구된다.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the contact with pornographs of elementary school boys and girls and to confirm responses after that, and to compare the feeling of sexual conflict between the boys and girls. Methods: The subjects were 952 5th and 6th graders of elementary school in four city areas(456 boys, 496 girls). Data collection was via questionnaires Results: Except several pupils(34.4% of boys, 27.4% of girls), most of subjects of the study had no contact with pornographs. The response after the contact with pornographs was feeling of shame the most, which was a negative reaction. The sexual conflict appeared more in pupils who had contact with pornographs than in those who had not boys(t=3.84, p<.000), girls(t3.96, p<.000), which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However, the conflict between boys and girls was not significant statistically. Conclusion: We would like to suggest that a sound control system must be prepared and a development of programs related to sexual education and promotion of ability fighting against them that can release their impulse of sex.

      • KCI등재

        김수환 추기경과 가톨릭 시민 - 카리스마의 집중과 확산을 중심으로 -

        김남희(Kim, Nam Hui) 가톨릭대학교(성심교정) 인간학연구소 2019 인간연구 Vol.0 No.39

        김수환 추기경 선종 이후 그를 기억하기 위한 작업과 연구는 교회 안팎에서 다양하게 이루어져왔다. 추기경에 대한 다각적 연구 사례는 그의 영성과 나눔 정신이 교회 내뿐만 아니라 한국 사회로 확산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열어주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종교지도자이자 사회의 지도자로서 그가 지닌 권위의 힘, 즉 카리스마에 대한 연구는 없었다. 더구나 항상 미소를 짓고 있는 추기경의 모습은 늘 당연하다고 여겼을 뿐 연구할 주제라고 생각하지는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간과되어 왔던 김수환 추기경의 카리스마와 당연하다고 여겨왔던 그의 웃음에 주목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막스 베버의 권위와 카리스마 개념을 살펴보았다. 베버는 신학적 개념인 카리스마를 한 개인이 지닌 ‘권위’의 한 양태를 일컫는 개념으로 새롭게 해석했다. 또한 권위의 한 유형인 카리스마적 권위를 전통적 권위와 합리적-법적 권위와 비교하였다. 베버의 카리스마 개념에서 볼 때, 추기경은 제도권 안에 있는 종교 지도자로서 전통적, 합리적-법적 종교적 권위보다 카리스마적인 종교적 권위가 더욱 크게 드러난 지도자라고 할 수 있다. 그의 삶과 어록을 통해 이러한 카리스마적 종교적 권위를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나아가 베버가 말한 카리스마의 일상화 개념을 토대로 은퇴 뒤 퇴색된 추기경의 카리스마적 종교적 권위를 웃음이라는 주제로 새롭게 해석하였다. 추기경의 이미지라 할 수 있는 ‘인자한 미소’를 웃음의 유형에서 학문적 의미를 찾고, 그 웃음을 영성적 관점에서 고찰했다. 마지막으로 막스 베버의 카리스마에 대한 비판적 고찰을 통해 개인에게 집중된 카리스마적 권위를 아이젠슈타트와 쉴스의 이론을 토대로 카리스마의 확산 개념을 살펴보았다. 이로써 추기경의 카리스마가 현재적으로 구현될 인간상을 ‘가톨릭 시민’이라 명명하고, 나아가 가톨릭 시민교육의 필요성을 제안했다. Since the demise of Cardinal Kim(1922-2009), several diverse studies of his life and work have been conducted both within and outside of the church. Many of these have revealed that his spirituality and generosity extended throughout Korean society as well as among the church′s community. However, his power and charisma as both a religious and social leader have not been explored to date. Moreover, scholars have not considered his propensity to smile as a serious subject for study, considering it a mere matter of fact. To address this oversight, this study focuses on Cardinal Kim′s charisma, which has hitherto been overlooked, and also on his tendency to smile, which has been taken for granted. To this end, I will first examine Max Weber’s concepts of authority and charisma. Weber reinterpreted the theological notion of charisma as a form of individual authority. He also drew comparisons between charismatic authority, traditional authority, and rational-legal authority. With respect to Weber’s notion of charisma, Cardinal Kim, who led the religious movement within the established social boundaries, can be described as a leader whose charismatic religious authority is more salient than other forms of authority, including traditional and rational-legal authority. In this paper, Cardinal Kim′s charismatic religious authority is examined on the basis of his life and sayings. Cardinal Kim′s charismatic religious authority, which declined after his retirement, will also be reinterpreted in this paper, with a focus on his propensity for smiling, on the basis of Weber’s concept of routinization of charisma. Referring to the classification of laughter, his well-known “generous smile” is endowed with scholarly significance and also examined from a spiritual perspective. Finally, this paper offers a critique of Weber’s notion of charisma, which focuses solely on the individual, and investigates the notion of the transmission of charisma, building on theories developed by S. N. Eisenstadt and E. Shils. Based on this research, I label this personality, through which Cardinal Kim′s charisma can be recreated for the present age, as “Catholic Citizenship,” and propse that civil education be introduced for Catholics.

      • KCI등재

        한국문학의 국제화와 TV드라마의 대형화 : 김은국의 소설 『잃어버린 이름』과 각색된 동명의 특집드라마를 중심으로

        김남혁 ( Kim Nam Hyuk ) 한국어문학국제학술포럼 2019 Journal of Korean Culture Vol.44 No.-

        본 논문은 재외한인작가 김은국의 장편소설 『잃어버린 이름』과 그것을 원작으로 하여 각색된 동명의 TV드라마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소설이 지향했던 문학의 국제성이 수용되고 변화되는 맥락과 특성을 검토했다. 1964년에 처녀작 『순교자』를 발표함으로써 세계적인 명성을 얻었던 김은국은 1970년에 그의 세 번째 소설 『잃어버린 이름』을 발표했다. 이 무렵 그의 문학론은 향토성을 버리고 국제성을 획득하는 데 집중되어 있었다. 그는 재외한인작가의 작품들이 한국의 풍속을 구체적으로 재현할 때 오로지 문학의 향토성만 부각되고, 이 때문에 문학 작품이 여행 안내책과 같은 처지에 놓이게 된다고 판단했다. 이를 타개하고 국제성을 획득하기 위해 그는 문학이 시공간에 대한 구체적인 재현의 문제보다 보편적인 인간 그 자체에 집중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여러 강연과 신문 지면에서 그는 현재의 ‘삶보다 큰 것’이라는 표현을 하나의 개념처럼 자주 언급했는데, 국제성을 획득한 문학 속에는 그 개념처럼 구체적인 삶을 승화하고 초월하여 더 큰 것을 추구하는 비극적인 인간이 제시된다고 생각했다. 아울러 그는 이러한 비극적인 인간을 제시함으로써 상대에 대한 증오심과 악몽과도 같은 기억에서 벗어날 수 있다고 주장했다. 한편, 김은국이 주장했던 문학의 국제성이 오롯이 적용되어 있던 『잃어버린 이름』은 1985년에 MBC에서 3.1절 특집 드라마로 방영됐다. 이 시기 방송은 정부의 영향력 아래 놓여 있었으며, 정부는 국가발전과 민족정기 회복이라는 사명을 방송에서 실천해 주기를 요구했다. MBC는 이 같은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세계적인 명성을 얻은 작가의 작품을 활용한 대형 특집 드라마를 만들고자 했다. 드라마 <잃어버린 이름>은 기획 단계에서부터 미국 수출을 고려한 대형 특집 드라마로 제작됐다. 그렇게 완성된 드라마는 원작과 다르게 시대에 대한 구체적인 재현의 수준을 높였으며 일제에 대한 증오심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변화됐다. 그런데 이 같은 변화는 김은국이 문학의 향토성이라며 거부했던 특성이기도 했다. 이처럼 김은국의 문학과 드라마는 동일하게 전 세계의 독자와 시청자를 고려한 예술의 국제성을 추구했지만, 전자의 국제성이 역사와 인간에 대한 보편성과 연결되어 있었다면, 후자의 그것은 향토성과 연결되어 있었다. This paper dealt with Richard E. Kim’s novel Lost Names(1970) and TV drama of the same title(1985). Small aims of this study were to research the context of understanding that novel in various fields, especially in the area of TV drama in Korea in the 1980s. With this investigation, this paper compared aspects of internationality in novel and TV drama. Richard E. Kim sought to exhibit internationality in his novel that could help Korean literature to surpass locality. He thought that literary internationality could make Korean literature something like world literature but literary locality could make it something like traveling guide book. If so, how could korean literature step toward world literature and get that internationality? He answered that when an author made an effort to represent details of subsidiary information in narrative such as location, time, and so forth, his novel would show only provincialism. However, when an author endeavored to refuse literary locality, history, memory, and hatred that originated in them could be transcended. 15 years later, his novel Lost Names was adapted for TV drama on MBC in Korea. Around this time, TV broadcasting including TV drama was controlled by the government. The New Military Forces dominated broadcasting system and used it to propagate an image of the ideal nation. The TV drama < 잃어버린 이름(Lost Names) > was adapted in this harsh atmosphere of the times. However, this drama also pursued internationality like Richard. E Kim’s novel, which did not realized likewise. Japanese cruelty and resentment against it were stood out in the drama by representing past events in great detail. Broadcasting authorities thought these kinds of adaptation could strengthen internationality in TV drama. In other words, Richard E. Kim’s novel and the adopted TV drama sought internationality alike, but these two works understood it differently. This paper discussed this sameness and difference.

      • KCI등재

        ‘연암(燕巖)’이라는 고전의 형성과 그 기원(1)

        김남이(Nam-Yi, Kim) 어문연구학회 2008 어문연구 Vol.58 No.-

        Yeonam Ji-Won Park is widely remembered as a practical scientist and as a author of social criticism. Until now, 'Yeonam' along with other Practical scientists, represented modern way of thinking and also hallmarked the existence of the 'novelist', which entails an independent literature. This work seeks to examine the mechanism in the context and circumstance in which 'Yeonam' had developed into a classic. Yeonam's contemporaries of the 18th century who had interchanged with him and experienced his writings and thoughts all agree that he "opened a new frontier". The impact that his creative style and thinking had seems to be much more significant than could be imagined now. His works had been Heavily cited and referenced not only because of its fresh ingenuity, but also due to the great amount of knowledge they held. In the year 1900, almost 100 years after Yeonam's death, Chang-gang Taek-Young Kim published Yeonamjip twice, branding himself as a writer and ancient writing scholar superior to Yeonam. Maechon Hwang Hyun, who composed his own works to coincide with the publication of Yeonamjip showed a breakthrough in understanding through the example of Yeonam that there is not an orthodox way to literary absolution. Around 1910, Nam-Seon Cheo started a movement to excavate, preserve, and distribute Chosun's classics and to him, Yeonam's classics represented the very essence of civilized Chosun, Nam-Seon Cheo started a movement to excavate, preserve, and distribute Chosun's classics of 1910 and to him. Yeonam's classics represented the very essence of civilized Chosun. course, this was based on a nationalistic ideology and served a practical purpose. The question of what it is of Yeonam's works constitute the value of classics, had not been addressed. During the period leading to the 1920's. the works of Yeonam, oft limited by its era and complex language, had been closely analyzed, proofread, punctuated and amended to a form easy to the public In the 1930's Korean literature scholar Ki-Moon Hong, through 7 papers commenting on Park Ji won's art and thoughts, cited Park as the best literary artist of the Chosun and the Chinese cultural area. Hong, elevated Yeonam from a "classicist" to "The Polaris of Chosun literature". Other of the 1930's In-Bo Jeong, Tae-Jun Kim definitely cited and expressed "Yeonam" the way Ki-Moon Hong did. Hong showed Yeonam as the greatest man of east asia emphasizing his harsh criticism and satire of society, and his folklore of Chosun. Tae-Jun Kim showed Yeonam as Chosun's literary master and as a modern literaty genious and novelist. This is when the idea of 'Yeonam', who we recognize as a nocelist and practical scientist, had been born.

      • KCI등재

        김은국 문학의 보편성과 대중 재현의 문제 : 한국 여행기 「오 나의 한국」(1966)과 소설 『심판자』(1968)를 중심으로

        김남혁 ( Kim Nam-hyuk )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20 한국문학연구 Vol.0 No.64

        재미한인작가 김은국의 문학세계에 접근하는 대표적인 작품과 키워드는 1964년에 발표된 『순교자』와 보편성이었다. 이 둘의 대표성은 지금까지도 강력한 영향력을 지니고 있고 그에 준한 연구들이 대거 발표되어 왔다. 하지만 이 때문에 김은국의 문학적 실천들과 그 의미들이 많은 부분 이해되지 못한 채 남아 있기도 했다. 본 논문은 이 같은 연구와 관심의 편중을 조정하기 위해 그가 『순교자』로 문명을 얻고 막 남한에 귀국했을 무렵인 1965년 어름의 시기에 주목하여 그간 주목받지 못했던 그의 문학적 실천들을 음미해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그가 남긴 한국여행기 「오 나의 한국(O My Korea)」과 귀국 직전에 탈고했던 『심판자(The Innocent)』(1968)를 검토했다. 본 논문은 이 두 작품이 『순교자』와 보편성이라는 관심 때문에 조명받지 못했던 그의 텍스트들이자, 미학적 보편성이라는 개념으로는 해석되기 어려운 당대 남한의 구체적 역사들과 연결되어 있는 텍스트들이라는 점을 번역, 휴머니즘, 군인이라는 세부 관점들을 마련하여 검토해 봤다. 이 무렵 김은국은 휴머니즘을 자신이 지지하는 문학적 이념으로 내세웠는데, 그것은 생의 모순을 인식하고 그것을 살아내는 것을 의미했다. 「오 나의 한국」은 이 같은 휴머니즘의 시좌에서 한국을 바라보는 여행기이다. 본 논문은 이 여행기가 여행자와 현지인이 만나는 접촉지대의 상호적인 특성이 부각된다는 점에서 특징적이지만, 한국어로 번역되는 과정에서 접촉지대의 활력과 상호성이 사라지게 된다는 점을 살펴봤다. 한편 김은국은 자신이 지지했던 휴머니즘을 소설 『심판자』의 주인공들인 젊은 군인들을 통해서도 드러냈다. 이 소설에서 한국의 군인은 서구의 판단으로는 이해할 수 없는 휴머니즘의 실천적 존재이자, 삶보다 더 큰 대의를 추구하는 순수하면서도 현실적인 존재로 이해됐다. 그런데 「오 나의 한국」과 『심판자』는 1960년대 내내 김은국이 지지했던 휴머니즘을 구현하는 작품들이었지만, 그 휴머니즘 속에서 대중의 민주주의적 역량은 고찰되지 못하는 공통된 한계를 드러낸 텍스트들이기도 했다. Until now, the representative works and keywords that approach the literary world of Korean-American writer Richard E. Kim were The Martyred (1964) and universality. Their representativeness of these two has a strong influence and too many reviews and articles have been published. However, for this reason, many of Richard E. Kim's literary practices and their meanings still remained ununderstood. This paper attempted to examine his literary practices that have not been noticed before, paying attention to the period around 1965, when he became famous for the Martyred and just returned to South Korea. In particular, this paper reviewed his travel writing, “O My Korea,” and his novel, The Innocent (1968). This paper analyzed these two texts around three key words : translation, humanism, and Korean soldier. Through this, it was discovered that these two works were his texts that were not illuminated by the interest of The Martyred and the concept of universality, and those that were linked to the specific history of South Korea of the time. At that time, Richard E. Kim supported humanism, which meant recognizing the contradictions of life and bringing it to life. “O My Korea” was a travelogue that understood Korea from this perspective of humanism. This paper has found that although this travelogue wa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teraction of the contact zone where travelers and locals meet, but in the process of being translated into Korean, the vitality and reciprocity of the contact zone disappeared. In addition, Richard E. Kim revealed the humanism he supported through the young soldiers who were the protagonists of the novel The Innocent. In this novel, the Korean soldier was understood as a practical existence of humanism that cannot be understood by Western thought, and as a innocent and realistic being who pursues a greater cause than ordinary life. However, “O My Korea” and The Innocent were works that embodied the humanism that he supported throughout the 1960s, but in that humanism, the democratic capacities of the multitude could not be considered.

      • KCI등재

        Surgical technique for single-port laparoscopy in huge ovarian tumors: SW Kim`s technique and comparison to laparotomy

        ( Jeong Sook Kim ),( In Ok Lee ),( Kyung Jin Eoh ),( Young Shin Chung ),( Inha Lee ),( Jung-yun Lee ),( Eun Ji Nam ),( Sunghoon Kim ),( Young Tae Kim ),( Sang Wun Kim ) 대한산부인과학회 2017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60 No.2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introduce a method to remove huge ovarian tumors (≥15 cm) intact with single-port laparoscopic surgery (SPLS) using SW Kim`s technique and to compare the surgical outcomes with those of laparotomy. Methods Medical records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for patients who underwent either SPLS (n=21) with SW Kim`s technique using a specially designed 30×30-cm2-sized 3XL LapBag or laparotomy (n=22) for a huge ovarian tumor from December 2008 to May 2016. Perioperative surgical outcomes were compared. Results In 19/21 (90.5%) patients, SPLS was successfully performed without any tumor spillage or conversion to multi-port laparoscopy or laparotom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atient characteristics, including tumor diameter and total operation time, between both groups. The postoperative hospital stay was significantly shorter for the SPLS group than for the laparotomy group (median, 2 [1 to 5] vs. 4 [3 to 17] days; P<0.001). The number of postoperative general diet build-up days was also significantly shorter for the SPLS group (median, 1 [1 to 4] vs. 3 [2 to 16] days; P<0.001). Immediate post-operative pain score was lower in the SPLS group (median, 2.0 [0 to 8] vs. 4.0 [0 to 8]; P=0.045). Patient-controlled anesthesia was used less in the SPLS group (61.9% vs. 100%). Conclusion SPLS was successful in removing most large ovarian tumors without rupture and showed quicker recovery and less immediate post-operative pain in comparison to laparotomy. SPLS using SW Kim`s technique could be a feasible solution to removing huge ovarian tumo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