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덕연구개발특구내 정부출연연구기관에서 도입한 기술이 수출성과에 미치는 효과 분석: 기업의 흡수능력을 중심으로

        황경연,성을현 국제지역학회 2014 국제지역연구 Vol.18 No.1

        본 연구는 대덕연구개발특구내 정부출연연구기관에서 기술을 도입한 기업을 대상으로 도입기술의 기술적 속성, 기업의 흡수능력, 제품/공정 혁신, 수출성과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기술적 속성이 제품/공정 혁신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서 기업의 흡수능력이 조절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대덕연구개발특구내 정부출연연구기관에서 기술을 이전 받은 기업을 대상으로 2014년 1월 2일부터 약 2주간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는 PLS(Partial Least Square)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수집된 자료를 토대로 연구모형을 검증하였다. 실증결과, 도입기술의 기술적 속성이 우수할수록 제품/공정 혁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업의 흡수능력이 높을수록 제품/공정 혁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도입기술의 기술적 속성이 제품/공정 혁신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서 기업의 흡수능력이 조절하는 효과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제품/공정 혁신은 기업의 수출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기업의 흡수능력이 제품/공정 혁신에 독립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기술적 속성과 상호작용을 통해 제품/공정 혁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관계를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question of how the technologies derived from Government-funded Research Institutes (GRI) in Daedeok Innopolis affect firms’ export performances, especially focusing on attempting to find the role of firms’ competence—technology absorption—to lead to their production/process innovations that play crucial role in enhancing their sustainable competitive advantage, using survey data. The survey was conducted for tow weeks, January 2-15, 2014. PLS is used to test the relationships. The commonality found in the results of the study is that high evaluation of technology introduced from GRI has a positive effect on firm’s product/process innovation, and that the innovation leads to increase in its export performance. The study also finds a solid evidence that firm’s technology absorption capacity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troduced technology and its product/process innovation, indicating that the technology absorption capacity used as moderating variable positively affects its product/process innovation. Some academic contributions and policy implicat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suggested.

      • KCI등재

        기업-정부출연(연) 간 협력과 기업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황경연,성을현 대한경영정보학회 2018 경영과 정보연구 Vol.37 No.3

        본 연구는 기업과 정부출연(연)간 산연협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산연협력이 기업의 기술적 성과 및경제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기존 산학간, 산연간, 산산간 및 산학연간 협력에 영향을 미치는요인에 관한 연구를 고찰하고, 이를 기초로 산연협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산연협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선정된 요인은 정부출연(연)의 역량, 기업의 연구개발역량과 조직적 특성 그리고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의 지원이다. 한편, 기존 연구에 기초하여 산연협력 영향 요인, 산연협력, 기업의 기술적 성과 및 기업의 경제적 성과간 구조적 관계를 7개의 가설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는 산연협력 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총 116개의 설문지를 회수하여 가설검정에 사용하였다. 가설검정을 위한 방법으로는 PLS-MGA가 사용되었다. 실증분석 결과에서 정부출연(연)의 역량, 기업의 조직적 특성과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의 지원이 산연협력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것으로 나타났고, 산연협력은 기업의 기술적 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업의 기술적 성과는 기업의 경제적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기업의 연구개발역량이 산연협력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업과 정부출연(연)간 산연협력이기업의 경제적 성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산연협력과 경제적 성과간의 관계에서 기술적 성과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기업과 정부출연(연)간 협력을 활성화하는데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cooperation between industry and public research institutes, in addition to the effects of cooperation between them; on technological and economic performance of firms. Based on existing research relating to the factors affecting industry-university-research institutes cooperati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and firm performance, this study selected the competence of government-funded research institutes, R&D capabilities and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of firms, and support of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as factors influencing cooperation between industry and public research institutes. This study sets seven hypothes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actors promoting industry-public research institute cooperation, technological performance and economic performance. A questionnaire survey was used to collect data for hypothesis testing and 116 questionnaires were completed and used in this research. The PLS-MGA was used as a method for hypothesis testing. In the analysis results, we found that the competence of government-funded research institutes,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of firms, and the support of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have a positive impact on cooperation between industry and public research institutes. We also found that the collaboration between industry and public research institutes, positively affects firms' technological performance. In addition, we found that the technological performance of a firm, positively affects a firms’ economic performance. On the other hand, firms' R&D capabilities have no significant effect on cooperation between industry and public research institutes, and industry-public research institute cooperation does not directly affect the economic performance of firms.

      • KCI등재

        대덕연구개발특구 정부출연연연구기관 연구자의 산연협력 혁신성과 결정요인 분석: 퍼지집합 질적 비교분석 접근

        황경연,성을현,Hwang, Kyung-Yun,Sung, Eul-Hyun 한국융합학회 2021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2 No.7

        본 연구는 대덕연구개발특구 정부출연연구기관 연구자를 대상으로 산연협력에서 혁신성과 결정요인의 결합효과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기존 문헌검토를 통해 협력에 의한 혁신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고찰하고, 이들 요인의 조합이 산연협력 혁신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결합효과를 분석하기 위한 개념적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실증분석 위한 자료는 대덕연구개발특구 정부출연연구기관 연구자를 대상으로 수행한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되었다. 산연협력 혁신성과 결정요인의 결합효과 분석에는 퍼지집합 질적 비교분석(fsQCA)이 사용되었다. fsQCA 결과에서는 높은 산연협력 동기부여, 높은 산연협력 신뢰, 높은 산연협력 몰입 및 높은 산연협력 만족도의 구성이 연구자의 산연협력 혁신성과를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높은 산연협력 동기부여, 높은 산연협력 신뢰, 낮은 산연협력 몰입, 낮은 산학협력기업 의존성 및 낮은 산연협력 만족도의 구성이 정부출연연구기관 연구자의 산연협력 혁신성과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determinants of innovation performance on innovation performance in industry-research institute(IR) cooperation for researchers of government-funded research institutes in Daedeok Innopolis. We reviewed the existing literature on the determinants of innovation performance through cooperation, and established a conceptual framework to analyze the combinatorial effect of the determinants of innovation performance on innovation performance in IR cooperation. Data for empirical analysis were collected through a questionnaire survey targeting researchers at a government-funded research institute in Daedeok Innopolis. The fuzzy-set qualitative comparative analysis (fsQCA) was used to analyze the combined effect of determinants of innovation performance. The fsQCA results show that the configuration of high motivation, high trust, high commitment and high satisfaction of researchers of government-funded research institutes improve innovation performance. On the other hand, it shows that the configuration of high motivation, high trust, low commitment and low satisfaction of the researcher improves innovation performance.

      • KCI등재

        코스닥 상장 제조기업의 연구개발투자가 수출성과에 미치는 영향

        황경연,조대우 한국국제경영관리학회 2013 국제경영리뷰 Vol.17 No.2

        본 연구는 코스닥 제조기업을 대상으로 연구개발투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연구개발투 자가 수출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2000년부터 2012년까지 패널자료를 분석한 결과, 기업규모와 관계없이 전기의 매출액은 연구개발투자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고, 대기업의 경우, 전기의 누적연구개발비가 연구개발투자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 으며, 중소기업의 경우, 종업원 수가 연구개발투자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업 종별로 보면, 전기의 매출액은 업종에 관계없이 연구개발투자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부채비율은 금속업종과 제약업종에서, 전기의 누적연구개발비는 금속업종에서, 전기의 현금흐름은 운송장비 업종에서, 종업원 수는 반도체, 기계장비, 운송장비 및 제약 업종에서 연구개발투자 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기업의 1~3년 전 연구개발투자가 수출성과에 지속 적으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focussed on KOSDAQ-listed manufacturing firms is to address the question of what factors affect firms’ R&D investment and how firms’ R&D investment affects their export performance, focusing vestment on the export performance. To this end, we conducted an analysis of 371 manufacturing firms over the period from 2000 to 2012.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deriving from this study. First, the main factors affecting R&D investment are the one-year lagged sales and number of employees in the entire company, one-year lagged sales in large corporations, and the one-year lagged cumulative R&D expenses, one-year lagged sales and number of employees in the small midium enterprises. Second, on the basis of the coefficients, the factors most affecting the export performance of firms is the R&D investment, showing that the most affecting time lags-listed in order of decreasing degree-are the period t, t-3, t-2, and t-1.

      • KCI등재

        산연협력성공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공공연구기관 연구자 특성과 협력환경의 결합효과 분석

        황경연,성을현 대한경영정보학회 2022 경영과 정보연구 Vol.41 No.2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effect of public research institute researcher characteristics and cooperative environment on the success possibility of cooperation through interaction in industry-public research institutes (I-PRIs) cooperation. The factors that researcher characteristics and cooperative environment have on the success possibility of I-PRIs cooperation were explored through the existing literature review, and a conceptual research model was proposed focusing on these factors. In this study, social orientation, creative self-efficacy, and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capability were used as the researcher characteristics factors, and cooperation system suitability was used as the cooperative environment factor. Data to analyze the combinatorial relationship between these factors affecting the success possibility of I-PRIs cooperation were collected through a survey conducted on researchers from public research institutes in Daedeok Innopolis. In the survey, 114 responses were collected that could be analyzed. A fuzzy set qualitative comparison analysis (fsQCA) method was used for data analysis. From the results of fsQCA, three solutions were derived that determine the success possibility of I-PRIs cooperation. The first solution showed a high possibility of success of I-PRIs cooperation when the social orientation of researchers was high and the cooperative system was suitable for cooperation. In the second solution, when researchers have high social orientation and creative self-efficacy, and high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capability, the success possibility of I-PRIs cooperation is high. The third solution showed that the researcher's creative self-efficacy and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capability were low, but the success possibility of I-PRIs cooperation was high when the social orientation was high. 본 연구는 공공연구기관 연구자의 개인 특성과 산연협력환경이 상호작용을 통해 산연협력성공가능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기존 문헌에서 연구자 개인 특성과 협력환경이 산연협력성공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고, 이들 요인을 중심으로 개념적 연구모형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자 개인 특성으로 사회적 지향성, 창의적 자기효능감 및 기술사업화역량을 사용하였으며, 협력환경으로 산연협력시스템적합성을 사용하였다. 이 요인들이 결합하여 산연협력성공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를 분석하기 위한 자료는 대덕연구개발특구 공공연구기관 연구자를 대상으로 수행된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되었다. 설문조사를 통해 분석 가능한 114명의 응답 자료가 회수되었다. 자료분석에는 퍼지집합질적비교분석(fsQCA) 방법이 활용되었다. fsQCA 결과에서 공공연구기관 연구자의 산연협력성공가능성을 결정하는 3개의 솔루션이 도출되었다. 첫 번째 솔루션은 연구자의 사회적 지향성이 높고, 산연협력시스템이 산연협력에 적합할 때 산연협력성공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솔루션은 공공연구기관 연구자가 높은 사회적 지향성과 창의적 자기효능감을 갖고 있고, 높은 기술사업화역량을 보유하고 있을 때 산연협력성공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세 번째 솔루션은 공공연구기관 연구자의 창의적 자기효능감 및 기술사업화역량이 낮지만 사회적 지향성이 높으면 산연협력성공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공공연구기관 연구자 관점에서 fsQCA 방법을 통해 연구자 개인 특성과 산연협력시스템적합성이 결합하여 산연협력성공가능성에 미치는 효과를 밝혀 산연협력 촉진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퍼지집합 질적 비교분석을 활용한 공공연구기관 연구자의 산연협력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황경연,성을현 대한경영정보학회 2021 경영과 정보연구 Vol.40 No.2

        본 연구는 공공연구기관 연구자의 산연협력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결합효과를 분석하는데 목 적이 있다. 문헌고찰을 통해 산연협력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고, 이들 요인이 산연협력 행동 에 영향을 미치는 결합효과를 분석하기 위한 개념적 모델을 설정하였다. 분석을 위한 자료 수집은 대덕연 구개발특구 공공연구기관의 연구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해 이루어졌으며, 자료 분석에는 퍼지집 합 질적 비교분석(fsQCA)이 활용되었다. fsQCA결과에서 공공연구기관 연구자의 사회적 지향성, 혁신지향 성, 창의적 자기효능감 및 내부 네트워크 강도가 높은 구성과 사회적 지향성, 혁신지향성, 창의적 자기효 능감 및 외부 네트워크 강도가 높은 구성이 산연협력 행동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적 지향성, 혁신지향성 및 정부․지자체 지원이 높고 창의적 자기효능감과 외부 네트워크 강도가 낮은 경우 도 산연협력 행동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fsQCA을 통해 공공연구기관 연구자의 사회 적 지향성, 혁신지향성, 창의적 자기효능감, 내부 네트워크 강도, 외부 네트워크 강도 및 정부ㆍ지자체 지원이 결합하여 산연협력 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점에서 학문적으로 의미가 있다. 한편, 공공연 구기관 연구자의 사회적 지향성과 혁신지향성은 다른 요인들과 결합하여 산연협력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이기 때문에 이를 향상시키기 위한 정책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mbined effects of factors influencing the industry-research collaborative behavior of researchers at public research institutes. We found factors influencing industry-research collaborative behavior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established a conceptual model to analyze the interaction effects of these factors. Data for analysis were collected by conducting a survey targeting researchers at public research institutes in Daedeok Innopolis. Fuzzy-set qualitative comparative analysis (fsQCA) was used for data analysis. In the fsQCA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 configuration with high social orientation, innovation orientation, creative self-efficacy and internal network increases the industry-research collaborative behavior.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configuration with high social orientation, innovation orientation, creative self-efficacy, and external network increases the industry-research collaborative behavior. Finally, configuration with high social orientation, innovation orientation and government support but low level of creative self-efficacy and external network was found to increase industry-research collaborative behavior. This study is academically meaningful in that it analyzed the effect of combining social orientation, innovation orientation, creative self-efficacy, internal network, external network and government support on industry-research collaborative behavior using fsQCA. On the other hand, since social orientation and innovation orientation are important factors that affect industry-research collaborative behavior in combination with other factors, policies to improve them are required.

      • KCI등재

        대학의 제도적 요인이 산학 공동연구에 미치는 영향

        황경연,성을현 사단법인 한국융합기술연구학회 2023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9 No.5

        Universities are introducing and utilizing several systems to respond to an environment in which the importance of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is increas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mbined effect of institutional factors on industry-university collaborative research. Through a review of the existing literature, we presented a conceptual model in which university institutional factors combinatorially affect industry-university collaborative research. Major institutional factors of universities to promote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include new professors with industry experience,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concentration professors, and human resources for industry-university linkages. Six-year data from 2016 to 2021 on institutional factors and industry-university collaborative research were obtained through Higher Education in Korea. Fuzzy set qualitative comparative analysis (fsQCA) was used for data analysis. Seven solutions describing industry-university collaborative research were derived through fsQCA. In the seven solutions, the number of new professors with industry experience, number of non-tenure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concentration professors, and number of personnel in charge of technology transfer and commercialization served as key conditions. As a result, it is evaluated that the key factors influencing industry-university collaborative research are the number of new professors with industry experience, the number of non-tenure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concentration professors, and the number of personnel in charge of technology transfer and commercialization. 대학은 산학협력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는 환경에 대응하기 위해 여러 제도를 도입하여 활용하고 있다. 본 연구는 대학의 주요 제도적 요인이 산학 공동연구에 결합적으로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기존 문헌을 통해 대학의 산학협력 관련 제도적 요인을 검토하였고, 제도적 요인이 산학 공동연구에 결합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개념적 모델을 제시하였다. 주요 산학협력 촉진 제도로 산업체 경력 신규임용 교원, 산학협력중점교수, 산업체 연계인력 등이 있다. 제도적 요인과 산학 공동연구 간의 관계 분석을 위한 자료는 대학알리미 사이트를 통해 확보하였으며, 2016년부터 2021년까지 6년간의 자료이다. 자료 분석에는 퍼지집합 질적 비교분석(fsQCA)이 활용되었다. fsQCA 결과에서 제도적 요인이 산학 공동연구를 설명하는 7개의 솔루션이 제시되었다. 7개의 솔루션에서 산업체 경력 신규임용 교원 수, 비전임 산학협력중점교수 수 및 기술이전·사업화 담당자 수가 핵심 조건인 솔루션이 각각 5개, 5개, 4개이었다. 결과적으로 산업체 경력 신규임용 교원 수, 비전임 산학협력중점교수 수 및 기술이전·사업화 담당자 수가 산학 공동연구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적인 제도적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기업의 동태적 역량이 경쟁능력 및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황경연,성을현,조대우 대한경영정보학회 2018 경영과 정보연구 Vol.37 No.1

        본 연구는 감지능력, 포착능력, 변형능력, 조정능력 및 학습능력으로 측정된 동태적 역량이 경쟁능력인 제품품질, 프로세스 유연성, 납기속도 및 저비용에 미치는 영향과 각각의 경쟁능력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기존 동태적 역량 관점과 경쟁능력에 관한 실증연구에 기초하여 동태적 역량, 경쟁능력 및 기업성과간의 관계를 연구모형으로 설정하였다. 이 연구모형을 검증하기 위해서 제조기업 이면서 수출활동을 하고 있는 벤처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수집된 자료 중 총 102개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본 연구모형 검증에는 PLS분석방법이 활용되었고, 이를 통한 실증분석에서는 다음과 같은 결과가 도출되었다. 첫째, 기업의 동태적 역량은 경쟁능력인 제품품질, 프로세스 유연성, 납기속도 및 저비용에 각각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경쟁능력인 제품품질 및 프로세스 유연성은 기업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기존 연구 결과와는 달리 경쟁능력인 납기속도 및 저비용은 기업성과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결과에 기초할 때 수출벤처기업이 기업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경쟁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기업의 동태적 역량을 구성하고 있는 감지능력, 포착능력, 변형능력, 조정능력 및 학습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해야 한다는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a firm’s dynamic capabilities measured by sensing, seizing, transforming, coordinating, and learning capabilities on its competitive capabilities, such as product quality, process flexibility, delivery speed, and low cost. The relationship among dynamic capabilities, competitive capabilities, and export firm performance is set up as a research model based on empirical studies related to the existing dynamic capability perspective and competitive capabilities. To test this research model, this study collected 102 samples of data using a questionnaire survey on both manufacturing and exporting firms. The partial least squares method is used and the following results are derived from an empirical analysis. First, dynamic capabilities have a positive effect on competitive capabilities, such as product quality, process flexibility, delivery speed, and low cost. Second, product quality and process flexibility have a positive effect on export firm performance. Third, unlike previous research results, this study finds that the competitive capabilities of a firm in the areas of delivery speed and low cost do not significantly affect its performance. These findings provide meaningful implications for export venture firms that need to acquire and maintain competitive advantage in a rapidly changing environment.

      • KCI등재

        글로벌 Malmquist 생산성지수를 활용한 의료기기 수출제조기업의 생산성변화 분석

        황경연 한국무역연구원 2019 무역연구 Vol.15 No.5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rend of productivity changes of medical device export manufacturers by using the global Malmquist productivity index. Design/methodology/approach – The global Malmquist productivity index was used in this study. In the productivity analysis, total assets, equity, tangible assets, intangible assets, employment costs, selling expenses, and general administrative costs were used as input variables while sales and gross profit were used as output variables. Data for this empirical analysis were obtained from 128 medical device manufacturers for a period of six years from 2013 to 2018 using the KISVAUL DB. Findings -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roductivity of medical device manufacturers declined by 2.3% every year for six years due to pure technical efficiency change and best practice gap. Second, during the same period, productivity of exporting firms declined by 2.5% per year, while non-exporting firms experienced an average annual decline of 2.2%. Third, corporate group productivity and stand-alone firms’ productivity declined 2.3% each year over the same period. Fourth, productivity of large-sized firms increased by 1.8% per year, while that of small and medium-sized firms decreased by 0.3% per year. Research implications or Originality - Exporting firms should improve productivity by enhancing their pure technical efficiency and promoting technological progr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