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채소류와 과칠류 중의 질산염 및 아질산염의 함량

        신정혜,강민정,양승미,김형식,성낙주,Shin, Jung-Hye,Kang, Min-Jung,Yang, Seung-Mi,Kim, Hyung-Sik,Sung, Nak-Ju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2002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Vol.17 No.2

        질산염 및 아질산염의 주요 급원인 각종 채소류 및 과실류에서 이들의 분포를 조사하고자 엽채류 23종, 과채류 4종, 근채류 $\boxUl$종, 향신채소류 7종 및 과실류 15종의 질산염, 아질산염을 Ion-Chromatography(IC)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엽채류에서 아질산염은 총 10종에서 검출 되었으며,재래종 상치가 평균 0.6 mg/kg으로 가장 낮은 함량이었고 개량종 상치가 평균 349 mg/kg으로 가장 높은 함량이었다. 질산염은 취나물이 평균 578.3 mg/kg으로 그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다음이 겨자잎(415.7mg/kg), 청경채(348.6 mg/kg)의 순이었다. 과채류 중 아질산염은 본 실험의 조건에서는 검출되지 않았으며 질산염은 애호박이 평균 86.2 mg/kg으로 가장 높은 함량이었으며 오이가 0.6~24.7 mg/kg(평균 5.5 mg/kg)으로 가장 낮았으나 모든 시료가 개체에 따라 함량의 차이가 컸다. 근채류에서도 아질산염은 검출되지 않았고 질산염은 무가 0.2~ 580.0 mg/kg으로 월등히 높은 함량이었고 향신채소류는 질산염의 함량이 대체로 낮은 반면 마늘을 제외한 전 시료에서 아질산염이 불검출에서 29.8 mg/kg까지 검출되었다. 파의 경우 아질산염은 잔파가 더 높은 함량이었으나 질산염은 대파가 평균 4.3 mg/kg으로 잔파에 비해 약 6배 더 높은 함량이었고, 고추에서도 아질산염은 적고추가 더 높은 함량이었으나 질산염은 청고추가 약 7배나 더 높았다. 과실류의 질산염은 사과가 평균 0.5 mg/kg으로 가장 낮은 함량이었고 자두가 1.6~206.2 mg/kg, 평균 76.6 mg/kg으로 다른 시료에 비하여 월등히 높은 함량이었다. A total of 53 vegetables and fruits, consisting of 23 leaf vegetables, 4 fruits vegetables, 4 edible roots,7 spice vegetables and 15 fruits were analyzed for contents of nitrate and nitrite by ion chromatography. Nitrite was detected 10 of 23 kinds of leaf vegetables, which was dominant in lettuce by average 349.9 mg/kg. Nitrate contents of leaf vegetables were average 578.3 mg/kg, 415.7 mg/kg, 348.6 mg/kg in wild plant, mustard leaf and chinese vegetable, respectively. Nitrite was not detected in fruits vegetables and rootcrops but the nitrate contents were abundant and the highest in squash(average, 86.2 mg/kg) and radish(average, 297.5 mg/kg), respectively. In spice vegetables, mate contents were from 0 to 29.8 mg/kg, but not detected in garlic. In welsh onion, its nitrite were higher in small type than large type, while nitrate contents were higher 3 times in the latter. Nitrate contents of fruits were lower in apple(average, 0.5 mg/kg) and higher in plum(average, 76.6 mg/kg) than other samples.

      • KCI등재

        홍조류의 영양 성분과 항산화 활성

        신정혜,최덕주,임현철,서종권,이수정,최선영,성낙주,Shin Jung-Hye,Choi Duk-Ju,Lim Hyun-Cheol,Seo Jong-Kwon,Lee Soo-Jung,Choi Sun-Young,Sung Nak-Ju 한국생명과학회 2006 생명과학회지 Vol.16 No.3

        갈래곰보(Meristotheca papulosa (Montagne) Kylin), 진두발 (Chondrus ocellatus, Holmes), 꼬시래기(Gracilaria verrucosa (Hudson) Papenfuss) 및 돌가사리(Gigartina tenella, Harvey) 를 대상으로 영양성분을 분석하고, 에탄을 추출물의 항산화 및 아질산염 소거 활성을 실험함으로서 그 기능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회분의 함량은 시료간의 차가 커 꼬시래기의 경우 $9.8{\pm}0.2g/100g$이었으나 돌가사리는 $17.8{\pm}0.6g/100g$으로 가장 높은 함량이었다. 조섬유의 함량은 $2.0{\pm}0.4{\sim}6.0{\pm}0.7\;g/100g$의 범위였다. 페놀화합물은 꼬시래기에서 $78.4{\pm}1.0mg/g$으로 가장 높은 함량이었으며, 총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은 진두발과 꼬시래기에서 각각 $14.9{\pm}0.5mg/g$과 $13.9{\pm}0.8mg/g$으로 정량되어 갈래곰보와 돌가사리에 비해 약 2배 정도 더 높은 함량이었다. 무기물의 총 함량은 갈래곰보에서 12,107.7 mg/kg으로 가장 높았다. 구성 아미노산은 $49.1{\sim}125.6mg/g$으로 시료에 따른 함량 차가 켰으며 대부분의 시료에서 glutamic acid의 함량이 가장 높게 정량되었다. SOD 유사활성은 시료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전체적인 활성은 낮았다. 전자공여능이 가장 높은 돌가사리의 경우 $250{\mu}g/ml$농도에서 $53.96{\pm}0.98%$로 50% 이상의 활성을 보였으며 1000 ${\mu}g/ml$농도에서는 $70.52{\pm}1.09%$로 그 활성이 증가하였다. 100 ${\mu}g/ml$의 농도에서는 시료들의 hydroxy radical 소거활성은 $57.87{\pm}1.70{\sim}62.07{\pm}0.87%$의 범위로 ascorbic acid나 BHT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아질산염 소거능은 꼬시래기에서 가장 높았는데 $100{\sim}500{\mu}g/ml$ 농도에서는 $24.04{\pm}1.9{\sim}27.52{\pm}0.82%$의 범위였으나 1000 ${\mu}g/ml$ 농도에서는 $34.81{\pm}1.36%$로 증가하였다. 이상의 항산화 활성을 평가한 결과 본 실험에 사용된 홍조류 4종은 전자공여능과 hydroxy radical 소거활성이 우수하였다. Nutritional components of 4 kinds of red seaweeds, Meristotheca papulosa, Chondrus ocellatus, Gracilaria verrucosa, Gigartina tenella, were investigated to elucidate their functionality. Antioxidant activity and nitrite scavenging activity were analyzed from 70% ethanol extracted from these red seaweeds. Large difference in ash contents was found to exhibit among all samples analyzed in this study; $9.8{\pm}0.2g/100g$ for Gracilaria verrucosa and Gigartina tenella for $17.8{\pm}0.6g/100g$. While its crude fiber content was almost the same as those in other sample within a range between $2.0{\pm}0.4g/100g$ and $6.0{\pm}0.7g/100g$. Phenolic compounds content of Gracilaria verrucosa was also the highest as $78.4{\pm}1.0mg/g$, while the total flavonoids contents of Chondrus ocellatus and Gracilaria verrucosa were $14.9{\pm}0.5mg/g$ and $13.9{\pm}0.8mg/g$, respectively. These amounts were two folds higher than Meristotheca papulosa and Gigartina tenella. The total content of minerals was the highest in Meristotheca papulosa(12,107.7 mg/kg). The amount of glutamic acid was relatively high despite of small variation in measured levels of composition amino acid ($49.1{\sim}125.6mg/g$) for most samples investigated. SOD-like ability was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increasing sample concentration, but its activity was lower. Gigartina tenella with highest electron donation ability exhibited increases in activity as $53.96{\pm}0.98%$ in concentration of 250 ${\mu}g/ml$ and $70.52{\pm}1.09%$ in 1000 ${\mu}g/ml$, respectively. In case of concentration of 100 ${\mu}g/ml$, particularly, the level of hydroxy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ere $57.87{\pm}1.70{\sim}62.07{\pm}0.87%$ which was significantly higher activity than ascorbic acid and BHT. Nitrite scavenging activity was the highest in Gracilaria verrucosa. Its activity was also increased from $24.04{\pm}1.9{\sim}27.52{\pm}0.82%$ in $100{\sim}500{\mu}g/ml$ concentration tp $34.81{\pm}1.36%$ in concentration of 1000 ${\mu}g/ml$.

      • 위암 환자의 골수에서 발견된 Cytokeratin 양성세포의 임상적 의의

        신정혜,구기범,박성훈,정호영,배한익,유완식,Shin, Jung-Hye,Ku, Ki-Beom,Park, Seong-Hoon,Chung, Ho-Young,Bae, Han-Ik,Yu, Wan-Sik 대한위암학회 2006 대한위암학회지 Vol.6 No.4

        목적: 암 환자의 골수에서 발견되는 cytokeratin 양성세포와 암의 재발과의 상관관계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많지 않다. 이에 위암환자의 골수에서 발견되는 cytokeratin 양성세포가 위암 환자의 재발과 생존율을 예측할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8년 6월부터 2000년 7월까지 경북대학교병원 외과에서 원발성 위암으로 수술받은 환자 41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술 직전 장골능선에서 골수를 흡인하여 단핵구를 분리하고 항 cytokeratin 항체를 이용하여 면역세포화학적 염색을 하였다. 결과: Cytokeratin 양성세포는 219예(52.4%)에서 발견되었고, 위암의 침윤깊이(P=0.021), 병기(P=0.026)에 따라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암의 위치, 육안형, 림프절전이, 원격전이, 분화도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골수의 cytokeratin 양성세포 유무에 따른 5년 생존율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P=0.248), 재발여부, 재발부위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위암 환자의 골수에서 cytokeratin 양성세포 유무는 예후인자로 사용되기 어렵고 재발양상을 예측하기도 어렵다. Purpose: Controversy still exists over in the prognostic significance of microscopic tumor cell dissemination in patients with cancer. This study evaluated the prognostic implication of isolated tumor cells in the bone marrow of patients with gastric cancer. Materials and Methods: Four hundred nineteen (419) patients who underwent surgery for gastric cancer between June 1998 and July 2000 were enrolled in the study. Bone marrow aspirate was obtained from the iliac crest before removal of the primary tumor. Mononuclear cells were isolated and stained with AE-1/AE-3 PAN-CYTOKERATIN. Results: Cytokeratin-positive cells were found in the bone marrow of 219 patients (52.3%). The incidence varied significantly with the depth of invasion (P=0.021) and the stage (P=0.026). The five-year survival rate of patients with cytokeratin-positive cells was 74.1% and that of patients without cytokeratin-positive cells was 81.1%(P=0.2481).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recurrence rate and the site of recurrence according to whether or not cytokeratin-positive cells were present in the bone marrow. Conclusion: The presence of cytokeratin-positive cells in the bone marrow of patients with gastric cancer did not predict outcome and recurrence. Therefore, it cannot be used as a prognostic factor.

      • KCI등재

        유자의 화학적 특성 및 아질산염 소거작용

        신정혜(Jung-Hye Shin),이준열(Jun-Yeal Lee),주종찬(Jong-Chan Ju),이수정(Soo-Jung Lee),조희숙(Hee-Sook Cho),성낙주(Nak-Ju Su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5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4 No.4

        대표적인 유자 산지인 남해(Ⅰ, Ⅱ), 통영 및 고흥에서 유자를 구입하여 과육 및 과피로 각각 분리한 후 이화학적 성분 및 아질산염 소거능을 측정하였다. 4종의 유기산이 검출되었으며, citric acid의 함량은 10.2±0.14~17.7±0.17 g/100g이었으며, 고흥산 유자의 과육 및 과피에서 각각 17.3±0.16g/100 g, 17.7±0.17 g/100 g으로 가장 높게 정량되었다. 무기물은 산지에 따른 차이가 작았으며, 칼륨의 함량이 1,332.4±2.31~2,308.5±3.25 ㎎/100 g으로 가장 높았다. 유리아미노산은 proline, asparagine, glutamic acid가 비교적 높게 함유되어 있었으며 통영산 유자 과피에서 총 326.9 ㎎/100 g으로 가장 높게 정량되었다. 유자 착즙액의 전자공여능은 시료액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상승하였으며 0.1~0.2% 농도의 산지별 시료액 첨가시 80.0% 이상의 효과가 나타났다. SOD 유사활성은 0.01~0.2%의 시료농도에서 10.2±0.50~20.1±0.77%였다. 아질산염 소거능은 pH 1.2에서 0.1~0.2% 시료액 첨가구에서 모두 73% 이상의 아질산염 소거능을 나타내었으나, pH 4.2에서는 모든 시료액 첨가구에서 27% 이하로 낮았다. The chemical properties and nitrite scavenging ability were analyzed which on a citron (Citrus junos) of 4 kinds purchased in different regions [Namhae (Ⅰ, Ⅱ), Tongyoung and Koheung] in Korea. Four kinds of organic acids were determined. Citric acid contents in flesh and peel of citron were 10.2±0.14~17.7±0.17 g/100 g. The organic acid content was the highest in citron purchased from Koheung. Total mineral content in citron was in a range of 2,844.3~4,022.4 ㎎/100 g, the potassium content was the highest in the range of 1,332.4±2.31~2,308.5±3.25 ㎎/100 g. The major free amino acid from citron were proline, asparagine and glutamic acid. And the highest in peel of citron purchased from Tongyoung by 326.9 ㎎/100 g. However, the kinds and contents of chemical components in citron were somewhat different among various regions. The electron donating ability using DPPH method of citron juice was more than 80.0% at the concentration of 0.1~0.2% and it was stronger by increased the juice concentration in the reaction mixture. SOD-like activity showed 10.2±0.50~20.1±0.77% at the concentration of 0.01~0.2%. The nitrite scavenging ability was pH and sample concentration dependent. It was the highest at the pH 1.2 and more than 73% in 0.1~0.2% citron juice. On the contrary in all concentration of added citron juice lower than 27% at pH 4.2.

      • KCI등재

        숙성 온도에 따른 마늘의 이화학적 성분 및 항산화 활성의 변화

        신정혜(Jung-Hye Shin),최덕주(Duck-Joo Choi),정미자(Mi-Ja Chung),강민정(Min-Jung Kang),성낙주(Nak-Ju Su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8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7 No.9

        열처리 온도를 달리한 마늘의 이화학적 성분 및 항산화활성을 비교하고자 통마늘을 지퍼백에 400±20 g씩 넣어 60, 70, 80 및 90℃로 조절한 incubate에 숙성하면서 1, 3, 6일에 시료를 취하여 이화학적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각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의 DPPH에 대한 전자공여능과 환원력을 통하여 항산화활성을 분석하였다. 열처리 온도를 달리하여 숙성한 마늘의 L, a 및 b값 모두 숙성온도가 높을수록 숙성기간이 경과할수록 유의적으로 낮아졌는데, 60℃에서 6일간 숙성한 시료의 b값은 22.16±0.76이었으나 90℃ 숙성 시료는 1.35±0.21로 급격히 낮아졌다. 전단가의 경우 숙성 초기에는 90℃ 숙성 시료가 85.70±1.44 ㎝/㎏²로 가장 낮았으나 숙성기간이 경과할수록 경도가 증가하여 숙성 6일에는 411.30±13.90 ㎝/㎏²으로 증가하였다. 마늘의 pH는 숙성온도가 높을수록 숙성 기간이 경과할수록 산성화되었는데 6일숙성 후 60℃와 90℃ 시료의 pH는 각각 6.12와 3.90으로 큰차이를 보였다. 총페놀과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은 숙성온도가 높을수록 숙성 기간이 경과할수록 증가하여 숙성 6일 시료의 경우 60℃ 숙성 시료에 비하여 90℃ 숙성 시료에서 총페놀은 약 3.5배, 플라보노이드는 약 9.1배 더 높은 함량이었다. Total pyruvate의 경우 숙성 온도에 따라 증감의 경향이 서로 상이하여 60℃와 70℃ 숙성 시료에서는 숙성기간 1일과 6일을 비교할 때 더 감소하였으나 80℃와 90℃ 숙성 시료의 경우 숙성 6일에 오히려 그 값이 유의적으로 증가되었다. DPPH에 대한 항산화활성은 마늘의 숙성 온도가 높을수록, 숙성 기간이 경과할수록, 농도가 진할수록 증가하여 90℃, 6일 숙성 시료의 항산화활성은 87.48±0.20%로 타 시료의 43.61~55.76%보다 월등히 높았고 환원력도 이와 동일한 경향이었다. 이처럼 항산화 활성이 증가하는 것은 마늘의 숙성온도가 높을수록 숙성 기간이 경과할수록 갈변화 물질의 생성이 많아지고, 이에 따라 총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볼 때 마늘 중의 항산화성 갈변 물질의 증가에 기인하는 결과로 판단된다. Garlics were aged at 60, 70, 80, and 90℃ for 1, 3 and 6 days. Samples were analyzed for physico-chemical compon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such as DPPH scavenging activity and reducing power of hot water and ethanol extracts. The Hunter L, a and b value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sample aged at higher temperature and for longer time. In initiation of aging, the share force was the lowest in sample aged at 90℃ (85.70±1.44 ㎏/㎠) and it increased for 6 days to 411.30±13.90 ㎏/㎠ in aging. The pH of garlic was acidified at increasing aged temperature and periods. In sample aged for 6 days at 60℃ and 90℃, pH was 6.12 and 3.90, respectively. Contents of total phenolics and flavonoids also increased in sample aged at higher temperature and for longer time. Their contents increased about 3.5 and 9.1 times higher in sample aged for 6 days at 90℃ than sample aged for 6 days at 60℃, respectively. Total pyruvate contents were fluctuated by aging temperature and periods. DPPH scavenging activity was increased in sample aged at higher temperature and longer time. The highest activity of DPPH scavenging showed 87.48±0.20% in sample aged for 6 days at 90℃. Similar results were observed in reducing power activity. It was estimated that such increases in anti-oxidant activities in aged garlics may come from actions of phenolics, flavonoids and browning compounds in them.

      • KCI등재

        흑마늘 용매 분획물의 항산화 활성

        신정혜(Jung-Hye Shin),이현지(Hyun-Gi Lee),강민정(Min-Jung Kang),이수정(Soo-Jung Lee),성낙주(Nak-Ju Su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0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9 No.7

        흑마늘의 기능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용매별 계통 분획물을 만들어 100, 250, 500 및 1,000 ㎍/㎖ 농도에서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다. 총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의 함량은 chloroform, ethyl acetate 및 hexane 분획물에서 유의적으로 높아 butanol, methanol 및 물 분획물에 비하여 5.5~11.6배 더 많았다. 흑마늘 계통 분획물의 항산화 활성은 시료의 첨가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그 활성도 증가하였으며, chloroform과 ethyl acetate 분획물의 활성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DPPH 라디칼 소거능은 1,000 ㎍/㎖ 농도에서는 butanol과 물 분획물을 제외한 모든 시료 모두에서 50% 이상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ABTS 라디칼 소거능의 경우 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분획물에서 비교적 활성이 높아, 1,000 ㎍/㎖ 농도에서는 70% 이상의 소거능을 보였다. 1,000 ㎍/㎖ 농도에서 hydroxyl radical 소거능은 50.27~81.02%의 범위로 높은 반면 SOD 유사활성은 26.73~47.64%로 비교적 그 활성이 낮았다. Linoleic acid 반응계에서 항산화 활성을 측정한 결과 저장기간이 길수록, 시료의 첨가 농도가 높을수록 항산화 활성이 더 높았으며, 또 극성 용매보다는 비극성용매 분획물의 활성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아질산염 소거능의 경우 butanol 분획물을 제외한 모든 시료에서 비교적 그 활성이 높아 100 ㎍/㎖ 농도에서도 50% 이상의 소거능을 보였다. To confirm antioxidant activity of black garlic, methanol extract of black garlic was fractioned by 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buthanol and water. Antioxidant activities of solvent fractions were assayed in 100, 250, 500 and 1,000 ㎍/㎖ concentrations. The contents of total phenol and flavonoids were significantly higher 5.5~11.6 times in chloroform, ethyl acetate and hexane fraction than other fractions. Antioxidant activities of solvent fractions were increased by higher sample concentrations and their activitie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chloroform and ethyl acetate fractions than others.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over 50% in 1,000 ㎍/㎖ concentration, except butanol and water fraction. In the same concentration, reducing power was also significantly lower in butanol and water fraction.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higher in hexane, chloroform and ethyl acetate fractions and was over 70% at 1,000 ㎍/㎖ concentration. In 1,000 ㎍/㎖ concentration, the range of hydroxy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50.27~81.02% and SOD-like ability was 26.73~47.64%. Antioxidant activity in linoleic acid reaction system was significantly higher when storage time was longer and sample concentration was higher in non-polar solvent fractions. Nitrite scavenging activity was relatively higher than antioxidant activity and the activity in 100 ㎍/㎖ concentration was over than 50%, except butanol fraction.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식물류 혼합물과 마늘의 복합 조성이 고콜레스테롤혈증 흰쥐의 혈청 지질에 미치는 영향

        Jung-Hye Shin(신정혜),Soo-Jung Lee(이수정),Woo-Jae Jung(정우재),Jong-Kwon Seo(서종권),Nak-Ju Sung(성낙주) 한국생명과학회 2010 생명과학회지 Vol.20 No.3

        식물류 혼합물 1%와 0.3, 0.5% 및 0.7%의 마늘 추출물을 고콜레스테롤혈증 유발 흰쥐에 4주간 실험 급이한 후 혈액 내 지질성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마늘 추출물의 첨가농도를 0.3~0.7%로 달리하였을 때 총 식이 섭취량은 정상군에 비해 실험군에서 유의적으로 높았으나 실험군 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총 콜레스테롤은 식물류 혼합물 및 마늘 추출물을 급이함으로써 대조군에 비해 약 20%, 중성지방은 9.3~15.0% 정도 감소되었으며, 인지질도 유사한 경향이었다. HDL-콜레스테롤은 대조군과 실험군간의 유의차가 없었으며, LDL-콜레스테롤은 정상군에 비해 대조군에서 9.4배 더 높았는데, 마늘 추출물을 0.5% 및 0.7% 첨가 급이할 경우 각각 68.45±12.83㎎/㎗ 및 66.35±5.18 ㎎/㎗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VLDL-콜레스테롤은 마늘 추출물을 0.5% 이상 첨가 급이 할 경우 정상군과 동일한 수준까지 저하되었다. 동맥경화 지수 및 심혈관질환 위험지수도 식물류 혼합물과 마늘추출물의 급이군에서 유의적으로 낮았다. 혈당은 마늘 추출물 0.5% 첨가군에서 189.37±12.02 ㎎/㎗로 가장 낮았고, 총 단백질 함량은 식물류 혼합물과 마늘 추출물 급이시 9.56±0.87~10.05±2.69 ㎎/㎗로 정상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되었다. GOT 활성은 마늘추출물의 0.3% 첨가군에서 81.86±11.73 u/㎖로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인 감소를 보였고, GPT 활성은 식물류 혼합물 및 마늘 추출물 급이군과 대조군간에 유의차가 없었다. TBARS 함량은 마늘 추출물을 0.7%로 급이한 군에서 정상군보다 낮은 함량이었다. 혈청의 항산화 활성도 마늘 추출물의 0.7% 급이군에서 83.75±2.32%로 대조군에 비해 항산화 활성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4 kinds of plant water extract mixture and garlic extract (PMG) administration on serum lipid metabolism in hypercholestrolemic rats. The normal group was administered a cholesterol free diet, the control group a 1% cholesterol diet, and each experimental group was given a diet of 1% cholesterol, 1% plant mixture and 0.3, 0.5, 0.7% garlic extract (PMG-Ⅰ, PMG-Ⅱ, PMG-Ⅲ), respectively. Each diet was administered orally to SD-male rats for 4 weeks. Total cholesterol content decreased by about 20% with administration of PMG. Triglyceride content also decreased from 9.3 to 15.0%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nd phospholipid was similar to triglycerid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HDL-cholesterol content between the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s. LDL-cholesterol content of the normal group was 9.4 times lower than the control group and its content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PMG-Ⅱ (68.45±12.83 ㎎/㎗) and PMG-Ⅲ (66.35±5.18 ㎎/㎗) groups than the PMG-Ⅰ group. VLDL-cholesterol content of the PMG-Ⅱ and Ⅲ groups were similar to the normal group. Atherogenic index (AI) and cardiac risk factor (CRF)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PMG group. Blood glucose content was the lowest in the PMG-Ⅱ (189.37±12.02 ㎎/㎗) group among all groups tested. Total protein content was 9.56±0.87~10.05±2.69 mg/dl in the PMG-Ⅰ~Ⅲ groups and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normal group. GPT activity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experimental groups, while GOT activity was effective only in the PMG-Ⅰ group. Serum TBARS content in the PMG-Ⅲ group was lower than in the normal group. Serum antioxidant activity by DPPH radical scavenging was 83.75±2.32% in the PMG-Ⅲ group, which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