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궁강내 인공수정 및 체외수정시술 후의 임신 성적 예측에 있어서 혈중 인간 융모성 성선자극호르몬 베타 소단위 수치의 효용성

        황종윤 ( Jong Yun Hwang ),정상인 ( Sang In Chung ),조지형 ( Ji Hyoung Cho ),윤규욱 ( Kue Wook Yoon ),이방현 ( Bang Hyun Lee ),오영미 ( Young Mi Oh ),김성훈 ( Sung Hoon Kim ),채희동 ( Hee Dong Chae ),김정훈 ( Chung Hoon Kim ),강병 대한산부인과학회 2002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5 No.12

        목적 : 자궁강내 인공수정 (IUI) 및 체외수정시술 (IVF-ET) 후 11일째 측정한 혈중 인간 융모성 성선자극호르몬 베타 소단위 (β-human chorionic gonadotropin, β-hCG)의 임신성적 예측에 있어서의 효용성과 가능한 임계치를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 대상 및 방법 : 1997년 1월부터 2000년 12월 사이에 서울아산병원 산부인과 불임클리닉을 방문하여 자궁강내 인공수정 및 체외수정시술을 받은 환자로서 시술 후 11일째에 Objective : To clarify specific serum beta-human chorionic gonadotropin (β-hCG) levels on 11 days after intrauterine insemination (IUI) and in vitro fertilization-embryo transfer (IVF-ET) that could predict live birth. Methods : Three hundred ninety-two p

      • KCI등재

        자궁 내에서 핸드폰 전자파 (1.765GHz 마이크로파)에 노출된 생쥐의 공간 인지력 비교

        황종윤 ( Jong Yun Hwang ),이희제 ( Hee Jae Lee ),황희용 ( Hee Yong Hwang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6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9 No.11

        목적: 자궁내에서 1.765 GHz 마이크로파에 노출된 후 태어난 생쥐의 공간 인지력을 비교 평가하기 위함이다. 연구 방법: 연구에 사용되는 마이크로파 생성기는 자체 제작하였으며 주파수는 1.765 GHz이다. 마이크로파가 실험 생쥐에게 골고루 노출되게 하기 위하여 안테나는 실험장소에 정가운데 위치하여 고정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은 각각 5마리의 임신된 생쥐를 대상으로 하였고, 교미 6일째부터 실험을 시작하였다. 생쥐를 오전 9시부터 오후 5시까지 8시간 동안 마이크로파에 노출하였다. 실험에 노출되는 8시간 동안에는 사료와 물은 제한한 상태에서 방치하였으며, 대조군의 생쥐도 실험군과 동일한 조건에서 사육하였다. 양군간의 생쥐는 각기 다른 우리에서 온도 (24℃)와 명암 (12시간: 12시간)이 조절되는 곳에서 사육되었으며, 오후 5시부터 아침 9시까지는 사료와 물은 모두 자유롭게 먹을 수 있도록 하였다. 마이크로파의 열적효과 여부를 알기 위하여 실험 2주째의 체온을 직장을 통하여 측정하였고, 분만날짜와 체중 및 육안적 기형을 확인하였다. 생후 4주째인 생쥐 각각 11마리를 대상으로 Y- 미로법을 실험하였다. 실험의 결과는 실험군과 대조군에서 태어난 생쥐의 몸무게, 성장 몸무게의 변화, 기억력변화율을 비교하였다. 통계학적 처리는 SPSS 11.0프로그램을 이용하였고 연속변수의 비교는 student T-test를 이용하였다. 유의수준 0.05 미만인 경우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판정하였다. 결과: 교미 21일째에 마이크로파에 노출된 생쥐 5마리가 총 61마리의 새끼 생쥐를 분만하였고, 동일한 날에 대조군의 생쥐 4마리가 총 47마리의 새끼 생쥐를 분만하였다. 분만 도중 및 분만 직후 죽은 생쥐는 관찰되지 않았고, 분만 후 3일째에 관찰한 육안적 기형 검사에서 두 군에서 태어난 생쥐에서 기형 생쥐는 발견되지 않았다. 양군의 생쥐의 체온 변화를 비교하였는데 양군간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0.35±0.47℃ Vs 0.20±0.42℃ P=0.07). 분만 직후의 생쥐 평균 체중은 두 군간의 차이가 없었다 (1.53±0.13 gm Vs 1.54±0.16 gm P=0.56). 출생 후 4주째 두 군에서 11마리의 생쥐에게 Y- 미로법을 시행하여 기억력 변화율을 구하였다. 그 결과 마이크로파에 노출된 생쥐의 기억력 변화율은 대조군 보다 낮음을 확인하였지만 통계학적 유의성은 없었다 (59.85±6.58% Vs 63.58±7.73%, p=0.23). 결론: 본 연구에서는 자궁 내에서 1.765 GHz의 마이크로파에 노출된 후 태어난 생쥐와 정상적으로 태어난 생쥐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공간 인지력의 차이는 존재하지 않았다. Objective: To assess the spatial recognition memory on mice after prenatal exposure to 1.765 GHz microwave in utero. Methods: We used self-made microwave generator with 1.765GHz radiofrequency. We designed the experimental copper box to prevent microwave from outside. The monopole antenna of microwave generator was located in the center of box for radiated equally to all of mice. The ten pregnant mice were divided to two groups, group exposed microwave and sham group. At 5th days of mating, dam mice exposed microwave grew in the isolated cage preventing microwave for 8hrs in the every day. Other mice brought up in same methods. Both groups grew in the same good condition during experimental period. They were deprived any water and food from 9 AM to 5 PM, but given adequate water and food from 5 PM to 9 AM in every day. To know whether there is thermal effect of microwave or not, body temperature was measured by rectum. Pregnant period, birth weight and gross anomaly of offspring identified. At 4th weeks after delivery, spatial recognition memory in each 11 offspring in both groups was assessed by Y-maze method. We investigated the body weight at birth, body weight change during 4 weeks after birth, the alteration ratio of Y-maze. Student t-test was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with SPSS 11.0. P<0.05 was considere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At 21st day after mating, 61 offspring were delivered from 5 exposed dams and 47 offspring were delivered from 4 non-exposed dams. All of offspring didn`t die immediately after delivery and didn`t have gross anomaly at 3rd days in two groups. The change of body temperature and the mean birth weight on both group wasn`t different statistically significantly (-0.35±0.47℃ Vs 0.20±0.42℃, p=0.07), (1.53±0.13 gm Vs 1.54±0.16 gm, p=0.56). The alteration ratio of Y-maze on study group was inferior to sham group. But there was no sta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59.85±6.58 % Vs 63.58±7.73 %, p=0.23). Conclusion: These data suggest that the spatial recognition memory on mice after prenatal exposure to 1.765 GHz microwave is not different from the sham group.

      • KCI등재

        미세배열법을 이용한 임신 중 1.765 GHz 마이크로파에 노출된 생쥐의 난소 유전자 발현분석

        황종윤 ( Jong Yun Hwang ),나성훈 ( Sung Hun Na ),이향아 ( Hyang Ah Lee ),이동헌 ( Dong Hun Lee ),이희제 ( Hee Jae Lee ),김송인 ( Song In Kim ),전완주 ( Wan Joo Chun ),김성수 ( Sung Soo Kim ),김자경 ( Ja Kyoung Kim ),황희용 ( Hee Y 대한산부인과학회 200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2 No.6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임신 기간 중에 1.765 GHz 마이크로파에 노출된 후 태어난 새끼 생쥐의 난소의 유전자 발현의 차이를 확인하여 마이크로파 노출에 따른 태아의 영향을 평가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 방법: 본 연구에서 사용된 마이크로파는 1.765 GHz의 주파수를 가지고 있으며 평균전자파흡수율은 값은 0.38~1.71 W/kg이고 평균은 1.04 W/kg이다. 열 마리의 ICR 계통의 임신한 생쥐를 분양 받아 임의로 각각 5마리씩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구분하였다. 교미 5일째부터 실험을 시작하였다. 생쥐를 오전 9시부터 오후 5시까지 8시간 동안 마이크로파에 노출하였다. 마이크로파의 열효과 여부를 알기 위하여 실험 2주째에 직장을 통하여 체온을 측정하였다. 태어난 새끼 생쥐의 난소는 분만 7일째에 제거되었고, 제거된 난소에서 전체 RNA를 추출한 뒤에 미세배열법을 실시하였다. 대조군과 실험군에서 임신기간, 어미 개체당 평균 분만 생쥐 수, 분만당시의 평균체중 및 직장온도를 비교하였다. 또한 양 군에서의 난소의 유전자 발현을 비교하였다. 재현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동일한 실험방법으로 한번 더 실험하였다. 통계학적 처리는 SPSS 12.0프로그램을 이용하였고 연속변수의 비교는 student T-test, Mann Whitney U test를 이용하였다. 유의수준 0.05 미만인 경우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판정하였다. 결과: 실험군에서 분만당시의 평균체중은 대조군보다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작았다 (1.54±0.22 gm Vs 1.60±0.21 gm, P=0.012). 개체당 평균 분만 생쥐 수에서 실험군에서 대조군보다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많았다. (13.60±0.70 gm Vs 11.40±2.17 gm, P=0.009). 미세배열법의 결과 마이크로파 노출된 난소에서 대조군과 비교해서 유전자 발현이 2배 이상 증가한 유전자는 14개이고, 유전자 발현이 2배 이상 감소한 유전자는 74개였다. 미세배열법 결과에서 2배 이상 감소된 유전자 중에 Tumor necrosis factor alpha induced protein 8 (TNFaip8), Tumor necrosis factor superfamily member 12 (TNFsf 12), Complement factor D (CFD), chemokine (C-C motif) ligands 11 (CCL 11), Zinc Finger Protein 74 (Zfp74) 유전자와 2배 이상 증가한 유전자 중에서 Bromodomain containing 3 (Brd 3)을 선택하여 미세배열법의 결과와 동일하게 유전자 발현이 감소하고 증가하는지를 역전사중합효소 연쇄반응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을 통해서 확인하였다. 결론: 임신기간 중에 마이크로파에 노출된 후 태어난 새끼 생쥐의 난소는 대조군과 비교해서 유전자 발현의 차이가 있었다. 마이크로파에 노출된 생쥐군에서 Tnfaip8, TNFsf 12, Cfd, CCL 11, Zfp74유전자 발현이 감소하였고, Brd 3유전자 발현이 증가하였다.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n murine fetal ovarian gene expression of prenatal exposure to 1.765 GHz of microwave irradiation. Methods: Ten pregnant ICR mice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t 5th days after mating, dam mice were exposed to microwave (SAR: 0.38~1.71 W/kg) in the insulated cage for 8 hours each day. The remaining mice were treated in the same way. Neonatal ovaries were removed for study 7 days after delivery. Microarray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otal RNA extracted from the removed ovaries. We investigated the differences in ovarian gene expression between the groups. SPSS 12.0 was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P<0.05 was considere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The mean birth weight of the offspring in the irradiated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in the sham group (1.54±0.22 g vs. 1.60±0.21 g, P=0.012). The mean number of offspring per pregnancy in the irradiated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the sham group (13.60±0.70 vs. 11.40±2.17, P=0.009). We detected that in the irradiated ovaries, 14 genes were expressed at levels 2-fold higher than in the sham ovaries and 74 genes were expressed at levels 2-fold lower than in the sham ovaries. Conclusion: We found differences in fetal ovarian gene expression between the irradiated and sham groups. In the irradiated group, the Tnfaip8, TNFsf 12, Cfd, CCL 11, and Zfp74 genes were down-regulated and the Brd 3 gene was up-regulated.

      • KCI등재

        임신 중 마이크로파에 노출된 새끼 생쥐의 난소 유전자의 세대간 전달

        황종윤 ( Jong Yun Hwang ),나성훈 ( Sung Hun Na ),이향아 ( Hyang Ah Lee ),이동헌 ( Dong Hun Lee ),이희제 ( Hee Jae Lee ),김송인 ( Song In Kim ),최용준 ( Yong Joon Choi ),황희용 ( Hee Yong Hwang ) 대한산부인과학회 2010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3 No.11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임신 중 핸드폰 1.765 GHz 마이크로파에 노출된 후 태어난 생쥐의 난소에서 발현에 장애를 보인 유전자의 세대간 전달 유무를 확인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 본 연구에서 사용된 1.765 GHz의 주파수를 가진 마이크로파이다. 마이크로파가 실험 생쥐에게 골고루 노출되기 위해서 모노폴 안테나는 실험 장소에서 정가운데에 위치하도록 고정하였다. 세대간 연구를 위하여 1세대는 ICR 계통의 임신한 생쥐 20마리를 분양 받아서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의 각각 10마리씩 구분하여 교미 5일째부터 오전 9시부터 오후 5시까지 8시간 동안 마이크로파에 노출하였고 출산 직전까지 실험을 진행하였다. 분만 후 태어난 2세대 생쥐는 8주간의 사육 후 총 4개 군으로 구분하여 1군은 전자파 여성 생쥐5마리와 전자파 남성 생쥐 5마리, 2군은 전자파 여성 생쥐 5마리와 대조군 남성 생쥐 5마리, 3군은 전자파 남성 생쥐 5마리와 대조군 여성 생쥐 5마리, 4군은 정상 여성 생쥐 5마리와 정상 남성 생쥐 5마리로 구별하여 각각을 교미하였다. 각 군을 동일한 조건에서 사육하고 첫 번째, 두 번째 임신은 모두 버리고 3번째 임신으로 태어난 3세대의 생쥐를 분만 후 7일 후에 난소를 적출하고 real time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로 유전자 발현을 확인하였다. 결과: 적출한 난소에서 tumor necrosis factor alpha induced protein 8 (TNFaip 8), tumor necrosis factor superfamily 12 (TNFsf 12), complement factor D (Cfd), chemokine (C-C motif) ligands 11 (CCL 11), Zinc Finger Protein 74 (Zfp 74), Bromodomain containing 3 (Brd 3) 유전자를 대상으로 2세대에서 유전자와 비슷한 결과를 도출하는지를 알아보는 실험을 진행한 결과 1군과 4군을 비교하여 보았을 때 TNFaip 8, CCL 11유전자는 1군에서 4군보다 유전자 발현이 낮음을 확인하였지만 통계학적 차이는 없었다. TNFsf 12, Cfd, Zfp 74는 2세대 난소 유전자 발현과는 반대로 1군에서 4군보다 유전자 발현이 높았다. Brd 3유전자의 경우는 2세대 난소 유전자 발현 실험에서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높았지만 본 실험에서는 1군이 4군보다 높았지만 통계학적 유의성은 찾지 못했다. 결론: 임신 중 1.765 GHz에 노출된 후 태어난 3세대 생쥐의 난소 유전자에서는 마이크로파에 노출된 후 발현에 차이가 있던 2세대 생쥐의 난소 유전자들이 동일하게 관찰되지 않아 유전자의 세대간 전달이 되지 않았다.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generational accumulation of murine fetal ovarian genes following prenatal exposure to 1.765-GHz microwave radiation. Methods: A 1.765-GHz microwave generator was used. Twenty pregnant ICR mice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he microwave-exposed experimental (irradiated) group, and the sham-exposed (sham) group. On the fifth day post-mating, dam mice were exposed to microwave irradiation in the insulated cage for 8 hours each day. The remaining mice were treated in the same way. Second generation mice were raised for 8 weeks then classified into four groups for examination. We removed the neonatal ovaries on the seventh day after the third delivery. We investigated the expression of six genes in the ovaries: Tnfaip 8, TNFsf 12, Cfd, CCL 11, Zfp 74, and Brd 3. Real time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 was performed using total RNA extracted from the removed ovaries. Results: In the third-generation offspring, we detected some differences in ovarian gene expression between the first group and the fourth. Expression of CCL 11, and TNFsf 12 was decreased in the first group compared to the fourth group. Expression of Tnfaip 8, brd 3, Cfd, and Zfp 74 was higher in the first group than in the fourth group. We found differing results when we compared ovarian gene expression in mice of the second generation with those of the third.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 that there is no generational accumulation of murine ovarian genes in offspring exposed to 1.765-GHz microwaves in the uterus.

      • KCI등재

        분만 의료전달체계의 한계와 발전방안

        황종윤 ( Jong Yun Hwang ) 한국모자보건학회 2021 한국모자보건학회지 Vol.25 No.4

        The Korean healthcare delivery system has been operating for over 30 years since 1989. Despite a positive performance providing quality medical services to the people by distributing medical resources there are limitations to the maternity healthcare delivery system. If the maternity healthcare delivery system was operating successfully, there should have been sufficient delivery hospitals so that pregnant women can access the appropriate maternity medical services whenever needed. Unfortunately, according to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the number of maternity health facilities in Korea reduced from 1,371 in 2003 to 541 in 2019. Regrettably, a larger number of obstetric hospitals and clinics have closed in medically vulnerable areas, such as farming and fishing areas, than urban areas with sufficient medical infrastructure, creating obstetrically underserved areas. In 2020, 65 out of a total of 250 cities, counties, and districts had no obstetric hospitals or clinics. To improve the collapsing maternity healthcare delivery system, a different approach is required; one in which policy support to stop the closure of delivery hospitals is emphasized. New maternity-related medical insurance payments, such as delivery labor management fees, fetal heart monitoring reading fees, and newborn care in delivery rooms fees, and active support policies are needed to prevent the closure of delivery hospitals. In this era of low fertility, because the maternity healthcare system is essential to maintain the nation, a healthcare delivery system different from the existing one must be established.

      • KCI등재

        임신 제2 삼분기에 질식 초음파로 자궁경부무력증이 예견된 임신부에서 아응급 자궁경부원형결찰의 임상적 유용성

        황종윤 ( Jong Yun Hwang ),김숙희 ( Sook Hee Kim ),조준식 ( Jun Sik Cho ),이동헌 ( Dong Heon Lee ),박선정 ( Sun Jung Park ),김선권 ( Sun Kwon Kim ),심재윤 ( Jae Yoon Shim ),원혜성 ( Hye Sung Won ),이필량 ( Pil Ryang Lee ),김암 ( A 대한산부인과학회 2004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7 No.10

        목적 : 임신 제2 삼분기에 실시하는 질식 초음파를 이용하여 자궁경부무력증이 예견되어 아응급 자궁경부원형결찰을 시행한 산모에서 임신 결과와 주산기 예후를 살펴봄으로써 이 방법의 유용성을 알아보려고 하였다. 연구 방법 : 1998년 1월부터 2002년 8월 사이에 서울아산병원 산부인과에 내원하여 임신 제2 삼분기에 산전 질식초음파를 실시한 산모로서 자궁경부가 25 ㎜ 이하로 짧아져 있으면서, 자궁경부의 모양이 비정상 소견을 보여서 자궁경부무력증이 예견되어 Objective : To investigate the clinical efficacy of urgent cerclage on perinatal outcome in cervical incompetence predicted by transvaginal ultrasonography in second trimester. Methods : We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27 pregnant women who received ur

      • KCI등재

        모체 -D-/-D- 표현형과 연관된 태아수종

        황종윤 ( Jong Yun Hwang ),서인범 ( In Bum Suh ),심재윤 ( Jae Yoon Shim ),조준식 ( Jun Sik Cho ),이동헌 ( Dong Hun Lee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6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9 No.6

        Blood types are very important because they are associated with blood transfusion, the diagnosis of hematological diseases and the related diseases. Rh system is a major blood group system as ABO system. Major Rh antigen is Rh (D) antigen. Minor Rh antigens are Rh (C), (c), (E), (e) antigen. Most of people have Rh (C), (c), (E), (e) antigen but some people don`t have these antigens. The hematologists call this blood type -D-/-D- blood phenotype. -D-/-D- phenotype is blood group that have (D) antigen without (C), (c), (E), (e) Antigen. This blood type is rare throughout the world. Especially, fetal hydops associated with anti-C,-c,-E,-e antibody is very rare. We experienced a case of fetal hydrops associated with anti-C,-c,-E,-e antibodies and report it with a brief of Literature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