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Real-time PCR을 이용한 환경 중 물 시료의 레지오넬라 분석법 연구

        이정희,이정희,박명기,김윤성,윤희정,이창희,정아용,윤미혜 한국환경보건학회 2019 한국환경보건학회지 Vol.45 No.5

        Objectives: The standard method for the enumeration of environmental Legionella is culturing, which has several disadvantages, including long incubation and poor sensitiv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monstrate the usefulness of real-time PCR and to improve the standard method. Methods: In 200 environmental water samples, a real-time PCR and culture were conducted to detect and quantify Legionella. Using with the results of the survey, we compared the real-time PCR with the culture. Results: Each real-time PCR assay had 100% specificity and excellent sensitivity (5 GU/reaction). In the culture, 36 samples were positive and 164 samples were negativ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culture, real-time PCR showed a high negative predictive value of 99%, 35 samples were true positive, 105 samples were true negative, 59 samples were false positive and one sample was a false negative.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two methods indicated a weak linear correlation (r 2 =0.29, r 2 =0.61, respectively). Conclusions: Although it is difficult to directly apply quantitative analysis results of real-time PCR in the enumeration of environmental Legionella, it can be used as a complementary means of culturing to rapidly screen negative samples and to improve the accuracy of diagnosis.

      • KCI등재

        과학일지 쓰기가 과학영재의 인지적・정의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이정희,우규환 한국영재학회 2004 영재교육연구 Vol.14 No.4

        본 연구의 목적은 과학일지 쓰기 활동이 과학영재의 인지적ㆍ정의적 특성에 미 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 대학 부설 영재교육원 소속 과학영재 21명을 대상으로 6개월간 온라인으로 과학일지를 쓰게 하고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과학일지에서 글쓰기 형식에 따라 과학개념이 드러나는 양상과 함 께 과학영재의 심리ㆍ행동적 특성이 정적 양상과 부적 양상을 보이고 있다는 것 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과학일지 쓰기는 인지적 측면에서 과학영재의 과학개념 에 대한 이해와 탐구력을 향상시키며, 정의적 측면에서 관찰력이나 과학에 대한 흥미와 태도 및 글쓰기에 대한 태도를 향상시킨다. 따라서 과학일지 쓰기는 과학영 재의 인지적ㆍ정의적 특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과학 영재는 과학일지 쓰기가 매우 유익하며 영재교육 프로그램으로도 적합하다고 인 식하고 있어, 이러한 결과는 과학일지 쓰기 활동이 영재교육 프로그램으로 활용 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ffect of science journal writings on the cognitive and affective features of the science gifted students. In this research, the tasks of on-line science journal writings were assigned for 6 months and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1 students of Chemistry Division of the Center for Science Gifted Educ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Consequently in science journals, science concepts are found in various aspects according to the writing formats, and psychological and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the science-gifted are revealed in positive or negative aspects. In cognitive prospect, science journal writing equips students with better understanding about science concepts and scientific research. In affective prospect, science journal writing help students improve observation and attitude toward science as well as writing skills. Accordingly, science journal writing has positive effect on cognitive and affective characteristics of the science-gifted. In conclusion, acknowledged by most of science-gifted students as both beneficial and appropriate in their education program, science journal writing should be emphasized in education for science-gifted students.

      • KCI등재후보
      • 콘스탄틴 멜리니코프(Konstantin S. Melnikov)의 '역동적 형태'에 관한 연구

        이정희,정진국 대한건축학회 2003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계획계/구조계 Vol.2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Architectural thinking and dynamic form of Konstantin S. Melnikov in 1920-30. He did not belong to any of the contemporary Architecture groups. Melnikov make use of his project as artistic thinking, intuition, and cognition of death. This stance was also his major point of difference with comtemporary architectural greats, who were so engrossed in methodology and design theory that they forgot the original significance of architecture. Melnikov extremely disliked repeating elements in one work from another, even if they were of his own design. This faith in originality and this unconventional novelty represent his architectural style and form his creed. It is possible that his artistic inclination reveal His Architecture.

      • SCOPUSKCI등재

        선천성 식도폐쇄및 기관식도루;수술치험 1례

        이정희,최형호,Lee, Jeong-Hui,Choe, Hyeong-Ho 대한흉부심장혈관외과학회 1993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26 No.4

        Esophageal atresia and tracheoesophageal fistula may occur as separate entities but usually occur in combination.The first report of esophageal atresia with tracheoesophageal fistula was done by Thomas Gibson in 1696.In1941, Haight and Towlseg performed the first successful primary repair,recently we were experienced a case of esophageal atresia with distal tracheoesophageal fistula in infant patient who presented the symptoms of dyspnea and vomiting.The operation was performed transpleurally through right 4th intercostal space.Patient tolerated all the operative procedure and recovered uneventflly.He was well-being without other problem.

      • KCI등재

        일·가족 양립 문제의 시대적 변화에 대한 고찰

        이정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4 여성연구 Vol.86 No.-

        이 글은 여성을 둘러싼 일·가족 양립 문제가 오늘날 새롭게 등장한 문제가 아니라 시대적 변화와 세대별 차이라는 역사적 맥락 위에서 살펴보아야 한다는 문제의식에서 시작했다. 이를 위해 여성의 일과 가족을 둘러싼 담론의 변화, 여성 노동시장 구조와 경제활동 형태의 변화, 여성의 일에 대한 인식과 직업의식의 변화라는 세 차원에서 일·가족 양립 문제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먼저 일·가족 양립을 둘러싼 담론상의 변화를 살펴보면, 1980년대 중반 이후 여성의 전반적인 교육수준 상승과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 증가로 일과 가족을 둘러싼 갈등이 사회문제화 되기 시작했지만, 이에 대한 근본적인 해결방안 모색 없이 여성 개인에게 책임을 전가하는 방식으로 담론이 형성되었다. 두 번째 여성 노동시장 구조를 살펴보면, 1980년대 중반부터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가 급증했으며, 최근으로 올수록 여성 취업자의 연령이 전반적으로 높아졌고 3차 산업으로의 집중이 심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세대간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출생코호트에 따른 분석을 실시한 결과, 1970년대 이후 출생코호트로 올수록 경제활동참가율이 전반적으로 높아졌고 M자형 곡선도 완만해지는 등 변화가 일어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여성의 일에 대한 인식과 직업의식의 변화를 살펴보면, 여성의 경력지속에 대한 긍정적 응답이 최근으로 올수록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여성 경력지속의 장애요인에 대해선“육아부담”이라는 응답이 최근으로 올수록 오히려 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출생코호트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1970년대 이후 출생코호트가 다른 출생코호트에 비해 일의 중요성을 높이 평가하고 있었으며, 남성 일을 우선시하는 것에 대해서는 가장 부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일·가족 양립 문제가 시대적으로 변화했을 뿐만 아니라 세대에 따른 차이도 존재함을 보여주고 있다. 여성의 사회진출이 활발해진 1980년대 중반 이후 교육을 마치고 사회에 진출한 젊은 세대들은 여성도 대학에 진학해서 졸업과 동시에 직업을 갖는 것이 당연한 생애경로라고 생각하고 있으며 이는 실제로 높은 경제활동참가율로 이어지고 있다. 하지만 일에 대한 높은 열망과는 다르게 결혼‧출산‧육아 등으로 인해 경력 지속이 어려운 현실은 여전하다. 이렇듯 여성들이 경험하는 이상과 현실 사이의 괴리는 최근세대로 올수록 더 커지고 있고, 이러한 괴리감으로 인해 여성들이 느끼는 일과 가족을 둘러싼 갈등의 체감지수는 이전보다 더 높을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경력단절여성 문제의 해결을 위해서는 ‘일·가족 양립 문제의 시대적 변화와 세대별 차이를 고려한 정책 마련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chronological change of work-family balance issues. First, discourses on women's work have been changed since 1980s. Because of rapid increase of women's participation in labor market and the improvement of education level, work-family balance issues became social issues but the problem were commonly considered an woman's personal matter. Second, in terms of women's labor market structure, in recent day the elder women over 40 years old have gradually increased and the women employed in service industry have increased more than 80 percent. And the result of birth-cohort analysis to investigate generational differences shows that the rate of labor force participation of birth-cohort after 1970 has been higher and M-curve as an index of women's career interruption has been more gentle than earlier birth-cohort. Finally, in regard to social awareness of women's work, most people agreed that career development is just as important to women. However, many people thought difficulties of child-rearing were still the strongest factor to interrupt women's career development.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 that work-family balance issues have been changed chronologically and there are differences according to generations(or birth-cohorts). Under the influence of recent changes in women's economic activities, the desires of the younger generation to participate in labor market are very strong but barriers to career development are also very strong. Therefore, to solve work-family balance issues and to overcome the problem of career interrupted women,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labor policies for women considering chronological changes and generational difference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