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구결자 ‘’의 해독에 대하여

        황선엽(Hwang Seon-yeop) 구결학회 2003 구결연구 Vol.10 No.-

        이 글에서는 석독구결 및 음독구결 자료에 나타나는 구결자 ‘?’의 독법을 새로 추정하여 제시하였다. 종래의 연구에서는 ‘?’을 ‘?’로 읽고 연결어미 ‘-(거)?’을 표기한 것으로 파악하여 왔다. 그러나 필자는 석독구결 자료 중 같은 문맥에 ‘???’과 ‘???’이 같이 쓰인 예가 있음에 주목하여 ‘?’은 그 음대로 ‘근’으로 읽어야 함을 주장하였다. 여기서 ‘?(근)’은 보조사 ‘-ㄱ’에 다시 보조사 ‘-ㄴ’이 통합한 것으로 분석된다. 15세기 국어에서는 이러한 통합이 불가능했으나 석독구결 자료를 통해 고려시대에는 이러한 구성이 가능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나아가 음독구결 자료에 나타나는 ‘?’ 역시 보조사 ‘-ㄱ’과 ‘-ㄴ’이 동합한 ‘?’으로 읽을 수 있음을 살펴보았다. 다만 음독구결에서는 자료에 따라 ‘?’의 기능이 다소 변화한 듯한 모습을 보이는 예도 있다. This paper aims at presenting the new interpretation of a character ‘?(geun)’ that used in Seokdokkugyol(釋讀口訣) and Eumdokkugyol(音讀口訣). The existing research results have read ‘?’ as /nΛl/ and interpreted ‘?’ as a conjunctive ending. But In the light of a fact that ‘???’(go-k-eun) replaced ‘???’ in the same construction, I argued that the sound value of ‘?’ is /geun/. ‘?(geun)’ is formed out of the integration of bojosa(補助詞) ‘-ㄱ(k)’ and bojosa(補助詞) ‘-ㄴ(n)’. The integration of bojosa (補助詞) ‘-ㄱ(k)’ and bojosa(補助詞) ‘-ㄴ(n)’ was impossible in 15th century Korean.

      • KCI등재

        월봉산최월졍언셔상사가

        황선엽(Hwang Seon-yeop) 돈암어문학회 2006 돈암어문학 Vol.- No.19

        This paper is to introduce Gasa (an old form of Korean verse) called “The Hangul verse pining for her old flame at Chwiwol arbor of Mountain Wolbong.” Bibliographical notes and annotations have been made. The Gasa is a part of Jangphyeongajip (anthology of long verse) in Gyujanggak, Seoul National University. The writer of this verse which is assumed to have written in 1862 or 1922, is anonymous. Its characteristics is that the first syllable in each line was written in the order of Banjeol (a paradigm of the Korean alphabet arranged as a syllabary) Even though the theme of the verse was about heart of pining for the main character's sweetheart, the contents were not coherent by limitations requiring the order of Banjeol in each line. From the perspective of Korean linguistics, this verse has its own value in using Banjeol. From the perspective of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this verse is also significant in showing changes in verses in transitions to modern age.

      • KCI등재

        향가와 배경 설화의 관련성

        황선엽(Hwang Seon Yeop)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5 서강인문논총 Vol.0 No.43

        이 글은『三國遺事』에 수록되어 있는 향가들을 대상으로 그 향가가 들어 있는 배경설화와의 관련성을 살펴본 것이다. 향가와 배경 설화의 관련성은 소원한 경우와 부분적 관련이 있는 경우, 긴밀한 경우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讚耆婆郞歌」와 「祭亡妹歌」는 관련이 소원하며 「慕竹旨郞歌」,「願往生歌」,「風謠」,「安民歌」,「禱千手大悲歌」는 향가와 배경 설화가 부분적으로 관련을 맺고 있다. 향가와 배경 설화의 관계가 긴밀한 것으로는 「薯童謠」,「處容歌」,「獻花歌」,「彗星歌」,「遇賊歌」,「?率歌」가 있다. 「怨歌」는 기존의 해독에서는 배경 설화에 나타나는 ‘栢樹,謂曰’정도만이 노래의 ‘栢史,敎因隱’과 관련되는 것으로 파악해 왔다.그러나 이 글에서는 배경 설화의 ‘有如’와 「怨歌」의 ‘多?行齊’가 직접 관련되는 것임을 분명히 밝힘으로써 「怨歌」도 배경설화와 향가의 관련성이 긴밀한 경우에 속함을 논증하였다. 기존의 해독에서 ‘多?行齊’의 ‘多?’를 ‘다히’로 읽은 경우는 있었으나 그 의미를 ‘함께, 같이’로 파악하였었다. 이 글에서는 15세기 국어와 석독 구결 자료를 참고할 때 ‘多?[다히]’가 ‘다름 없이, 처럼’의 의미이며 이것이 배경 설화의 ‘有如’와 직접 대응되는 것임을 논증하였다. This article looked at the relevance of hyangga contained in 『Samgukyusa(三國遺事)』 and background story. The relevance of hyangga and background story is divided into the following cases. (1) Not closely related cases:「Changiparangga(讚耆婆郞歌)」 and 「Jemangmaega(祭亡妹歌)」. (2) Partly related cases:「Mojukjirangga(慕竹旨郞歌)」, 「Wonwangsaengga (願往生歌)」, 「Pungyo(風謠)」, 「Anminga(安民歌)」, and 「Docheonsudaebiga(禱千手大悲歌)」. (3) Closely related cases:「Seodongyo (薯童謠)」, 「Cheoyongga(處容歌)」, 「Heonhwaga(獻花歌)」, 「Hyeseongga(彗星歌)」, 「Ujeokga(遇賊歌)」, and 「Dosolga(?率歌)」. In previous studies it only has been catched that ‘栢樹, 謂曰’ of background story are related to ‘栢史, 敎因隱’ of 「Wonga(怨歌)」. In this article, however, it is clearly demonstrable that ‘有如’ of background story is related to ‘多?行齊’ of 「Wonga(怨歌)」. In previous studies, there was a case that ‘多?’ was read as ‘dahi(다히)’ and the meaning was identified as ‘together’. It is correct that ‘多?’ is read as ‘dahi(다히)’. But the meaning is ‘like, same’. This fact can be seen through 15th century Korean data and Seokdokgugyeol(釋讀口訣) data of the Goryeo Dynasty.

      • KCI등재
      • KCI등재

        『유가사지론』 점토석독구결 해독 연구(11)

        황선엽(Hwang Seon-yeop) 구결학회 2006 구결연구 Vol.16 No.-

        이 글은 점토석독구결 자료인 『유가사지론』 권8의 15장 4행부터 16장 17행까지의 잠정적인 해독안을 제시한 것이다. This paper surveys the brief textual structure of Yogac?rab?mpmi(瑜伽師地論) vol. 8, and presents a tentative decipherment and interpretation of cipher kugyols inscribed in a part of that volume.

      • KCI등재후보

        『뎡미가례시일긔』의 어휘 (1) : 어휘의 일반적인 특징과 인명을 중심으로

        황선엽(Hwang Seon-yeop) 한국학중앙연구원 2008 장서각 Vol.0 No.19

        이 글은 장서각 소장 『뎡미가례시일긔』에 나타나는 어휘의 일반적인 특징을 살펴보고 인명을 중심으로 정리한 것이다. 이러한 논의를 위해서는 『뎡미가례시일긔』에 대한 일반적인 설명과 서지적인 측면을 먼저 살펴보아야 할 것이지만 이에 대해서는 이번 공동연구의 다른 논문에서 다루어질 것인바 이 글에서는 따로 언급하지 않을 것이다. 『뎡미가례시일긔』는 1847년(헌종 13)에 경빈 김씨를 책봉할 때의 가례에 관해 기록한 한글필사본으로 현재 장서각에 소장되어 있다는 정도만을 밝혀둔다. 먼저 『뎡미가례시일긔』에 나타나는 어휘들이 가례도감의궤 등에 나타나는 어휘들과 비교하여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논의한 후 이 문헌에 나타나는 인명을 중심으로 논의할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general word characteristics in Dyeongmi garye shi ilgui (Journal on the Felicitous Rites in the Year of Jeongmi), the edition from the collection of Jangseogak Library, particularly focusing on the personal names. In our discussion, we endeavor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vocabulary in Dyeongmi garye shi ilgui in comparison with those in Garye dogam (Superintendency for Felicitous Rites). As a result, it is inferable that Dyeongmi garye shi ilgui is intended for the palace matrons or court ladies in charge of preparation for the ceremonies. Then, the personal names appeared in Dyeongmi garye shi ilgui are classified into maids of honors, palace eunuches, relatives of the brides, relatives of the royal families, and so forth. Additionally, based on the various names of maids of honors in Dyeongmi garye shi ilgui, it is confirmed that they were named by certain principles.

      • KCI등재

        願往生歌의 해독에 대하여

        황선엽(Hwang Seon-yeop) 구결학회 2006 구결연구 Vol.17 No.-

        이 논문의 목적은 국어사적 지식을 기반으로 하여 향가 〈願往生歌〉를 해독하려는 것이다. 20세기 초부터 여러 연구자에 의해 향가의 해독이 꾸준히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기존의 해독들은 완독을 목표로 하였고 그에 따라 다소 무리한 해독이 행해져 온 것이 사실이다. 이 글에서는 석독구결 자료 및 15세기 국어 연구를 통해 얻어진 지식을 기반으로 가능한 한 국어사적 사실에 부합하는 해독을 행하였다. 또한 그 해독이 단순한 추정이나 가정일 경우에는 그것을 명확히 밝히고 현재의 수준에서 아직 해결할 수 없는 문제들에 대해서는 未詳으로 처리하였다. 〈願往生歌〉의 내용은 다른 향가에 비해 명확한 편이어서 그 해독에 있어서도 연구자들 사이의 견해차가 크지 않으나 해독의 미세한 부분에 대해서는 기존 해독이 일치하지 않는다. 또한 기존의 해독들이 국어사적 지식으로 보아 합당하지 않은 경우도 있다. 이 글에서는 기존의 해독들이 가지고 있는 이러한 문제들을 일일이 지적하고 그 해독 중 가장 옳다고 생각되는 것을 제시하였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완전히 새로운 해독을 시도하기도 하였다. 이 중 처격조사나 연결어미나 선어말어미로 쓰이는 ‘遺’에 대한 논의들은 필자의 이전 논문들에서 다루어진 것인데 종래의 해독과는 다른 견해를 제시하였다. 특히 ‘惱叱古音多’에 대해서는 아직 더 논의되어야 할 문제들이 있지만 완전히 새로운 해독을 제시하였다. ‘惱叱-’은 동사어간, ‘-古-’는 청자 높임의 선어말어미, ‘-音多’는 다른 향가에 나타나는 ‘音叱如, 音如, 音叱多’와 같은 어미구조체로 파악하였다. 이 논문은 필자가 계획하고 있는 향가 전편의 해독을 위한 첫 걸음이다. 앞으로 더 많은 자료가 발굴되고 고대국어에 대한 연구가 더 심화되어 이 글에서 미상으로 남겨진 문제들에 대한 해답이 찾아지길 기대한다. This paper is to interpret Wonwangsaengga(願往生歌: Song to pray for rebirth in paradise) in Hyangga(鄕歌) on the basis of knowledge in history of the Korean language. Although many researchers have interpreted Hyangga(鄕歌) since the early 20th century, they have tried to interpret Hyangga(鄕歌) from the beginning to the end, which has caused inaccurate interpretation of some parts in Hyangga(鄕歌). Therefore, this study is based on knowledge that has been gained through research on Seokdok Gugyeol(釋讀口訣) and the 15th century Korean language. The study also informs us of whether the interpretation is fact or assumption. Some parts that cannot be interpreted accurately at this moment remain a mystery. In terms of meaning of Wonwangsaengga, researchers do not disagree because the meaning was clear compared with other works in Hyangga, Nevertheless, scholars put diverse interpretations on details of interpretation. Therefore, this study thoroughly examines diverse interpretations among scholars and selects interpretation which is thought to be the most desirable. If needed, this study introduces new interpretation: "惱叱古音多.' '惱叱' is a verb stem; '古' is a prefinal ending; and '音多' is a structure of endings. Furthermore, this study suggests future study in interpretation of Hyangg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