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체의 복강 내 지방조직 배양을 통한 OB 유전자 발현과 Leptin 분비에 미치는 인슐린, Dexamethasone과 성장호르몬의 단독 또는 복합적 영향에 관한 연구

        황일태,김경희,황진순,신충호,양세원,Hwang, Il Tae,Kim, Kyung Hee,Hwang, Jin Soon,Shin, Choong Ho,Yang, Sei Won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03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46 No.8

        목 적 : 지방조직에 존재하는 OB 유전자에서 전사된 호르몬인 leptin은 여러 가지 생리적 요인이나, 호르몬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다. Leptin의 발현에 대한 호르몬에 대한 연구가 많은 동물 실험들을 상대로 시도되고 있으나 사람에서 OB 유전자와 leptin 분비를 조절하는 호르몬의 영향 및 상호작용에 대해서는 아직 명확히 밝혀져 있지 않다. 본 연구는 사람의 복강에서 추출한 조직배양에서 OB 유전자와 leptin 분비를 조절하는 호르몬의 영향 및 상호작용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복부수술을 위하여 입원한 환자 7명을 대상으로 복강 내 지방조직을 절제하여 배양액에 호르몬을 첨가하지 않은 상태와 배양액에 인슐린, dexamethasone 및, 성장호르몬을 단독으로 첨가하거나, 인슐린과 dexamethasone을 동시에 첨가하거나, 인슐린과 dexamethasone과 성장호르몬을 같이 첨가한 상태에서 48시간 배양한 후 RNA를 추출하여 경쟁적 역전사 중합반응(competitive RT-PCR)을 시행하여 OB 유전자의 발현을 측정하고, human leptin IRMA Kit를 사용하여 지방조직에서 분비되는 배양액 내 leptin 양을 측정하였다. 결 과 : 인슐린은 단독으로는 OB 유전자 발현과 leptin 분비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Dexamethasone은 OB 유전자의 발현과 leptin 분비를 증가시켰는데, 48시간 배양 후에 대조군에 비해 의미있게 증가하였다. 인슐린과 dexamethasone을 같이 배양시에는 OB 유전자 발현에 있어서는 의미있는 차이는 없었으나, leptin 분비는 48시간 배양 후 대조군에 비해 의미있게 증가하였다. 또한 성장호르몬 단독으로는 OB 유전자의 발현에 영향을 미치지는 못하나, 인슐린, dexamethasone, 성장호르몬을 같이 배양시에 인슐린과 dexamethasone의 OB 유전자 발현과 leptin 분비증가 능력을 억제시켰다. 결 론 : 인슐린 단독으로는 leptin 분비를 증가시키지 못하나, dexamethasone에 의해 상승작용이 나타나고, 이는 dexamethasone이 OB 유전자 발현을 증가시킨 후에 인슐린이 세포질내에서의 leptin 분비를 증가시킨다고 추정할 수 있다. 성장호르몬의 억제효과는 성장호르몬이 인슐린이나 dexamethasone에 대한 지방조직의 반응성을 변화시킴으로써 간접적으로 leptin의 발현을 조절할 것으로 추정되며, dexamethasone이 OB 유전자 발현을 증가시킨 후에 인슐린이 세포질 내에서의 leptin 분비를 증가시킨다는 것에 대한 연구가 더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Purpose : We investigated the hormonal control of OB gene expression and leptin secretion in cultured human visceral adipose tissue. Methods : Visceral adipose tissues were cultured for up to 48 hrs in modified Eagle's medium with varying concentration of hormones : Control(no hormone), bovine insulin(100 nM), Dexamethasone(DEX, 100 nM), growth hormone(GH, 40 ng/mL), insulin+DEX(100 nM each), insulin+DEX+GH(100 nM insulin and DEX, 40 ng/mL GH). Quantitative analysis of leptin mRNA was performed by competitive 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and leptin secretion in culture medium was measured by IRMA using a commercial kit. Results : The addition of dexamethasone to the medium significantly increased OB gene expression and leptin secretion(P<0.05). Unlike dexamethasone, insulin did not affect OB gene expression and leptin secretion. Both insulin and dexamethasone, at high concentration, significantly stimulated leptin secretion compared with basal values(P<0.05). Leptin gene expression was not significantly increased by GH treatment alone, however GH, in combination with high concentrations of insulin and dexamethasone, attenuated the stimulatory effects of high concentrations of insulin and dexamethasone. Conclusion : Insulin cannot increase leptin secretion without the presence of dexamethasone. The mechanism suggested is that insulin may increase leptin secretion in cytoplasm only after dexamethasone increases the expression of OB gene. Further studies are necessary to elucidate the mechanism of the action of insulin on leptin secretion after increasing OB gene expression by dexamethasone.

      • SCOPUSKCI등재

        신생아에서의 부신기능 평가와 질환

        황일태,Hwang, Il Tae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07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50 No.3

        Majority of sick full term newborns have adequate adrenal cortical function in response to stress. Acutely ill neonates with a basal cortisol level less than $15{\mu}g/dL$ (414 nmol/L) suggest adrenal insufficiency and require function testing of adrenal function. In premature infant, immaturity of hypothalamic-pituitary adrenal axis (HPA axis), may limit the ability to increase cortisol production in response to stress. The response to low dose ACTH and CRH appears to be useful as an additional test of adrenal function. CRH stimulation has been used increasingly in neonates. The ACTH and CRH stimulated cortisol response of more than $17{\mu}g/dL$ (469 nmol/L) indicates a normal response.

      • KCI등재

        천식 소아에서 아토피와 간접유발 기관지과민성과의 연관성

        박태영 ( Tae-young Park ),이민주 ( Min-ju Yi ),최우혁 ( Woo-hyeok Choi ),김수영 ( Su-yeong Kim ),유리타미영 ( Rita Yu ),반지은 ( Ji-eun Ban ),양승 ( Seong Yang ),황일태 ( Il-tae Hwang ),백혜성 ( Hey-sung Baek ) 대한천식알레르기학회(구 대한알레르기학회) 2017 Allergy Asthma & Respiratory Disease Vol.5 No.2

        Purpose: Both atopy and bronchial hyperresponsiveness (BHR) are characteristic features of asthma. Several BHR studies comparing groups of atopic and nonatopic asthmatics have reported conflicting result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BHR to indirect stimuli, such as mannitol or exercise, between atopic and nonatopic asthmatics in children Methods: We performed a retrospective analysis of data from 110 children with asthma, aged 6-18 years using skin prick tests, and serum total and specific IgE levels. Atopy degree was measured using the sum of graded wheal size or the sum of the allergen-specific IgE. Bronchial provocation tests (BPTs) using methacholine were performed on all subjects. BPTs using indirect simuli, including exercise and mannitol, were also performed. Results: Asthma cases were classified as atopic asthma (n=83) or nonatopic asthma (n=27) from skin prick or allergen-specific IgE test resul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revalence of BHR to mannitol or exercise between atopic and nonatopic asthmatics. Atopic asthma had a significantly lower postexercise maximum decrease in % forced expiratory volume in 1 second (FEV<sub>1</sub>) (geometric mean [95% confidence interval]: 31.9 [22.9-40.9] vs. 14.0 [9.4-18.6], P=0.015) and a methacholine PC<sub>20</sub> (provocative concentration of methacholine inducing a 20% fall in FEV<sub>1</sub>) than nonatopic asthmatics (geometric mean [95% confidence interval]: 1.24 [0.60-1.87] ng/mL vs. 4.97 [3.47-6.47]) ng/mL, P=0.001), whereas mannitol PD<sub>15</sub> (cumulative provocative dose causing a 15% fall in FEV<sub>1</sub>)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2 groups. Conclusio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revalence of BHR to mannitol or exercise between atopic and nonatopic asthmatics in children. (Allergy Asthma Respir Dis 2017:5:83-91)

      • KCI등재후보

        Matrigel이 황체화과립막세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형태학적 관찰

        기숙현(Suk-Hyun Ki),황일태(Il-Tae Hwang),유영복(Young-Bok Yoo),이병란(Byeong Lan Lee) 대한해부학회 2000 Anatomy & Cell Biology Vol.33 No.3

        본 연구는 세포사이물질이 배양상태에서 세포들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 착안하여 세포사이물질의 일종인 바닥막성분 과 유사한 Matrigel이 사람의 황체화과립막세포 (LGCs)의 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사람의 LGCs를 poly-D-lysine 혹은 Matrigel을 입힌 배양면 위에서 6일동안 배양하면서 위상차 광학현미경을 이용하여 그 형태를 관찰하였고 bromodeoxyuridine (BrdU) 표지후 BrdU와 3β-hydroxysteroid dehydrogenase (3β-HSD)에 대한 이중면 역세포화학염색을 시행하였다. 아울러 방사면역측정법을 이용하여 프로제스테론의 분비량을 측정함으로써 LGCs의 증식 및 분화상태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poly-D-lysine을 사용한 배양상태에서는 세포가 배양표면에 납작하게 부착되어 자라는 반면에 Matrigel 위에서는 3차원적 구조를 형성하였다. 이중세포면역화학염색의 결과로서는 Matrigel과 poly-D-lysine 배양에서 3β-HSD 양성세포 및 음성세포의 일부에서 BrdU가 표지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프로제스테론의 분비는 배양 4일까지 증가하다가 그후 감소하였으며, 배양일수가 경과함에 따라 두 군 사이의 차이가 증가하여 배양 5~6일에서는 Matrigel 군이 poly-D-lysine군보다 약 2배의 프로제스테론을 분비하였다. 따라서 Matrigel을 이용한 배양법은 생체에서와 유사한 배양환경을 만드는데 기여함으로써 향후 LGCs의 성장 및 분화 기전과 그 기능을 조절하는 물질들의 작용기전을 밝히는데 기여를 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Matrigel on the differentiation and proliferation of luteinized granulosa cells in vitro. Human luteinized granulosa cells (LGC), obtained after the oocyte retrieval from the IVF process were cultured either on plastic or on Matrigel. Phase-contrast microscopy showed that LGC were flat and attached on the surface of poly-D-lysine while they formed three dimensional cell aggregates when cultured on Matrigel. Bromodeoxiuridine (BrdU) labeling followed by immunocytochemistry for BrdU and 3β-hydroxysteroid dehydrogenase (HSD) demonstrated that BrdU-labeld cells were shown in both of the 3β-HSD positive and negative granulosa cells when cells were cultured on Matrigel and on poly-D-lysine. Progesterone secretion was increased until culture day 4, and then slightly decreased. The difference in progesterone secretion between the cells cultured on Matrigel and those on poly-D-lysine was increased, as the culture day was increased. The results suggested that Matrigel provides a better culture environment for LCG and maintains proliferation of LCG.

      • KCI등재

        소아비만과 음료 섭취량의 관계에 대한 연구

        오지현,곽인근,양승,황일태,정지아,이혜란,Oh, Ji Hyun,Kwak, In Keun,Yang, Seung,Hwang, Il Tae,Jung, Ji Ah,Lee, Hae Ran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03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46 No.11

        목 적: 소아비만은 단기간에 전세계적으로 증가하였다. 이는 에너지 섭취 과다와 소모 부족으로 인한 에너지 불균형으로 여겨진다. 최근 다양한 종류의 음료 상품이 개발되면서 소아의 음료 섭취량이 늘고 있어 저자들은 소아비만에서 음료 섭취량을 파악하여 소아비만의 예방과 관리에 도움을 얻고자 본 조사를 실시하였다. 방 법: 2003년 5월에 서울시 송파구 내 초등학생 총 877명 (남녀비 1 : 1.02, 평균 나이 9.7세)을 대상으로 하였다. 신장과 체중을 측정하여 체질량지수를 산출하여 비만군, 과체중군, 정상군으로 나누었으며 설문지로 부모의 체질량지수, 사회경제적 요인, 3일간 섭취한 음식과 칼로리 및 음료 섭취량을 조사하였다. 음료는 우유, 요구르트 같은 기타 유제품, 탄산음료, 스포츠음료, 쥬스, 인공 착색 음료를 비롯한 기타 음료로 세분화하여 조사하였다. 음료는 우유, 요구르트 같은 기타 유제품, 탄산음료, 스포츠음료, 쥬스, 인공착색 음료를 비롯한 기타 음료로 세분화하여 조사하였다. 결 과 : 1) 대상아의 비만 유병률은 7.2%이었다. 2) 비만군의 어머니와 아버지의 체질량지수가 과체중군, 정상군에 비해서 유의하게 높았다(P<0.001). 3) 출생시 체중은 비만과 유의한 관련이 없었다(P=0.183). 가정의 월수입(P=0.266), 아버지의 학력(P=0.489), 어머니의 학력 (P=0.285)과 상관관계가 없었다. 4) 하루 총 칼로리 섭취량과 음식의 종류는 비만군, 과체중군, 정상군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5) 7-9세 남아 비만군은 탄산음료, 스포츠 음료 섭취량이 다른 군에 비해 유의하게 많았다(P<0.001). 10-12세 남아 비만군은 총 음료 섭취량이 다른 군에 비해 유의하게 많았고(P=0.002), 인공 착색 음료를 비롯한 기타 음료 섭취에서 비만군이 다른 군에 비해 유의하게 많았다(P=0.012). 10-12세 여아 비만군은 기타 유제품 섭취에 있어 다른 군에 비해 유의하게 많았다 (P=0.002). 결 론 : 소아에서 음료의 과다 섭취는 비만으로 이어질 수 있다. 소아에서 음료 섭취를 조절하는 것이 최근 증가되는 비만의 유병률을 감소시킬 수 있는 한 가지 방법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 The rising prevalence of childhood obesity may be due to an energy imbalance between food intake and energy expenditure. Recently, consumption of beverages in children has increased. The aim of this study is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the prevention and the control of childhood obesity by assessment of variable beverage consumption. Methods : Fight hundred seventy seven children(M : F=1 : 1.02, mean age; 9.7 years) from two primary schools in Seoul in May 2003 were enrolled. Body mass index(BMI) was calculated and the degree of obesity was classified into normal, overweight and obese groups by BMI percentile. Parental BMI, socio-economic factor, 3-day dietary intake, calory intake and beverage intake were examined by questionnaires. We researched beverages and classified them into six categories, milk, other milk products, soda, sports beverage, other beverage. Results : The prevalence of obesity was 7.2%. The parental BMI of the obese group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other group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birth weight, or parents' intellectual and economic levels between the obese group and the other group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daily total calory intake between the obese group and the other groups. The obese group of 7-9 year-old-males was higher than the other groups in sodas, and sports beverages intake. The obese group of 10-12 year-old-males was higher than the other groups in total beverage intake and other beverage intakes. The obese group of 10-12 year-old-females was higher than the other groups in other milk products. Conclusion : Excessive intake of beverages is associated with childhood obesity. Efforts to decrease intake of beverages may be important approaches to counter the rise in the prevalence of obesity.

      • KCI등재후보

        정상 신생아의 대변에서 생후 1주일 동안 장내세균총의 변화

        성남주,이승규,김미진,김영호,양승,황일태,정지아,이혜란,김재석,Sung, Nam-ju,Lee, Seung Gue,Kim, Me Jin,Kim, Young Ho,Yang, Seung,Hwang, Il Tae,Jung, Ji A,Lee, Hae Ran,Kim, Jae-Seok 대한소아소화기영양학회 2006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Vol.9 No.2

        목 적: 자궁 내에서 태아의 소화기는 무균상태에 있다가 출생 후 신생아기에 점차 장내세균의 집락화가 이루어진다. 출생 초기에 처음으로 나타나는 세균은 Staphylococcus, Enterobacteriaceae, Streptococcus가 있으며, 이후 Bifidobacterium spp.와 같은 혐기성 세균이 나타난다. 이에 저자들은 정상 신생아의 대변에서 생후 1주일 동안 장내세균총의 분포와 변화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방 법: 한림의대 강동성심병원에서 출생한 정상 신생아 15명(자연분만 3명, 제왕절개 12명)(모유수유 1명, 분유수유 8명, 혼합수유 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출생 첫 대변과 1일, 3일, 7일째의 대변을 채취하였다. 대변 배양 배지와 조건를 달리하여 호기성균(blood agar plate), E. coli (trypton bile X-glucuronide 배지), 그람 양성 혐기성균(phenylethyl alcohol agar), lactobacillus (MRS 배지), Bifidobacterium spp. (bifidobacterium selective agar), Clostridium difficile (cefoxitincycloserine-fructose agar)을 검출하여 배양된 균 집락의 수를 측정하여 기록하였다. 결 과: 출생 첫 대변에서는 균이 거의 검출되지 않았다. 호기성균, E. coli, 그람 양성 혐기성균은 출생 시부터 생후 7일까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Lactobacilli는 한명의 신생아에서 생후 7일에 검출되었다. Bifidobacterium spp.은 2명에서 검출되었다. Clostridium difficile은 생후 7일까지 검출되지 않았다. 분만 방법과 수유 방법에 따른 균 집락의 차이는 없었다. 결 론: 정상 신생아에서 생후 1주일 동안 장내세균총의 다양한 변화를 관찰할 수 있었다. 앞으로 생후 1주일 이후의 장내세균총의 변화와 더 많은 환아에서의 연구를 진행한다면 생균제 사용에 도움이 되리라 생각된다. Purpose: Microbial colonization of the intestine begins just after birth and development of the normal flora is a gradual process. The first bacteria colonizing the intestine in newborns are Staphylococcus, Enterobacteriaceae and Streptococcus. For several days after birth, the number of Bifidobacterium spp. increa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nges of microflora for seven days postnatally in neonatal stool. Methods: Fifteen neonates (breast : formula : mixed feeding 1 : 8 : 6, vaginal delivery : cesarean section 3 : 12) who were born at the Kangdong Sacred Heart Hospital, Hallym University were enrolled. First meconium and stools of postnatal 1-, 3-, and 7-day were innoculated. Blood agar plates for total aerobes, trypton bile X-glucuronide agar for E. coli, phenylethyl alcohol agar for gram positive anaerobes, MRS agar for Lactobacillus spp., bifidobacterium selective agar for Bifidobacterium spp. and cefoxitin-cycloserine-fructose agar for Clostridium difficile were used in the general incubator ($CO_2$ free incubator), $CO_2$ incubator or the anaerobic chamber for 48 or 72 hours at $37^{\circ}C$ and then colony forming units were counted. Results: No microflora was identified in the first meconium. Total aerobes, E. coli, and gram positive anaerob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advancing postnatal days. In only one baby, Lactobacillus acidophilus was detected $2{\times}10^5CFU/g$ in the seven-day stool. Bifidobacterium spp. was detected in two babies. Clostridium difficile was not detected during the seven day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bowel flora depending on the delivery pattern and feeding method. Conclusion: This study shows many changes in the intestinal normal flora in neonatal stool during seven days postnatally. If these findings are confirmed with larger studies, the data may be preliminary findings to support use of probiotics in neonates.

      • KCI등재

        아토피피부염 환아에서 혈청 페리오스틴과 편평상피암항원

        최우혁 ( Woo-hyeok Choi ),박태영 ( Tae-young Park ),김수영 ( Su-yeong Kim ),유리타미영 ( Rita Yu ),반지은 ( Ji-eun Ban ),양승 ( Seong Yang ),황일태 ( Il-tae Hwang ),백혜성 ( Hey-sung Baek ) 대한천식알레르기학회(구 대한알레르기학회) 2017 Allergy Asthma & Respiratory Disease Vol.5 No.2

        Purpose: It was found that periostin and squamous cell carcinoma-related antigens (SCCAs) were strongly interleukin-13-inducible gene products. This study measures the serum periostin and SCCA levels in children suffering from atopic dermatitis (AD) and to evaluate the association between the severity of AD and their values. Methods: Seventy AD children aged 1 month to 10 years were included in our study. Subjects were characterized as having atopic eczema (AE; n=55) or non-AE (NAE; n=15) by atopic sensitization. Serum SCCA and periostin levels were measured. Results: The serum periostin level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children with AE than in those with NAE (geometric mean [95% confidence interval]: 80.47 ng/mL [75.06-85.93 ng/mL] vs. 67.45 ng/mL [59.99-75.64] ng/mL, P=0.020). The serum concentrations of both SCCA1 and SCCA2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children with AE than in those with NAE (geometric mean [95% confidence interval]: 1.401 [1.198-1.643] ng/mL vs. 0.969 [0.723-1.268] ng/mL, P=0.039 for SCCA1) (1.178 [0.974-1.455] ng/mL vs. 0.711 [0.540- 0.994] ng/mL, P=0.025 for SCCA2). The serum periostin level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disease severity and with peripheral blood eosinophil counts. The SCCA levels were not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disease severity. Both SCCA1 and SCCA2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serum periostin levels and blood eosinophil counts. Conclusion: Serum periostin levels may b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disease severity and blood eosinophil counts in children with AD. Serum SCCA levels can b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serum periostin levels and blood eosinophil counts in children with AD. (Allergy Asthma Respir Dis 2017:5:73-78)

      • KCI등재후보

        Matrigel이 배양상태에서 정상 흰쥐로부터 얻은 뇌하수체 전엽세포의 호르몬 발현에 미치는 영향

        이한경(Han-Kyung Lee),김현준(Hyun-Joon Kim),유영복(Young-Bok Yoo),황일태(Il-Tae Hwang),황덕호(Douk-Ho Hwang),이병란(Byung-Lan Lee) 대한해부학회 2000 Anatomy & Cell Biology Vol.33 No.3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atrigel, a reconstituted basement membrane, on the expression of the anterior pituitary hormones in culture. Rat pituitary cells cultured for 6 days on Matrigel showed 3-dimensional, lobular structures with connecting cells while those on plastic showed flat, polygonal cells forming a monolayer. Western blot analysis showed that prolactin (PRL) content in the anterior pituitary cells was higher compared to those cultured on plastic. In comparison, TSH expression was not increased in cultures on Matrigel. The total cell number and the proportion of fibroblasts was decreased.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Matrigel is a useful culture substrate for the enhanced expression of PRL but not for TSH. Further studies are needed in order to find a useful culture substrate for TSH cells. 본 연구는 세포배양에서 기저막 성분인 Matrigel이 뇌하수체 세포의 호르몬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시 행되었다. 위상차 현미경과 주사전자현미경을 사용한 관찰에서 Matrigel 위에서 배양 된 쥐의 정상 뇌하수체 세포는 3차원적 구조를 형성하였는데, 이 때 세포덩어리들은 마치 생체내 분비샘들의 소엽과 유사한 형태를 나타내었다. Western blot을 사용한 관찰에서 세포 내에 포함된 젖샘자극호르몬 (PRL)의 양이 유의하게 증가됨이 관찰되었으나,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분석의 결과로 볼 때 갑상샘자극호르몬 (TSH)의 발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로부터 Matrigel은 PRL의 발현에는 영향을 미치나 모든 종류의 뇌하수체 호르몬 발현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 것으로 관찰 되었으므로 각 종류의 뇌하수체 호르몬세포에 적합한 배양기질을 개발해야 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 KCI등재후보

        경련지속증 환자의 임상경과와 국제치료기준의 비교

        김환수(Hwan Soo Kim),김성구(Sung Koo Kim),황일태(Il Tae Hwang),이건희(Kon Hee Lee) 대한소아신경학회 2008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16 No.1

        목 적 : 경련지속증은 소아에서 흔히 접할 수 있는 응급 상황이다. 경련지속증은 조기에 치료하므로 사망률을 낮추는 것이 중요하나 국제치료기준에 얼마나 부합되게 치료 하는가에 대한 조사는 부족하여 경련지속증의 임상 양상과 치료를 국제치료기준과 비교하였다. 방 법 : 2002년 1월부터 2007년 12월까지 6년간 한림대학교 강남성심병원과 강동성심병원을 방문한 경련지속증 환아 36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의무기록을 바탕으로 연령, 내원 전 경련시간, 내원 후 지속시간, 경련의 원인, 치료 시작 시기와 방법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 과 : 경련 지속증 환아의 평균 연령은 35.6±30.6개월이었으며 남녀 비율은 1.1:1였다. 경련지속증의 원인은 열성 경련에 의한 경우가 15례로 가장 많았다. 9례가 특발성, 6례가 원격 증후성, 4례가 급성 원인이 동반된 원격 증후성, 1례가 급성 증후성, 1례가 분류 불가였다. 평균 경련 지속시간은 82.1±70.8분이었고 응급실 내원 전 평균 경련 시간은 52.5±64.2분, 응급실 내원 후 평균 경련 시간은 37.7±29.3분이었다. 응급실 도착 후 항경련제를 투여하는데 걸린 평균 시간은 일차 로라제팜이 4.6±6.7분, 이차 로라제팜 10.2±8.2분, 페니토인 24.5±14.9분이었으며, 페노바르비탈이 57.4±45.1분이었다. 경련이 지속되어 미다졸람을 투여한 경우가 4례 있었으며 약물 투여까지의 평균 시간은 114.0±141.2분이었다. 일단계 로라제팜을 투여해야 하는데 18.2%에서 10분 이상 지체되었고, 1례에서 페니토인이 투여되었다. 73.3%에서 10분이 경과하기 전에 이차 로라제팜을 투여를 하였고, 10.0%에서는 다른 항경련제가 투여되었으며 3.3%에서 20분이 경과한 후에 투여하였다. 이단계에서 로라제팜 투여 후 10분 경과 후에도 경련이 지속되는 경우 40.0%에서 페니토인 혹은 페노바르비탈 외의 다른 항경련제가 투여되었고, 36%에서는 10분 전에 항경련제를 투여하였고 24%에서는 20분 이상 경과 후 항경련제가 투여되었다. 인공호흡기 치료를 받은 경우가 11.1% 있었으며 평균 인공호흡기 치료 기간은 2.3±1.3일 이었다. 입원 후 경련이 반복된 경우가 6례(16.7%)였으며 사망한 경우가 2례(5.6%) 있었다. 신경학적 후유증 이 남아 재활 치료를 받은 경우가 2례(5.6%) 있었다. 결 론 : 경련지속증의 치료를 조기에 시행하는 것이 중요하며 일부에서 다양한 원인으로 기준을 벗어나서 치료하는 경우가 있어 이에 대한 좀 더 광범위한 조사와 개선책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 Status epilepticus(SE) is a common neurological emergency in childhood. SE is defined as a seizure or series of seizures without recovery of consciousness between seizures lasting at least 30 minutes. We investigated treatment modalities and clinical courses of patients with SE and tried to find out the differences between international standards. Methods : We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36 cases of SE who visited our hospitals from January 2002 to December 2007. We analyzed age, duration of seizures before and after arrival at hospital, time taken for administration of antiepileptic drugs(AED) and compared them with APLS guideline(3rd edition). Results : There were 32 cases in which lorazepam was used as the first AED and the mean time needed for administration was 4.6±6.7minutes. Thirty cases needed a second dose of lorazepam and the mean time needed for administration was 10.2±8.2 minutes. Seven patients(21.1%) received inappropriate treatment at the first step and 25 patients(83.3%) and 21 patients(84.0%) at the second and the third step respectively. There were 15 cases in which phenytoin or phenobarbital was used as the second line AED and the mean time needed for administration was 25.8±61.8 minutes. Conclusion : Early treatment of SE is important in reducing mortality and morbidity associated with SE. In this study we found that a large number of patients were not treated according to the international guideline. Further study is needed to understand the reasons for such differences.

      • KCI등재후보

        하시모토 갑상샘염에 치료에 기인한 만성 매일 두통 1례

        김환수(Hwan Soo Kim),신선희(Seon Hee Shin),황일태(Il Tae Hwang),이건희(Kon Hee Lee) 대한소아신경학회 2007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15 No.1

        저자들은 12세 여아에서 하시모토 갑상샘 염에 기인한 두통이 적절한 갑상샘 호르몬 치료로 호전된 증례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We present a case of Hashimoto's thyroiditis accompanied by chronic daily headache which was relieved by levothyroxine therapy. A 12-year-old girl was referred to our hospital complaining of continuous, bilateral, and non-pulsatile headache which had begun 9 months before. After 2 weeks of appropriate levothyroxine therapy, headache markedly improved. After 4 months of follow-up, she had no new episode of headach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