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연암(燕巖) 박지원(朴趾源)의 천주교 인식과 대응 양상

        趙志衡 ( Cho Ji-hyoung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20 大東文化硏究 Vol.110 No.-

        본고는 燕巖 朴趾源의 천주교에 대한 인식과 대응의 면모를 살펴보았다. 이와 함께 연암의 천주교에 대한 인식과 대응 방식이 그의 손자 瓛齋 朴珪壽에게 계승·확장되는 양상을 탐색하였다. 연암이 지닌 천주교 인식과 대응의 양상을 살피는 것은 18세기 노론 인사들의 서학-서교에 대한 인식이 어떠하였는가 하는 점을 살피는 데 그 의의가 있다. 연암은 노론 핵심인 반남박씨 가문 출신으로 北學派를 대표하는 문인이었다. 북학파 문인들은 일찍부터 서양의 과학기술과 자연과학에 큰 관심을 보였으며, 燕行을 통해서 자신들의 학문적 논의를 진전시켜 나갔다. 하지만 북학파 문인들은 종교적인 부분에는 전혀 관심을 보이지 않았다. 다른 북학파 문인들과는 달리, 연암은 천주교에 대해서 허황된 학설이라는 부정적인 인식을 지니고 있었다. 즉 연암은 서양의 과학기술에 대해서는 긍정적이었지만 천주교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친서학-반서교의 입장을 취하고 있었다. 연암의 천주교에 대한 구체적인 대응 양상은 沔川郡守 재임 시기의 행적에서 잘드러난다. 이 시기 연암에게 천주교는 어리석은 백성들을 꾀어내어 비루한 습성들을 지니게 하는 매우 위험한 사상으로 인식되었다. 하지만 천주교에 대한 대응 방식에 있어서는, 천주교도들을 붙잡아 형벌을 가하고 배교를 강요하는 등의 강력한 대응 방식에 문제를 제기하고, 대신에 수령이 지극한 정성과 진실된 마음으로 백성들에게 신뢰와 감동을 주어 교화시켜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실제로 연암은 이러한 방식을 직접실행에 옮겨, 천주교에 빠진 백성들의 마음을 돌리고 배교시키는 데 일정한 성과를 거두었다. 이 같은 연암의 천주교에 대한 인식과 대응 방식은 가문 내 후손들에게 계승·확장되었으며, 연암의 손자였던 박규수가 남긴 「闢衛新編評語」에서 이러한 점을 확인할 수 있다. 박규수는 몇 차례 진행된 국가적인 천주교 박해가 실효성이 없었음을 강변하는 한편, 천주교의 확산을 막고 천주교도들을 회유하기 위해 천주교 관련 서적들을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연구하여 그 모순점을 비판할 것을 주장하였다. 또한 1866년 병인박해 당시 평안도관찰사로 나아가서는 백성들을 교화하는 데 주력하며 천주교도를 한 사람도 처형하지 않았다. 이러한 천주교에 대한 대응 방식은 조부 연암이 보여준 모습과 상호 참조가 된다. This paper examined the perception of the Catholic and the aspect of correspondence of Park Ji-won. In addition, it has been looked into how Park Ji-won's perception and correspondence to Catholicism were inherited and extended to his grandson Park Kyu-su. This study has its significance in examining one aspect of the Catholic and Western learning perceptions that the Noron scholars had in the 18th century. Park Ji-won was from a core family of Noron and a representative literary person of Northern Studies. The scholars of Northern studies were very interested in Western science and technology and natural science, and they advanced their academic discussions through history travels to Chinese. Park Ji-won had a negative perception of the Catholic and thought it's an absurd theory. In other words, Park Ji-won was taking the position of ‘pro-Western learning, anti-the Catholic’ that was positive about Western science and technology, but negative about Catholicism During his tenure as a Myeoncheon governor, Catholicism to Park Ji-won was recognized as a very dangerous idea that enticed foolish people to have poor habits. However, when it comes to the way of corresponding Catholicism, he raised the problems of a strong response to arrest and penalize Catholics, and instead insisted that Suryeong should be moved and taught the people with sincerity and trust. In fact, he put this in practice by himseld and made good results. Park Ji-won's perception of and correspondence to Catholicism were inherited by his grandson, Park Gyu-su. Park Gyu-su argued that the several Catholic persecutions at 『Byeokwuisinpyeongeo』 were ineffective, while he insisted that actively accepting and studying Catholic books and criticizing its inconsistency to prevent the spread of Catholicism. Also, at the time of the Byeongin Catholic Perceptions in 1866, he focused on educating the people as a Pyeongan-do governor and did not execute even a single Catholic. Such correspondence to Catholicism was similar to his grandfather, Park Ji-won.

      • KCI등재

        麗末 鮮初 귀화인들의 시조 창작 양상과 그 의미

        조지형 ( Cho Ji-hyoung ) 한국시가문화학회 2021 한국시가문화연구 Vol.- No.48

        본고는 여말 선초 귀화인들의 시조 창작 양상을 살펴보았다. 여말 선초는 시조의 형성기로서 역사 전환기의 주체였던 신흥사대부들이 그 담당층이었다. 이 같은 국면에서 귀화인들 역시 시조를 창작하여 자신들의 정치적인 입장 및 지향을 시조를 통해 드러내었다. 우리말에 서툴 수밖에 없던 귀화인들이 우리 고유의 노래 형식인 시조를 창작하였다는 것은 매우 특기할 만한 지점이라 할 수 있다. 중국 심양 출신으로 공민왕을 호종하며 귀화한 변안열은 역성혁명의 기로에서 <불굴가>를 지어 무장으로서의 굳건한 충절을 드러내었다. 위구르 출신으로 홍건적의 난을 피해 고려로 귀화한 설장수는 대명외교를 전담하는 사신으로 활약하며 정치적 부침 속에서 <신언가>를 지어 언행 처신에 조심할 것을 경계하였다. 여진 출신으로 이성계와 의형제를 맺고 왕족의 반열에까지 오른 이지란은 조선 건국 후 왕자의 난이 지속되는 국면에서 왕위의 향방과 조선의 운명에 대한 염려 섞인 걱정을 <축록가>를 통해 드러내었다. 이처럼 여말 선초에 귀화인을 포함하여 정치적으로 높은 지위의 인물들이 한시와 더불어 시조를 창작하였다는 점은 여말 선초 사대부들의 문학장 안에서 시조가 중요한 문학적 행위의 일환으로 인식되었으며 작가로서 일종의 긍지를 가질 만한 성격의 것이었다고 할 수 있다. 아울러 시조 창작의 개방성은 이미 형성기부터 마련되어 있었던 것이라 할 수 있다. This paper examined the creation of Sijo by naturalized poets from the late Goryeo Dynasty to the early Joseon Dynasty. From the late Goryeo to the early Joseon Dynasty, it was the formation of Sijo, where Shinheung-Sadaebu was the main creative class of Sijo. In this phase, naturalized poets also created Sijo, revealing their political position and world awareness. The fact that naturalized poets, who had no choice but to speak poor Korean, created Sijo, a unique Korean song format, is very special in itself. General Byeon An-yeol from Shenyang, wrote the lyrics of < Bulgulga不屈歌 > during the process of replacing the dynasty, expressing his strong loyalty to the Goryeo Dynasty. Seol Jang-su, a native of Uighur who was in charge of diplomacy to Ming China, wrote the lyrics of < Shineonga愼言歌 > and warned against caution in his speech and conduct. Lee Ji-ran, who was born in Jurchen and rose to the rank of the Joseon royal family, wrote the lyrics of < Chukrokga逐鹿歌 >, expressing concern about the fate of Joseon. The fact that naturalized poets and high-ranking politicians created Sijo with Chinese poetry from the late Goryeo to the early Joseon indicates that Sijo was recognized as an important literary act in the literary field at that time. At the same time, it can be said that Sijo's creation has a personality that deserves pride as a writer. In addition, the openness of the creation of the sijo was already in place from the formation period.

      • KCI등재

        자암(自菴) 금구(金絿)의 유배 생활과 "우중유락(憂中有樂)"의 면모

        조지형 ( Ji Hyoung Cho ) 한국고시가문학회 2010 한국시가문화연구 Vol.0 No.26

        본고는 16세기 초반에 활동했던 자암(自菴) 김구(金絿, 1488~1534)의 한시 작품들을 통해 그의 南海유배 기간 중 내면 의식과 생활상을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김구의 남해 유배기 한시 작품들의 주제적 경향은 크게 다섯 가지 정도로 정리할 수 있는데, ①유배 생활의 괴로움과 병리적 고통, ②인간적 情懷와 가족에 대한 그리움, ③남해 생활에 대한 적응과 交遊, ④산수 유람과 음악적 풍류, ⑤탈속에 대한 지향과 仙的풍류가 바로 그것이다. 김구는 13년간의 유배 생활이 지속되면서 차츰 남해 생활에 적응해 나갔고, 심리적으로도 일상을 회복한 측면이 엿보이고, 무엇보다도 주변 인사들과 적극적으로 교유를 하고 있었다. 따라서 김구는 이들과 어울리면서 유배 기간에도 여러 모임을 함께 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시와 술과 음악이 늘 빠지지 않았다. 한편 김구는 이들의 도움과 비호로 남해 일대의 승경을 유람하기도 하였다. 결국 이러한 측면들이 유배 기간이었음에도 불구하고 호방한 풍류의 모습이 가득한 「화전별곡」이라는 작품의 창작을 가능케 한 기반이 아닌가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amine the inner side of consciousness as well as the life during Kim Gu`s banishment to the Nan-hae(南海) through Chinese poem works written during from 1488 to 1534 by Ja-am(自 菴) Kim Gu(金絿), who was active during the early 16th century. The Kim Gu`s theme tendency of Chinese poem works can be mainly organized into five types of ①agony and allergic pain of banished life, ② humane mind and longing for family, ③application and interaction upon live in the Nam-hae, ④landscape sightseeing and musical appreciation, and of ⑤aim to escape the world as well as truthful appreciation. As Kim Gu`s banished life continued on for 13 years, he began to gradually adapt to the life in the Nam-hae while showing the aspects of mentally restoring the daily life and actively interacting with people near. Accordingly, Kim Gu spent his period of banished life participating in various meetings along with these people and such courses of meetings were always accompanied by the poem, alcohol, and music. On the other hand, Kim Gu, under protection and help of these people, was able to travel to places around southern sea with beautiful scenery. As a result, such aspects are assessed being the base allowing Kim Gu to write 「Hwajeonbyulgok(花田別曲)」full of magnanimous appreciation for the arts despite the fact that it was written during his period of banishment.

      • KCI등재

        『관북시선(關北詩選)』의 작품 수록 양상과 지역 문학적 특성

        조지형 ( Cho Ji Hyoung ) 한국어문학국제학술포럼 2018 Journal of Korean Culture Vol.41 No.-

        본고는 『관북시선(關北詩選)』의 구성 체계 및 작품 수록 양상을 살피고, 작품들의 주제적 경향을 탐색하였다. 『관북시선』은 16~17세기에 활동한 관북 지역 출신 문인 62명의 시문을 가려뽑아 편찬한 책으로서, 함경도 지역 문학의 양상을 파악하는 데 핵심적인 자료라 할 수 있다. 『관북시선』은 현재 두 종류의 이본(異本)이 존재하는데, 동양문고본이 초간본, 규장 각본이 중간본으로 판단된다. 『관북시선』의 구성 체계에서 독특한 부분은 표제에서 ‘시선(詩選)’을 표방하였음에도 불구하고 한시와 산문 작품을 함께 수록하고 있다는 점이다. 시선집임에도 한시와 산문을 함께 수록해 놓은 이유는, 한시 작품만으로는 책 1권 분량을 채우기에 충분하지 못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관북시선』에는 한시 작품이 282제 303수, 산문 작품이 22편이 수록되어 있다. 한시는 절구·율시에 집중되어 있고, 산문은 10종의 문체만 수록되어 있어 선집 체제가 다소 불균형적이라 할 수 있다. 작가별 작품 수록 양상도 불균형적인데, 『관북시선』에 포함된 작가는 모두 62명에 이르지만, 박정(朴靖), 한기백(韓紀百), 주정(朱椗) 등 일부 작가들은 많은 작품이 수록된 반면, 대부분의 작가들은 1~2수의 작품만이 수록되어 있다. 『관북시선』의 주제적 경향은 크게 네 가지 유형으로 살펴볼 수 있다. 첫째, 관북 지역 안에 위치한 명소(名所)에 대한 작품화. 둘째, 함경도 지역으로 파견된 중앙의 인사들의 교유. 셋째, 지역 동료 문인들과의 애정과 유대감. 넷째, 학문과 환로(宦路)에서 오는 회한의 정서가 그것이다. 특히 이 과정에서 함경도에 위치한 조선 왕실 발상 관련 유적지를 작품화하며 풍패적자(豊沛赤子)라는 지역적 자긍심을 표출하고, 함경도 지역으로의 학술 문화 전파에 대한 갈망을 드러내며, 낮은 벼슬살이에서 오는 자괴감을 나타낸 부분들은 함경도 지역이 지닌 역사적 특수성과 결합된 지역 문학 고유의 특질이라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examined a composition system and aspect of works in 『Gwanbuksiseon(關北詩選)』 and investigated thematic tendencies of the works. 『Gwanbuksiseon』 is a book compiled by choosing poetry and prose of 62 writers from the Gwanbuk district who were active in the 16th and 17th centuries. It can be the core materials to grasp aspects of literature in Hamgyeong-do. There two kinds of different versions in 『Gwanbuksiseon』. It is judged that the Collection of Dongyangmungo(東洋文庫本) is the first edition and the collection of Kyujanggak(奎章閣本) is the second edition. The unique part in the composition system of 『Gwanbuksiseon』 is the point that there are classical Chinese poetry with prose writings in it despite the title claimed to stand for an anthology of poetry. It is judged that it's because Chinese poems were not enough to fill a book. There are 282 je and 303 su of the classical Chinese poetry works and 22 pieces of prose writings in 『Gwanbuksiseon』. As the classical Chinese poetry concentrates on quatrain and regulated verses and prose just includes 10 kinds of writing styles, the system of the collection can be a bit of an imbalance. An aspect of the works by writer is also an imbalance. All the writers included in 『Gwanbuksiseon』 are the 62 persons. There are a lot of works by partial writers such as Park, Jeeong(朴靖), Han, Gi-baek(韓紀百), Ju, Jeong(朱椗) in it, while for most writers, one or two works are included in it. Thematic tendencies of 『Gwanbuksiseon』 can largely be divided into 4 types. First, it had attractions located in the Gwanbuk district works of art. Second, the writers associated with central figures sent to Hamgyeongdo. Third, the regional writers loved and had close links with one another. Fourth, it's penitent emotions from study and the way into the government service. Especially in this process, the parts that they had the historic sites related to the royal birth of the Joseon Dynasty located in Hamgyeong-do works of art, expressed regional pride, revealed their longing for spreading academic culture to the Hamgyeongdo region, and showed senses of shame from their life as low-ranking government officials can be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regional literature which is combined with the historical distinct characteristics of the Hamgyeongdo region.

      • KCI등재
      • KCI등재

        18세기 西學 비판의 맥락과 艮翁 李獻慶의 〈天學問答〉

        조지형(Cho, Ji-hyoung) 한국교회사연구소 2017 敎會史硏究 Vol.0 No.50

        본고는 이헌경의 〈천학문답〉(天學問答)을 검토하여 그의 서학에 대한 비판적 입장을 살펴보고, 18세기 서학 비판의 맥락 속에서 이헌경의 위상을 논하였다. 이헌경은 근기 남인 계열 학자들의 학풍에 영향을 받아 젊은 시절부터 자연스럽게 서학서를 접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서학서를 접하고는 이내 부정적인 생각을 지니게 되었으며, 나아가 서학이 백성들을 그르치고 있음을 근심하였다. 이헌경은 남인 계열의 인사였지만 당파를 넘어 소론 계열의 인사였던 홍양호와도 교유하며 반서학적 입장을 공유하였다. 또 18세기 서학 비판의 핵심 인물이었던 안정복과도 서신을 주고받고 각자의 서학 비판저술을 교환하면서 반서학적 입장을 견지하였다. 그의 저술 〈천학문답〉은 서학이 날로 치성해지는 현실에서 그에 대한 우려와 함께 서학의 속성을 드러내고 이를 배척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한 저작물이라 할 수 있다. 그 내용은 서학이 날로 치성해지는 현실에 대해 우려를 표하고 서학의 그릇된 실질을 비판하며 서학은 불교보다도 보잘것없는 학설이라는 주장을 핵심으로 한다. 이헌경은 서양의 과학기술이나 천문 역법에 대해서도 부정적으로 바라보았고, 서학 관련 저술들은 명말청초 호사가들이 해괴한 이야기를 만들어 꾸며낸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이헌경은 서학을 금할 방법으로 그들의 서적을 불태우고 그들의 학설을 뽑아내려는 행동과 더불어 유학의 도를 밝히고 가르쳐 다시금 중화의 도를 제고시키려는 노력이 필요함을 역설하였다. 주목할 점은 18세기 중반을 넘어서면서 성호우파 계열과는 관계없이 근기 남인 계열 안에서 이헌경으로 대표되는 서학에 대해 비판적 인식을 지니고 있는 또 다른 인사가 등장하였다는 점이다. 이상의 논의를 통해 보건대, 이헌경은 18세기 후반 남인 계열의 학자들 중에 서학 비판의 또 다른 한 축을 담당하면서 반서학적 입장을 견인하였을 뿐만 아니라 그가 남긴 〈천학문답〉은 후대 서학 비판 저술에 영향을 끼치고 있기에 18세기 서학 비판의 맥락 속에서 중요한 위상을 지닌다. This paper reviewed Lee Heon-gyeong’s “Cheonhakmundap” to examine his critical position on Western knowledge and discussed Lee Heon-gyeong’s position in the context of the critique on Western criticism in the 18th century. Influenced by the academic tradition of Namin scholars in near capital area in the 17th century, Lee Heon-gyeong seems to have naturally encountered Western knowledge books since his youth. Encountering Western knowledge books, however, he soon had negative thoughts, and was worried that Western knowledge was ruining the people. Although a figure from Namin party, Lee Heon-gyeong shared the anti-Western knowledge position while keeping company with Hong Yang-ho, who was a figure from Soron Party beyond the party. He also maintained the anti-Western knowledge position while exchanging letters with An Jeong-bok, a key figure the critique on Western knowledge in the 18th century and exchanging their writings criticizing Western knowledge. His writing “Cheonhakmundap” can be said to be a work that revealed the properties of Western knowledge with the worry and found ways to reject it in the face of widespread Western knowledge. The core of the contents is that he expressed his worries about the reality in which Western knowledge was getting popular day by day, criticized the false reality of Western knowledge and argued that Western knowledge is a lesser doctrine than Buddhism. Lee Heon-gyeong also had a negative view on Western science and technology and astronomical calendar, and claimed that Western knowledge related writings are strange stories made up by busybodies in the late Ming and Early Qing dynasty. In order to forbid Western knowledge, Lee Heon-gyeong emphasized the necessity of efforts to burn out their books, to remove their doctrines and to raise the intention of China-centrism again by revealing and teaching the intention of Confucianism. What is noteworthy is that another person with a critical awareness of Western knowledge represented by Lee Heon-gyeong in Namin party in near capital area regardless of Seongho right-wing party has appeared after the mid-18th century. Based on the discussion above, Lee Heon-gyeong has an important position in the context of the critique on Western knowledge in the 18th century because he not only led the anti-Western knowledge position while being responsible for another axis of Western knowledge criticism among scholars from Namin Party in the late 18th century but “Cheonhakmundap” he left behind is affecting the critical writings of Western knowledge in future generations.

      • KCI등재

        조선 전기 "악비(岳飛)" 고사(故事)의 수용과 인물 형상의 정립 과정

        조지형 ( Ji Hyoung Cho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2 大東文化硏究 Vol.77 No.-

        본고는 한국 고전문학 분야에 등장하는 중국의 역사 인물 가운데 宋代무장인``岳飛``에 주목하여, 조선 전기에 악비 관련 고사와 인물 형상이 여러 문헌을 통해수용·형성되는 과정을 탐색하였다. 또 이렇게 형성된 악비 고사와 인물 형상이壬·丙兩亂期에 어떻게 활용되었는지, 악비 형상이 어떠한 방식으로 확산을 거듭해 갔는지 등의 문제에 대해 살펴보았다. 악비 관련 고사를 확인할 수 있는 가장 이른 시기의 문헌 자료는 『宋史』 「岳飛傳」이다. 「악비전」에서는 武將으로서 악비에 대한 역사적 사실 기록에 충실하면서, 문무를 겸비한 면모를 부각시키는 동시에 뛰어난 신하의 능력을 알아보지 못한 군주의 무능을 비판하는 데까지 이르고 있다. 世宗代간행된 『三綱行實圖』에서는 악비가 「忠臣」편 항목의 일원으로 선택됨으로써 자연스레 충신으로 규정되고 있다. 그가 보여준 충효의 실질은 장수로서 외적 에 맞서 싸우면서 국토를 회복하고 국치를 설욕하고자 孤軍奮鬪한 것인데, 이러한면모에 주목하면서 악비를 儒家의 가치를 내재하고 체현한 충신의 형상으로 격상시키고 있다. 宣祖代간행된 『會纂宋岳鄂武穆王精忠錄』은 이전 시기까지 악비에 관한 문헌들을 총 망라하여 악비의 인물 형상을 확정하였다. 이 책은 악비의 圖像, 악비에 대한역사 관계 기록, 악비의 저술, 고금 인물들의 악비에 대한 稱評및 관련 시문 등을 총괄하고 있어서 악비와 관련된 모든 자료를 집대성한 문헌이다. 이러한 문헌이 중국과 조선에서 동시에 간행되고 유포됨으로써 악비는 문무겸전과 충효의 실천을 아우르고, 나아가 흠잡을 데 없이 온전한 不朽의 충신 형상으로 확정되기에 이르렀다. 역사적으로 볼 때, 악비 관련 고사는 漢族과 이민족 사이의 대결 과정을 드러내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조선의 경우도 임·병 양란은 주변 이민족들과의 대결 양상을 띠고 있었기 때문에 국가적 위기에 잘 대응했던 선례로써 악비가 주목되게 되었다. 이에 악비 관련 고사와 인물 형상은, 전란 직전에는 군사적 방비 강화의 논리적근거로, 전란 과정에서는 군대의 편제와 훈련의 방법의 典範으로, 전란 후에는 講和반대의 명분과 논리로, 나아가 전란 과정에서 활약한 무장들을 칭송하고 褒奬하는준거 등으로 다양하게 활용되기에 이른다. 한편, 악비 관련 주요 문헌인 『삼강행실도』와 『정충록』은 이후에도 계속 간행되고 유포되었다. 『삼강행실도』는 한문과 諺解가 합기된 형태로 여러 차례 간행과 頒賜가 이루어졌으며, 『정충록』은 宣祖, 肅宗, 英祖때 모두 3차례나 간행되었는데, 숙종과 영조의 경우에는 책의 서두에 직접 御製序文을 쓰기도 하였다. 이렇듯 『삼강행실도』와 『정충록』의 지속적인 간행과 반사로 인해 악비에 대한 不朽의 충신 형상이 광범위하게 확산되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결국 이러한 과정을 통해 조선 전기에 수용·형성된 악비 관련 고사와 인물 형상이 하나의 문학적 토양으로 자리매김을 하면서, 17세기 이후에 시조, 소설 등의 갈래에서 작품의 창작과 향유의 측면에서 영향을 끼치게 되었던 것으로 짐작된다. This study drew attention on ``Yue Fei(岳飛)`` who was an admiral in Song dynasty among Chinese historical figures appeared in Korean classical literature and explored process of accepting event of Yue Fei and forming image of Yue Fei in early Joseon through several documentary records. Furthermore, this study investigated how event of Yue Fei and formed image of Yue Fei were used in two events of Japanese invasion of 1592 and Manchu Invasion of 1636, how formed image of Yue Fei had been developed. The earliest documentary record where event related to Yue Fei can be identified is 『History of the Song(宋史)』「the story of Yue Fei(岳飛傳)」. In the 「the story of Yue Fei」, historical facts about Yue Fei as an admiral were substantially recorded, while aspects of having both literary and military accomplishments were stressed. At the same time, this story even criticizes inability of King who could not see excellent ability of vassal. 『Samganghaengsildo(三綱行實圖)』 published in King Sejong includes Yue Fei in the section 「Loyal Subjects」. So Yue Fei is regarded as a royal subject. Yue Fei, as an admiral, fought against foreign enemies to recover national land and to vindicate national disgrace with all his efforts. Based on his this career, his image as a royal subject was made - Yue Fei is described as a figure who had value of Confucianism and embodied such a value. 『Hoechansongakakmumokwangjeongchungrok(會纂宋岳鄂武穆王精忠錄)』 published in King Seonjo contains all the literatures related to Yue Fei until then and definitely defined image of Yue Fei. This book includes iconography of Yue Fei, historical records about Yue Fei, books written by Yue Fei, assessment about Yue Fei, related poetry and writings etc. - all the materials about Yue Fei were collected. Such literature was published and distributed both in China and Josen at the same time. This definitely made image of Yue Fei as a permanent royal subject without flaw and Yue Fei is described as a figure who had both literary and military accomplishments, and implemented loyalty and filial piety. Historically, it can be said that event related to Yue Fei discloses showdown between China and different ethnic groups. For Joseon, because two events of Japanese invasion of 1592 and Manchu Invasion of 1636 show appearance of showdown between different ethnic groups, Yue Fei was paid attention as a case where national crisis is well responded. Accordingly, event of Yue Fei and his image was variably used like these - just before wars, as a basis of logic for strengthening military defense; during war, as a model of military organization and training method; after war, justification and logic to oppose treaty; furthermore standard to praise and encourage military commanders who acted in wars. On the other hand, since then, major literatures related to Yue Fei such as 『Samganghaengsildo』 and 『Jeongchungrok』 were continuously published and distributed. 『Samganghaengsildo』 was published and distributed several times in the form of being written in Chinese letter and vernacular translations together. 『Jeongchungrok』 was published three times during Seonjo, Sukjong, and Yeongjo - Sukjong and Yeongjo themselves wrote preface of the book. Thus, 『Samganghaengsildo』 and 『Jeongchungrok』 were continuously published and distributed. As the result, it is thought that image of permanent royal subject about Yue Fei was widely expanded. In the end, through this process, event of Yue Fei and image of Yue Fei accepted and formed in early Joseon became one of literary soil. And it is thought that this affected creation and enjoyment of work in the Sijo, novel etc. since the 17th century.

      • KCI등재

        조선시대 관북 지역의 시조 양상과 특징

        조지형 ( Cho Ji-hyoung ) 한국고전문학회 2017 古典文學硏究 Vol.52 No.-

        본고는 조선시대 관북 지역에서 산출된 시조들을 통시적 흐름에 따라 정리하고, 관북 지역 시조의 창작 경향과 특징을 탐색하였다. 조선시대 관북 지역에서 산출된 시조는 모두 81수에 이른다. 관북 지역의 시조는 대체로 이 지역으로 부임·재임·유배의 과정에서 산출된 작품이 대다수를 차지하지만, 일부 지역 출신 기녀들과 지역 인사인 관곡 김기홍의 시조 작품도 아울러 존재한다. 조선시대 관북 지역에서 산출된 시조의 특징은 세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15세기부터 19세기까지 ‘무변 풍류’라 칭할 수 있는 무관들의 창작과 향유가 주된 흐름을 이루고 있는 점. 둘째, 17~18세기 혼란한 정국과 붕당 정치의 갈등 속에서 유배시조가 집중적으로 창작되었다는 점. 셋째, 일부 기녀와 지역인사의 작품만이 존재하고 관북 지역 고유의 시조 담당층이 부재하다는 점. 관북 지역은 조선시대 원악지로 인식되고 또 중앙으로부터의 문화 전파가 가장 늦은 지역이었으므로, 관북 지역에서의 시조 창작과 향유는 국문시가의 향유가 전국적인 현상이었음을 증명해 주는 사례라 할 수 있다. This article diachronically arranged some pieces of Sijo created in Kwanbuk Region in Joseon Dynasty, and investigated the trends and characteristics of Sijo in this region. The total number of Sijo discovered from the Kwanbuk Region in Joseon Dynasty is 81 pieces. Although most pieces of Sijo created in Kwanbuk Region were created by Yangban, who were appointed, re-appointed to certain positions or be exiled, but there exist some pieces of Sijo written by Gineyo class from the region and Kwankok Kim Gi-Hong’s Sijo works, too. The Sijo works created in Kwanbuk Region in Joseon Dynasty can be summarized into three characteristics. First, the main trend of Sijo in Kwanbuk Region for the period from 15C to 19C was military officers’ writing and Sijo-appreciation, which can be called as ‘Mubyeon Pungryu (Military Officers’ Arts Appreciation). Second, amid the chaotic political situation and political parties’ confrontation during 17~18C, the works of Exile-Sijo type were intensively created. Third, there existed some Sijo works created by some Ginyeo and some local Yangban celebrities, but the class responsible for creating the local Sijo in Kwanbuk Region was absent. As the Kwanbuk Region was recognized as a primitive area and the culture from central government was diffused into the area the latest, so the creation and appreciation of Sijo in Kwanbuk Region can be said as a case proving that the appreciation of Korean Sijo was a nationwide-popular phenomenon.

      • KCI등재

        典故의 解讀 문제와 고전문학교육의 방향

        조지형(Cho Ji-hyoung) 국어문학회 2015 국어문학 Vol.60 No.-

        본고는 고전문학교육에 있어서 개별 작품 안에 포함되어 있는 전고의 성격이 무엇이며 전고의 유형에는 어떤 것이 있는지 알아보고, 이를 통해 전고가 고전문학 작품을 가르치는 데 교육적으로 어떠한 유의미한 가치와 가능성을 함유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아울러 전고를 해독하여 정합적인 작품 이해와 감상에 활용하기 위한 교수-학습 방향도 탐색해 보았다. 전고는 선행 텍스트의 어구를 활용하여 내용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이미지를 선명하게 하는 수사법의 일종으로, 문학 작품의 예술적 형상화나 성취에 기여하는 수사적 장치이기도 하다. 전고의 해독은 상호텍스트성(Intertextuality)이라는 의사소통의 원리를 기초로 해서 형성되는 의미 파악 행위이다. 고전문학교육의 과정에서는 이러한 요소가 고전문학 작품이 지니고 있는 미학적 요소가 된다는 점을 명확하게 이해할 필요가 있다. 고전문학교육 과정에서 전고를 파악하고 이해하여 작품의 해석과 감상에 활용하는 행위는 품위 있는 언어 능력의 신장, 언어문화 정체성의 확립, 작품향유와 창작의 심미적 역량 고양이라는 세 가지 측면에서 교육적으로 유의미한 가치와 가능성을 지니고 있다. 개별 작품에 사용된 전고는 그 유형에 따라 교수-학습 과정에서 다음과 같은 학습 주안점을 두어야 한다. 첫째, 물명(物名) 중심의 전고는 방식으로 개별 어휘가 지니고 있는 상징성을 파악하는 데 주안점을 두어야 한다. 학습자로 하여금 대상 사물이 지닌 특성을 어떻게 언어화, 기호화 하였는가 하는 점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핵심이라 할 수 있다. 둘째, 인물(人物) 중심전고는 역사적 인물과 작자가 만나게 되는 접점이 무엇인지, 역사적 인물의 모습을 통해 작자가 말하려고 하는 바가 무엇인지를 정확하게 짚어주는 것이 중요하다. 셋째, 전거(典據) 중심의 전고는 경사류(經史類) 문헌에서 근거한 표현을 차용하는 경우로서, 작품의 맥락을 고려하여 해당 전고가 지닌 의미의 무게중심이 어디에 놓여 있는지를 잘 간파해야 할 것이다. 넷째, 주제 중심의 전고는 작품의 구조 및 주제화에 초점을 두고 교수-학습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고전문학교육의 과정에서 전고를 모르면 어렵게 가르칠 수밖에 없지만, 전고를 잘 알면 쉽게 가르칠 수 있다. 고전문학의 교수-학습 과정이 지나치게 훈고의 늪에서 빠져나오기 위해서는 교사는 전고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전고 유형별 특성을 제대로 파악하여, 학습자의 수준과 위계에 맞게, 교육의 주안점을 가지고 교수-학습에 임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할 것이다. This study examined what is a characteristic of authentic precedent included in an individual work and what is a type of authentic precedent in classical literature education, and through this, examined which meaningful value and possibility an authentic precedent contains educationally on teaching classical literature works. In addition, an authentic precedent was decoded, so a teaching-learning direction was explored to be used in conformable work understanding and appreciating. An authentic precedent is one of rhetoric to impart contents effectively and make image clear by using a word of leading text, and is also a rhetorical device contributing on artistic imagery or achievement of a literary work. Decoding of authentic precedent is a semantic understanding act based on communication principle ‘Intertextuality’. In a process of classical literature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at such factor becomes an aesthetic factor of classical literature work. An act using in interpretation and appreciation of a work by understanding an authentic precedent in a process of classical literature education has an educationally meaningful value and possibility in three aspects such as increase of an elegant linguistic ability, establishment of linguistic culture identity, and enjoyment of a work and aesthetic capability enhancement of creation. An authentic precedent used in an individual work should place an emphasis on study as follows in a teaching-learning process according to the types. First, an authentic precedent focusing on the name of a thing should place an emphasis on understanding of a symbol individual word has. The core is making learners understand how characteristics of an object are verbalized and symbolized. Second, for an authentic precedent focusing on a figure, it is important to point out what is the interface between a historical figure and a writer, and what a writer wants to say through a historical figure. Third, an authentic precedent focusing on authority is in case of borrowing expression based on the Confucian classics and historical records, and it should be penetrated where the centroid of meaning relevant authentic precedent has is put by considering a context of work. Fourth, for an authentic precedent focusing on a subject, teaching-learning should be reached by focusing on structure and topicalization of a work. If teachers do not know an authentic precedent in a process of classical literature education, they teach difficultly, but if they know an authentic precedent well, they can teach easily. To extricate from a swamp of excessive exposition of a teaching-learning process of classical literature, it is important that teachers understand characteristics by types of an authentic precedent based on a deep understanding of authentic precedent, so engage in teaching-learning with an emphasis on education to fit a level and a rank of learners.

      • KCI우수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