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남북정상회담의 지속과 변화: 화해를 중심으로

        황수환(Soohwan Hwang) 한국정치정보학회 2020 정치정보연구 Vol.23 No.2

        본 논문에서는 화해라는 측면에서 남북정상회담 합의문에서 나타난 지속과 변화된 측면을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화해는 한반도의 평화를 위해 선결되어야 하는 중요한 과정 중 하나이다. 반세기 지속된 남북 간 갈등과 불신을 해결하고 지속가능한 평화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화해가 필요하다. 2000년 이후 4차례 남북정상회담 합의문에서 남북교류협력 차원, 인도적 차원, 군사적 차원, 평화체제 구축 차원으로 구분하여 화해의 요소를 살펴볼 수 있다. 남북정상회담이 진행되면서 남북화해를 위한 합의사항이 구체화되었지만, 단지 협력을 통해 미래로 나아가기 위한 과정적 차원에서 합의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중요한 것은 화해를 실천하고 이행하기 위한 노력이 병행되어야 진정한 남북 간 화해가 이뤄질 수 있다는 점을 파악할 수 있다. In this pa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ntinuity and changed aspects of the reconciliation agreement in terms of reconciliation. Reconciliation is one of the important processes that must be decided for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Reconciliation is needed to resolve conflict and distrust between the two Korea that lasted half a century and to achieve sustainable peace. In the four inter-Korean summit agreements since 2000, the elements of reconciliation can be examined by dividing them into inter-Korean exchange, humanitarian, military, and peace regimes. As the inter-Korean summit progressed, agreements for inter-Korean reconciliation were materialized, but it was confirmed that the agreement was reached at a procedural level to move forward through only cooperation. The important thing is to understand that true reconciliation between the two Koreas can take place only when the efforts to implement and implement reconciliation are combined.

      • KCI등재

        평화협정의 유형에 따른 한반도 평화체제의 경로

        황수환 ( Soohwan Hwang ) 한국세계지역학회 2017 世界地域硏究論叢 Vol.35 No.2

        동북아 주변국가들의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에 대한 입장을 보면 한국과 미국은 `선 핵폐기, 후 평화협정`을, 북한은 `선 평화협정, 후 핵폐기`를, 중국은 `병행추진론`을 주장하고 있다. 평화협정의 체결 유형과 속성을 볼 때 하나의 공식적인 평화협정으로 분쟁이 종결되기보다는 이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수많은 협정들이 체결될 수 있다. 이에 평화협정을 체결 당시의 상황과 조건에 따라 예비적 기초협정, 실질적 기본협정, 보완적 이행협정으로 유형화할 수 있다. `선 핵폐기, 후 평화협정`을 보면, 예비적 기초협정에서는 북한의 핵관련 모든 시설이 폐기되는 절차에 합의한다. 실질적 기본협정에서는 핵폐기를 확인하고 포괄적인 형태의 한반도 평화협정이 체결되며, 보완적 이행협정에서는 북한 핵폐기의 이행과 검증 절차에 합의하고 한반도의 평화정착을 위한 각종 후속 사안을 합의하게 된다. `선 평화협정, 후 핵폐기`를 보면, 예비적 기초협정에서는 정치·군사적 신뢰구축과 북미 관계정상화 등의 합의와 함께 북한의 핵폐기 의지를 확인하게 된다. 실질적 기본협정에서는 북핵폐기 절차에 합의하여 한반도 평화협정을 체결하고, 보완적 이행협정에서는 북핵폐기에 대한 제반 이행사항에 대해 합의한다. `병행추진론`을 보면, 예비적기초협정에서는 관련국 간 비핵화와 평화협정의 병행추진에 합의하고, 북한의 핵시설 동결과 한미군사훈련 폐지를 맞교환할 수 있다. 실질적 기본협정에서는 북핵폐기와 한반도 평화협정 체결을 동시 병행 추진하는 합의를 하게 되며, 보완적 이행협정에서는 실질적 기본협정의 합의사항에 대한 이행사항을 점검하고 보완하는 합의를 한다. The respective positions of key Northeast Asian actors regarding the construction of a peace system on the Korean peninsula are as follows: Sou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advocate “denuclearization first, peace agreement second,” North Korea calls for “peace agreement first, denuclearization second,” and China proposes “parallel track” efforts. However, a close examination of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peace agreements reveals that it is rare for a single formalized agreement to bring an end to conflict. Rather, conflicts are most often resolved through a complicated process involving a constellation of agreements. In view of the surrounding circumstances and conditions, peace agreements can be variously classified as preliminary base agreements, substantive basic agreements, and supplementary implementation agreements. The “denuclearization first, peace agreement second” pathway would involve deactivating all nuclear-related facilities in North Korea through a preliminary base agreement. A substantive basic agreement would then confirm this deactivation and reach a comprehensive peninsula-wide peace agreement. Finally, the parties would use a supplementary implementation agreement to establish the implementation and verification procedures for North Korean denuclearization, as well as to reach agreement on the various follow-on efforts needed to consolidate peace on the peninsula. As for “peace agreement first, denuclearization second,” a preliminary base agreement would involve political and military trust-building and normalization between Nor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as well as the confirmation of Pyongyang`s resolve to denuclearize. The substantive basic agreement would then establish the procedures needed for denuclearization and the signing of a peach treaty, and the supplementary implementation agreement would be used to reach consensus on the specific tasks required for denuclearization. Finally, the “parallel track” pathway would first require a preliminary base agreement affirming the parties` determination to simultaneously pursue denuclearization and peace agreement, and which would perhaps involve a trade-off between a freeze on North Korean nuclear installations and a moratorium on ROK-US military exercises. A substantive basic agreement would then formalize the agreement to implement North Korean denuclearization and a peninsular peace agreement,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which would be verified and amended through a supplementary implementation agreement.

      • KCI등재

        평화협정의 유형 분석

        황수환(SooHwan Hwang) 고려대학교 일민국제관계연구원 2016 국제관계연구 Vol.21 No.2

        평화협정이란 분쟁 당사자 간 무력분쟁을 종결하고 화해와 공존을 제도화하며 관련된 모든 당사자들이 평화를 보장하게 하도록 하는 법적·정치적 성격을 지닌 포괄적인 합의문으로 정의할 수 있다. 평화협정이 체결되었다고 하더라도 반드시 평화가 보장되는 것은 아니다. 단순히 어느 하나의 평화협정을 통해 분쟁 상태가 종료된다기보다는 분쟁 해결의 과정 속에서 여러 협정이 체결되기 때문이다. 평화협정에 대해 분쟁을 종결하고 평화의 상태로 가는 과정적 관점으로 이해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평화를 구축하는 과정에서 체결되는 평화협정들은 각각의 상황과 국면에 따라 그 속성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이에 본 논문은 이스라엘-팔레스타인 간에 체결된 평화협정을 예비적 기초협정, 실질적 기본협정, 보완적 이행협정 등으로 유형 구분을 시도하였다.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간에는 반세기 이상 지속되어온 분쟁해결을 위해 여러 차례의 평화협정이 체결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분쟁이 지속되고 있다. 분쟁을 해결하기 위해 체결되는 평화협정에 대해 유형화한다면 분쟁의 양상과 평화협정의 본질에 대해 보다 명확히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평화협정이 분쟁 당사자 간의 관계개선이나 협력을 넘어 제도화된 갈등을 관리하는 장기적인 전략의 연속적 형태로 갈등전환적 접근을 위한 실천적이고 이행적인 역할로 파악해야 할 것이다. A peace agreement is an extensive document of a legal and political nature, drafted to assure peace between two or more states. The agreement not only brings conflict to an end, but also institutionalizes reconciliation and coexistence. Nonetheless, the peace agreement itself does not necessarily guarantee peace. It is not a single agreement that terminates disputes, but a series of agreements that are brought into force during the process of resolution. Hence, one needs to understand peace agreement as a process — beginning with the termination of conflict and culminating in a state of peace. Peace treaties signed in the process of peacebuilding may be categorized into three different types in accordance with the situation which they are concluded in. In this article, I categorize peace agreements between Israel and Palestine into the following three types: the preliminary basic agreement, the actual fundamental agreement, and the complementary practiced agreement. Categorizing peace agreements in this way would clarify and enhance our understanding about their nature. Peace agreements should be approached as management mechanisms for institutionalized conflicts that take on a strategic and consecutive form in order to allow transition.

      • KCI등재

        국제사회 주거권 논의와 연계한 북한 주거환경 개선방안

        최천운(Cheonwoon Choi),황수환(Soohwan Hwang),문경연(Kyungyon Moon) 경희대학교 인류사회재건연구원 2018 OUGHTOPIA Vol.33 No.2

        본 논문은 국제사회의 주거권 논의 현황과 특징을 분석함으로써 북한지역 주민들을 대상으로 하는 주거환경 개선사업이 인도적지원의 대상이 될 수 있는지에 대해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분석 결과 주거권은 인간의 기본적 권리를 구성하며 이를 충족시키지 못하는 환경에서는 인도적 차원에서 적절한 조치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지난 20년간 진행된 대북지원은 식량 및 보건, 의료지원만을 인도적 지원 대상 품목에 포함시켜 왔다. 이러한 가운데 북핵 문제로 불거진 UN의 대북제재는 인도적 지원만을 예외로 두고 있고, 향후 북미 정상회담을 통해 북핵문제가 해결된다고 하더라도 UN의 제재가 완전히 해제되는 데에는 상당한 시일이 걸릴 수도 있다. 또한 향후 대북지원은 과거와 같이 식량 및 보건, 의료지원에 국한될 가능성이 크고 이는 열악한 주거환경에 놓인 북한주민들의 주거인권에 대한 고통은 여전히 계속될 것임을 의미한다. 결과적으로 본 논문은 국제사회의 주거권 논의에 근거할 경우, 북한지역 주민들을 대상으로 한 주거환경 개선사업이 인도적 지원의 구성요소를 충족시키므로 향후 지속가능한 남북교류협력사업을 위해 인도적 지원사업의 범위에 북한지역 주거환경 개선사업을 포함시키는 방안을 주장한다. This study seeks to make a case that HABITAT operation to North Korea can be considered as humanitarian assistance under the UN’s sanction. The Korean government has decided to provide humanitarian aid to North Korea despite UN’s restrictive actions against North Korea. Although conditional, the two Koreas are considering to pursue a few economic cooperation projects. While the UN and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re participating in the implementation of UN Security Council resolutions to sanction North Korea, South Korea needs to consider the sustainability of humanitarian aid to North Korea. This study analyzes international human rights discourse on housing rights, the condition of North Korean housing environment, the history of North-South exchange and cooperative activities in order to seek the possibility of incorporating the HABIT operations to North Korea into humanitarian assistance. Under the UN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it seems that HABITAT or housing related operations from humanitarian assistance to North Korea are not allowed. Considering the right to housing in international human rights discourse, however, this paper argues that HABIT or housing related operations should be allowed as humanitarian assistance.

      • KCI등재
      • KCI우수등재
      • KCI등재

        After Breaking the Deadlock: Extending Cooperation with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through Natural Disaster Management

        Taek Goo Kang(강택구),Giwoong Jung(정기웅),Soohwan Hwang(황수환) 고려대학교 일민국제관계연구원 2019 국제관계연구 Vol.24 No.1

        본 논문은 북한의 자연재해 관리 현황을 검토하고 북한을 국제사회로 초대하기 위한 가능한 협력의 방법들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세 가지에 집중하고 있다. 첫째, 2001년부터 2015년 사이에 북한에서 발생한 자연재해를 고찰하여 그 피해 정도와 발생의 빈도를 추적함으로써 범주화하였다. 둘째, 북한의 재해 관리 정책과 법체계를 분석하였다. 셋째, 앞의 두 가지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북한과의 협력을 촉진하고 북한의 자연재해를 예방하고 관리할 수 있는 가능한 사업방안을 제안하고 있다. 북한과의 협력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기 위해서는, 정보 및 인적 교류를 포괄하는 IGO 및 NGO와의 적극적인 협력이 좋은 접근법이 될 수 있다. 북한에 대한 지원은 소규모 시범 사업에서 시작될 필요가 있다. 또한 북한의 관련 전문가 및 정부 관리들과의 네트워크 구축이 무엇보다도 우선되어져야 한다. This article aims to review the current situation of DPRK natural disaster management and suggest the possible ways of cooperation to invite DPRK into the global society. We focus on three objectives. First, we review and categorize the natural disasters that occurred in DPRK between 2001 and 2015. We trace the damages caused by them and frequency of occurrence. Second, we examine DPRK disaster management policies and legal systems. Thir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previous two analyses, we suggest approaches to promote cooperation and possible projects to prevent and manage natural disasters in DPRK. To propel persistently the cooperation with DPRK, active cooperation with IGOs and INGOs might be a good approach, which encompasses information and personnel exchanges. The aid to DPRK should start from small-scale pilot project cases. We should also pursue to build network with DPRK experts and government officials as overriding concer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