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마음챙김(mindfulness) 기반 교육: 기본 설계와 방향

        황금중 한국교육철학학회 2019 교육철학연구 Vol.41 No.3

        This article first notes that 'mindfulness' may be the most basic inner force that learners must acquire and maintain in the process of learning for holistic growth across the realms of intelligence, virtue, and body. Subsequently it claims that education needs to be “mindfulness-based.” “Mindfulness-based education” does not mean that mindfulness is merely a subject of learning but that education should lead the work of learning on the basis of mindfulness. Mindfulness here is a particular state of mind, which is not swept away by the flow of inner thoughts and emotions that flow like noises, but rather the attention, nod-judgmental awareness, and now-here immersion. It is also based on the elements of deep wisdom about the reality of the subject and the world. This conception of mindfulness can be of great significance in that it goes beyond simple inner management, as a mechanism that leads to the horizon of ‘being’, freeing and defending the mind from desires and discernment that has no substance and blurs the senses. Intelligence, morality, creativity, thinking, criticality, and relationship, often referred to as the goal of education, can be fully embodied from this ‘being’, so mindfulness should be the basis of education, which is the way to lead the learners to the horizon of 'being'. Thoughtful treasury on mindfulness is especially held by Buddhism, and is widely reinterpreted and used in the light of modern Buddhism, psychology, and medicine(especially by Nyanaponika, N.H.Thich, J.Kabat-Zinn, etc.). Mindfulness, however, is universal in connection with the original inclinations and abilities of mind, and thus is not the legacy of Buddhism exclusively, and the trajectory of deep discussions and practices can be confirmed in other traditions of thoughts such as Confucianism and Taoism. In particular, the gyeong of the neo-Confucianism is captured as a model of mindfulness along with the Buddhist sati, which also shows the reason for the “gyeong-based elementary learning and great learning”, a neo-Confucian version of “mindfulness-based education.” (Especially by Zhu xi or Yi Hwang). In order to realize “mindfulness-based education” at the school level in modern society, there are two dimensions: that of “education about mindfulness” and that of “creating an educational environment that facilitates mindfulness”. Some directions on these two are reviewed in this article. 이 글은 우선 ‘마음챙김(mindfulness)’이 지·덕·체의 영역을 아우르는 전인적 성장을 위한 배움의 과정에서 그 주체들이 획득하고 견지해야 할 가장 기본적인 내면의 힘일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하면서, 교육은 곧 “마음챙김 기반 교육(mindfulness-based education)”일 필요가 있음을 주장했다. “마음챙김 기반 교육”은 마음챙김을 단지 배움의 한 주제로 삼는 교육이 아니라, 배움의 일 자체가 마음챙김을 기반으로 이루어지도록 이끄는 교육을 의미한다. 여기서 ‘마음챙김(mindfulness)’은 특정한 마음상태인데, 소음처럼 떠도는 내면의 생각과 감정의 흐름에 휩쓸리거나 자동반응하지 않고 오롯이 모아져 있는 주의(attention), 비판단적인 알아차림(awareness), 그리고 지금-여기 몰입의 상태를 그 기본 형식으로 하며, 여기에 마음챙김은 나와 세계의 실상에 대한 깊은 지혜의 요소가 배경을 이루는 구조를 지닌다. 이 마음챙김은 간단한 내면의 관리 차원을 넘어, 실체가 없고 감각을 흐리는 욕망과 분별상으로부터 마음을 자유롭게 하고 지켜내면서, ‘존재(being)’의 지평으로 이끄는 기제라는 점에 큰 의의를 부여할 수 있다. 흔히 교육의 목표로서 종종 얘기되는 지성, 도덕성, 창의성, 사고력, 비판력, 관계력 등은 이 ‘존재하기’로부터 온전하게 구현될 수 있으니, 이것이 주체를 존재 지평으로 이끌 수 있는 방법인 마음챙김이 교육의 근간이 될 만한 주요 이유다. 마음챙김에 대한 사상적 보고(寶庫)는 특히 불교가 보유하고 있으며, 현대불교와 심리학, 의학의 관점에서 재해석되어 널리 활용되고 있다(특히 냐나포니카, 틱낫한, 카밧진 등에 의해). 그런데 마음챙김은 마음의 본래적 성향 및 능력과 연계된 보편적인 것으로, 결코 불교의 전유물이 아니고, 유가와 도가 등의 다른 사상 전통에서도 이에 대한 깊은 논의와 실천의 궤적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성리학의 경(敬)이 불교의 사띠(sati)와 함께 마음챙김의 전형으로 포착되기도 하는데, 성리학에서는 “마음챙김 기반 교육”의 성리학적 버전인 “경 기반 소학·대학”의 사유를 보여주기도 했다(특히 주희나 이황에 의해). 현대 사회에서 “마음챙김 기반 교육”을 학교 단위에서 현실화하기 위해 “마음챙김에 대한 교육”과 “마음챙김이 원활히 이루어지는 교육환경 조성”의 두 차원으로 나누어 접근할 수 있으며 이 글에서는 이와 관련한 몇 가지 방향이 검토되었다.

      • KCI등재

        노자의 교육론과 그 사상사적 의미

        황금중 연세대학교 교육연구소 2005 미래교육학연구 Vol.18 No.1

        이 논문에서는 노자가 인간과 교육의 본질을 어떻게 이해했으며, 나아가 그 관점이 동양교육사상사에서 어떠한 의미를 지니는가에 대해 논의했다. 노자는, 탈세속적인 은둔자나 염세적 철학자가 아닌, 인간 의식의 혁명적 변화를 통해서 세상의 문명을 새롭게 질서지우고자 했던, 적극적인 정치사상가요 교육사상가였다. 노자가 도와 덕, 무위, 자연의 개념을 기초로 이끌어낸 교육적 인간상은 포용과 겸허와 자족과 헌신과 자유의 인간상이었다. 그리고 이러한 인간상에 다가가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에고적 분별지의 굴레에서 자유로워지는, 의식의 전환이 필요하다. 나아가 이 전환을 위한 교육방법으로서 노자는 마음을 비우고 고요히 하는 수양과 무위(無爲)와 불언(不言)의 가르침을 강조했다. 노자의 교육 이해는, 동아시아의 지성사에서 유가의 교육사상을 비판적으로 보완하는 역할을 했다. 특히, 유가로 하여금 그들이 제기하는 교육적 진리가 지닐 수도 있는 분별적 편협성과 폭력성에 대해 근본적 반성을 하는 기제로 작용하면서, 유가에 비해서 보다 자유롭고 관용적인 삶의 세계로 사람들을 이끄는 역할을 했다. It is intended, in this article, to explain the Lɑo-zi(老子)'s understanding of education and the Lɑo-zi's position as educational philosopher in the east asian history of educational thought. Lao-zi is a great active thinker of education and politic, not being an unworldly recluse or a pessimistic philosopher, who hope to create new system of civilization through revolutionary educational conversion of human consciousness. He thinks that well-educated person has virtuous characters as follow; tolerance, modesty, self-sufficiency self-sacrifice, freedom . For getting these virtues, it is needed to free human consciousness from bondage of the egoistic relative knowledge. Further, he proposes the learning way of self-cultivation of mind-emptiness(虛) or mind-tranquility(靜), and the teaching way of wuwei(throwing oneself into the rhythm of Tɑo without artificial action, 無爲) and buyan(not saying, 不言). The Lao-zi's thoughts of education play a decisive role as the critical and complementary thoughts, against and for Confucianism in the east asian history of education.

      • KCI등재

        주자학의 공부 원리로서의"위기지학", "하학이상달", "존덕성이도문학"

        황금중 한국교육사학회 2009 한국교육사학 Vol.31 No.2

        주자학에서 공부 혹은 배움의 담론과 실천을 지배하는 주요 원리들이 있는데 특히 ``위기지학(爲己之學)``, ``하학이상달(下學而上達)``, ``존덕성이도문학(尊德性而道問學)``을 꼽을 수 있다. ``위기지학``의 원리는 타인의 눈, 외적 동인에 기대거나 휘둘리지 않고 오직 본성의 눈과 본성적 동인에 의해 이루어지는 공부, 동시에 진리를 절실하게 자기체험하고 실현하는 공부의 의미를 일깨웠다. ``하학이상달``의 원리는 공부가 진리의 발견과 실현(상달)을 목표로 하되 그것은 반드시 일상의 가깝고도 긴요한 일로부터, 사물로부터, 낮은 곳으로부터 출발해야 한다는 사실을 일깨웠다. 그리고 ``존덕성이도문학``의 원리는 본심을 돌보고 보존하는 근본적이며 전체적인 공부(존덕성; 경)를 근간으로 하여 세상사의 세세한 측면에서 그 진리를 탐구하고 실현하는 공부(도문학; 격물궁리)가 병행되어야 한다는 사실을 일깨웠다. 이 세 가지 원리는 모두 공부의 목적, 내용, 방법, 순서, 태도에 대한 메시지를 통합적으로 제공 하면서도 그 강조점은 원리마다 차이가 있다. ``위기지학``은 특히 공부의 목적과 태도에 대해, ``하학이상달``은 특히 공부의 순서와 태도에 대해, ``존덕성이도문학``은 특히 공부의 내용 및 방법에 대해서 특별히 많은 정보를 제공한다. 각각의 강조점을 지니는 가운데에서도 세 원리의 의미는 궁극적으로 하나로 관통되어 있다. 주자학의 공부 원리는 입시교육의 현실과 교육본질의 이상 사이에 방황하는 현대 교육주체들에게 특히 공부의식의 질적 전환의 필요성을 상기시킨다. There are three principles presupposed under the discourses and practices of learning in the Zhu xi`s neo-confucian context. The first principle is ``weijizhixue(爲己之學)``, that means that the learning should be a process acted by the eye and motive of intrinsic nature, not by the eye of others and external motive, and should be a process realizing by self-experience about the truths in diverse contexts. The second principle is ``xiaxue-er-shangda(下學而上達)``, that means the learning should be started with near and daily life even though the aim is to understand and realize the truth. The third principle is ``zundexing-er-daowenxue(尊德性而道問學)``, that means that the learning should be based on the zundexing as the fundamental and entire learning to preserve the human true nature and mind, being in harmony with daowenxue as the intellectual learning to investigate and understand the truths and facts in the microscopic context. These three principles, in all, give the important information about the goal, contents, method, sequence, attitude of learning, and give the consistent message about learning, having each emphasis points.

      • KCI등재

        성리학의 마음교육 이해와 현대 공교육에의 시사

        황금중 한국교육개발원 2005 한국교육 Vol.32 No.3

        이 논문에서는 현대 한국 공교육의 개선을 위해 ‘마음교육’을 뿌리내리는 일이 긴요하다는 점을 밝히되, 성리학의 마음교육론을 준거로 고찰했다. 유가와 불가 등을 근간으로 전개된 한국의 교육전통에서는 ‘마음교육’이 교육의 핵심이었다. 그러나 19세기 말 이후 교육의 근대적 재편 과정에서 이 전통은 상실되고, 대신에 교육을 주로 개인과 국가의 생존문제와 결부시키는 도구적 교육관이 교육 실제를 지배하게 된다. 그 결과 현대 한국의 공교육은 인성교육 측면은 물론이고 지성교육 측면에서도 실패하게 된다. 이와 같은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마음을 돌보는’ 교육의 기초 위에서 인성과 지성을 동시에 육성하는 교육을 지향해야 한다. 여기에서 성리학의 교육적 사유는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성리학은 한마디로 ‘마음교육학’이라고 할 수 있을 만큼, 인간의 ‘마음’ 및 ‘마음의 교육적 형성과 변화’의 문제를 중심 관심사로 삼고 있다. 성리학의 ‘마음교육학’의 핵심은 ‘(마음)공부론’이며, 그 주요 방법적 요소는 ‘경’과 ‘격물치지’이다. 경과 격물치지, 혹은 지와 행의 병행을 특징으로 하는 성리학의 마음교육론은, 불가의 그것에 비교해서도, 미래 공교육의 요구에 효과적으로 부응하는 특장을 지니고 있다. This paper is to propose that it is important to succeed the tradition of 'maum education', especially that of orthodox neo-confucianism, for improvement of korean public education. In the history of korean education on the base of Confucianism or Buddhism, the tradition of maum education had been the core of educational practice. But in the process of modernization of korean education since the latter half of 19th century, the educational tradition of maum education has become extinct. Instead, the instrumental viewpoint about education that regard the education as the mere means of individual or national survival has been spread out. As a result, the korean public education has failed in the field of intellectual education as well as in moral education. The one way to solve these problems is to activate the tradition of maum education. Especially, the maum education in the orthodox neo-confucianism, which is characterized by the methodology of kung-fu (工夫) that ching(敬)(or hsing(行)) run parallel with ke-wu chih-chih(格物致知)(or chih(知)), has good points that can satisfy the many requests of the korean public education in the future.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新羅 花郞徒 敎育의 硏究 成果와 課題

        황금중 한국교육사학회 2005 한국교육사학 Vol.27 No.1

        This study aims to review on the whole the history of research dealing with Hwarangdo(花郞徒) education in Silla(新羅) period and to propose the future research vision for that subject. The research of Hwarangdo education is of great significance not only for examining the representative education style of Silla period but also for searching the typical education mode native to Korea since Gochosun(古朝鮮) period. And to satisfy these two research interest simultaneously, it is needed to investigate deeply the historic origin of Hwarangdo education. But most established researches of Hwarangdo education have not satisfied enough this need, and not explained systematically the characteristics of Hwarangdo education in concern with the problems of historic origin. The understandings of the historic origin of Hwanrangdo education are very diverse: shamanism(Musok), young boys group since Samhan(三韓) period, high grade religion or thoughts native to Korea, chinese religion or thoughts, political condition of Silla period, and so forth. I think that, among these several viewpoints, the theory of "high grade religion or thoughts native to Korea" is the most persuasive as the view of historic origin and characteristics of Hwarangdo education. To make clear deeply the entity of Hwarangdo education, we should comprehend seriously the issues of the origin in the future research. Furthermore, the research of Hwarangdo education should be closely connected with the research of the native typical education mode in ancient Korea.

      • KCI등재

        ‘마음교육론’의 학문적 성격과 전망

        황금중 한국교육학회 2004 敎育學硏究 Vol.42 No.4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theory of maum(마음) education as the 'new' area of educational theory. The theory of maum education, which succeed to the tradition of asian educational thoughts focused on Xin(心), has the scientific peculiarities as follow. First, in the theory of maum education, there is the metaphysic for 'maum' or 'true nature of maum', including of the premise that the true nature of maum is fundamentally good. Second, the theory of maum education takes a serious view of the role of maum as the subject and creator of life. Third, the theory of maum education attaches great importance to the side of 'learning'(including of Kung-fu(工夫) or self-cultivation) in educational practice. Forth, the theory and practice of maum education is based on daily life. Fifth, there is no division between moral education and mental education in the curriculum and method of maum education. Sixth, the theory of maum education takes a serious view of the education of body as a part of maum education. Seventh, in the theory of maum education, it is expected the all student to be a sage through maum education, and so it is expected the theory of maum education to be a pedagogy of real prescription for "sage education". The theory of maum education will be Korean way of educational theory, providing fluent practical meanings. 이 논문에서는 교육학 담론의 새로운 지평으로서 ‘마음교육론’을 제안했다. ‘마음교육론’은 心 중심의 동양교육적 사유를 계승, 반영하고 있는데 다음과 같은 학문적 특성을 지닌다. 첫째, 우선 ‘마음’ 및 ‘마음의 본성’에 대한 형이상학적 탐색을 학문적 기초로 삼되, 마음형이상학에는 일종의 ‘心善’의 전제가 내포되어 있다. 둘째, 삶의 주재자이며 창조자로서의 마음의 측면에 주목한다. 셋째, 공부 및 수양 등의 배움의 측면을 제일의 학문적 관심사로 하되, 가르침의 측면 역시 간과하지 않는다. 넷째, 사소하게 보이는 일상을 최초의, 최후의, 그리고 최고의 교육의 장으로 이해하고 탐구한다. 다섯째, 교육내용 및 방법의 측면에서 ‘도덕교육’과 ‘지식교육’의 통합을 지향한다. 여섯째, 마음교육 속에 이미 몸교육을 포괄하는 통합적 교육 이해를 지향한다. 일곱째, ‘聖人을 꿈꾸는 배움’으로서의 聖學의 특성을 갖추며, 성학을 위한 실제적 처방을 제시하는데 주안점을 둔다. ‘마음교육론’은 ‘숭고한 마음의 존재를 잊고 잃은’ 현재 교육 문제 해결에, 실천적 의미를 지닌 ‘한국적’ 교육학 담론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화랑도 교육의 공간, 산수(山水)

        황금중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10 敎育思想硏究 Vol.24 No.2

        이 글에서는 화랑도 교육의 사례를 중심으로 자연이 지니는 교육공간으로서의 성격과 의미에 대해 논했다. 화랑도 교육은, 여타의 교육이 주로 건축공간을 기반으로 해서 이루어지는 것과는 달리, 자연을 핵심의 교육공간으로 삼았다. 자연이라는 교육공간을 요청한 화랑도의 사상적 구심점은, 신라시대에 불교와 더불어 양대 산맥을 이루었던 사상 조류로서의 선도(仙道)였다. 선도(仙徒) 그 자체라고도 할 수 있는 화랑도(花郞徒)에게서 선도적 가치를 실현하는 가장 유력한 방법은 각지의 산수(山水)를 순유하며, 그리고 산수를 낀 삶의 터전을 살펴보며 수행하는 방법-여기에는 관찰과 사색과 체험과 독서와 수련이 포함-이었다. 화랑도는 멀다하여 가지 않는 곳이 없을 정도로 두루 유오하며 활용했는데, 현재 사료를 통해 확인되는 화랑도 유오지는 신라의 수도였던 경주의 남산, 그리고 강원도에서 경상도에 이르는 해안가에 위치한 총석정, 삼일포, 영랑호, 경포대, 한송정, 천전리 암각화 현장과 같은 승지이다. 교육공간으로서 자연이 중시되는 화랑도의 교육 전통은 고려시대는 물론이고 조선시대의 성리학적 교육의 맥을 타고 면면히 이어졌다. 화랑도 교육으로부터 시작해서 줄곧 자연이라는 교육공간을 적극적으로 활용해온 한국 교육의 역사는, 자연의 요소가 새롭게 강조되는 현대의 교육 현실에서 반추의 여지가 크다. In the practice of hwarangdo education, the nature(mountain and water) was especially emphasized and commonly used as a educational space, while the other common educational models were established with basis on the special architectural space for education. The philosophical base of hwarangdo education that requested the nature as educational space was sundo, the one axis of the world of thought in Silla dynasty, running parallel with buddhism. Hwarangdo, educational group that pursued the values of sundo, regarded the tour and study in or around the all places of the whole country as the best method of self-cultivation or self- education. We can know the main places(or nature) that hwarangdo enjoyed for their tour and study through historical resources, for example, namsan, chongseokjung, samilpo, youngrangho, gyoungpodae, hansongjung, bangudae, etc. The educational viewpoint of hwarangdo that focused on the nature as educational space, was connected to the educational tradition of neo-confucianism in Joseon dynasty. The korean history of education that have regarded the nature as core educational space since hwarangdo education, request us to re-establish the authority of the nature in modern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