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속가능개발목표(SDGs) 달성을 위한 장애포괄적 접근 강화 방안 연구 : KOICA를 중심으로 한 ODA 민관협력사업을 중심으로

        황주희(Hwang, Ju Hee) 한국직업재활학회 2020 職業再活硏究 Vol.30 No.2

        본 연구는 두 가지 목적을 가진다. 첫째는 장애포괄적 개발협력에 대한 이해도 확대를 위해 SDGs의 달성을 위한 한국의 장애포괄적 국제개발협력의 현주소를 점검하는 것이며, 두 번째 목적은 ODA 이행에 있어 SDGs의 이행수단으로서 강조되고 있는 KOICA를 중심으로 하는 민관협력사업의 장애포괄적 접근을 활성화 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SDGs 달성을 위한 세계적 전략으로 제시된 장애포괄적 국제개발협력이라는 국제적 논의 속에서 한국의 장애포괄적 개발에 대한 실존적 현상을 분석·정리함으로써 이를 이론화하는 데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며, 한국의 장애포괄적 국제개발협력 및 이의 이행을 위한 장애포괄적 민관협력 방안을 고민하였다는 점에서 한국의 ODA 국제개발협력 정책의 발전에 기여 할 수 있는 중요한 연구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 이행을 위한 연구방법은 국내외 장애포괄적 국제개발협력 관련 문헌 분석 및 KOICA의 실적 데이터 분석, 외국의 장애포괄적 국제개발협력에 대한 정책 프레임 및 장애포괄적 민관협력사업에 대해 비교하는 비교적인 관점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SDGs 달성을 위한 장애포괄적 접근 및 민관협력사업의 강화를 위해서는 (1) KOICA의 장애포괄적 개발협력 이행을 위한 주도적인 역할 정립 및 이행 (2) KOICA 내에 장애이슈를 담당하는 담당부서의 마련 (3) KOICA의 ‘민관협력실’에서는 범분야 이슈에 대한 성과를 함께 달성할 수 있는 전략 모색 (4) 장애포괄적 개발협력사업의 이행을 위한 복지부 차원의 체계 정비 (5) 민관협력사업에 있어 장애포괄적 접근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취약계층에 대한 분리통계의 생산 (6) 효과적인 장애포괄적 개발협력의 이행을 위한 이중-트랙 접근방법의 이행 방안 마련의 필요성을 제시되었다. This study has two purposes. The first is to check the current status of South Korea’s disability-inclusive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in order to increase understanding of disability-inclusive development cooperation to achieve the SDGs. The second purpose is to suggest a way to promote disability-inclusive public–private partnership projects centered on KOICA, which are being emphasized as a means of implementing the SDGs.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orizing on South Korea’s ODA history of disability-inclusive development by analyzing the existential phenomenon and to develop South Korea’s disability-inclusive public–private cooperation measures as an implementation strategy. Various studies related to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were studied as the research methodology, including domestic and international disability-inclusive approaches and KOICA’s performance data as the comparative framework. The suggested ideas to facilitate disability-inclusive public–private cooperation include (a) establishing and implementing a leading role for KOICA’s implementation of disability-inclusive development cooperation, (b) establishing departments responsible for disability issues within KOICA, (c) having KOICA’s Private and Private Cooperation Office seeks strategies to accomplish achievements in cross-sectional issues, (d) developing a system at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for implementing disability-inclusive development cooperation projects, (e) producing separate statistics for vulnerable groups to enable comprehensive access to disabilities in public–private partnership projects, and (f) implementing a twin-track approach toward effective disability-inclusive development cooperation.

      • KCI등재

        공적개발원조(ODA)에 있어 장애주류화: 국제동향 및 한국의 혁신 방향

        황주희 ( Hwang Ju Hee ),박은혜 ( Park Eun Hye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3 保健社會硏究 Vol.33 No.2

        국제사회에서 장애의 이슈는 오랜 시간 동안 배제되고 소외되어 왔다. 2000년 새천년 선언이 발표되고 새천년개발목표가 수립될 당시에도 장애 이슈는 배제되어 논의에 포함 되지 못하였다. 그러나 장애와 빈곤의 강력한 양방향 관련성이 확인되고, 장애인이 개발 도상국가에서 가장 빈곤하고 취약한 집단으로 살아가고 있는 현실이 알려지면서, 개발에 있어 장애주류화 없이는 세계빈곤퇴치를 첫 번째 목표로 설정하고 있는 새천년목표의 달성은 어려운 문제로 간주되고 있다. 2010년 한국은 일본에 이어 아시아에서는 두 번째로 OECD/DAC의 회원국으로 등록된 신흥공여국이 되었다. 신흥공여국으로서 한국 ODA의 양적 확대는 물론 ODA 정책의 선진화 두 가지 모두를 고려한 국제협력정책을 발전시켜야 할 의무를 가지게 되었다. 이를 위해서는 UN을 비롯한 선진공여국의 국제협력의 방향과 최근 경향들을 이해해야 하며, 국제적 수준에 맞는 개발원조를 시행하여야 할 중요한 시점에 놓여있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ODA 효과성을 증대하고, 세계 빈곤퇴치에 일조하며, 한국 ODA 정책의 선진화를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국제협력개발에 있어 장애주류화를 위한 국제동향을 파악하고 한국의 혁신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1) 국제사회에서 규정하고 있는 장애포괄적 개발에 대한 기본개념들을 살펴보고, (2) 국제적으로 논의되고 있는 장애포괄적 개발에 대한 논의의 흐름을 검토하며, (3) 개발에 있어 장애주류화를 혁신적으로 시행하고 있는 AusAID의 사례를 면밀히 분석하여 한국의 장애포괄적 개발을 위한 정책적 방향을 제시하였다. Generally,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have low voice in public discourses. The opportunities were lost to address various concerns of one billion of the world`s most marginalized citizens who are frequently neglected including the development of national and international policies and programs. The Republic of Korea was the second Asian country after Japan to become a member of the OECD/DAC as a donor country in 2010. This membership indicated that Korea needed to meet the expectations on the international standards of planning and implementing the ODA policies. This, moreover, indicated that Korea must not only make relevant contributions in terms of the ODA level, but also adopt the advanced ODA strategies to progress in implementing aid effectiveness. For thi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political implications for developing disability-inclusive development for Korea`s ODA. To accomplish this study aims, the researcher investigated international literatures related to (1) the international standards and polices including disability and disability-inclusive development and (2) the international efforts, such as UN and other advanced donor countries, for the disability-inclusive development. The researcher also intensely analyzed (3) the AusAID disabilityinclusive development history, strategies, objectives and outcome indicators to draw conclusions about future directions for the Korea`s successful development achievements.

      • KCI등재

        임상간호사의 전문 간호업무 수행도와 필요도 분석 - 강원도 상급병원 신경외과 영역을 중심으로

        김현수,황주희,이현정,Kim, Hyun Su,Hwang, Ju Hee,Lee, Hyun Jung 경희대학교 동서간호학연구소 2022 동서간호학연구지 Vol.28 No.2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performance and need of professional nursing care among nurses in a neurosurgery department at a tertiary hospital. Methods: This study used a descriptive design using a questionnaire with 77-item. The participants were 58 nurses with more than 3 years of clinical experience in both the neurosurgery intensive care unit and ward at a tertiary hospital in Gangwon province.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January to February of 2021. The performance and need for each workforce were analyzed with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and the effectiveness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performance and the need were analyzed with a paired t-test using SAS 9.4. Results: The recognition for work performance level was in order of direct nursing activities (3.20±.54), consultation and coordination (3.18±1.15), education (2.55±.85), administration (1.92±.86), and research (1.57±.89). The recognition for need level was in order of consultation and coordination (3.95±.83), education (3.91±.87), direct nursing practice (3.83±.55), research (3.49±.87), and administration (3.45±.54). The result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work performance and need (p<.001). Conclusion: It is required to hire professional nursing personnel who can bridge the gap between the performance and need of professional nursing workforce in a neurosurgery department at a tertiary hospital. A professional nurse may be a good alternative.

      • KCI등재

        간호조무사의 직장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김미진 ( Kim Mi Jin ),황주희 ( Hwang Ju Hee ) 경희대학교 경영연구원 2022 의료경영학연구 Vol.16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effects of mental health, emotional intelligence, and occupational stress on work happiness of nurse’s aides. In October 2019,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total 227 nurse’s aides working for long-term care hospitals and clinics. Using the IBM SPSS 25 Statistical Program,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through the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factors affecting the work happiness of nurse’s aides were occupational stress, mental health, and emotional intelligence, and the explanatory power was 64.5%. When the occupational stress was higher, and when the mental health was lower, the work happiness was not good. Thus, for the work happiness of nurse’s aides, there should be some intervention programs that could reduce their occupational stress and also improve their mental health. Also, when selecting the subjects of programs, it would be necessary to consider the degree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resilience of nurse’s aides.

      • KCI등재

        Revitalization of the Korean Social Enterprise Ecosystem and its Policy Implications

        In Jae Lee(이인재),Ju Hee Hwang(황주희) 서울행정학회 2013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Vol.24 No.1

        사회서비스 제공의 새로운 주체로 사회적기업의 활동이 확대되고 있으며, 그 활성화 방안으로 생태계가 주목받고 있다. 사회적기업 생태계란 사회적기업이 성장할 수 있는 유기적 환경체계로 사회적기업을 중심으로 다양한 이해당사자간의 네트워크 체계를 의미한다. 즉 모든 사업가능 공간에서 혁신적 가치 복합체를 생산하기 위하여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이 공생과 공존의 선순환 관계를 형성하는 네트워크 체계로 볼 수 있다. 사회적기업 생태계란 사회적기업의 성공을 돕는 (1) 자본 인프라와 (2) 사회·경제·문화적 환경으로 구성된다. 자본 인프라는 (ⅰ) 인전자본, (ⅱ) 사회정치자본, (ⅲ) 금융장본, (ⅳ) 지식자본 등을 의미하며, 환경요인은 (ⅰ) 사회적기업 정책, (ⅱ) 언론홍보와 문화적 인지도, (ⅲ) 경제사회적 조건 그리고 (ⅳ) 유관분야를 포괄하는 개념이다. 사회적기업 생태계를 육성하기 위해 현행 제도 내에서 해결하여야 할 과제로는, 인적자본육성을 위하여 교육훈련 분야의 개선이 선행되어야 하겠고, 이를 위한 개선방안은 교육유형 및 프로그램 다양화, 성장기 사회적기업 등 현장 중심의 실전형 교육과 사회적기업가 정신을 고취하는 성공한 사회적기업가들의 멘토형 교육훈련 강화, 교육주체별/대상별로 차별화된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금융자본 육석을 위해서는 사회적기업 금융자본과 자본시장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사회적기업 전문재단설립과 민간 기금 조성, 모태펀드를 활용한 사회적 자본시장 활성화, 기업 사회공헌 기금의 활용, 사회적기업의 모금 역량 강화 등 많은 세부 과제들이 존재한다. 사회정치자본과 지식자본의 확대를 위해서는 사회적기업 온 오프라인 옹호조직, 사회적기업을 위한 지원 공간(무상임대 공간 포함), 사회적기업에 대한 시민들의 긍정적 인식 확산을 위한 정책적 지원이 요구된다. 지역사회에서 사회적기업가, 자금 제공자, 연구자, 윤리적 소비자 등이 참여하는 플랫폼을 만드는 것도 중요한 정책과제가 된다. 사회적기업 생태계 육성을 위한 환경분야 정책과제로서는 먼저, 공공정책 분야의 사회적기업 거버넌스 사회적기업 정책의 보완이 필요하다. 거버넌스와 관련해서는 사회적기업을 포함한 사회적경제 육성차원의 재편이 필요하다. 중앙 단위부터 광역, 기초단위까지 일관된 지원체계 구축이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사회적 기업정책 관련해서는 사회적기업 협동화단지 및 클러스터 육성과 공공구매 시장 및 사회서비스 시장 확산이 필요하다. 민관협력 활성화 방안으로는 대기업의 경우 사회적기업의 발전 및 확산을 위해서는 대기업 자회사 형태로 직접 설립보다는 생태계 지원으로 전환이 필요하다. Social enterprise, a new type of social service agency in Korea, has rapidly emerged in recent years. A social enterprise ecosystem is defined as including both support structures that can develop social enterprises, and a cluster value network between various stakeholders. On this basis, a social enterprise ecosystem can be seen to have two main divisions; capital infrastructure, and the socio-economic and cultural environment. The capital infrastructure provides the resources, including social, political, human, financial, and intellectual capital, that are essential to the success of social enterprise. The socio-economic and cultural environment produces the conditions in which social enterprises and their capital providers operate. This environment includes, but is not limited to social enterprise policy, media relations, and economic and social conditions.<br/> The findings have the following implications. To promote the capital infrastructur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issues of education and training, while building financial capital for social enterprises requires the establishment of both financial support and capital market systems. Policy support is required in order to create a positive perception about social enterprise among citizens, and to establish spaces in which to nurture social enterprise (including free rental space). In addition, a further policy challenge involves the creation of a platform for the active participation of social entrepreneurs, funders, researchers, and ethical consumers. Generally, the challenge for policies relating to social enterprise is to build governance structures and to activate government assistance polices. In order to do this, there is a need to build a consistent support system involving the central government, metropolitan councils, and primary local authorities. At the same time, social enterprise policies should be developed by promoting the social enterprise cooperation town and cluster, and by finding a public purchasing and social service market. Ultimately, finding a way to activate the social enterprise ecosystem has significant political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social enterpri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