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From EGP to EAP : A Study of Perceptions towards College English : 일반영어에서 학문목적영어로: 대학영어수업의 발전방향탐구를 위한 인식조사

        유수현 국제영어대학원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50687

        This study assessed the present and target situation of English for general purposes (henceforth EGP) and English for academic purposes (henceforth EAP) by checking and analyzing students’ and teachers’ perceptions of their college English courses. To this end, data were elicited from 402 undergraduates of various majors, eight EGP and / or EAP teachers, and two English program coordinators and administrators at seven Korean universities as representatives of major stakeholders of college English education. Instrumentation included a questionnaire for undergraduates; semi-structured interviews of the selected participants; and investigation of the current English programs of the surveyed universities. Despite some inconsistencies in participants’ perceptions of target situation needs, the findings indicate that the undergraduates perceived needs for both EGP and EAP. However, most of the undergraduate participants held that they have not received discipline-based EAP support. This study tried to clarify the perceived reasons of the undergraduate students’ unsatisfied needs in English learning by interviewing 15 participants and investigating the current English teaching and learning practices. The interviewed participants commented on several major problematic areas of current practices of college English courses. College English programs seem to confront not only difficulties within classroom practices but also institutional level challenge. This study concludes that credit-based English courses have been through rapid transition to offer educational support to the recipients of higher education; however, to achieve this end, the field and practitioners need to find a future position between critique of, and accommodation to, both content and language. The findings may promise implications for renewing the status quo of EGP and EAP courses. 본 연구에서는 대학 영어 수업 관련 국내외 선행 연구를 분석하였고, 대학 영어 교육의 현실에 대한 조사 참여자의 인식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하여 대학영어수업에서 학문 목적 영어교육이 차지하는 비율이 양적으로 증가되며 질적으로도 발전될 수 있는 가능성과 방향을 살펴 현재 대학영어교육에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대학영어수업의 수혜자이며 주요 관계자인 대학생 402인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한 결과, 대학생들은 학부 전공교과 관련 학문 목적 영어 교육의 필요성을 인지하며 일반 영어와 더불어 학문 목적 영어를 현재보다 더욱 많이 배우길 원한다고 답했다. 그러나 설문 참여 학생들이 실제로 대학에서 전공 관련 학문 목적 영어 교육을 받아본 경험은 극히 적었다. 또한 대학 영어 수업 주요 관계자들인 대학생, 교•강사, 영어 수업 담당 교직원을 대상으로 한 소규모 면담 조사를 실시하여 대학 영어교육에 대한 인식과 발전 방향에 관한 의견을 들었다. 면담 조사에서 현재 대학영어수업 상황을 개선하려는 노력의 일환을 보았고, 졸업 필수수업으로 규정되어 있는 대학실용영어수업에 할당된 학점이 지나치게 낮아 학생들의 교과 과정 내에서 영어학습 동기 부여가 미흡하며, 정밀하고 체계적인 수준별 반 편성, 영어 담당 교•강사와 전공 교•강사 간의 긴밀한 협조에 의한 협동 수업, 영어수업 담당 강사의 권한에 대한 재고가 필요하다는 등 대학 차원의 실질적 변화를 요구하는 여러 의견을 정리하였다. 근래 대한민국의 대학들은 대학실용영어 교과과정을 여러 차례 바꾸며 개선을 시도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러한 개정이 요구조사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이루어져야 학생들이 필요로 하는 학문 목적 영어를 효율적으로 가르칠 수 있다는 것이 본 연구의 결론이다.

      • Codified Korean English in Secondary School Textbooks: Materials Analysis and Levels of Awareness by Writers, Teachers and Learners : 중등학교 교과서의 한국영어분석과 사용자들의 접근인식수준에 따른 발달전망에 대한 연구

        서정아 국제영어대학원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50687

        이 연구는 한국의 중등학교 영어과 인정교과서에 선별된 언어 분석을 통해 영미권의 기준에 부합하지 않는 한국영어의 특징적인 요소를 밝히고, 내용적 요소로서 다양한 세계문화의 포괄도, 그리고 교재의 사용자인 교사와 학생들의 세계 영어(World Englishes)에 대한 인식 및 이해 수준을 알아봄으로써 한국영어교육의 실태와 한국영어의 발전 전망을 연구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개정 2009 교육과정 내에서 교육청 인정을 받은 한국의 영어교과서 18권과 교사용 지도서 1권을 언어적 관점과 문화적 관점에서 분석함으로써 한국에서 표준화된 언어형식을 알아보고, 세계 영어와 영어의 다중심적 관점에 대한 이해가 녹아나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또한, 다양한 세계 문화의 전달자이자 언어의 직접적인 사용을 통해 정통성을 확증하는 입장으로서 영어를 모국어로 하는 교사가 학생들의 세계영어에 대한 인지수준에 미치는 비중과 역할을 알아보기 위해 두 영어권 출신 교사의 수업참관이 포함되었고, 학생들의 세계영어와 다중심적 영어에 대한 인식도 조사를 위해 전국 232명의 중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가 실시되었다. 자료 분석은 IBM SPSS Statistics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통계처리를 하였으며, 기술통계로 응답지 별 빈도분석, 응답지간 관계 비교를 하여 문항별, 영역별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조사 내용 영역으로는 (1) 연구 대상자들의 학습 배경과 환경 분석 (2) 학교 내/외 영어 학습 상황 분석 (3) 세계 영어로서 영어에 대한 인식과 선호도 분석 (4) 영어의 소유권과 다중심적 영어에 대한 인식 분석이었다. 이 연구의 분석 결과로는 첫째, 확장권역 국가라는 환경적 요건과 교육과정의 단계별 어휘 및 구문적 통제 하에 한국에서 표준이 되는 영어는 일반적으로 표준영어로 인식되는 미국식 영어와 차이가 있으며, 한국영어의 특징적 요소를 점차 발전, 양성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외국인 영어교사의 출신지에 따라 교과서의 언어적, 문화적 요소가 재해석되며, 수업을 통해 교사의 개인적인 관점이 학생들에게 전해짐을 보여주었다. 그로 인해 학생들은 다양한 세계 영어와 문화 환경에 비교적 적게 노출되고 있으며 오히려 교사의 출신지 중심적인 세계관을 학습할 가능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학생들은 모두 서로 다른 학습 배경과 환경을 가지고 있지만 대부분 세계 영어에 대해 높은 인지도를 보였다. 하지만 이는 미국과 영국으로 대표되는 영미권 국가들의 세계영어에 한하였으며, 그 외 지역의 세계영어에 대한 인지도는 아직 높지 않았으나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또한 국제어로서의 영어 학습을 위한 다양한 세계의 문화학습에 많은 관심이 있고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으며, EIL 공동 소유권에 관한 인식도 긍정적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하지만, 한국영어 또한 독립적인 하나의 언어라는 인식은 긍정적으로 공유되지 않았으며, 국제어로서의 영어의 위상은 인지하지만 그 영어를 학습하고 사용하는 본인들이 국제 시민이라고는 생각하지 못하였다. 결과적으로 한국학생들은 영어에 대해 국제어로서의 관점에서뿐만 아니라 세계 영어의 관점에서도 비교적 높은 인식 및 이해도를 보여 주었지만, 대다수는 한국과 본인의 상황에 대입하여 인지하지는 못하거나, 부정적인 입장을 보였다. 이는 교과서영어로 대표되는 한국영어의 표준과 국제어로서의 일반적인 영어의 표준이 크게 일치하지 않고, 한국영어가 한국에만 한정되어 시험이라는 특정한 목적을 위해서만 사용됨에 따라 거부감을 일으킨 것으로 해석된다. 따라서 앞으로 우리의 영어 교육을 통해 한국학생들이 다양한 문화적·사회적 배경을 가진 세계인과 의사소통하고 국제사회에서 주도적으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영어교육에 관련한 모든 이해당사자들, 특히 교재개발자와 교사들의 긴밀한 협력이 필요하며, 실제 의사소통의 목적을 위한 학습기회를 늘림으로써 전반적인 영어 교육 향상을 위한 다방면적인 접근이 필요할 것이다. The present study aims to provide data on three facets of English education in Korea involving secondary school textbooks: the linguistic features of Korean English that is peculiar to the pedagogical norm in Korea, the coverage of worldwide culture as the content, and the level of awareness towards WEs and the pluricentricity of English shared among the main users of the materials, namely the teachers and learners. Based on the empirical investigation into Korea’s current English teaching practice via triangulation of a careful examination on 18 secondary school textbooks in use, observations on two native English-speakers’ classes, and a survey of 232 Korean secondary school students, the results show that there exists a discrepancy between the actual norm of textbook English in Korea and American English, which is perceived to be promulgated by Koreans in general. Moreover, although Korean learners were found to be having a positive attitude to the concept of WEs and the pluricentricity, they were applying a double standard to KE, due to other factors such as Korea’s unique English learning context, the characteristics of the learning materials in use, personal negative learning experiences and teachers’ perspectives to the issue.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National Curriculum and the current pedagogical practice might in effect facilitate the divergence of KE from the inner-circle norms, further contributing to the prospect of solidifying the features of KE to codification.

      • Korean Learners' Perceived Importance of English Pronunciation and L2 Listening Proficiency

        이선아 국제영어대학원대학교 2005 국내석사

        RANK : 250671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how Korean learners perceive English pronunciati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n learners‟ perceived importance of English pronunciation, L2 general listening proficiency and phonological awareness through a questionnaire made to measure learners‟ perceived importance of English pronunciation and two kinds of listening tests, TOEFL L/C and Phonological Awareness Listening Test (PALT) which was also developed for the study. It also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importance of English pronunciation, phonological awareness as a receptive aspect and actual pronunciation as a productive aspect. Fifty-two Korean college students in their twenties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18 of them provided pronunciation recordings.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analysis show that Korean learners understood the requirements of good English pronunciation relatively accurately and perceived English pronunciation as quite important. From the first experiment with 52 subjects, the correlation between L2 general listening proficiency and phonological awareness was found, but perceived importance of English pronunciation did not show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either L2 general listening proficiency or phonological awareness. However, the second experiment revealed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perceived importance of English pronunciation and actual production, with a correlation between phonological awareness and production of segmental sounds. 본 연구는 한국인 영어 학습자가 지닌 영어 발음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학습자의 듣기 능력 및 발음의 정확도와 가지는 관계에 관한 연구로서, 설문지와 TOEFL 듣기 시험, 그리고 음운 인지 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고안한 듣기 시험(PALT)을 통해 한국 영어학습자들의 영어 발음에 대한 인식과 그들의 일반적인 듣기 능력, 음운 인지 능력 간의 관계를 조사하고자 한 첫 번째 실험과, 피실험자의 영어 발음을 녹음하여 그것이 영어의 음소 및 음운에 관한 구별 능력 및 영어 발음에 대한 인식과 어떤 상관관계를 가지는가를 검증하고자 한 두 번째 실험으로 이루어졌다. 2개 대학에서 세 차례에 걸쳐 52명이 첫 번째 실험에 응해주었고 그 중 18명이 자원하여 두 번째 실험에 응해 주었다. 설문지 분석 결과, 대부분의 학습자들이 좋은 영어 발음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상당한 이해와 함께 영어 발음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었으나, 52명을 대상으로 한 첫 번째 실험에서는 영어 발음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듣기 능력 및 음운 인지 능력과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가지지 않는 것으로 드러났고, 듣기 능력과 음운 인지 능력 간에 상관관계가 발견되었다. 18명을 대상으로 한 두 번째 실험에서는 영어 발음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과 영어 발음 사이에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발견되었으며, 분절음의 음소 인지 능력과 실제 발음 사이에서도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볼 수 있었다.

      • 한국과 중국 영어 교과서 비교·분석 : 중학교 1학년 영어 교과서를 중심으로

        김신규 국제영어대학원대학교 2005 국내석사

        RANK : 25067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Korean national curriculum with the Chinese national curriculum and analyze tasks of three Korean and three Chinese middle school English textbooks for 1st grade by focusing on the relevance to their national English curriculum respectively. Both curricula are based on the task-based approach and aimed to encouraging students to use four language skills in an integral way. In this study, the framework of tasks analysis on the basis of ‘a framework for analyzing communicative tasks (Nunan, 1989)’ and ‘task analysis based on aspects of tasks (Littlejohn, 1998)’ was used to analyze 495 tasks from Korean and Chinese English textbooks. The results show that inputs of six textbooks come mainly from written information, and graphic inputs such as pictures and photographs are used as frequently as oral inputs are. In terms of output, tasks of textbooks focus more on writing than speaking, and non-verbal/non-physical responses such as ticking are quite noticeable. The high percentage of tasks in six textbooks centers on individual activities, however, in order to foster students’ communicative competence, tasks focusing on peer and group activities need to be more considered than individual activities. 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의 영어 교육과정을 살펴보고 한국 중학교 1학년 영어 교과서 3권과 이에 해당하는 중국 7학년 영어 교과서 3권에 등장하는 과업을 양국 영어 교육과정 간의 연계성을 통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양국 영어 교육과정은 공통적으로 과업 중심의 학습을 중시하고 있으며 학습자가 언어의 네 가지 기능을 통합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기본 목표로 하고 있다. 양국 영어 교과서에 등장하는 495개의 과업 분석은 Nunan(1989)의 ‘의사 소통 과업을 분석하기 위한 기본틀’과 Littlejohn(1998)의 ‘과업의 속성에 따른 과업 분석틀’을 토대로 한 과업 분석틀을 통해 실시하였다. 양국 영어 교과서 모두 입력으로써 문어 정보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그림이나 사진과 같은 시각 정보가 구어 정보만큼이나 자주 등장함을 알 수 있었다. 출력으로는 교과서 6권 모두 말하기보다는 쓰기에 더 중점을 두었으며 교과서에 줄을 긋거나 표시를 하는 단순한 비언어적/비신체적 반응도 과업의 출력으로써 자주 등장하였다. 대부분의 과업은 개별 활동 중심이었는데 의사 소통 능력 향상을 위해서는 짝이나 그룹 별 활동에 비중을 더 높여야 할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 교실 모드에 따른 EFL 말하기 불안 및 자기효능감 : 반복 측정 기반 연구

        김지혜 국제언어대학원대학교 국제영어대학원대학교 2024 국내석사

        RANK : 250671

        As the COVID-19 pandemic led to the widespread adoption of online learning, it is plausible that advanced learners, previously recognized in traditional face-to-face education, might experience heightened anxiety in the online learning setting. Consequently, this study questions the ongoing reliance on online learning beyond the pandemic. Focusing on the self-efficacy concept as a pivotal factor in understanding learners’ educational outcomes, this research aims to evaluate the efficacy of two instructional modes: in-person and online learning. Specifically, the primary objective i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transitioning between these modes on English-speaking anxiety and self-efficacy, as well as their interrelationship. A survey was administered to 20 adult learners enrolled in the English Language Teaching (ELT) program to assess their English-speaking anxiety and self-efficacy. The Foreign Language Classroom Anxiety Scale (FLCAS, Horwitz et al., 1986) measured English-speaking anxiety, while the English Self-Efficacy Scale (QESE, Wang, 2004) gauged self-efficacy. Descriptive analysis was employed for questionnaire responses, and inferential analysis utilized Wilcoxon Signed Ranks tests and a mixed-effects model. Despite slightly elevated anxiety levels in online learning and marginally pronounced self-efficacy in in-person learning, the findings from Wilcoxon Signed Ranks tests revealed non-significance across class modes. Similarly, the mixed-effects model indicated non-significance across class modes, although participants displayed lower self-efficacy levels in online learning. The faster decline in self-efficacy during English-speaking anxiety in online learning was also deemed non-significant. The lack of significance extended to the relationship between anxiety and self-efficacy in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EFL) speaking across class modes. In essence, the non-significant differences observed in anxiety, self-efficacy, and their relationship across instructional modes suggest that advanced learners perceive minimal distinctions in both anxiety and self-efficacy when engaging in English speaking across different class modes. This encourages the active utilization of online learning as an optimal learning environment. 본 연구는 COVID-19로 인한 교실 모드 변화가 영어 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적절한 대응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특히, 기존의 영어 학습 방식에 이미 효과적으로 적응한 상위권 그룹의 영어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를 기반으로 교실 모드 변화의 효율성을 재평가하고 대응 방향을 찾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교실 모드 변화가 영어 말하기 불안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변화에 주목하였다. 더 나아가, 교실 모드 전환에 따른 영어 말하기 불안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ELT 프로그램을 전공하는 대학원 성인 학습자 2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영어 말하기 불안과 자기효능감을 측정하였다. 외국어 교실 불안 척도 (FLCAS, Horwitz 외, 1986)를 영어 말하기 불안 측정에 사용하였으며, 영어 자기효능감 설문지 (QESE, Wang, 2004)로 자기효능감을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영어 말하기 불안은 온라인 비대면 교실에서 더 높게 나타난 반면, 영어 말하기 자기효능감은 전통적인 대면 교실에서 더 높았다. 그러나, 전반적으로 교실 모드에 따른 차이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또한, 영어 말하기 불안을 겪으면서 참여자들은 평균적으로 온라인 비대면 교실에서 더 낮은 수준의 자기효능감을 보이고 더 빨리 자기효능감을 상실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교실 모드에 따른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영어 말하기 불안과 자기효능감을 통해 교실 모드에 따른 상위권 학습자들의 고충을 이해하고 성과를 살펴 교실 환경에서 바람직한 학습 분위기를 조성하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 더불어, 교사와 연구자들이 학습을 최적화하고 학습을 방해하는 요소를 식별하여 효과적인 대응책을 찾을 수 있도록 지원하고자 한다.

      • A Study ofL2 Buoyancy: Profiles and Structural Relationships in the Language Classroom : 제2 외국어 학습자의 ‘위기 대처 및 극복 능력’에 관한 군집 분석 및 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 연구

        윤새롬 국제영어대학원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50671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plore the rationale for buoyancy (Martin & Marsh, 2008a, 2009)—the capacity to overcome the setbacks, challenges, and pressures that are part of the ordinary course of school life—within the ranks of L2 learners. Questionnaire data were collected from879 college-level L2 learners in South Korea. This data assessed their academic buoyancy and a set of six hypothesized predictors (i.e., L2 self-efficacy, L2 self-regulation, ideal L2 self, L2 learning persistence, L2 learning anxiety, and teacher-student relationship).Using the data, in the first stage, two-step cluster analysis identified five prominent L2 learner archetypes across the spectrum of buoyancy: 1) ideally buoyant L2 learners, 2) buoyant L2 learners, 3) minimally buoyantL2 learners, 4) dependent L2 learners, and 5) fragile L2 learners. The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links between the predictor variables and buoyancy with regard to learners’ L2 achievement and GPA. The results confirmed that L2 self-efficacy, L2 self-regulation, teacher-student relationship, and the ideal L2 self are significant predictors of academic buoyancy. In addition, buoyancy was a direct predictor of the outcome variables L2 achievement and GPA. Meanwhile, anxiety did not predict buoyancy significantly, and neither were self-efficacy nor self-regulation able to predict L2 achievement directly. The ideal L2 self did predict L2 achievement directly to a significant level, although the magnitude of this was negligible, accounting for just 0.64% of the variance. From findings from the present study, buoyancy is suggested as a novel construct for instructed L2 learning which provides learners with the capacity to negotiate the ups and downs of language learning, and to overcome everyday adversities on the path to L2 learning success. Furthermore, in order to develop buoyancy, the importance of strengthening the L2 learner’s inner self is also suggested, and these findings are connected to positive psychology perspective. 제 2 외국어 학습 자는 완벽하지 못한 언어 수행에서 발생하는 낙담, 영어시험에 대한 부담감, 혹은 낮은 영어성적으로 인한 좌절감 등의 다양한 부정적인 심리적 상황에 빈번하게 노출된다. 이에 본 연구는 최근 교육심리학에서 주목 하는 ‘학습 위기 대처 및 극복 능력 (Academic buoyancy)’ 을 제 2 외국어 학습자 의 교육 환경 하에 새롭게 정의 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제 2 언어로 영어를 학습하는 한국 대학교 학생들 878 명이 설문조사에 참여하였으며, 이들은 ‘제 2 외국어 학습에서의 위기 대처 및 극복 능력’을 측정하는 설문과 더불어, 문헌 연구를 통해 결정된 6가지 주요 변인 (제 2외국어 학습에서의 자아 효능감, 제 2 외국어 학습에서의 자기 조절력, 이상적 인 제 2 외국어 학습 자아, 제 2 외국어 학습에서의 끈기, 제 2 외국어 학습에서의 불안감, 교사와의 관계 )에 관해 응답하였다. 수집된 설문 자료를 바탕으로, 우선 학습자들의 ‘영어학습 위기 대처 및 극복 능력’의 고유 한 특성에 따른 유형별 분류를 위해 군집분석 이 이루어졌다. 군집분석 결과, 학습자들은 영어학습에서 마주하는 위기를 이상적으로 대처하고 극복하는 집단부터 이러한 위기에 매우 취약한 집단까지 뚜렷한 양상을 띄는 총 5개의 학습자 집단으로 분류되었다. 다음으로, 학습자들의 영어 과목 및 전반적인 학업 성취도에 있어 ‘영어학습 위기 대처 및 극복 능력’과 주요 예상 변인들과의 인과 관계가 어떻게 구조적으로 관련 되었는지를 살펴 보기 위해 구조 방정식 모델 분석이 사용되었다. 그 결과, 제 2외국어 학습에서의 습에서의 자아 효능감, 제 2 외국어 학습에서의 자기 조절력, 이상적인 제 2 외국어 학습 자아, 교사와의 관계가 ‘영어학습 위기 대처 및 극복 능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이러한 ‘영어학습 위기 대처 및 극복 능력’은 학습자들의 영어과목 및 전반적인 학업 성취에 있어서도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고 밝혀졌다. 한편, 흥미롭게도 제 2 외국어 학습에서의 불안감은 ‘영어학습 위기 대처 및 극복 능력 ’에 큰 영향을 미치는 않는다고 분석되었으며,‘영어학습 위기 대처 및 극복 능력 ’에 유의미한 영향을 준다고 밝혀진 제 2 외국어 학습에서의 자아 효능감 및 자기 조절력 또한 영어과목 학업 성취에는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보여졌다. 이상적인 제 2 외국어 학습 자아 의 경우는 영어과목 학업 성취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처럼 보여졌으나, 그 수치가 매우 경미한 수준이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통해 본 연구는 제 2 외국어 학습에 있어 성공적인 학업 성취를 위해 학습자들의 ‘위기 대처 및 극복 능력’이 매우 중요함을 과학적으로 인식시켜 준다. 또한, 학습자의 내적 자아 요소들의 강화를 통해 효과적으로 언어 학습의 불안감을 통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것이 성공적인 언어 학습에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 The Effectiveness of English Dictionary User Training for Korean EFL Secondary School Students

        박미혜 국제영어대학원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50671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beliefs about English dictionaries by Korean EFL secondary school students and to assess the effectiveness of dictionary use skills instruction. Moreover, it was also examined whether or not the instruction of dictionary use has significant effect on students' beliefs about English dictionaries. For the study, 207 middle school students and 114 high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urvey and dictionary reference skills test. Three types of instruments were employed in this study: (a) the questionnaire inquiring into participants' dictionary habits and beliefs, (b) the dictionary reference skills test, and (c) the dictionary skills instruction on the experimental group. In addition to three instruments, the researcher used supplementary methods including evaluation questionnaire and individual interviews. The results showed that Korean EFL secondary students generally had affirmative perceptions about the role of dictionaries in learning English. They also believed that they need to use appropriate dictionaries to their English proficiency level and elicit as much information as possible from the dictionary. Finally, after being received a reference skills training, the performance of the experimental groups improved significantly more than in the control groups. This paper therefore argues that the explicit teaching of English dictionary use may be effective in improving dictionary retrieval skills of learners. It is also an assertion of this paper that dictionary skills training should be included in English language teaching curriculum. 본 연구는 한국에서 영어를 외국어로 학습하는 중·고등학생들의 영 어사전에 대한 신념을 조사하고 영어 사전 사용 교육의 유효성에 대해 평가 함과 동시에 영어사전 사용 교육이 중·고등학생들이 지니고 있는 영어사전 에 대한 신념에 영향을 미치는가 그 여부에 대해 알아본다. 이 연구를 위하여 채택된 실험도구는 크게 세가지로 구성되어 있는 데, 실험 참여자들의 사전 사용 실태와 신념을 묻는 설문조사, 한 달여에 걸 쳐 이루어진 총 80분간의 영어사전 사용 교육, 실험 대상자의 영어사전 사용 능력을 측정하기 위한 영어사전 사용 능력 검사이다. 본 연구의 실험을 위해 광주 소재 중학교 1·2학년에 재학중인 207명의 학생들과 고등학교 2학년 에 재학중인 114명의 학생들이 참여하였으며, 이들은 반별로 무작위로 비교 집단과 실험집단으로 나뉘어졌다. 설문 조사 결과에 의하면, 대부분의 학생들은 영어 학습에 있어서 사 전의 역할에 긍정적인 생각을 가지고 있었고, 영어 사전을 사용할 때도 자신 의 영어실력에 맞는 사전을 사용하고 가능한 많은 정보를 사전에서 끌어내야 한다고 믿고 있었다. 한편 영어사전 사용 교육의 유효성에 대한 실험에서는 사전 사용 교육을 받은 실험집단에 속한 학생들이 교육을 받지 않은 비교집 단에 속한 학생들보다 사전 사용 능력이 유의미한 차이로 더 향상된 것으로 나왔다. 즉, 영어사전 사용 교육이 사전사용자의 사용 능력을 기르는데 효과 가 있는 것이다. 또한 영어사전 사용 교육을 받은 후 실험 집단에 속한 학생 들의 사전에 대한 신념이 그전과 비교해 다소 변화된 것도 목격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한국 EFL 중·고등학교 학습자의 자기 주도적인 영어학 습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영어사전 사용 교육이 이루 어져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해당 지도 교사의 연수와 함께 영어사전 사용교 육이 영어 교육 과정에 포함되어야 한다.

      • Effect of Various English Accents on Korea High School Students' Listening Comprehension and Attitude

        오승희 국제영어대학원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50671

        본 연구는 한국 고등 학생이 영어를 듣고 이해하는데 있어서, 영어의 미국식 발음, 말레이시아식 발음, 한국식 발음이 그들의 듣기 능력에 미칠 수 있는 영향에 대하여 고찰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다루고자 하는 세 가지 연구 과제는 첫째, 세 가지 다른 종류의 영어 발음에 따라 한국 고등 학생이 영어 내용을 이해하는 정도가 달라지는가, 둘째, 학생들의 기본 듣기 실력에 따라 세 가지 영어 발음 중에서 그들이 더 잘 이해하는 화자의 발음이 있는가, 셋째, 학생들은 세 가지 영어 발음에 대해 어떠한 태도를 보이는가 이다. 본 연구에 참여한 학생은 경상남도 소재 인문계 여자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2학년 340명이며, 실험에 사용될 발음 테이프 제작에는 각기 다른 발음을 구사하는 여성 화자 세 명이 참여하였다. 학생들의 기본 듣기 실력은 연 2회 치러지는 경상남도 교육청 주관 듣기 평가의 내용을 바탕으로 상/하로 나누었다. 듣기 평가를 치르기에 앞서, 학생들의 세계 공용어로서의 영어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한 설문지가 시행되었으며 그 이 후 일 주일 간격으로 각각의 억양으로 녹음되어진 영어 듣기 평가가 3회 시행되었다. 그 후 학생들의 각 억양에 대한 태도를 알아보기 위해 각 발음으로 자연스럽게 녹음된 한 문단씩을 듣고 설문 문항에 답을 하도록 하는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 과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Repeated Measures ANOVA를 실시하였으며, SPSS 15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자료 분석을 통해 드러난 결과에 따르면, 한국 고등 학생은 미국식 억양, 한국식 억양을 말레이시아식 억양보다 더 잘 이해했으며, 학생들의 기본 실력은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는 외국어로서 영어를 배우는 한국 영어 교육의 특성상 미국식 억양과 한국식 억양이 가장 친숙하기 때문으로 보인다. 이는 반복적인 노출 특정 발음에 익숙해 지는 것이 듣기 능력에 중요한 영향을 주는 요인임을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러므로 학생들을 다양한 영어에 노출 시키는 것이 필요하며 교재 개발 시 세계 공용어로서의 영어의 개념을 포함하는 시도가 그 방안으로 제시될 수 있다. 또한 학생들은 미국식 영어에 가장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으며 한국식 영어에 가장 부정적으로 반응했다. 이는 영어를 세계 공용어로서 다양한 발음 차이를 인정해야 한다는 세계 공용어로서의 영어의 개념과 상치하는 결과라 하겠다. 그러므로 한국 학습자들에게 세계 공용어로서의 영어에 관한 교육을 통해 세계화에 발맞추어 나갈 수 있도록 준비시키는 일이 시급하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Korean high school students’ comprehension level and attitudes towards three different English accents: American-accented, Malaysian-accented, and Korean accented English.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with 340 female high school students in Gyeongsangnam-do. The data collection in this study consisted of the results of three listening comprehension tests and two survey questionnaires. The results show that speakers’ various English accents affected the participants’ listening comprehension: the participants understood the American-accented and the Korean-accented English better than the Malaysian-accented English. The study also shows that there is no interaction between the English accents and the participants’ L2 listening proficiency levels. In addit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participants have positive attitude toward American-accented English, followed by Malaysian-accented English, and finally Korean-accented English. This paper therefore argues that Korean students need to be exposed to various English accents in order to become familiar the concept of World Englishes.

      • Using English Songs for Improving Korean Adult Learners' Spoken English Ability

        이경은 국제영어대학원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50671

        EFL learners in Korea are willing to learn speaking skills among those four since communication is the main purpose of learning English among adults in Korea. Along with Japan, Korea is the only country which requires English proficiency test such as TOEIC, TOEFL, and etc. when applying for companies. This tendency illustrates how heavy the focus on communicative skill of English for adults is. It is hard for adults to approach learning English due to many reasons such as lack of time, lack of confidence, or refusal of studying. Even though adults necessitate requiring English, few chances are provided to them. In order for adults to experience and acquire English, the atmosphere should be considered importantly; using authentic material without heavy studying atmosphere is the key factor. Learners’ interest and intimacy towards pop songs can be effectively used in order to motivate learners to be engaged in English. Motivation seems almost like everything for adult learners who tend to voluntarily study English. In this way, pop songs can be useful materials for learners which intrigue their motivation towards learning to improve speaking ability. 우리나라는 취직의 한 관문으로서 영어전문 능력시험을 보는 것이 임무화되어 있다. 그만큼 영어의 필요성과 의무화가 현재 한국의 경향이라고 볼 수 있다. 하지만 학생때의 시험과 수학능력시험을 겨냥한 영어공부에 반해 성인이 된 이후의 영어는 의사소통 능력 향상에 그 초점을 두고 있다. 영어가 사회생활에 필요하다고 느끼고 배우려는 성향이 강하지만 시간 부족, 의욕 부족, 공부에 대한 거리낌 등의 이유로 성인들의 영어공부는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영어교육이 의무가 아닌 그들에게 가장 다가가기 쉬운 조건은 동기부여이다. 관심이나 재미가 없으면 그들은 영어공부를 꺼려할 것이다. 과연 성인들에게 영어공부를 할 수 있게 하는 동기는 무엇이 있을까? 바로 학생 때부터 즐겨 듣던 팝송이다. 거리낌없이 다가갈 수 있는 노래라는 특성을 잘 살려 문화까지도 접할 수 있는 매개체인 팝송은 교과서적인, 혹은 형식적인 영어가 아니라 실생활에 쓰이는 영어로서 말하기 능력 실력향상을 초점으로 둔 성인들에게는 좋은 자료로 작용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