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어 문법 교육의 효율성 제고 방안 -문법 교과서의 "국어 알기" 영역의 구성을 중심으로-

        황화상 ( Hwa Sang Hwang ) 한국문법교육학회 2005 문법 교육 Vol.3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pose a way of Heightening of efficiency in grammar education. Grammar(that is a grammar textbook of high school) have systematic problems in leading learner-centered study. Grammar is composed to study from a smaller grammatical unit to a bigger grammatical unit in turn(that is in order of phoneme, word, sentence). But it is desirable that Grammar is composed to study from a bigger grammatical unit to a smaller grammatical unit(that is senence, word, phoneme), because sentence is most famillar grammatical unit for learners. And Grammar is composed to do research activity after studing grammatical theory. But it is desirable that Grammar is composed to do research activity before studing grammatical theory.

      • KCI등재

        ‘쯤’의 분포와 기능, 그리고 문법 범주

        황화상 ( Hwang Hwa-sang ) 국어학회 2012 국어학 Vol.65 No.-

        본 연구는 ‘쯤’의 분포와 기능을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쯤’의 문법 범주를 어떻게 설정할 수 있을지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쯤’은 명사구에 결합하는 분포 속성을 보인다. 따라서 ‘쯤’을 보통의 파생 접미사로 보기는 어렵다. 그리고 보조사의 의미 기능은 명사구의 의미역과 관련된다는 점에서 통사적인 것이지만 ‘쯤’의 의미 기능은 어휘적인 것이다. 따라서 ‘쯤’을(통사적 접미사로서의) 보조사로 보기는 어렵다. 이와 같이 명사구에 후행하는 분포 속성을 보이고, 또 그 의미 기능이 어휘적이라는 점에 주목하여 본 연구에서는 ‘쯤’을 의존명사로 본다. 물론 ‘쯤’은 그 분포가 명사구의 뒤로 한정된다는 점에서 보통의 의존명사와는 다르다. 그러나 이를 ‘쯤’을 의존명사로 볼 수 없는 결정적 근거로 삼기는 어렵다. 명사구는 그 자체로서 관형 성분의 자격을 가질 수 있으며, 따라서 ‘쯤’은 관형 성분(관형어)에 의존적이라는 의존명사의 요건을 충족하기 때문이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grammatical category of ‘jjeum’ on the basis of the distribution and grammatical function of it. ‘jjeum’ is not a (derivational or lexical) suffix because noun phrases(as a syntactic element) precede it. And ‘jjeum’ is not a syntactic nominal suffix pojosa(delimiter) because its semantic function is lexical. I conclude that ‘jjeum’ is a bound noun that is dependent on adnominal elements. Of course only noun phrases precede ‘jjeum’, and prenouns, adnominal clauses, and genitive nouns don't precede it. In this sense, ‘jjeum’ is different from normal bound nouns. But this can not be any grounds that ‘jjeum’ is not a bound noun. Because noun phrases have an adnominal function in itself, so ‘jjeum’ fulfills the necessary conditions for a bound noun.

      • KCI우수등재

        ‘하다’ 없이 나타나는 ‘않다’에 대하여

        황화상(Hwang, Hwa-sang) 국어국문학회 2021 국어국문학 Vol.- No.194

        ‘X 하다’ 구문의 ‘안’ 부정문은 ‘X 않다’의 형식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이때 ‘않다’는 보조 동사 ‘(-지) 않다’일 수 있다. ‘X 않다’ 구문을 ‘하지’가 생략된 장형 부정문으로 보는 것이다. 그리고 ‘않다’는 보조 동사 ‘(-지) 않다’와 다른 별개의 동사일 수 있다. ‘않다’를 통시적으로 단형 부정문에 나타나는 ‘안 하다’에서 발달하여 공시적으로 ‘하다’에 대응하는 부정 서술어로 보는 것이다. ‘X 않다’ 구문에 대응하는 ‘X 하다’구문에서 ‘하다’(그리고 X)가 독립적인 성분으로서의 지위를 가질 때에는 ‘않다’는 ‘안 하다’에서 발달한 동사일 가능성이 크다. 이때 ‘않다’는 본동사인 것이 보통이지만 ‘하다’가 보조 동사여서 ‘않다’ 또한 보조 동사, 물론 ‘(-지) 않다’와는 다른 보조 동사인 것도 있다. 그리고 ‘X 않다’ 구문에 대응하는 ‘X 하다’ 구문에서 ‘하다’(그리고 X)가 독립적인 성분으로서의 지위를 갖지 못할 때에는 ‘않다’는 ‘하지’가 생략된 장형부정문의 보조 동사 ‘(-지) 않다’일 가능성이 크다. 한편 ‘않다’가 형용사 활용을 하는, 그리고 X가 상태성을 갖는 ‘X 않다’ 구성은 존재하기 어렵다. ‘안 하다’에서 발달한 형용사로서의 ‘않다’가 없는 것은 선행 성분에 독립적이면서 형용사 활용을 하는 ‘하다’가 없기 때문이다. 곧 형용사의 경우에는 ‘않다’로 발달할 수 있는 ‘안 하다’ 구성 자체가 성립하지 않는다. 그리고 보조 형용사 ‘(-지) 않다’로서의 ‘않다’가 없는 것은 X가 상태성을 갖는 ‘X 하지 않다’ 구성이 성립하기 어렵고, X가 상태성을 갖는 ‘X+하지 않다’ 구성은 ‘하지’가 생략되는 데 영향을 줄 수 있는 ‘X 않다’ 구성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X anhta’ constructions are ‘an’ negative sentences of ‘X-hata’ constructions and ‘X hata’ constructions. ‘(X) anhta’ is one of the following two words. First, ‘(X) anhta’ is an auxiliary verb ‘(-ci) anhta’ of long-form negative sentences, if ‘hata’ and X are interdependent constituents in ‘hata’ construction. ‘hata’ is often omitted in long-form negative sentences in Korean. Second, ‘(X) anhta’ is a main verb or an auxiliary verb different from ‘(-ci) anhta’, if ‘hata’ and X are independent constituents in ‘hata’ construction. That is, ‘(X) anhta’ is a main verb or an auxiliary verb which was developed diachronically from ‘an hata’ of short-form negative sentences. ‘(X) anhta’ as an adjective is not exist. There is no ‘(X) anhta’ as a main adjective, because there is no adjective ‘hata’ which is independent from X in ‘hata’ construction. And there is no ‘(X) anhta’ as an auxiliary adjective. There are two possibilities. First, ‘hata’ is omitted only in ‘X haci anhta’ constructions made by the root separation. Second, ‘hata’ is omitted not only in ‘X haci anhta’ constructions but also ‘X-haci anhta’ constructions, but it is not omitted if X is a stative word.

      • KCI등재

        국어 합성 동사의 의미

        황화상(Hwa Sang Hwang) 한국어학회 2002 한국어학 Vol.15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meaning of compound verb in Korean, based on the meaning of formatives of a compound verb and the semantic relation between formatives of a compound verb. The compound verb ‘[V+어(∂) +오다(come)]’ is divided into for types: ‘올라오다’(오르rise+어+오다come), ‘건너오다’(건너cross+(어)+오다come), ‘보내오다’(보내send+(어)+오다come), ‘뛰어오다’(뛰run+어+오다come). Each of ‘올라오다’ and ‘건너오다’ has two different meanings, following the semantic relation between formatives of a compound verb. The compound verb ‘보내오다’ has an antonym ‘보내다(send)’ that is formative of itself, but other three types of the compound verb has an antonym ‘[V+어+가다(go)]’. And in the compound verb ‘뛰어오다’, ‘뛰다’(run) modifies <Method〉of <Act〉 that is represented by ‘오다’(come).

      • KCI등재

        국어학 : 어휘부의 구조, 그리고 단어의 분석과 형성

        황화상 ( Hwa Sang Hwang ) 배달말학회 2013 배달말 Vol.53 No.-

        본 연구에서는 어휘부의 구조를 중심으로 단어를 분석하고 형성하는 심리적 과정을 살펴보았다. 먼저 단어는 구성 요소 분석과 (형태적·의미적) 통합관계 분석의 두 과정이 단계적으로 반복 적용되면서 분석된다. 분석의 각 단계에서 단어의 구성 요소는 어휘 목록에서 이를 확인함으로써 분석된다. 통합관계는 형태 규칙과 의미 추론을 활용하여 분석될 수도 있고, 계열관계에 기반한 유추를 활용하여 분석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단어는 형성 요소를 선택하는 과정과 형태적 통합관계를 확인하는 과정을 거쳐서 만들어진다. 이때 형태적 통합관계는 형태 규칙에 의해서도 확인될 수 있고, 계열관계에 기반한 유추를 통해서도 확인될 수 있다. 다만 이른바 ‘최초의 단어’는 통합관계를 확인하는 과정에서 통사 규칙을 원용할 수도 있고, 단어 형성 과정에서 새로운 형태 규칙(형태 결합의 새로운 질서)이 만들어질 수도 있다. 한편 형태 규칙은 형태적 통합관계에 내재한 질서를 형식화한 것이라는 점에서 본 연구의 단어 분석과 단어 형성은 규칙론의 그것과는 다르다. 그리고 유추는 통합관계를 분석하고 확인하는 과정에서 제한적으로 활용된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단어 분석과 단어 형성은 이를 폭넓게 활용하는 유추론의 그것과도 다르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mental process to analyse the internal structure of words and to form words. The analysis of a word is to analyse constituents of a word and to analyse the syntagmatic relation between them. A word is analysed by the repeated application of these two process. Constituents of a Word are analysed by ascertaining them in the lexicon. The syntagmatic relation between constituents is analysed by two different ways. On the one hand, it can be analysed by the formal rules(as the syntagmatic order between morphological units) and the linguistic competence to infer the meaning. On the other hand, it can be analysed by the analogy based on the paradigmatic relation. And a Word is formed by selecting lexical items from a lexicon and checking the syntagmatic relation between them.

      • KCI등재

        형태론 교육과 교과서

        황화상(Hwa Sang Hwang) 한국어학회 2012 한국어학 Vol.57 No.-

        The inflection of words(that is conjugation of verbs) is not to be considered for the morphology education in the current school curriculum. As result, we have to treat verbs as exceptional single words, and have to treat the combination of stem and ending in verbs as the exception of word formation. And the inflection of words is not just the morphological change of words in Korean. It is the morphological process by that many grammatical categories are realized. In this sense, the education on the inflection of words is related to the education on other parts of grammar, specially the syntax education. Therefore, the inflection of words must be included in the morphology education. And the morphology education must be targeted toward understand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words.

      • KCI등재

        있다의 의미 특성과 품사, 그리고 활용

        황화상 ( Hwa Sang Hwang ) 한말연구학회 2013 한말연구 Vol.- No.33

        This study is aimed at investigating the semantic property and parts of speech of a verb ‘issda’ based on the conjugational property of it. A verb ‘issda’ conjugates not only like a state verb, but also like an action verb. This is because its meaning is different according to the context. A main verb ‘issda’ is related to the meaning ‘the existence’. A main verb ‘issda’ as a state verb means ‘the existence as a state’, but a main verb ‘issda’ as an action verb means ‘the existence as an act’. An auxiliary verb ‘(-eo) issda’ is related to the meaning ‘the resultant state of an act’. An auxiliary verb ‘(-eo) issda’ as a state verb means ‘the state that the resultant state of an act is maintained’, but an auxiliary verb ‘(-eo) issda’ as an action verb means ‘the act to maintain the resultant state of an act’. And the meaning of an auxiliary verb ‘(-go) issda’ is related to the meaning ‘the progress’. An auxiliary verb ‘(-go) issda’ as a state verb means ‘the progress as a state’, but an auxiliary verb ‘(-go) issda’ as an action verb means ‘the progress as an act’.

      • KCI등재

        보조사와 주변 범주 -보조사, 접미사, 의존 명사를 중심으로-

        황화상 ( Hwang Hwa-sang ) 국어학회 2015 국어학 Vol.73 No.-

        보조사, 접미사, 의존 명사는 모두 형식적인 의미를 갖는 문법 범주들이다. 그런데 보조사는 선행 성분이 통사 단위로서의 명사구라는 점에서 선행 성분이 형태 단위로서의 어근인 (파생) 접미사와는 분명하게 구별된다. 그리고 보조사는 조사와의 통합 양상, 구체적인 의미 기능 면에서 의존 명사와 분명한 차이를 보인다. 먼저 보조사는 다른 조사와 비교적 쉽게 통합되는데, 구조격 조사와 통합될 때에는 보조사가 선행(보조사+구조격 조사)하며, 의미격 조사와 통합될 때에는 보조사가 후행(의미격 조사+보조사)하는 것이 보통이다. 이와 달리 의존 명사는 구조격 조사와 의미격 조사가 모두 이에 후행 (의존 명사+구조격 조사, 의존 명사+의미격 조사)하며, 관형격 조사를 제외한 어떤 조사도 이에 선행하지 못한다. 다음으로 보조사는 그 의미 기능이 선행 명사구의 통사 범주로서의 의미역에 관련된다. 이와 달리 의존 명사는 그 의미 기능이 선행 명사구의 어휘적인 차원의 의미에 관련된다. 이에 따르면 ‘들(사람들)’은 선행 성분이 형태 단위로서의 명사라는 점에서 접미사로 볼 수 있다. 그리고 ‘씩, 쯤, 끼리, 만(사흘만), 대로(법대로)’는 어떤 조사도 선행하지 않으며 의미격 조사가 후행한다는 점에서, 그리고 그 의미 기능이 어휘 의미적인 차원의 것이라는 점에서 보조사보다는 의존 명사에 가깝다. Particles, suffixes, and bound nouns all have the formal meaning. But particles are different from suffixes in that the former combine with a noun phrase(NP) as a syntactic unit but the latter combine with a noun(N) as a morphological unit. And particles are different from bound nouns in two respects. First, particles precede structural case markers, and they follow semantic case markers. But bound nouns precede structural case markers and semantic case markers. Second, the semantic function of particles is related to the thematic role of a noun phrase. But the semantic function of bound nouns is related to the lexical meaning of a noun phrase. According to this explanation, ‘deul(들)’ is an suffix because it combines with a noun as a morphological unit. And ‘ssik(씩), jjeum(쯤), kkiri(끼리), man(만), daero (대로)’ are bound nouns because they precede semantic case markers and their semantic function is lexical.

      • KCI우수등재

        형태 단위와 그 범주 설정에 대하여

        황화상(Hwang, Hwa-sang) 국어국문학회 2014 국어국문학 Vol.- No.169

        본 연구에서는 형태론적 과정을 중심으로 형태 범주를 설정한다. 형태론의 영역을 형태론적 과정에 따라 단어의 형성(혹은 조어론, 혹은 복합어)과 단어의 굴절(혹은 굴절론, 혹은 굴절형)로 대별해 온 전통은 여전히 유효하며, 또 형태론적 과정을 기반으로 형태 범주를 설정하는 것이 형태 단위 그 자체를 기반으로 하는 것보다 체계상이 이점도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복합어에 나타나는 어휘적인 요소들과 굴절형(활용형)에 나타나는 어휘적인 요소들을 구별하고, 이들을 위한 형태 범주로 각각 어근과 어간을 설정한다. 본 연구에서 어근은 형태소 단위에 한정되지 않는다. 단어분석의 측면에서 어근은 분석의 각 단계에서 새롭게 규정되므로 형태소 단위는 물론 이보다 큰 단위도 어근이 될 수 있다. 그리고 단어 형성은 본질적으로 형태소 차원에서 기술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그리고 어근은 어휘부 등재소에 한정되지 않는다. 어휘부 등재소가 아니더라도 복합어를 분석하거나 형성하는 각 단계에서 나타나는 어휘적인 요소라면 모두 어근의 자격을 갖는다. 한편 본 연구에서 어간을 형태 범주의 하나로 설정하는 것은 활용(어미 결합)이 형태론적 과정과도 관련되기 때문이다. A morphological unit dose not have a fixed morphological category. A morphological unit is just given the morphological category in the morphological process which it is involved in. The root is a morphological category related to the word formation(or a complex word). That is, the root is a lexical element which composes(or forms) a complex word. For example, ‘웃(us)-’ in a complex word ‘웃음(us-eum)’ is a root. And the stem is a morphological category related to the inflection of a word. That is, the stem is a lexical element which composes(or forms) the inflected(conjugated) form of a word. For example, ‘웃(us)-’ in a inflected(conjugated) form ‘웃다 (us-da)’ is a stem. And the root is not limited to the unit of a morpheme. First, In the process of word analysis, the root is redefined in each level. So it can be larger than the unit of a morpheme. For example, the root ‘손질 (son-jil)’ in a complex word ‘헛손질(heos-son-jil)’ is larger than a morpheme, because it is composed of two morphemes ‘손(son)’, ‘질(jil)’. Second, the word formation can not be intrinsically described in the combination of morphemes, because a complex word can be used to form a new complex word. For example, a complex word ‘웃음(us-eum)’ forms a new complex word ‘웃음꽃(us-eum-kkoch)’ with a simple word ‘꽃(kkoch)’.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