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 단락 글쓰기에서의 자기평가, 동료평가, 교수자평가 비교 연구

        황혜영,한혜령 한국교양교육학회 2020 교양교육연구 Vol.14 No.1

        In the recognition of the necessity of a concrete guide for the complementary use of self, peer, and instructor assessments in writing instruction, this study attempted to quantitatively verify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three types of assessment by comparing the ratings on single paragraph writing by writer themselves, peers, and instructors. The three groups of raters scored the writing on a 6-point Likert scale, across 12 evaluation criteria in three domains: content, organization, and language expression. The self, peer, and instructor assessment scores were analyzed in terms of score average and correlation.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average scores of self assessment was higher than those of peer assessment and instructor assessment in all comparisons in writing as a whole, three assessment domains and as 12 assessment items. In terms of correlation among the scores of self, peer, and instructor assessments, the three rater groups' average scores on the students' paragraphs were found to correlate with one another, which indicates that in general, the writings that received relatively high scores from the instructors also received high scores from the students. In terms of assessment domains, instructor assessment was correlated with both self assessment and peer assessment in all three domains, whereas self and peer assessments were correlated with each other only in the domain of language expression. In the analysis of the assessment by item, instructor assessments were found to correlate with peer assessments in more items than with self assessment, which suggests that peers are more similar to instructors in their scoring pattern than writer themselves are. Second, there were a few items where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found among all three groups' assessments. These items mostly concerned assessing concrete aspects of writing such as orthography and the clarity of sentence meaning. Third, there were items where no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any of the three groups' assessments. The items lacking correlations were those concerning the appropriateness at the discourse level.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terms of the correlations (and lack thereof) of the present study are expected to provide a guideline as to which aspects of instructor assessment could be replaced by student assessment. For example, items where all three assessor groups show high correlation with one another could be rated by writer themselves or their peers. Instead, instructors could focus their feedback more on high level aspects of writing such as discourse appropriateness, while also providing instructional support to enhance the ability to assess these aspects. 본 연구에서 우리는 글쓰기 교육에서 자기평가, 동료평가, 교수자평가의 상호보완적 활용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이나 가이드의 필요성 인식에서 사고와 표현 수업에서 한 단락 글쓰기로 시행한 자기평가, 동료평가, 교수자평가 세 평가 간의 유사성 및 차이점을 정량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우리는 본 수업에서 100명의 학생이 쓴 한 단락 글쓰기를 내용, 구성, 표현 영역의 총 12항목 글쓰기 평가기준에 따라 글쓴이 자신, 동료 학생, 교수자가 평가한 점수를 분석하였으며 각 점수를 평균 및 상관관계의 측면에서 비교한 결과 아래와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평가주체별 평점의 평균 비교분석에 따르면, 글 전체에 대한 평가의 평균, 영역별 평균, 항목별 평균 전반에 걸쳐 자기평가가 동료 및 교수자의 평가에 비해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글 평점 평균에 있어서 동료는 글쓴이 자신보다 낮은 점수를 주었으며, 영역별 비교에 있어서는 내용영역에서는 동료가, 구성영역과 표현영역에서는 교수자가 각각 자기평가에 비해 점수를 낮게 준 것으로 나타났다. 항목별로 볼 때는 주로 어휘와 문장 수준에서의 표현력이나 맞춤법 등 표현영역에 속한 항목들에서 교수자평가가 자기평가에 비해 유의미하게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동료-교수자 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한편, 상관관계 분석의 측면에서 보자면 우선 글 평균에서 자기평가-동료평가-교수자평가 간 강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는 글 전체의 평균에 있어 교수자에게 상대적으로 높은 평가를 받는 글이 학생들에게도 높은 평가를 받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영역별로 보면 교수자 평가는 전 영역에서 자기평가 및 동료평가와 상관관계를 나타낸 반면 자기평가-동료평가 간에는 내용과 구성 영역에서 상관관계가 보이지 않았다. 세부항목별 상관관계를 보면, 우선 교수자 평가는 자기평가보다 동료평가와 더 많은 항목에 걸쳐 상관관계를 보인 것으로 드러났는데, 이는 자기평가보다 동료평가와 교수자 평가 간 상관관계가 자기평가와의 상관관계보다 높음을 보여준다. 둘째, 자기-동료-교수자 상호 간 모두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인 항목들이 일부 항목들이 있었는데, 이들은 문장의미의 명확성이나 맞춤법 같은 글의 표면적이고 구체적 성격에 대한 평가 항목이었다. 셋째, 일부 항목에서는 교수자평가와 학생의 평가(동료평가, 자기평가) 간 상관관계가 발견되지 않았는데, 이 항목들은 담화 수준에서의 단어 및 문체 적절성에 관한 것들이었다. 이와 같은 평가 유사성 및 차이점은 향후 글쓰기 수업에서 교수자평가를 학생의 평가로 대체해도 무방한 평가 항목을 선정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자기-동료-교수자 3자 간 모두 평가일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난 평가항목에 있어서는 글을 쓴 학생 자신이나 동료 학생으로 하여금 피드백을 직접 할 수 있도록 유도해줄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다차원적인 고도의 인지능력을 요하는 담화 차원의 적절성과 관련된 측면의 평가에 있어서는 교수자가 보다 집중적으로 피드백을 해주되, 동시에 학생들에게도 관련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체계적인 교수법적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고층 건물이 인근 주택지에 미치는 주거환경영향 분석

        황혜영 대한건축학회 2007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23 No.3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environmental performance damages of the nearby houses by constructing high-rise buildings. The overshadowing is representative damage by constructing high-rise buildings but the obstruction of skylight, view and ventilation are also the important factors in residential environment. There is a need to propose a new evaluation method that focuses on the openness problems as well as solar access. In this paper, solar access means access to sunlight and solar heat whereas openness means access to skylight, view, ventilation and privacy. The indicators to calculate solar access are the duration of sunshine on the winter solstice and the solar radiation on a vertical surface during the winter. The indicator to calculate openness is Vertical Sky Component which measures unobstructed sky component. These indicators are available to analyze the actual condition. In case study, the one house seemed to be more damaged by high-rise buildings than the other house when used only duration of sunshine, but the estimation used three indicators showed that is not true.

      • KCI등재

        미자나빔Mise en abyme과 시선의 작용

        황혜영 프랑스문화예술학회 2018 프랑스문화예술연구 Vol.63 No.-

        Dans ce travail, nous avons essayé de réfléchir sur l'action du regard que rappelle la mise en abyme et de prêter attention à sa valeur cachée, à son sens, à son effet sur l'oeuvre à travers quelques œuvres visuelles comme The money lender and his wife(1514) de Quentin Massys(Metzys), Ceiling Painting(1966) d'Ono Yoko, Three jews walk into the bar(2014) de Marc Dennis, La condition humaine I(1933) de René Magritte, Musée du Louvre(1945) de Robert Doisneau et Le flâneur va au musée : Louvre(2016-2017) de Hong-Sik Kim. Premièrement, dans le tableau de Quentin Massys, un petit miroir convexe dans l'oeuvre qui semble être accidentellement placé sert de cœur de l'oeuvre qui donne le sens clé à l'ensemble de l'oeuvre. Introduisant l'image du dehors dans le tableau-encadrant, il joue un rôle actif de transformer le sens de celui-ci. Dans la deuxième réflexion, le <Ceiling Painting> d'Yoko Ono nous montre une mise en abyme qui ne s'achève que lorsque le spectateur monte l'échelle selon la direction du travail et qu'il regarde dans le plafond avec une loupe. Dans le troisième temps, le tableau de Marc Dennis réintroduit Le bar aux Folies-Bergères de Edouard Manet en le répétant d'une manière hyper-réelle, cependant en introduisant trois spectateurs devant le tableau de Manet, il réinterprète la question du regard posée par les positions problématiques des personnages dans le tableau du Manet. Quatrièmement, le tableau encadré dans le tableau encadrant de Condition humaine I de René Magritte donne l'impression de montrer une mise en abyme qui représente la réalité qu'il dissimule exactement comme elle est, pourtant il révèle paradoxalement et contradictoirement la distinction entre le paysage sur le tableau encadré et celui du réel qu'il dissimule de sorte qu'il nous semble montrer simultanément les deux aspects incompatibles, c'est-à-dire l'opacité et la transparence, la continuité et la discontinuité de l'art. Dernièrement, nous avons réfléchi sur les deux oeuvres sur le regard autour de <Mona Lisa> de Léonard de Vinci, Musée du Louvre(1945) de Robert Doisneau et Le flâneur va au musée : Louvre(2016-2017) de Hong-Sik Kim. Musée du Louvre de Roberto Doisneau divise des regards du public vers la <Mona Lisa> en fonction de l'emplacement du public et les réorganise tandis que l'oeuvre de Hong-Sik Kim montre le regard des spectateurs vers <Mona Lisa> à travers dans l'écran du smartphone de sorte que celle-ci se reflète se démultipliant en tant que mise en abyme divergente. Le tableau, le miroir et la photographie encadrés créent un mouvement dynamique et révèlent un réel potentiel dans l'oeuvre encadrante à travers les regards problématiques en stimulant l'imagination et l'interprétation du spectateur.

      • KCI등재

        학업 상황에서 대학생이 사용하는 자기통제 전략 탐색

        황혜영,장유진,김명섭 한국교육심리학회 2022 敎育心理硏究 Vol.36 No.3

        이 연구는 국내 대학생들이 학업 상황에서 어떠한 유혹을 경험하며, 유혹으로 인한 갈등 상황에서 어떠한 자기통제 전략을 사용하는지를 탐색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국내 A대학에 재학 중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개방형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학업 상황에서 경험했던 유혹이 무엇이었고, 그 상황에서 어떠한 자기통제 전략을 사용했는지에 대해 자유기술 방식으로 응답하게 하였다. 응답 자료를 분석한 결과, 연구에 참여한 대학생들이 학업 상황에서 경험한 유혹은 식욕․수면욕, 관계, 미디어, 피로, 딴생각, 기타의 6가지 유형으로 나타났다. 이중 미디어로 인한 유혹을 가장 높은 비율로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식욕․수면욕, 관계 순으로 그 뒤를 이었다. 유혹 상황에서 학업을 지속하기 위해 대학생이 사용하는 자기통제 전략으로는 상황선택․환경조정, 자기 보상, 사전약속과 같이 유혹에 넘어가지 않도록 미리 통제하는 사전통제 전략, 주의전환이나 인지 변화와 같이 유혹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조절하는 유혹 하향조절 전략이 보고되었으며, 그 외에 행동 억제, 각성, 우선 충족 후 학습의 8가지 유형의 전략이 보고되었다. 이중 상황선택․환경조정과 사전약속의 사전통제 전략이 가장 높은 빈도로 사용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학업 상황에서 경험하는 유혹의 종류에 따라 대학생들이 사용하는 자기통제 전략 유형은 다르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국내 대학생들이 학업 상황에서 경험하게 되는 유혹 상황과 이들 상황에서 사용하게 되는 다양한 자기통제 전략을 경험적으로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 고중조선어문 소설수업방법에 대한 약간한 체득

        황혜영(?慧英) 길림성민족사무위원회 2020 중국조선어문 Vol.230 No.-

        문학의 대표적인 쟝르의 하나인 소설은 인물형상부각을 중심으로 전일적인 이야기얽음새와 구체적인 환경묘사를 통하여 사회생활을 재현하는 문학체재이다. 소설수업은 학생들이 소설읽기를 즐기고 소설의 매력에 빠져 진정으로 소설을 감상할 줄 아는 능력을 키우게 하는 것을 최종 목표로 해야 하며 학생들이 주체로 되여 스스로 생각하고 분석하는 과정을 통해 현실생활과 소설을 결부하여 사고하는 능력을 키우게 하고 더 나아가 소설의 의의와 가치를 발굴할 수 있게 해야 한다. 본 론문에서는 고중조선어문 소설수업에서의 학생들의 흥미 유발과 자주학습능력 및 소설감상능력 제고를 념두에 두고 실천이 가능한 소설수업방법에 대해 연구하였다.

      • 역사 텍스트로 <사고와 표현> 읽기-..서유견문.. 중 <개화의 등급>과 사고의 혁신-

        황혜영 한국사고와표현학회 2010 사고와표현 Vol.3 No.2

        지식정보사회에서 요구되는 능력이 지식을 습득하는 능력에서 새로운 지식을창출하는 능력으로 변화됨에 따라 최근 전국 대학에서 학생들에게 이러한 문제해결 능력의 기초적인 소양을 함양할 수 있도록 창안된 <사고와 표현>에서는 스스로 생각하는 힘을 기르고 자신의 생각을 표현할 수 있는 비판적 사고와 창의적사고가 중요시된다. <사고와 표현>은 모든 전공을 아우르는 횡단매개적인 통합교과목으로서 개별 전공들의 간-텍스트적, 통섭적인 학습을 통해 개별 사유 체계가 지닌 장점들을 모아 시너지 효과를 최대화하려고 시도한다. <사고와 표현>에서는 여러 분야의 텍스트들을 개별 전공의 틀을 넘어 보편적인 교양 영역의 생각해볼 거리로 활용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유길준의 ..서유견문.. 중 <개화의 등급>을 패러다임의 전환의관점에서 읽어보고자 한다. ..서유견문..은 단순한 여행기록을 넘어 문화 전 분야를 아우르는 문화소개서이다. 그는 이 책에서 전 세계 여러 나라를 상세하게 소개하여 당시 중국 중심의 세계관을 극복하는 탈중국중심주의적 세계관의 새로운패러다임을 제시한다. 그는 이 책을 당시 지식인들이 사용하던 한문 대신 한글과 한문을 혼용하여 근대 국민국가와 관련된 언문일치를 지향해가는 문체의 혁신을 시도한다. 특히 『서유견문』의 결론이라고 할 수 있는 14편의 <개화의 등급>은 동양과 서양의 충돌과 접촉의 시대에 우리 문화와 서양의 문물, 옛날과 현대, 어느 쪽으로도 치우침 없이 포용하는 중도적인 자주개화 사상을 체계화한다. 10개의 단락으로 구성된 <개화의 등급>의 첫 번째 단락에서 유길준은 개화에 대한 총체적이고이상주의적인 정의를 제시하고, 개화하는 자, 반쯤 개화한 자, 아직 개화하지 않은 자의 세 등급으로 개화의 등급을 나누어 우리나라가 추구해야 할 개화의 방향과 개화의 행동강령을 제시한다. 외국 문물을 처음 접하게 되는 개화기의 상황에서 자주성을 잃지 않으면서도 외국 문물을 유연하게 수용할 것을 권하며, 남에의해 강제로 개화를 겪는 개화의 노예가 되는 것을 삼가 경계하도록 강조한다. <개화의 등급>은 급변하는 국제 정세 속에서 외국의 장점을 받아들여 우리의것을 더욱 풍부하게 하고 전통과 현대의 조화롭고 균형을 지키며 개화를 이룸으로써 자주적인 근대국가를 수립하기 위한 이론적, 실천적 지침이 되는 혁신적인개화사상으로 <사고와 표현>에서 추구하는 비판적, 논리적, 종합적 사고의 읽기자료가 된다. The abilities required by knowledge-based society is changing fromthe acquiring knowledges to generating new knowledges with existinginformations. In the course of <Thinking and expression> emphasizesthe ability of critical and creative thinking. This course is the integratededucation course, maximizing synergies through learning the merits ofeach text of different areas and joining the barrel of the individual major.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review the enlightenment thoughtthat appears on the ‘Enlightenment Level’ in Seoyu Gyunmun ofGil-Jun Yu from the perspective of a paradigm shift. What are thecreative aspects of the enlightenment suggested by Gil-Jun Yu, the onlyone scholar during Chosun Dynasty who experienced internationaltrend through his travel to Japan, America and European countries?Although this book has a format of travel journal, the book introducesabout the geography, politics, economy, education and other areas of the countries he visited. The purpose of this book was to help Koreansleave out of the China-oriented world’s view and propose the enlightenmentso that the Koreans may not be left behind the international trend. Ofthe many views about the direction of the enlightenment, he took thecompromising position between the East and West, between past andpresent. The author created a ‘mixed style of writing Korean withChinese characters in it’ in order that as many as people can readand understand his ideas about the Enlightenment with ease. Thismixed style is a transitional style preparing the unification of thewritten and spoken language related to the modern nation-state. At the Chapter 14 ‘Enlightenment Level’ of Seoyu Gyunmun, whichis the conclusion of the book, the core part of his thought about theenlightenment is described. This study reviews the uniqueness andindependence of this thought by focusing on the ‘Enlightenment Level’. He starts the chapter with definition about the enlightenment, “Thatall things reach to the good and beautiful situation.” He classified theenlightenment Level into three classes: Enlightened; Half-enlightened;and Unenlightened. He emphasized that Koreans should not becomethe slaves of the enlightenment because the slaves of the enlightenmentwill be ruled by other country. He emphasized also that Koreans shouldnot copy the enlightenment of other countries like the enlightenmentby false reputation, but learn the principles that are applicable to theactual situations of the Korean people. In his book, Gil-Jun Yu emphasized the mental value in the enlightenmentinstead of external conditions or standard and the moderate manner toview the current situation with balanced thought. As mentioned onthe above, this book is more like a conduct guidebook, instead of the62 travel journal, which urges Koreans start the enlightenment as soon asthey can. This study reviews the value of his critical and moderatethought and the uniqueness of the enlightenment he descried in thisbook.

      • KCI등재

        부산, 울산, 경남지역 중소기업의 내부역량이 수출성과에 미치는 영향 : 정부지원제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황혜영,조예희,최순권,이성환 한국무역통상학회 2017 무역통상학회지 Vol.17 No.6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internal capabilities of SMEs on export performance in Busan, Ulsan, and Gyoungnam area. Especially, the effect of awareness level about Korean government support system for promoting is the focus of this analysis. For empirical analysis, 148 survey samples were used. The result shows that the risk sensitivity of entrepreneurs and the superiority of technology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SMEs export performance. In this process the level of awareness about government support system for promoting export has a moderating effect. Specifically, it has positive moderating effect on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 communication capability and export performance and negative moderating effect on relationship between superiority of technology and export performance.

      • KCI등재

        미자나빔(Mise en Abyme: 틀 속의 틀) 관점에서 본 궁극의 인용

        황혜영 한국비교문학회 2019 比較文學 Vol.0 No.79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ultimate’ cit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the mise en abyme. The mise en abyme, which the French writer Andre Gide invented in comparison to the introduction of a reduced shield like the heart of a shield into the shield-like emblem of a Western family, means a constructive way in which literature and other arts insert another framework into the overall framework. We attempt to consider the way in which citations are introduced into the work in terms of the mise en abyme, framework within the framework. In particular, we consider the quoting way in which the subject's text and the quoted text are the same as the ‘ultimate’ citation. Borges’s Pierre Menard, Writer of Don Quixote(1939), Walter Benjamin’s Arcades Project (1927-1940), and François Truffaud’s Les 400 coups(1959) show a variety of the ultimate citations. In general, citations support the subject’s thinking or provide a logical basis for the subject’s thinking. In these works, the difference between the text of a quoter and a quote is eliminated and identical. In these works, the subject’s self is completely emptied and filled with citations in various ways, so that the subject becomes a citation and tries to capture the existence of the citation. 이 연구는 미자나빔(mise en abyme, 틀 속의 틀) 관점에서 ‘인용’의 한 극단적인양상이라고 할 수 있는 궁극의 인용에 대해 상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미자나빔은 문학과 예술에서 전체 작품 틀 속에 또 다른 틀이 삽입된 구성적 방식을의미하는 용어로 프랑스 작가 앙드레 지드가 방패모양의 서양 가문의 문장(紋章) 속에 축소된 작은 문장 모양(아빔abyme)이 방패의 심장처럼 도입되어 있는 것에비유하여 명명한 것이다. 우리는 작품 속에 인용문이 도입되는 방식을 틀 속의틀의 관점에서 고찰하고자 하였다. 특히 인용의 방식 중 원문과 인용문 사이의경계가 허물어지는 양상을 ‘궁극’의 인용이라고 부르기로 하며, 다양한 방식으로궁극의 인용을 보여주는 세 작품, 보르헤스의 『픽션들(1941)』 중 「삐에르 메나르, 『동 키호테』의 작가」(1939), 발터 벤야민의 『아케이드 프로젝트(1927-1940)』, 프랑수아 트뤼포의 영화 <400번의 구타(1959)>를 중심으로 인용 주체의 글과 원문(인용된 글) 사이의 경계가 해체되어 전사와 같이 동일(유사)하게 되는 양상의의의에 대해 분석하였다. 일반적으로 인용은 주체의 생각을 뒷받침하거나 유사한 사유로 주체의 생각에 대한 논리적 근거로 제시되는데 궁극의 인용을 담은 이들 작품은 다양한 방법을 통해 주체가 완전히 스스로 비워지고 인용으로 채워짐으로써 주체가 인용의 존재 자체를 담아내고자 한다.

      • KCI등재

        소설 속 초상화, 김동인의 광화사 미자나빔(mise en abyme) 연구

        황혜영 한국문화융합학회 2023 문화와 융합 Vol.45 No.2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aspects of ‘mise en abyme’ in Dongin Kim’s Gwanghwasa which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works of the artist's esthetic tendency. First of all, the work consists of a story about a painter that the narrator creates. The portrait of the painter Solgeo is also introduced as ‘mise en abyme’, which is overlapped with the story created by the narrator. The name of the painter in the novel, which is the same as that of Solgeo, a great painter in the Shilla Dynasty, reminds us of the pursuit of living painting. The pupil of the portrait of an absolute beauty that the painter in the novel tried to complete with a blind girl as a model is completed with ink splashed from an inkstone that the model bumped into while dying. The pupil of the portrait becomes a dramatized image of ‘mise en abyme’, which opens the abyss to the work as a dynamic qualitative change from a lifeless painting to a absolute living portrait.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