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안교육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학교적응 과정에 관한 근거이론 연구

        홍희경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ABSTRACT Grounded theory study of alternative education in characterizing high school students in the school adaptation Hee-kyoung Hong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oosuk University Advisor: Uhn-jong Ki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factors helping the school adaptation process of students at alternative education characterizing high schools and support their school adaptation. To this end, Strauss and Corbin’s (1998) grounded theory method was employed in this study, which based on the perspective of symbolic interaction theory. This study investigated 1st-year students at alternative education characterizing high school for the past 1 year to look at their school live through interviews and observations to collect data. For this study purpose, the following tasks were established; first, what is the school adaptation process of students at alternative education characterizing high school? Second, what are the factors helpful for the school adaptation of students at alternative education characterizing high school?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76 sets of ideas were produced from open coding along with 29 sub-dimensions and 13 more abstract dimensions. These were expressed in the paradigm model in axial coding. It was found therein that the central phenomenon was ‘confusion due to poor self-regulation’. The causal condition was ‘expectation over alternative school’. The contextual conditions that brings about such a phenomenon were ‘new environment, ‘experiencing relationship difficulty’, and ‘unfriendly atmosphere to join others’. The intervening conditions were found ‘help from people around’, ‘will of oneself’, and ‘time change’. The phenomenon-regulating action/interaction strategies were ‘diverse attempts’, ‘finding own method’, and ‘proactive response’. The results of such processes were ‘self-change’, and ‘society. In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developmental phases of school adaptation process of students at alternative education characterizing high school were in four steps of ‘facing’, ‘challenging’, ‘attempting for change’, and ‘self-changing and adaptation’. In the facing phase, students enter an alternative education characterizing high school with expectations and are placed in a new environment different from the previous one. And in this situation, as they adapt themselves to the school, they face unexpected problems and come to feel confused due to poor self-regulation. In the challenging phase, students work to address own problems to escape such a confusing situation. In the phase, the participating students coped with contextual conditions showing the action/interaction of passive efforts. The participating students, in the confusing situation, sometimes receive help from people around, an intervening condition supporting them to gain strength to start pursuing various attempts to find a solution for themselves and working to find own ways. In the attempting for change phase, the participants solidify their will, an intervening condition, to try to adapt to the situation while reading books to nurture their inner strength and response actively to try self-change. In order to adapt to school well, the participants try to find out a space for their own and style of their own in school while trying to regulate for themselves. Realizing that they should be accustomed to being alone, they work more actively to change themselves. In the self-change and adaptation phase, time change, an intervening condition, was found to complete the students’ action/interaction process. The participants realized that what I liked could be what others disliked and worked to admit oneself as well as others in the school community life. They experienced relationship improvement and acclimatization in the new environment by changing themselves. And in this process they came to adapt to the school live while accepting themselves and others finally to get together well. In the selective coding, the core category of the adaptation process of students at alternative education characterizing high school was found ‘self-change and adaptation earned in the new environment’. Centering on the core category, continuously appearing categories were investigated for their mutual relevance. As a result, the types of school adaptation of students at alternative education characterizing high school were classified into ‘self-development type’, ‘present progressive type’ and ‘complacent type’. The self-development type, after entering the alternative school with expectations, tends to experience a serious problem of confusion due to the lack of self-regulation in the relationship and socialization difficulties in the new environment. To adapt to the new environment, they actively ask for help from people around them, strengthen own will and try diverse efforts to find out their own way while actively responding to conflictive and stressful situations to achieve self-change and adaptation. The present progressive type refers to those who keep working all the time even now to get along well with others after feeling self-change in a new environment. This type of students are similar to the self-development type but tend to keep being confused continuously due to poor self-regulation. They have a strong will to adapt themselves yet they receive smaller help from people around them while still having difficulties in building empathy and relationship with others. They achieve own self-change based on own effort but stay at a normal level in the adaptation stage to accept others and still working for adaptation. The complacent type experience less confusion from new experience as their expectation over the school was lower. They have a passive attitude in school life and are complacent with the given reality to live without being much stressed. This type of students are not be satisfied with school life nor dissatisfied and do not know well if they have adapted or not. Their self-change level is low while achieving only dissatisfactory level of adaptation. This study is a study on grounded theory of school adaptation process of students at alternative education characterizing high school. It is significant in studying 1st-year students who experience the most difficult time to adapt to school. This study is also important as a research material showing the overall flow of students’ school adaptation process. Moreover, this study is expected to serve as the basic material for school adaptation of students at alternative education characterizing high school. 국문초록 대안교육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학교적응 과정에 관한 근거이론 연구 홍 희 경 우석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지도교수 : 김운종) 본 연구는 대안교육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학교적응 과정과 적응을 돕는 요인을 찾아내어 대안교육 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의 학교적응을 돕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상징적 상호작용론의 관점을 바탕으로 하는 Strauss와 Corbin(1998)의 근거이론 방법을 적용하였다. 연구의 참여자는 대안교육 특성화대안고등학교 1학년에 재학 중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지난 1년간의 학교생활을 면접과 관찰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안교육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학교적응 과정은 어떠한가? 둘째, 대안교육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학교적응을 돕는 요인은 무엇인가? 연구 결과 개방코딩에서 76개의 개념이 도출되었고, 29개의 하위범주와 이를 보다 추상화시킨 13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이를 축코딩에서 패러다임 모형으로 나타낸 결과 중심현상은 ‘자기조절 미숙으로 혼란’이었으며, 인과적 조건은 ‘대안학교에 대한 기대’였다. 현상을 가져오게 되는 맥락적 조건은 ‘새로운 환경’, ‘관계의 어려움을 경험함’, ‘함께하기 어려운 분위기’로 나타났고, 중재적 조건으로는 ‘주변의 도움’, ‘본인의 의지’, ‘시간의 변화’로 작용함을 알 수 있었다. 현상을 조절하기 위한 작용/상호작용 전략으로는 ‘다양한 시도’, ‘나만의 방법 찾기’, ‘적극적으로 대처함’이었다. 이러한 과정의 결과로는 ‘자기변화’와 ‘어울림’으로 나타났다. 대안교육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학교적응 과정의 발달과정은 ‘직면단계’, ‘도전단계’, ‘변화시도단계’, ‘자기변화와 수용단계’의 4단계를 거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직면단계’는 대안교육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이 학교에 대한 대안학교에 대한 기대를 갖고 입학을 하게 되면서 이제까지 생활해오던 환경과는 다른 새로운 환경에 놓이며 학교적응 과정에서 예상치 못했던 문제와 직면하게 되면서 자기조절의 미숙함으로 혼란을 느끼는 단계이다. ‘도전단계’에서는 자기조절의 미숙함으로 혼란스러운 상황에서 벗어나기 위해 자신의 문제를 개선하려 노력하는 단계이다. 이 단계는 참여자들이 맥락적 조건들을 대처해 나가는 수동적 노력의 작용/상호작용의 모습을 보여주는 단계이다. 참여자들은 혼란스러운 상황에서 때로는 자신을 지지해 주는 중재적인 조건인 주변의 도움을 받으며 힘을 얻어 스스로 해결점을 찾기 위해 다양한 시도를 하고 자기만의 방법을 찾아보기 시작한다. ‘변화시도단계’는 참여자들이 중재적 조건인 본인의 의지를 다지고 적응해보려고 노력을 하며, 책읽기를 통해 자신의 내면을 다지고 적극적으로 대처해 나가면서 자기 변화를 시도해 나가는 단계이다. 학교에 잘 적응하기 위해 참여자들은 학교 안에서 자신만의 공간과 자신만의 스타일을 찾아내며 스스로 조절하려고도 해보고, 혼자 다니는 것도 익숙해져야 한다는 것을 깨닫고 자신을 변화시키려 적극적으로 대처해 나간다. ‘자기변화와 수용단계’에서 중재적 조건인 시간의 변화가 작용/상호작용을 완성시키게 됨을 알 수 있었다. 참여자들은 내가 좋은 것이 다른 사람은 싫을 수 있다는 것을 깨닫고 공동체 생활을 하며 나와 다른 타인을 인정하고 타협해 나갔다. 참여자들은 새로운 환경에서 자기 변화를 통해 관계가 나아지고, 익숙해짐을 경험하며 학교생활 적응을 하게 되고 나와 다른 타인을 수용하게 되며 함께 어울리게 된다. 선택코딩을 통해 나타난 대안교육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적응 과정에 대한 핵심범주는 ‘새로운 환경에서 피워낸 자기변화와 어울림’으로 나타났다. 핵심범주를 중심으로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범주들 간의 관련성을 확인한 결과, 대안교육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학교적응 과정 유형은 ‘자기성장형’, ‘현재진행형’, ‘현실안주형’으로 분류되었다. 자기성장형’은 대안학교에 대한 기대로 입학을 하고 새로운 환경을 접하면서 겪는 관계의 어려움과 함께하기 어려움으로 인해 자기조절의 미숙으로 혼란스러움을 심각하게 고민하게 된다.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기 위해 주변의 도움을 적극적으로 요청하고, 본인이 의지를 다지며 다양한 시도를 통해 자신만의 방법을 찾아내고, 갈등과 스트레스 상황에서는 적극적으로 대처하여 자기 변화와 어울림을 이뤄내는 유형이다. ‘현재진행형’은 새로운 환경 속에서 자기변화를 느끼고 함께 어울리기 위해 지금도 노력하고 있는 유형이다. ‘현재진행형’은 ‘자기성장형’과 비슷하게 대응하지만 자기조절 미숙으로 인한 혼란스러움의 현상을 지속적으로 갖게 된다. 적응을 해 보려는 본인의 의지는 강하나, 주변의 도움을 적게 받고 타인에 대한 공감과 관계에서는 아직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이다. 자신의 노력으로 자기변화는 이뤄내지만, 타인을 수용하는 어울림의 단계에서는 보통수준에 머무르고 아직 적응을 하기 위해 진행 중인 유형이다. ‘현실안주형’은 학교에 대한 기대도 적었고, 새로운 경험 때문에 혼란스러움도 적었다. 그들은 소극적인 태도로 학교생활을 하며 현실에 안주하며 지내고 있다. ‘현실안주형’은 학교생활에 만족하지도, 불만족하지도 않고, 적응을 했는지 안했는지도 잘 모르며, 자기변화의 수준은 낮고, 어울림에 있어서도 만족스럽지 않은 유형이다. 본 연구는 대안교육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학교적응 과정을 근거이론으로 연구한 것으로 학교적응에 가장 힘든 시기인 1학년 과정을 연구했다는 것에 의의를 두고자 한다. 또한 본 연구는 학교에 적응해 나가는 과정의 전체적인 흐름을 알 수 있는 연구 자료로서 의의가 있다. 아울러 향후 대안교육 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의 학교적응에 대한 기초 자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The Development of the Project-based Language Program for Primary Students Attending Private Language Institutes

        홍희경 국제영어대학원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aim of this study lies in proposing a curriculum that can increase students’ interest learning English, and promote a high level of student involvement in the classrooms of private language institutes. In order to determine what students prefer for their English learning, a survey was administered. A total of 113 student participants and a total of 55 parent participants completed the questionnaire. The findings show that students’ favorite topics are games, animals, family, and world history and customs; it also indicates their favorite activities during English classes are games, the use of audiovisuals, and role-plays. Furthermore, they prefer classes that offer plenty of opportunity to speak in English. Meanwhile, the findings with parents’ group is that they want private institutions to provide a class that promotes their children’s interests and self-directed learning, and they want teachers to apply tailored teaching methods according to each student’s needs. To satisfy the needs of the pupils and parents, the suggested curriculum employs principles of project based language learning (PBL). Through the PBL approach the suggested curriculum encourages learner-oriented learning in the classrooms of private institutes. It provides learners with real-world relevant subjects in EFL private language classrooms, and increases their high level engagement in the learning process through meaningful input and output activities. 본 연구의 목적은 사설 영어학원에서 학생들의 영어 흥미도를 높이고 수업참여도를 높이기 위함이다. 아이들이 어떤 방식으로 영어 배우기를 원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113명의 초등학생들과 55명의 학부모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결과에서 학생들이 가장 좋아하는 주제는 게임, 동물, 가족, 세계 역사와 풍습으로 나타났고 영어 시간에 가장 재미있는 활동으로는 게임, CD 테이프를 듣거나 비디오 보기, 역할놀이 등으로 나타났다. 또한 아이들은 선생님이 학생들에게 영어로 말을 할 수 있는 기회를 많이 제공해서 말하기 연습을 주로 하는 수업을 더 선호했다. 한편 학부모들은 한국인 영어 교사에게 가장 원하는 점은 학습자의 특성에 맞는 교수방법으로 자녀를 지도하길 원했고 사교육에 바라는 점은 아이가 흥미를 잃지 않도록 재미있는 영어 교육을 제공하고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을 향상 시켜 주길 원했다. 학생 그룹과 학부모 그룹의 원하는 점을 충족시켜 주기 위하여 본 연구는 프로젝트 학습법을 도입했다. 본 연구는 프로젝트 접근법의 원리에 기반을 두고 만든 제시된 프로그램을 통하여 사교육 교실에서 학습자 중심의 교육을 구현 시키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학생들은 EFL 교실 상황에서 실제 생활과 연관된 주제들을 다룸으로써 의미 있는 언어 입력 활동과 발화 활동들을 통하여 수업 참여도를 높이고 영어 학습에 흥미를 증가 시킬 수 있을 것이다.

      • 도서관 특성화의 현황과 발전방안 모색 : 6개지역 공공도서관 사례를 중심으로

        홍희경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연구는 공공도서관이 주변의 다른 단체와는 차별화된, 지역주민의 요구사항이나 지역적 특성을 고려한 특성화된 새로운 업무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현 상황에서 현재 우리나라 공공도서관의 특성화 현황을 사례중심으로 살펴보고 이에 대한 개선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공공도서관 특성화의 이해를 돕기 위한 기초 조사로 문헌자료를 활용하여 특성화의 개념에 대해 알아보고, 특성화의 필요성으로 첫째, 지식과 정보의 양은 방대해지는 반면 그 주기는 짧아지고 있어 지식관리의 중요성이 크게 부각되고 있는 지식정보시스템의 변화, 둘째, 예전의 자료, 목록DB, 자료정리, 관리자 중심의 폐쇠적이고 정보의 관리중심에서 원문DB, 인터넷 웹환경 중심, 이용자 중심의 개방적이고 정보서비스 중심으로 변한 도서관의 환경변화, 셋째, 전통적인 자료정리, 대출, 참고봉사의 업무에서 지식정보전문가로 역할변화를 모색해야할 사서의 역할 변화 등으로 생각해 보았다. 공공도서관의 특성화의 사례를 분석하기 위하여 선정한 6개 지역의 7개 공공도서관의 특성화 사례에 대하여 홈페이지와 담당자와의 인터뷰 등을 통해 자세히 알아보고 그 분석의 준거로 지역사회의 특성고려, 자료수집의 우선성, 별도의 공간, 예산의 우선배정, 직원의 전문성, 전담직원, 관련프로그램의 운영현황 등 7가지를 설정하였다. 조사한 사례들을 특성화의 유형별로 나누어 보면 첫째, 서비스대상의 특성화로 서울 고덕평생학습관의 소외계층을 위한 프로그램으로 어르신과 장애우를 위한 프로그램, 둘째, 자료개발에서의 특성화로 부산 중앙도서관의 향토자료실과 광주 산수도서관의 미술자료실, 셋째, 지역사회의 산업과 연계된 특성화로 대구 중앙도서관의 섬유정보실, 넷째, 지리적 특성에 의한 특성화로 서울 정독도서관의 서울교육사료관과 인천 화도진도서관의 개항문화관, 다섯째, 자치단체의 역점사업과 연계된 특성화로 평택안중도서관의 우주체험관 등 에 관한 사례를 중심으로 특성화의 성격, 자료현황, 운영내용, 관련프로그램 내용을 자세히 조사하였으며, 담당자와의 인터뷰를 통하여 특성화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해 알아보고, 앞에서 설정한 준거에 따라 평가를 해보았다. 그 평가에 따라 나타난 문제점은 자료수집, 운영인력, 전문성부족 , 프로그램개발, 예산부족, 홍보문제 등 이었고, 이에 대한 개선방안으로 첫째, 적극적인 자료수집으로 도서, 비도서의 수집은 물론 색인화일 구축 등의 정보원의 개발도 적극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특성화업무를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주제전문 사서 또는 그 분야에 경험이 많은 전담사서를 적어도 3년 정도 배치하여 창의적인 업무수행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한다. 셋째, 특성화를 위한 재정의 확보를 위하여 정부에만 의지할 것이 아니라 지역사회의 민간기부금 유인체제가 확립되어야 한다. 넷째, 실제로 지역주민의 생활에 직접적인 도움을 주는 프로그램이나 도서관이용이 상대적으로 저조한 장년층이나 노년층, 소외계층을 위한 프로그램도 개발하는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야한다. 다섯째, 도서관만의 특성화가 아닌 지역사회와 연관된 특성화로 활성화시키기 위하여 지역사회의 단체나, 학교 등과 협력망을 구성하여야 할 것이다. 여섯째, 도서관 자체적으로의 홍보도 중요하지만 지역사회의 다른 기관이나 단체, 언론과 대중매체를 이용하는 방법 등을 최대한 활용해야한다. 일곱째, 공공도서관이 지역사회의 중추로 그 역할을 강화하고 실제로 지역 주민들이 원하는 서비스와 프로그램이 공급되기 위해서는 지역주민이 도서관의 운영이나 의사결정에 협력하고 참여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주민의 참여를 이끌어내야 한다. 마지막으로 공공도서관 특성화의 발전방향은 자료의 효율적 이용이라는 공공도서관의 본질적 기능 이외에 지역주민들을 위한 포괄적이고 효과적인 기능을 수행하여 지역의 다양한 문화자원을 수집·보존하며, 그이용을 통하여 지역문화발전에 기여하는 역할을 수행하여야 함을 강조하며, 첫째, 지역의 고유한 역사와 문화를 보존·전승하는 특성화, 둘째, 지역주민의 요구를 적극 수용하는 특성화, 셋째, 사회적 약자와 소외계층을 위한 프로그램의 특성화, 넷째, 지역의 인적자원을 개발하여 지역주민이 자기 적성에 맞는 직업을 선택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취업과 관련된 모든 정보를 제공하는 특성화 등을 발전방향으로 제시하였다. It is argued that the contemporary public libraries should not only provide the service of giving the general information to the public as a traditional way, but also accommodate the local residents' demand as the community center of information, culture, and life-long education, and develop the specialized new role of the public library in accordance with the regional character. In addition, there are significant factors to be considered in needs of developing the specialized role of the public libraries, such as the impracticably ignored changes of the knowledge Information system, the contemporary environmental changes of the libraries', and the changes of the librarians' formal role.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of the specialization of the public libraries, and to study the developmental plans in future. In order to study this, it has been studied on the specific cases on the administrative controlling systems at 7 variety institutions of public libraries from 6 regions. These cases are 'the Seoul's social program for isolated (or minority) groups' at the Godeok life-long learning center, 'the Seoul Education Museum' at Jeongdok library, 'the natives material room' at Pusan Jungang library, 'the textile information center' at Teagu Jungang library, 'the opening port and culture information center' at Inchun Hwadojin library, 'the Artistic material room' at Kwangju Sansu library, and 'the space experiential room' at Pyeongtack Anjung library. According to this study, the improvement plans for the specialization of the public libraries are : the collection of appropriate and enough information, the posting of librarians who have exclusive rights and responsibilities, the arrangement of enough budget, the development of varies types of programs, the organization of co-operation network with the locals, the enthusiastic promotion or publicity activity of the programs, and the creation of the local's voluntary involvement with the programs. The developmental plans of the public library's specialization are as below: First, to commence all the necessary conservation work for the local's unique history and culture, and most importantly, the inheritance of their cultural excellency to the coming generations. Second, to accommodate the local's opinions and demands actively. Third, to specialize the programs that could provide actual living-assistance to the isolated citizens (or minorities) who need special helps. Finally, to cultivate human resources in the local regions, in order to provide the job information.

      • 미술수업에서의 LT협동학습이 초등학교 지적장애 아동의 문제행동 및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홍희경 창원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계속된 통합교육의 강조와 노력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학교 현장에서는 통합교육의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 통합교육을 어렵게 하는 것에는 장애 아동의 문제행동과 사회적 기술의 부족을 들 수 있다. 따라서 수업 중 문제행동을 효과적으로 중재하고 사회적 상호작용을 촉진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필요한데 이러한 측면에서 협동학습은 매우 적절한 전략이다. 이에 본 연구는 지적장애 아동을 포함한 2개의 초등 통합학급을 대상으로 미술시간에 LT 협동학습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지적장애 아동의 문제행동과 사회적 상호작용의 발생률을 분석하고, 관찰일지를 통해 비장애 아동과의 상호작용을 분석하였다. 문제행동은 과제이탈, 부적절한 자세, 부적절한 소리, 공격행동으로 정의되며, 사회적 상호작용은 사회적 시작행동과 사회적 반응행동, 사회적 상호작용으로 구분하여 관찰, 기록하였다. 실험설계는 반전설계(ABAB)를 사용하였고, 실험 결과 2명의 연구 대상 모두 중재 기간동안 문제 행동이 감소하였고, 사회적 상호작용이 증가하였다. 구체적 상황이나 재료에 따라 문제행동이 다소 증가하기도 하였지만 전체적으로 지적장애 아동의 문제행동 감소시켰으며 특히 수업에 주의를 두는 것만으로 중재 가능했던 과제이탈에서 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전체 문제행동 감소한 반면 부적절한 소리와 공격행동은 협동학습 중재 초반에는 오히려 증가하기도 하였는데 이는 협동학습에 익숙하지 않은 상태에서 대상 아동을 수업상황에 참여시키려는 신체·언어적 촉구가 문제행동을 일으키는 원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파악된다. 협동학습은 또한 공동의 과제와 역할의 구조화를 통해 같은 모둠의 아동들 간의 대화를 촉진하였다. 장애 아동의 사회적 상호작용은 소극적이고 의존적인 지적장애 아동의 특성 때문에 사회적 시작행동보다 사회적 반응행동이 크게 증가하였다. 그리고 긍정적인 학습 분위기를 조성하고 결과보다는 협동하는 과정을 강화한 것은 비장애 아동의 장애 아동에 대한 긍정적 상호작용을 촉진하였다. 본 연구는 대상자의 수나 장애의 정도, 연구 기간 면에서 제한점을 가진다. 보다 많은 아동을 대상으로 장기간에 걸친 연구가 필요하며, 미술 교과 뿐만 아니라 다양한 교과에도 협동학습을 적용하여 장애 아동을 둘러싼 전반적인 학습 과정에 실제적인 통합을 위한 전략이 제공되기를 기대한다. Despite the continuing emphasis and effort of integrated education, there are still many complaints of difficulty in the school. The reason that integrated education is difficult is problematic behavior and lack of social skill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have a program mediating problematic behavior effectively and promoting social interaction. In this point of view, cooperative learning is a very appropriate strategy. Targets for this research were two elementary integrated classes including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is research analyzed incidence of problematic behaviors and social interaction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pplying LT cooperative learning program in art class. And it analyzed interaction with non-disabled children using an observational diary. Problematic behavior was defined as task deviation, inappropriate posture, inappropriate sound and aggressive behavior. Social interaction was observed and recorded divided into social beginning behavior, social response behavior and social interaction. Reversal planning(ABAB) in experiment planning was used. As a result of experiment, problematic behaviors were reduced in all research target and social interaction increased. Though problematic behaviors were a little increased depending on the specific situation or materials, it reduced the problematic behavior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t became especially effective in task deviation. While total problematic behaviors were reduced, inappropriate sound and aggressive behavior rather increased in the early mediation stage of cooperative learning. That's because physicalㆍlinguistic promotion trying to involve children in class caused problematic behavior when they were not familiar with the cooperative learning. Cooperative learning also promoted conversation between children in same group through group task and role structure. Social response behavior was greatly increased more than social beginning behavior in social interaction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due to characteristics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passive and dependent. Creating positive learning atmosphere and reinforcing cooperative process than result promoted positive interaction against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is research has limitations on the number of subject, the degree of disability, and the research period. Research for a long period of time is needed including more children and it is expected that strategies for actual integration of the general learning process includi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applying cooperative learning would be given in various subjects as well as art.

      • SNS 지속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SNS의 접속형태와 이용심리를 중심으로

        홍희경 숭실대학교 2016 국내박사

        RANK : 247631

        최근 중장년층까지 확산된 SNS는 여러 가지 의미로 이용자의 생활을 윤택하게 만들어주었다. 그러나 의도하지 않았던 부작용을 유발하면서 SNS 이용을 중단하거나 기피하는 움직임들이 곳곳에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움직임들은 국내 SNS 시장의 서비스 업체 간 경쟁을 더욱 치열하게 만드는 원인으로 작용하기도 한다. 따라서 이러한 상황에서 SNS 서비스 업체의 경쟁력을 높여줄 수 있는 여러 형태의 관련 연구들이 필요하다. 기존의 SNS 피로감 관련 연구들은 대부분 이용자의 SNS 이용중단 및 이용전환과 같은 부정적인 측면으로 연구됐다. 그러나 기존에 발표된 통계자료에 의하면 SNS 피로감 때문에 여러 가지 부작용을 경험한 이용자들 대다수는 여전히 SNS의 지속사용을 희망하고 있다. 그러므로 SNS 피로감과 관련된 연구도 SNS의 지속사용의도를 높일 수 있는 긍정 요인 탐색 및 이용자의 거부감을 줄여 줄 수 있는 요인을 탐색하는 연구로 전환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SNS 피로감으로 이용을 중지하고 싶으면서도 지속하여 사용하고 있는 이용자들의 심리에 초점을 맞추어 SNS 지속사용의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살피고자 했다. 선행 연구를 기반으로 SNS 지속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SNS 이용자의 접속 형태(접속 습관, 접속 도구)와 이용심리(이용 동기, 피로감, 이중 심리) 측면으로 제시하고 이 변인들을 지각된 용이성,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유희성과 함께 살피고자 했다. 또한, 나이, 성별, SNS의 업무적 사용, 그리고 사용하는 SNS의 개수와 각 변인 간의 조절 효과를 살피고자 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확장된 기술수용모델(TAM2)과 프라이버시 계산 모델(PCM)을 개념적 틀로 이용하였다. 또한, 본 연구 가설의 실증적 검증을 위하여 통계프로그램 AMOS 18.0과 SPSS 18.0을 사용하였다. SNS를 이용해본 경험이 있는 IT 계열 학생과 일반인을 대상으로 하여 Google 설문지 프로그램을 통해 설문지를 배포하고 응답을 회수했다. 회수한 설문 응답 560부 중에서 결측값 및 불성실한 응답을 한 설문 117부를 제외하고 443부의 설문 응답을 최종 분석에 활용하였다.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인맥 창출 및 확대를 위한 관계 맺음을 SNS 피로감 발생의 근본 원인으로 보고 진행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접속 습관과 접속 도구 변인 모두 지각된 용이성 변인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으나, 접속 습관과 지각된 유용성 변인 간에는 서로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가설이 기각되었다. 둘째, 이용 동기, 피로감, 이중 심리 변인과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유희성 매개 변인 간에는 모든 가설이 채택되었다. 셋째, 지각된 용이성과 지각된 유용성은 SNS 지속사용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으나, 지각된 용이성은 SNS 지속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가설이 기각되었다. 마지막으로 나이, 성별, SNS의 업무적 사용, 그리고 사용하는 SNS의 개수에 따른 조절 효과 분석 결과 일부 변인과의 관계에서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SNS 이용에 긍정과 부정적 심리가 공존하는 것을 인식하고 손실 이득 이론을 기반으로 하는 프라이버시 계산모델과 기술수용모델을 결합하여 연구를 시도했다는 점이다. 또한, 이용자들이 관계를 유지하는 과정에서 직면하게 되는 정서표현 양가성 상황을 이중심리로 정의하고 피로감과 결합하여 심리적 측면으로 연구를 시도했다는 점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현재 SNS를 이용하면서 당면하는 피로감과 이중 심리 때문에 SNS 이용을 갈등하는 이용자들의 타 서비스로의 전환 및 중지를 방어할 수 있는 신뢰성 있는 커뮤니케이션 환경을 마련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더불어 SNS 이용자들의 서비스 이용 갈등 상황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개인에게 최적화된 환경을 마련할 수 있도록 전략적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용 동기가 SNS 지속사용의도에 유인요인이 될 수 있으며, 피로감과 이중 심리는 SNS 지속사용의도에 저해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이제 SNS 피로감은 가시화 단계를 벗어나 보편화 단계로 나아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피로감과 이중 심리의 갈등상황 감소 및 지속사용을 유도할 수 있는 실질적인 전략은 제시하지 못했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SNS 이용자의 피로감과 이중 심리 갈등상황을 줄이고 즐거움을 배가시킬 수 있는 SNS 서비스 제공 방안 및 마케팅 전략 수립 방안을 모색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