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自白과 傳聞法則과의 關係

        金成振 원광대학교 법학연구소 1989 法學硏究 Vol.11 No.-

        The modern Criminal Procedure Code admits the confession proof evidence without exception, but the evidence power of confession is restricted severely. The pro-vision of clause 7, Art.12, of the constitution and the provision of Art.309,310 and of the clause 2, Art. 312 of the Criminal Procedure Code clearly show these confession rules. Meanwhile, hearsay rule is regulated by the provision of the second of Art.310 of the Criminal Procedure Code which restricts the evidence power of hearsay evidence, and the provision of Art.311 to 316 is regulated by the exceptional occasion. That is to say, in order to admit the exception of hearsay rule, hearsay statement must have circumstantial guarantee of trustworthiness. At the same time, it is only case to use the hearsay evidence because there is no evidence to show guilt as the important fact needs evidence. Confession necessarily needs the voluntariness in order to catch the evidence of guilt. So with his agreement confession without voluntariness does not have evidence power. But only the case it is stated on the truthful circumstances so as to replace a contrast trial, hearsay statement can be adapted the guilty evidence. Therefore the permission of confession related with hearsay evidence dose not solve the problem to machinary interpret the provision of the related Criminal Procedure Code and Constitution, and so substantially based on confession rule which is understood relation the idea, purpose, function and structure of the Criminal Procedure Code, confession is to be examined whether it has evidence power or not.

      • KCI등재
      • KCI등재후보

        POCS와 정규화를 기반으로한 프레임간 압축 영상의 후처리

        金成鎭,鄭是昌,黃仁京,白俊基 대한전자공학회 2002 電子工學會論文誌-SP (Signal processing) Vol.39 No.5

        In order to reduce blocking artifacts in inter-frame coded images, we propose a new image restoration algorithm, which directly processes differential images before reconstruction. We note that blocking artifact in inter-frame coded images is caused by both 8x8 DCT and 16x16 macroblock based motion compensation, while that of intra-coded images is caused by 8x8 DCT only. According to the observation, we propose a new degradation model for differential images and the corresponding restoration algorithm that utilizes additional constraints and convex sets for discontinuity inside blocks. The proposed restoration algorithm is a modified version of standard regularization that incorporates spatially adaptive lowpass filtering with consideration of edge directions by utilizing a part of DCT coefficients. Most of video coding standard adopt a hybrid structure of block-based motion compensation and block discrete cosine transform (BDCT). By this reason, blocking artifacts are occurred on both block boundary and block interior. For more complete removal of both kinds of blocking artifacts, the restored differential image must satisfy two constraints, such as, directional discontinuities on block boundary and block interior. Those constraints have been used for defining convex sets for restoring differential images. 본 논문에서는 프레임간 압축된 영상의 블록화 현상을 감소시키기 위해 재구성하기 전 차분 영상을 처리하는 새로운 복원 알고리듬을 제안한다. 프레임내 압축 영상의 블록화 현상은 오직 8×8 DCT에 의해서 일어나는 반면에, 프레임간 압축된 영상에서는 8×8 DCT뿐만 아니라 움직임 보상을 위해 사용한 16×16의 매크로 블록에 의해서 발생된다. 이러한 이유로 본 논문에서는 차분 영상에 대한 새로운 열화모델을 제시하고, 블록 경계와 내부의 불연속에 대한 POCS를 이용한 복원 알고리듬을 제시한다. 제안된 알고리듬은 DCT계수의 일부를 이용해 블록 경계의 방향을 고려하는 공간 적응적 저대역 통과 필터를 포함하는 표준 정규화의 변환된 형태이다. 일반적인 비디오 압축 표준은 블록을 기준으로 하는 움직임 보상과 블록 이산 여현 변환(BDCT)을 이용한 혼성(hybrid) 구조를 채택하고 있다. 이러한 이유에서 블록화 현상은 블록 경계와 블록 내부에서 일어난다. 두 종류의 블록화 현상을 좀 더 완벽히 제거하기 위해서 복원된 차분 영상은 블록 경계와 블록 내부에서의 방향성 불연속과 같은 제약조건을 만족시켜야만 한다. 그러한 제약조건은 차분 영상을 복구하기 위한 convex set을 정의하는데 이용한다.

      • KCI등재
      • KCI등재

        自由民主主義-그 社會哲學的 座標

        金城鎭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1994 교육연구 Vol.28 No.-

        본 연구는 현대 인간들의 정신적 상황과 서구의 정신사적 문화유산을 고찰해보고, 공동체사회를 세워 나아가고 인류의 영구 평화의 질서의 실현을 통한 윤리적 지향점에 대해서 생각해 보고자 한다.

      • KCI등재후보

        Sol-gel 법으로 제작된 (Pb0.9La0.1)Ti0.975O3 (PLT(10)) 박막에서 과잉 Pb 의 효과

        金成珍,鄭陽喜,尹英燮 대한전자공학회 2002 電子工學會論文誌-SD (Semiconductor and devices) Vol.39 No.3

        In order to study electric properties of (Pb0.9La0.1)Ti0.975O3 (PLT (10)) films with varying excess lead concentration (7.5, 10, 12.5, 15 mol% excess lead), the PLT films were deposited by sol-gel process. DTA analyses reveal that the crystallization temperature of the precursor powers decreased with increasing amount of excess lead. XRD patterns of PLT reveal pure perovskite structure and the preferred orientation increased with increasing Pb content in the films. With increasing amount of excess Pb, the relative permittivity ( r) increased and leakage current density at 100 kV/cm transformed 4.01 10-5, 2.42 10-6, 1.27 10-6, 1.56 10-6 A/cm2, respectively. In the results of hysteresis loops measured at 166 kV/cm, the remanent polarization (Pr) and the coercive field (Ec) are 6.36 C/cm2 and 58.7 kV/cm, respectively. (at 12.5 mol% excess Pb) With increasing amount of excess Pb, the remanent polarization for PLT thin film degraded to about 44 %, 27 %, 15 %, 16 % of the initial value after 109 cycles. Sol-gel 법으로 제작한 (Pb0.9La0.1)Ti0.975O3 (PLT (10)) 박막의 구조적 및 전기적 특성에 대한 과잉 Pb 첨가량이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DTA 와 X-선 회절분석 결과, 과잉 Pb 첨가량이 7.5 에서 15 mol% 로 증가함에 따라, PLT (10) 박막의 결정화 온도는 감소하였으며, (100) 우선 배향성은 증가하였다. 또한, PLT (10) 박막의 과잉 Pb 첨가량에 따른 전기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12.5 mol% 의 과잉 Pb 를 첨가한 박막이 가장 우수한 전기적 특성을 나타내었다. 이때, 비유전률과 유전손실은 각각 350 과 0.02 이었고, 100 kV/cm 에서 누설전류밀도는 1.27 10-6 A/cm2 이었다. 또한 이력곡선으로부터 구한 잔류분극 (Pr) 과 항전계 (EC) 는 각각 6.36 C/cm2 와 58.7 kV/cm 이었으며, 5V 의 사각펄스를 109 회 인가한 후에도 잔류분극값이 초기값의 약 15 % 감소하는 비교적 우수한 피로특성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과잉 Pb 첨가량이 12.5 mol% 인 PLT (10) 박막은 비휘발성 메모리에 응용될 수 있는 매우 유망한 재료임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公無渡河歌>의 作者와 創作空間에 대한 文獻的 硏究

        金聲振(Kim Sung Jin)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17 동양한문학연구 Vol.46 No.-

        본고는 <公無渡河歌>의 ‘朝鮮津卒霍里子高’와 ‘渡河’라는 두 개의 키워드를 통해 여전히 답보상태에 머물러 있는 이 노래의 작자와 창작공간에 대해 살펴본 것이다. <공무도하가>와 관련해서는 그동안 작자의 국적 문제를 포함하여 여러 가지 쟁점이 있었다. 이러한 쟁점은 고문헌은 물론 근래의 연구에서 노래가사로서의 <공무도하가>와 음악으로서의 <공후인>을 구분하지 않은 데 기인하는 바 크다. 시가로서의 <공무도하가>를 처음 기록한 崔豹의 『古今注』에서는 <箜篌引>은 여옥이 지은 것이고 <공무도하가>는 白首狂夫의 아내가 지었다고 밝혔는데도, <箜篌引>은 朝鮮津卒 霍里子高의 처 麗玉이 지은 것이라는 첫 문구에 끌려 <공무도하가>의 작자를 麗玉으로 단정한 것이다. <공무도하가>는 창작 추정 시기와 문헌수록 시기 사이에 상당한 간극이 있다. 이럴 경우, 채록 당시의 문화지리적 환경을 살펴보는 것이 긴요하다. ‘朝鮮津卒’이나 ‘渡河’의 ‘河’ 역시 그러한 관점에서 접근해야 한다. ‘朝鮮津卒霍里子高’ 특히 ‘霍里’가 무엇을 의미하는지에 대해서도 그동안 학설이 분분했으나, 본고에서는 『萬姓統譜』 『欽定續通志』 등의 고문헌에 수록된 자료를 바탕으로, 霍里는 ‘霍氏의 마을’이고 ‘霍里子高’는 그 마을에 사는 古朝鮮 사람인 것으로 추정하였다. <公無渡河歌> 등장인물들의 국적과 <공무도하가>의 창작공간을 확정함에 있어 ‘渡河’의 河의 성격을 구명하는 것이 절대적 전제조건인 바, 본고에서는 <공무도하가>의 河는 大同江이 아니라 遼西지역의 朝鮮河인 것으로 추정하였다. 이는 河를 대동강으로 보았던 조선후기 실학자들과 이에 근거하여 <공무도하가>의 河를 대동강으로 확정적으로 보거나 또는 판단을 보류한 기존의 학설을 뒤집는 것이다. 河가 遼西지역에 있던 朝鮮河라는 사실은 霍里子高 부부와 白首狂夫 부부의 국적 및 <공무도하가>의 국적을 확정하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한 단서이다. This study deals with the writer and creative space of <Kongmudohaga> in the light of two keywords, ‘Chosunjinjol’ ‘Kwakrijago’ and ‘doha’, as their identification has been at a standstill. There were several controversial issues including the writer’s nationality related to <Kongmudohaga>. These issues were raised largely because <Kongmudohaga> as lyrics and <Konghuin> as music were not definitely distinguished in recent studies as well as in ancient writings. Even though Choe Pyo’s 『Kogeumju』, recording <Kongmudohaga> as lyrics for the first time, showed that <Konghuin> was written by Yeo-ok and that <Kongmudohaga> was written by a white-haired mad man’s wife, the writer of <Kongmudohaga> was often concluded to be Yeo-ok because of its first phrase where <Konghuin> was written by Yeo-ok, the wife of Chosunjinjol Kwakrijago. There was a considerable gap between the presumed writing time and the literature-recording time of <Kongmudohaga>. In this case, it is important to consider the cultural and geographical circumstances in its recording time. Chosunjinjol or ‘ha’ of ‘doha’ should be approached in the same viewpoint, as well. There have been several views particularly about ‘Kwakri’ of ‘Chosunjinjol Kwakrijago’. This study showed that Kwakri was a last name and Kwakrijago was from Gojoseon, Korea’s first kingdom, on the basis of materials recorded in ancient literature such as 『Manjeongtongbo』, 『Heumjeongsoktongji』 and so on. As ‘ha’ of ‘doha’ should be identified as an absolute precondition in confirming the nationality of characters and the creative space of <Kongmudohaga>, this study revealed that ‘ha’ of <Kongmudohaga> was not the Taedong River, but the Chosunha in the region of Liaoxi. This revelation overthrew the conventional theories which reached the same conclusion under the influence of pragmatists in the late Chosun Dynasty who concluded ‘ha’ of <Kongmudohaga> to be the Taedong River, or which reserved its identification. The fact that ‘ha’ was the Chosunha in the region of Liaoxi provided a critical clue in identifying the nationalities of Kwakrijago and his wife, of the white-haired mad man and his wife, and of <Kongmudohaga>.

      • KCI등재

        『瑣尾錄』을 통해 본 士族의 生活文化- 음식문화를 중심으로

        金聲振(Kim Sung Jin)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07 동양한문학연구 Vol.24 No.-

          This paper analyzed the living style of the yangban in the middle of Chosun Dynasty in view of 『Shoaemirok』 , written by Oh Heemoon(1539~1613). 『Shoaemirok』 depicted the trivial and troublesome routine aspects realistically and sincerely, which were experienced in taking refuge during Japanese invasion from the 24th year of the reign of King Shunjo, that is, 1591 A.D. to his 34th year, that is, 1601 A.D. The true value of 『Shoaemirok』 lay in its literary style, even though it could be regarded as too demotic and simple.<BR>  Different food cultures in different periods were not only the constitution of daily lives itself but also their whole body itself, considering the restoration of traditional living styles in the premodern times. However, it has not been easy to find much literature which recorded the food culture specifically. From this point of view, 『Shoaemirok』 was the best material for tracing our past living style.<BR>  This paper was intended to reconstruct and make inquiries into multifarious lives in view of the food and entertainment culture, and to complement or straighten some imperfections which could be found in previous studies. 『Shoaemirok』 mentioned almost all kinds of diets, but this paper dealt with what is called our traditional foods among them, such as Kimchi, soybean sauce, pickled seafood, tofu, noodle, and roasted fish or meat.<BR>  『Shoaemirok』 was the main object of this research in itself, as this study reconstructed its records into several frames and sought their meanings. Moreover, the Oh Heemoon family was brought into focus and was analyzed from the anthropological point of view.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a more precise understanding of the history of changes in some traditional foods including Kimchi and the living aspects of the yangban in the late Chosun Dynasty.   본 논문은 吳希文(1539~1613)이 기록한 『?尾錄』을 통해 조선중기 양반가의 생활상을 살펴본 것이다. 『?尾錄』은 임진왜란이 일어나기 직전인 선조24년(1591)부터 선조34년(1601년)까지의 생활을 기록한 것으로, 극히 일상적이고 번다한 생활상을 진솔하게 그려내고 있다. 이러한 『?尾錄』의 글쓰기 방식은 종래의 문장관으로 보면 극히 통속적이고 쇄소한 것으로 여겨질 수 있으나, 이것이 곧 『?尾錄』의 진정한 가치이다.<BR>  근세 이전 생활상의 복원을 염두에 둘 경우, 각 시대마다의 음식문화는 일상의 골격인 동시에 몸체 그 자체이기도 하다. 그럼에도 음식문화를 구체적으로 기록하고 있는 문헌은 그리 흔하지 않다. 그런 점에서 식생활에 관한 다양한 자료를 담고 있는 『?尾錄』은 과거 생활상의 복원을 위해 더없이 좋은 자료이다.<BR>  본 논문은 『?尾錄』에 담겨져 있는 다양한 삶의 모습을 음식문화를 중심으로 재구성하고 그 의미를 천착하며, 기존의 관련 연구 가운데 다소 미진한 부분은 보완하고 잘못된 부분이 있으면 조금이나마 바로잡고자 하는 의도로 작성된 것이다.<BR>  『?尾錄』에는 거의 날마다 먹거리에 대한 언급이 있지만, 본 논문에서는 그 가운데 김치와 醬醯, 두부와 국수처럼 이미 우리의 전통음식으로 굳어진 것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BR>  본 연구는 『?尾錄』의 기록을 몇 개의 틀로 재구성해서 그 의미를 찾는 것이므로, 『?尾錄』의 기록 그 자체가 주된 討究의 대상이었다. 또한 가급적 오희문 일가에 초점을 맞추어 놓고 문화인류학적 관점에서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가 김치를 포함한 각종 전통음식의 변천사나 조선후기 양반들의 삶의 모습을 정확하게 이해하는 데 조금이나마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