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통일후 동독지역 엘리트 변화

        김경래(Kim, Kyung Rae) 국민대학교 한반도미래연구원 2021 한반도미래연구 Vol.5 No.1

        동서독의 통일은 동독 주민들의 자유의지를 바탕으로 한 민주적, 평화적 통일이었다. 동독 주민들의 지지에 의해 선택된 대표자들이 서독의 정치인들과 협상을 벌여 독일연방공화국의 새로운 주로 편입하는 방식을 택한 통일이었다. 통일 후 30년이 지난 현재의 동독 출신의 주민들은 전반적으로 통일된 사회에 만족하는 경향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 그럼에도 다른 한편 동독 출신의 주민들은 자신들을 2등시민으로 여기는 현상 또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이중적인 모습에 대해 다양한 원인이 제기되고 있다. 본 논문은 그 원인의 하나로 통일된 독일 사회에서 동독 출신이 엘리트의 지위에서 과소대표되는 현상에서 찾고 있다. 비록 대의민주주의 체제라는 특성상 정치 분야에서는 과소대표 현상이 심하지 않지만 경제, 언론, 군대 등 대부분의 영역에서 과소대표되고 있기 때문에 동독 출신의 주민들은 자신들을 대변해줄 수 있는 엘리트의 부족 그리고 자신들의 사회적 지위 상승의 기회가 현실적으로 부재한다는 인식을 가질 수 밖에 없다. 비록 통일 직후 서독 출신들이 동독 지역의 엘리트로 충원될 수밖에 없는 상황이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사회통합의 장애로 작용하고 있다는 것이 본 논문의 133결론이다. The unification of East and West Germany was a democratic and peaceful unification based on the free will of East German residents. It was a reunification in which representatives selected by the support of East German residents negotiated with West German politicians and incorporated them into the new state of the Federal Republic of Germany. Thirty years after reunification, residents from East Germany tend to be satisfied with a unified society. But on the other hand, East German residents also see themselves as second-class citizens. Various causes have been raised for this dual appearance. This paper finds that in a unified German society as one of the causes, East Germans are underrepresented by the elite. Although there is not much underrepresentation in the political field due to the nature of the representative democracy system. However, it is underrepresented in most areas, including the economy, the media, and the military. For this reason, residents from East Germany feel that they lack the personality to represent themselves, and think that there is no chance of their social status rising. The paper concludes that people from West Germany are forced to be filled with elites in East Germany immediately after unification, but in the long run, it is acting as an obstacle to social integration.

      • 북한지역 민주화 연구실태와 통일을 위한 여건조성의 과제

        김병욱(Kim Byeong Uk) 국민대학교 한반도미래연구원 2021 한반도미래연구 Vol.5 No.1

        최근 중동사태를 보면 구체제의 붕괴가 난민사태로까지 번졌고 민주화의 실패에 이어 기존 민주주의 퇴행으로까지 이어지고 있다. 이는 북한지역의 실정과 동떨어진 민주화 추진은 역효과를 가져올 수도 있음을 방증한다. 본 연구에서는 북한지역 민주화 연구실태에 근거해 통일에 필요한 지역 민주화 여건조성의 필요성을 살펴보고 이를 실현하기 위한 과제를 살펴보았다. 북한지역 민주화 실현을 위해서는 여건조성의 단계가 필요하며 이는 조직체 결성, 거점확보, 단계적 접근의 3대 요인을 강화해가는 과정에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북향민들에 의한 아래로부터의, 고향 지역을 대상으로 민주화 여건을 조성하기 위한 활동을 추진해나가는 것이 효율적이다. If you look at the recent Middle East situation, the collapse of the old system has spread to the refugee crisis, leading to the failure of democratization and the regression of existing democracy. This proves that promoting democratization that is far from the reality in North Korea can have the opposite effect. The answer may be a strategy to create conditions for democratization from below that reflect today s North Korean situation, rather than China or Vietnam, which are systems similar to North Korea, which are different from those of the United States or Europe, which are called advanced countries, in implementing democracy. In this study, the necessity of the conditions for democratization in this region necessary for unification based on the actual situation of democratization research in North Korea and the tasks for realizing it were examined. In order to realize democratization in North Korea, the stage of creating conditions is necessary, which can be achieved in the process of strengthening the three factors of organization formation, securing base, and step-by-step approach.,In particular, it is efficient to promote activities to create democratization conditions for the hometown area from the bottom by the defectors.

      • 북한의 감성정치 : <민족의 태양>을 중심으로

        김정수(Kim, Jeong Soo) 국민대학교 한반도미래연구원 2019 한반도미래연구 Vol.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북한의 예술영화 <민족의 태양>에 나타난 북한의 문화정치를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 결과, 언어의 코드에서는 북한의 최고 지도자와 관련된 지배적 감성은 ‘귀천’과 ‘차별화된 사랑’ 패러다임이라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숭고함을 유지하기 위해 ‘강력성’을 지지하고 최고지도자의 ‘영속성’을 강조하는 양상 역시 발견하였다. 북한은 ‘귀천’과 ‘강력함’의 문화정치를 전개하는 것이다. 다음 기억의 코드에서는 북한이 ‘구원’과 ‘애민’의 패러다임을 강조하는데 김정은 시대에는 ‘애민’이 보다 강조되는 것을 발견했다. 또한 최고 지도자가 과로로 병을 앓게 된 이유가 ‘북한 주민들을 위해 몸을 아끼지 않았기 때문’이라는 부채감을 발명하여 그 부채감을 현재의 지도자에게 갚도록 유도하는 것을 포착하였다. 이 같은 북한의 문화정치는 시장화 등 외부 정보가 유입되는 현재에는 이전 시대만큼 작동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과거에 존재했던 경험이 현재에도 강력한 상징적 힘을 지니고’ 있다는 사실을 기억할 때, <민족의 태양>에 나타난 북한의 문화정치는 북한 주민에게 일정부분 호소할 가능성도 있다고 하겠다. 김정은에 대한 정치적 충성심을 새롭게 정비해야 하는 북한 당국의 이와 같은 입장은 문화적 생존전략이라 하겠다. This paper is an analysis of the linguistic and recollective aspects in The Light of the People and North Korean Cultural Politics. The dominant emotion of the Supreme leader of North Korea, is the ‘social cohesion’ and ‘differentiated affection’ paradigm. In short, North Korean cultural politics emphasize ‘social cohesion and power’ politics in the cultural aspect. In terms of the recollective code, people are encouraged to pay any debts owed to past leaders to the present leader by creating a guilt complex about the deaths of the past leaders, and emphasizing ‘the salvation and affection paradigm’ of leaders. While the recent influx of outside information reduces the efficacy of this system, its lingering appeal is due to the symbolic leverage of historic experience. In conclusion, the current state of North politics shows the dilemma of their surviving strategy in reproducing political loyalty to Kim, Jungeun.

      • 제8차 당대회 이후 북한의 대외노선 및 정책

        박형준(Hyong-Joon Park) 국민대학교 한반도미래연구원 2022 한반도미래연구 Vol.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제8차 당대회 이후 북한의 대외노선 및 정책을 고찰하는데 있다. 즉 북한이 주요 정치행사를 통해 결정한 주요 대외노선을 바탕으로 북한의 대외정책이 어떻게 전개되었고, 그 특징과 양상은 무엇인지 살펴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제8차 당대회 사업총화보고, 제8기 제4차 전원회의 결정문, 그리고 주요 담화 및 성명 등을 분석했다. 북한은 미국 및 한국과의 경색국면이 장기화하는 상황 속에서도 올해 들어 벌써 여러 차례 미사일을 시험 발사하며 ‘강 대 강’ 대치 수위를 높여가고 있다. 이로 인해 한반도 불안정 상황이 계속되고 있다. 북한은 지난 2021년 1월 개최한 제8차 당대회를 통해 수립한 대외정책의 핵심 기조와 노선인 ‘강 대 강, 선 대 선’ 원칙과 ‘대외관계의 확대·발전’을 여전히 유지하는 가운데, 국방력 강화에 집중하고 있다. 그리고 미국에 대해서는 대화 재개의 조건으로 ‘대북 적대시 정책’ 폐기와 ‘이중기준’ 철회를 요구하며, 미국의 근본적인 정책 변화를 촉구하고 있다. 그러면서 한반도 정세 불안정의 원인을 미국의 대북 적대시 정책 때문이라고 주장하며, 모든 책임을 미국에 돌렸다. 한편 ‘대외관계의 전면적 확대·발전’ 노선에 따라 중국 및 러시아와 연대 강화를 통해 미국의 핵 위협에 맞서는 한편 ‘전략적 지위’의 강화를 시도하고 있다. 본 연구는 하노이 북미정상회담 결렬 이후 장기화하고 있는 북·미 간 냉각국면 속에서 북한의 대외노선 및 정책을 살펴본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North Korea's external routes and policies after the 8th Party Congress. In other word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North Korea's foreign policy was developed based on the major external routes determined through major political events, and its characteristics and aspects. To this end, analyzed the business summary report of the 8th Party Congress, the decisions of the 4th Plenary Meeting of the 8th Party, and major discourses and statements. North Korea has already test-fired 19 missiles this year, raising the level of the “strong-to-strong” confrontation despite the prolonged hardship with the US and South Korea. As a result, security instability on the Korean Peninsula continues. North Korea is concentrating on strengthening its national defense while still maintaining the principle of ‘strong for river, first for first’ and ‘expansion and development of external relations’, which are the core principles and lines of foreign policy established at the 8th Party Congress. In addition, as a condition for the resumption of dialogue, the United States is demanding the abolition of the “hostile policy toward North Korea” and the withdrawal of the “double standard”, urging the United States to fundamentally change its policy. At the same time, claimed that the cause of political instability on the Korean Peninsula was the US hostile policy toward North Korea, and blamed all the blame on the US. In addition, it is attempting to strengthen its ‘strategic position’ while fighting the US nuclear threat by strengthening solidarity with China and Russia along the line of ‘total expansion and development of external relation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xamines North Korea‘s external routes and policies amid the prolonged cooling phase between the two countries after the breakdown of the Hanoi_US-North Korea summit.

      • 대북인권정책에 대한 EU의 규범적 역할 재고

        정은정(Jung, Eun Jeong) 국민대학교 한반도미래연구원 2021 한반도미래연구 Vol.5 No.1

        본 연구는 북한 인권개선을 위한 방안으로 EU의 규범적 역할을 강조하고자 한다. 북한인권을 수단으로 대북제재에 집중되고 있는 국제사회의 분위기 속에서 유럽연합의 연성권력(Soft Power)을 통한 북한 인권개선의 본질적 접근의 필요성을 재확인하고자 한다. 보편적 인권의 당위성 주장은 내정간섭이라는 상대주의의 비판을 받기도 한다. 인권의 서구성에 반감을 가지고 ‘우리식 인권’을 주장하는 북한의 근본적인 인권인식 변화를 위해 아시아 지역의 변화가 중요하다. 아시아지역의 보편적 인권의식 확산은 ‘서구식 인권’과 ‘우리식 인권’ 사이에서 완충지대가 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한 EU와 아시아지역의 협력과 규범적 EU의 규범적 역할이 중요하다. 또한 장마당으로 변화하고 있는 북한 내부의 변화는 ‘우리식 인권’의 대상이 집단에서 개인으로 서서히 전환될 것을 기대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한 인권의 근본적인 개념을 토대로 한 일관성 있는 대북인권정책이 있어야할 것이다. The study aims to emphasize the EU s normative role as a way to improve human rights in North Korea. The claim of legitimacy of universal human rights is also criticized by relativism as interference in internal affairs. We would like to reconfirm that the importance of improving North Korean human rights through the European Union s soft power should not be overlooked amid the international community s concentration on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as a means. Changes in the Asian region are important for a fundamental change in North Korea s perception of human rights, which examines the EU s normative role, not directly involved in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and claims our-style human rights in opposition to the westernity of human rights. The spread of universal human rights awareness in Asia can be a buffer zone between Western-style human rights and Our-style human rights, and cooperation between the EU and Asia is important for this. Also, the change within North Korea, which is changing to a rainy day, can expect the object of our-style human rights to be gradually shifted from group to individual, and there should be a consistent human rights policy based on the fundamental concept of human righ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