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Photoresist Thermal Reflow를 이용한 Microlens Array 제작

        성기,상훈,권진혁,박이순,Hwang, Sung-Ki,Baek, Sang-Hoon,Kwon, Jin-Hyuk,Park, Yi-Soon 한국광학회 2009 한국광학회지 Vol.20 No.2

        PET 필름 위에 LCD 백라이트의 프리즘 집광시트의 역할을 대체 할 수 있는 microlens array(MLA) 시트를 설계하고 제작하였다. Photoresist thermal reflow 공정으로 두께 $100{\mu}m$ PET 필름 위에 MLA를 제작하였고, 노광 시간과 reflow의 온도, 시간 등의 변수에 따른 MLA의 형상 변화를 측정하였다. An optical sheet with microlens array (MLA) is designed and fabricated as a substitute for the prism sheets of LCD backlight. Using photoresist thermal reflow, MLAs were fabricated on PET film with thickness of $100{\mu}m$, and we measured the change of MLA profile in terms of exposure time, reflow temperature and reflow time.

      • SCOPUSKCI등재SCIE
      • 헴프의 CBD 오일 원료 생산을 위한 유리온실 및 스마트팜에서의 생육 비교

        정민(Jung Min Back),이희철(Hee Cheol Lee),최은식(Eun Sik Choi),인근(In Gun Hwang),정천순(Cheon Soon Jeong) 한국원예학회 2021 한국원예학회 학술발표요지 Vol.2021 No.10

        최근 헴프를 의약품 원료로 이용하기 위해 정부기관 및 지자체에서 산업화를 본격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헴프는 대마 품종중에 마약성분이 거의 없으며, 의약품으로 활용 가능한 유익한 약용성분을 포함하고 있고, 우리나라에서는 미개척 분야이다. 햄프재배는 단일성 식물이고, 보안이 요구되어 제한된 공간 내에서 재배가 가능하므로, 시설재배에서 안정적으로 생산해야하는 특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개화조절이 가능한 스마트팜과 일반 유리온실에서 건전육묘 및 주년생산 가능성을 검토하고, CBD 오일 추출 가능한 원료생산을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공시재료는 ㈜ 에코플랜츠에서 미국으로부터 수입한 ‘Spectrum’ 및 ‘Wu#5’ Feminized Hemp Seed를 공시하였다. 육묘는 강원대학교 유리온실과 특별제작된 스마트팜((주) 푸르센)에서 2021년 7월 14일부터 플러그 트레이 200공에 파종하여 10일간 육묘 후 50공에 이식 후 동년 8월 8일까지 25일간 재배하였다. 2020년 7월 14일부터 정식 후에 스마트팜과 유리온실에서 그로우 백(18L)에 원예 범용상토(서울 바이오)를 사용하여 동년 11월 17일까지 90일간 재배하였다. 개화시기 조절을 위해 스마트팜에서 개화 전 18시간 장일처리 후, 28일 뒤 12시간으로 단일처리 하였다. 재배 후에 (재)춘천바이오진흥원에서 고온건조 후 초임계추출기((주) 포스엔텍 10L)로 추출하였다. 그 후 추출액을 HPLC(shimadzu lc-20)로 분석하였다. 조사항목은 초장, 엽장, 엽폭, 엽수, 경경, SPAD, 생체중 지상부, 생체중 지하부, TR율, CBD 함량 등을 조사하였다. 초장은 육묘기, 정식 후 ‘Spectrum’, ‘Wu#5’ 모두 유리온실에서 급격하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엽장은 육묘기에 스마트팜에서 25일까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정식 후 20일차에 유리온실 ‘Spectrum’ 품종이 급격하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육묘기 중 지상부 생체중이 20일차 ‘Spectrum’, ‘Wu#5’가 유리온실에서 0.456g, 0.532g이었고, 스마트팜에서는 지상부 생체중 0.767g, 0.688g으로 재배환경 간 차이를 보였다. 지하부 생체중 또한 20일차 ‘Spectrum’, ‘Wu#5’가 유리온실에서 0.49g, 0.47g, 스마트팜에서 0.182g, 0.254g으로 차이를 보였다. TR율은 유리온실에서 ‘Spectrum’ 품종이 급격하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실험결과 ‘Spectrum’, ‘Wu#5’ 모두 스마트팜에서의 생육이 일정하였고, 유리온실에서 급격한 변화를 보여 관리에 어려움이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유리온실의 장일조건에서는 개화조절이 부적합하여 일장조절이 가능한 스마트팜에서 재배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CBD 오일을 유리온실에서 재배한 햄프에서 32.49g·kg<SUP>-1</SUP>으로 나타나서 향후 CBD 오일 관련 연구가 세부적으로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 육성비육돈사의 피트에 살포한 프리바이오틱의 냄새저감 효과

        조성 ( Sungback Cho ),임태우 ( Tae-woo Lim ),한덕우 ( Deug-woo Han ),옥화 ( Okhwa Hwang ),정민웅 ( Ming-woong Jung ),노환국 ( Whangook Nho ),박진기 ( Jinki Park ),이수협 ( Suhyup Lee ) 한국농업기계학회 2019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4 No.1

        돈방면적 360m2, 피트 깊이 80cm의 슬러리돈사에 돈방별로 체중 55∼70kg의 육성비육돈 280두를 2처리(대조구, 시험구)구에 각각 배치하였다. 시험구에는 프리바이오틱을 1회 20kg씩 1주 2회 살포하고, 22일간 시험을 수행하였다. 시험종료 후 처리구 간에 복합악취 희석배수와 냄새기여도(Odor activity value)를 평가한 결과 무처리구 대비 프리바이오틱 처리구에서 복합악취 희석배수 93%, OAV 75% 감소 결과를 얻었다. 또한 축산냄새의 강도에 미치는 물질을 조사한 결과 대조구에서는 황화수소가 47%의 영향을 주었으며, 처리구에서는 노르말부티르산 26%, 스카톨27%의 영향을 받았다. 무처리구 대비 프리바이오틱구에서 냄새물질의 특성별로 가장 크게 감소된 물질의 수준을 살펴보면 황화합물 중에서는 황화수소 95%(대조구 4,456, 처리구 221ppb), 휘발성지방산 중에서는 노르말발레르산 81%(대조구 186, 처리구 35ppm), 페놀류 중에서는 p-크레졸 62%(대조구 89, 처리구 33ppm) 이었다.

      • 돈사 내부와 돈사 피트 상층부 공기 중의 주요 냄새물질 농도 및 냄새기여도 평가

        조성,한덕우,이상룡,곽정훈,임정수,옥화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구 한국폐기물학회) 2016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춘계학술발표논문집 Vol.2016 No.-

        본 연구는 돈사에서 발생되는 냄새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돈사 내부와 돈사 피트 상층부 공기 중의 냄새물질 농도 및 냄새기여도를 비교 평가하였다. 돈사 내부 공기는 돈사 내부 중앙지점에서 채취하였고, 돈사 피트 상층부 공기는 돈방 바닥 아래의 상층부에서 채취하였다. 공기 포집방법은 테들러백과 고체흡착관을 이용하였으며, 포집된 시료는 GC-MS(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photometer), HPLC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및 UV Spectrophotometer를 이용하여 분석되었다. 냄새기여도(Odor Activity Value, OAV)는 냄새물질 중 돈사 냄새에 기여하는 정도가 높은 물질을 평가하는 것으로, 냄새물질 농도를 냄새 감지최소농도로 나누어 계산되었다. 그 결과, 휘발성지방산 농도는 돈사 피트 상층부보다 돈사 내부 공기에서 높았으며, 페놀류, 인돌류, 황화합물류 및 암모니아의 농도는 돈사 내부보다 돈사 피트 상층부 공기에서 높았다. 돈사 내부 공기에서 냄새기여도가 높은 물질은 황화수소와 p-크레졸이었으며, 돈사 피트 상층부에서는 황화수소와 스카톨 이었다. 따라서 냄새기여도가 높은 냄새물질의 종류에 따라 적절한 냄새저감 방법을 적용하면 효과적으로 냄새를 저감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 KCI등재

        초지 및 농경지에 살포되는 돼지 분뇨의 냄새에 미생물 첨가 및 분뇨 배양온도가 미치는 효과

        옥화,박성권,한덕우,이상룡,곽정훈,조성,Hwang, Ok Hwa,Park, Sung Kwon,Han, Deug Woo,Lee, Sang Ryoung,Kwag, Jeong Hoon,Cho, Sung Back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016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Vol.36 No.2

        초지 및 농경지에 비료로 살포되는 돼지 분뇨에서 불쾌한 냄새가 발생되면 가축 분뇨의 이용 및 냄새 민원의 발생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본 연구는 돼지 분뇨의 냄새를 감소하기 위하여 냄새 저감용으로 많이 이용되는 미생물 3종을 분뇨에 살포한 후 봄 가을($20^{\circ}C$) 및 여름($35^{\circ}C$)에 해당되는 온도에서 2주간 배양한 다음 냄새물질의 농도를 평가하였다. 분뇨를 $20^{\circ}C$에서 배양하였을 때 인돌류와 휘발성 지방산의 농도가 광합성균 처리구에서 낮았다(p<0.05). 분뇨를 $35^{\circ}C$에서 배양하였을 때에는 냄새물질의 농도가 미생물 처리구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p>0.05). 돼지 분뇨의 배양온도가 $20^{\circ}C$에서 $35^{\circ}C$로 상승되었을 때 냄새물질의 농도가 크게 증가되었다(p<0.05).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봄 가을($20^{\circ}C$)에는 돼지 분뇨의 냄새를 저감하기 위한 냄새저감 미생물로 광합성균을 이용할 수 있고, 여름 ($35^{\circ}C$)에는 분뇨에 첨가한 미생물의 활성을 높일 수 있는 다른 물질의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결론적으로, 돼지 분뇨에서 발생되는 냄새를 줄이는 것은 초지 및 농경지에 살포되는 가축 분뇨의 영양학적 가치를 높이고 이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매우 중요하다. Odor in pig manure affects the distribution of the manure over grass and crop fields as fertiliz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ifferent types of microbes (Saccharomyces cerevisiae, Bacillus subtilis and Rodobacter capsulata) and incubation temperatures ($20^{\circ}C$ and $35^{\circ}C$) on the levels of odorous compounds in pig manure. Pig manure was incubated with 0.03% microbes (v/v) at temperatures of $20^{\circ}C$ or $35^{\circ}C$. At incubation temperature of $20^{\circ}C$, the addition of Rodobacter capsulata significantly (p<0.05) decreased the levels of indoles and volatile fatty acid (VFA). At incubation temperature of $35^{\circ}C$, the addition of any microbes of the three used in this study did not significantly (p>0.05) affect the levels of odorous compounds. When incubation temperature was increased from $20^{\circ}C$ to $35^{\circ}C$, levels of odorous compounds were significantly (p<0.05) increased.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Rodobacter capsulata could be utilized to reduce odor from pig manure in the spring and fall when the average temperature is around $20^{\circ}C$. However, alternative odor-reducing technology is needed to be developed to apply onto pig manure during the hot summer season ($35^{\circ}C$).

      • KCI등재

        고정리 재실마을의 공간배치에 관한 조사 연구 - 광산김씨 제의시설과 택지분포를 중심으로

        효진,선아 한국도시설계학회 2021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22 No.3

        This study is targeting Gojeong-ri, Yeonsan-myeon, Nonsan-si, Chungcheong nam-do, called Jaesil(ritual house) village of Gwangsan Kim clan.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derive the characteristics of spatial placement through the analysis of the distribution of ritual facilities and housing lands. Based on the distribution period of the ritual facilities, the ‘Geojeongteo’ was formed in the order of building → cemetery →building, and it is analyzed that the ‘Wongojeong’ was formed in the order of buildings from the graveyard of the residents of the ‘Geojeongteo’. Research shows that ‘Geojeongteo’ is sustained from family branching while ‘Wongojeong’ is sustained for Jaesil management. And it could be clearly seen that this spatial placement was formed over the centuries and maintained the function of Jaesil Village. In order to sustain identity as Jaesil Village, the ritual space should be treated as a cultural space that is shared and transmitted together. Furthermore, it is argued that the functions of the housing complex including the ritual facilities (grave station, shrine, and Jaesil), which are the elements of the space placement, and the curtilage district, must be preserved. 본 연구는 광산김씨의 재실마을이라 불리는 충청남도 논산시 연산면 고정리를 대상으로, 제의시설과 마을의 택지분포가 공간배치 상에 어떤 관계가 있는지, 그 특성 도출을 목표로 하였다. 유적 분포시기를 통해 거정터가 먼저 건물(마을)→묘→건물(마을)의 순으로 형성되었고, 원고정은 거정터 거주자의 묘지부터 건물의 순서로 형성된 것으로 분석된다. 거정터는 분가관계를 통해 원고정은 재실관리와 관련하여 마을이 지속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즉, 고정리는 묘역-사당ㆍ재실ㆍ종가-주변가옥으로 연계되는 구조이며, 이 공간배치가 수세기 동안 형성되며 ‘재실마을’을 유지시키고 있었음을 명확히 알 수 있었다. 제의공간이 삶과 어울려 전승되는 문화적 공간으로 다루어져야 할 것이며, ‘재실마을’의 보전을 위해서는 그 공간배치 요소인 제의시설과종가를 비롯한 택지군의 기능 보존이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하였다.

      • KCI등재후보

        양돈 슬러리에 첨가된 발효탄수화물의 종류별 악취물질 농도 비교

        옥화,양승학,전중환,곽정훈,최동윤,양승봉,김두환,조성,Hwang, Ok Hwa,Yang, Seung Hak,Jeon, Jung Hwan,Kwag, Jeong Hoon,Choi, Dong Yun,Yang, Seung Bong,Kim, Doo Hwan,Cho, Sung Back 한국축산환경학회 2013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지 Vol.19 No.1

        Slurry treatments included peanut shell, palm golden fiber, almond hull, which was added 2% of the amount of slurry, and non-treatment control (n=4 each group). Levels of odorous compounds were measured from the liquid slurry incubated in $20^{\circ}C$ for 2 wk in chamber whose structure is similar to slurry pit. Concentration of phenols and indoles was higher (p<0.05) in control (48.4, 4.0 ppm) compared to almond hull (31.5, 1.4 ppm) or palm golden fiber (29.1, 1.6 ppm) group. Short chain fatty acid (SCFA) level was lowest (p<0.05) in control (2,121 ppm) but highest in peanut shell group (3,640 ppm). Branched chain fatty acid (BCFA) concentration was highest (p<0.05) in peanut shell (296 ppm), but lowest in almond hull (90 ppm). Taken together, concentration of odorous compounds was decreased by addition of almond hull in pig slurry by which crude fiber and non-digestible fiber (NDF) may act as a carbon sour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