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부가가치세 과세・면세 사업구분 기준에 관한 고찰 ― 지방자치단체의 준설토 판매행위를 논의소재로 ―

        황하나,양인준 서울시립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2019 조세와 법 Vol.12 No.1

        The current law provides the general rule of exempting VAT on goods or services supplied by the state or local governments for reasons such as relaxing regressivity, but again sets forth an exception to this rule by excluding the supply of certain goods or services from exemption in order to ensure competitive neutrality with private enterprises. However, it does not separately provide a concept of business which is excluded from exemption and merely provides in Article 4 (1) of the Enforcement Decree of the VAT Act that such shall be determined ‘in accordance with the Korean Standard Industrial Classification'. In this paper, we reviewed a recent case in which a local government had entered into an aggregate disposal agreement with the state and sold a large quantity of dredged soil supplied thereunder to a private organization whereby the issue of whether such sale shall be seen as a VAT taxable transaction was raised, and by doing so, we tried to present a legal framework which sets correctly the scope of goods and services supplied by the state or local governments which shall be excluded from VAT exemption. First, we examined the normative meaning of Article 20 of the Basic Act for National Taxes which provides that “corporate accounting standards and practices shall be respected” and Article 43 of the Corporate Tax Act which provides that “corporate accounting standards or practices shall be complied with” and thereby demonstrated that the ‘Korean Standard Industrial Classification’ set forth in the Enforcement Decree of the VAT Act which has a similar legal wording structure shall also not be regarded as a source of law which binds the judge. Further, we reached the conclusion that the criterion for determining whether a business falls under a VAT exempted business or a VAT taxable business shall not be understood with a yardstick given from the outside of the VAT Act such as the one provided mechanically by the Korean standard industry classification, etc. but shall be understood with a legal concept to be found from within the VAT Act. In addition, we also confirmed that legislative supplementation such as presenting normative standards through statutory law on the distinction of businesses based on their similarity in industrial activities is ultimately required. 현행법은 국가나 지방자치단체가 공급하는 재화나 용역에 대해 역진성 완화 등을 이유로 부가가치세를 면제하는 일반규정을 둔 다음, 다시 민간기업과의 경쟁의 중립성 보장을 이유로 일정한 재화나 용역의 공급에 대해서 부가가치세를 과세하는 예외규정을 두고 있다. 그러나 면세에서 제외되는 사업의 개념을 따로 정하지 않고, 단순히 부가가치세법 시행령 제4조 제1항에서 ‘한국표준산업분류에 따른다’고 정하고 있을 뿐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최근 지방자치단체가 국가와 골재처리 협약을 체결한 후 준설토를 공급받아 민간단체에 대량으로 판매한 것이 부가가치세 과세대상 거래인지 여부가 문제된 사건을 소재로 하여, 국가나 지방자치단체의 재화나 용역의 공급 중 면세에서 제외되는 범위에 대해 올바른 법해석론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먼저 ‘기업회계기준 내지 관행을 존중하여야 한다’고 정하고 있는 국세기본법 제20조 및 ‘기업회계기준 또는 관행에 따른다’고 정한 법인세법 제43조의 규범적 의미를 되짚어봄으로써, 유사한 법문구조를 띤 부가가치세법 시행령 규정상의 ‘한국표준산업분류’ 역시 법관을 구속하는 법원으로 볼 수는 없다는 점을 논증하였다. 또한 부가가치세법상 면세인가 아니면 면세에서 제외되는 과세사업에 속하는가의 문제에 대한 판단기준은 한국표준산업분류 등에 따라 기계적으로 외부에서 주어지는 잣대로 이해해서는 안 되며, 부가가치세법 안에서 찾아내어야 하는 법 개념이어야 한다는 결론에 이르게 되었다. 아울러 궁극적으로는 사업구분에 관한 일응의 규범기준, 곧 한국표준산업분류의 역할과 한계를 명확히 하는 내용을 담은 개정규정을 마련해 둘 필요가 있다는 점도 확인하였다.

      • KCI등재

        최초 명의신탁 재산에서 파생된 주식에 대한 증여의제 과세범위 연구 ― 최근 대법원 판례 동향을 바탕으로 ―

        황하나,양인준 서울시립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2020 서울법학 Vol.28 No.2

        The Supreme Court precedents formed after the 2011-Du10232 decision show a tendency of narrowing the gift deeming provision’s scope of application based on unwritten legal principles such as taxation equity without any mentioning on the legal requirements stipulated in Article 45-2 (1) of the Inheritance and Gift Tax Act such as the purpose of evading taxes. Especially, despite the fact that the factual background of how the trustee of an initial share title trust reacquired the new shares replacing the old ones which had been subject to the initial title trust is different in each case, the Supreme Court is denying dual application of the gift deeming provision mechanically and without sufficient reasoning. Whether registering shares acquired with the sale proceeds of other shares which had been subject to an initial title trust under the name of the trustee of that initial title trust shall be deemed a gift must not to be determined in the uniform way suggested by the Supreme Court, but on a case-by-case basis depending on whether the transaction derived from the initial title trust in each case meets the legal requirements set forth in Article 45-2 of the Inheritance and Gift Tax Act. If the Supreme Court’s ruling were to be applied even in cases where it is impossible to impose gift tax on the initial title trust in accordance with Article 45-2 of the Inheritance and Gift Tax Act due to reasons such as the expiration of the imposition period, such application would lead to consequences that are contrary to the legislative purpose of the provision. To judge that the provision is not applicable in such cases by reason that the shares were acquired by the trustee of the initial title trust despite the fact that subsequent title trusts are still being repeatedly entrusted with tax evading purposes would disable the sanctioning function of the gift deeming provision and is beyond the limits of the legal interpretation. Although the penalty imposed by the dual application of the aforementioned gift deeming provision may cause excessive burden to the relevant taxpayers, narrowing the scope of application of Article 45-2 of the Inheritance and Gift Tax Act by interpretation which lacks any relevance with the legal requirements stipulated in the Article shall not be regarded as an acceptable solution to this problem as this is a problem to be solved through strict legal interpretation. 최근 대법원은 명의신탁 주식의 매도대금으로 취득하여 다시 동일인 명의로 명의개서된 주식에 대해 상증세법 제45조의2가 적용될 수 없다고 판단하였다. 그 이후 합병, 주식의 포괄적 교환, 전환사채의 전환권 행사 등으로 새로운 주식을 취득한 사안에서도, 대법원은 개별 거래의 특수성에 대한 별다른 판단 없이 동일한 결론을 내렸다. 이에 판례가 과세요건과 상관없이 명의신탁 증여의제 범위를 축소시키기 위해 반복하여 들고 있는 논거가 타당한 것인지 따져볼 필요가 생긴다. 이 글의 논증과정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최근 형성된 대법원 판례는 조세회피목적 등 상증세법 제45조의2 제1항에서 정한 명문의 요건에 대해서는 아무런 판단을 하지 않고, 과세형평 등 불문의 법리를 들어 증여의제 적용범위를 축소시키는 경향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동일인 명의로 새로운 주식을 취득하게 된 원인관계가 서로 다른 사실관계에 터잡고 있음에도 충분한 논증 없이 증여의제 중복적용의 부정이라는 기계적인 결론에 이르고 있다. 둘째, 최초 명의신탁 주식을 처분한 후 그 처분대가로 새로운 명의신탁재산을 취득하고 나아가 동일한 명의수탁자 명의로 명의개서를 마친 경우, 증여의제 범위에 포함되는지 여부는 일률적으로 판단할 근거가 없고, 최초 명의신탁 이후에 이루어진 거래의 특성을 살펴 상증세법 제45조의2의 과세요건에 부합하는지 개별적으로 판단하여야 한다. 셋째, 최초의 명의신탁 행위에 대해 부과제척기간의 도과 등으로 상증세법 제45조의2에 따른 증여세 부과처분이 불가능한 경우에도 최근 대법원 판례논거를 그대로 따른다면 동 조항의 입법취지에 반하는 결과가 발생하게 된다. 조세회피목적의 명의신탁 행위가 반복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동일인 명의로 취득한 주식이라는 이유로 위 조항이 적용될 수 없다고 판단하는 것은 증여의제 조항의 제재적 기능을 무력화시키는 것으로서 법 해석 작용의 한계를 벗어난 것이다. 넷째, 명의신탁 증여의제에 따른 제재가 자칫 과도한 부담을 야기할 수 있다 하더라도 상증세법 제45조의2 제1항의 규정과 무관한 요건으로 축소해석하는 것은 허용될 수 없고 엄격한 법 해석을 통해 해결할 문제이다.

      • KCI등재

        공동주택 하절기 지하공간의 결로저감 방안을 위한 현장조사 연구

        황하진(Hwang, Ha-Jin),유정현(Yoo, Jung-Hyun),김길태(Kim, Gil-Tae),황인태(Hwang, In-Tae) 한국건축친환경설비학회 2016 한국건축친환경설비학회 논문집 Vol.10 No.3

        In this study, we measured the temperature and relative humidity of the underground space and wall surface temperature in summer according to elapsed year. Analysis of condensation for the underground parking lot and elevator hall proposes a reasonable reduction method based on this. The humidity and temperature data was collected every 10 minutes during from August 6th to August 26th the 20th. As a result, in order to reduce the possibility of condensation of underground space the double wall should be provided. If a double wall was installed, the condensation does not occur. In case elevator hall was facing directly into the soil, the condensation was continued to occur regardless of the elapsed year. Thus elevator hall is not installed directly on the soil and dehumidifier need to be installed a mandatory.

      • KCI등재

        온라인 뉴스 공유자의 특성 및 뉴스 공유에 미치는 요인 탐색

        황하성 ( Hasung Hwang ),지앙슈에진 ( Xuejin Jiang ),주유존 ( Liucun Zhu ) 한국인터넷정보학회 2020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Vol.21 No.6

        본 연구는 온라인 뉴스 문화를 만들고 있는 뉴스 공유자의 특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메신저에서 뉴스 공유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전통 미디어와 뉴미디어를 통한 뉴스 이용행태를 밝히고, 뉴스 공유 행위에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2018년 언론 수용자 의식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메신저에서 뉴스 공유자는 비공유자보다 연령층이 낮고, 학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뉴스 공유자는 비공유자보다 전통 미디어 뉴스를 적게 이용하는 반면, 뉴미디어 뉴스를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포털, SNS, 온라인 동영상 플랫폼을 통한 뉴스 이용량과 메신저 뉴스 신뢰도는 뉴스 공유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반면, 연령과 포털 뉴스 신뢰도는 뉴스 공유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이 연구의 함의 및 한계점,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e present study aims to explore news sharers’ characteristic. Specifically, it aims to look at news sharer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ld media news usage and new media news usage. Besides, it also explores factors affecting news sharing behavior. The study used the second data of Korea Press Foundation. Findings from surveys suggest that first, news sharers are younger and have higher education than not news sharers. Second, news sharers use less news through old media while more news through new media. Third, political orientation, portal, SNS and online video platform new usage, messenger news reliability have positive effects on news sharing, while age and portal news reliability have negative effects on it. Based on these findings, implication, limitations, and topic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 KCI등재
      • KCI등재

        방송콘텐츠로서의 UCC 가능성 탐색 - 방송 제작자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황하,방성복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2011 미디어, 젠더 & 문화 Vol.17 No.-

        <P>디지털 융합시대를 맞아 방송현장에서도 UCC를 활용한 프로그램들이 등장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UCC어| 관한 논의는 온라인을 중심으로 한 UCC서비스 사용 현황이나 사례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UCC가 갖는 방송콘텐츠로서의 의미나 가능성에 대한 논의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비록 UCC가 인터넷 플랫폼을 기반으로 확산되었다 하더라도 디지털 융합시대에서 인터넷 콘텐츠가 방송콘텐츠로 전이되고 있음에 주목하면서, 과연 일반인들이 만든 동영상 UCC가 방송콘텐츠로서 성공할 수 있을지 그 가능성을 방송제작자들의 시각에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지상파 방송의 실무 제작진들 즉 PD와 작가 10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요인 분석 결과, 첫째, 방송제작자들은 UCC가 오락적, 정보적, 사회고발 및 참여적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고 평가하고 있었으며, 동시에 UCC의 부정적 역할로서 내용적/프라이버시 침해를 지적하고 있었다. 둘째, 회귀분석결과 UCC의 오락적, 정보적 기능은 방송콘텐츠로서의 UCC의 성공가능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UCC의 내용적, 프라이버시 침해 문제는 성공가능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외에도 응답자들은 UCC의 방송 프로그램 활용으로서의 문제점으로 방송 프로그램의 화질, 음질과 같은 기술적인 문제와 내용의 신뢰성, 편향성, 홍보성 문제 등과 같은 방송내용의 질적 문제를 지적하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들을 바탕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향후 연구 과제를 논의 하였다.</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