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2007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 국어 교과서의 ‘이해 학습’ 분석

        홍하은(Hong Ha Eun) 제주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11 초등교육연구 Vol.- No.15

        본 연구는 현재의 2007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이 적용된 초등 1~4학년 국어 교과서를 중심으로, 특히 ‘이해 학습’ 부분에 한정지어 살펴보았다. 교육과정에서 달성하고자 하는 바는 현장 실천본이라 일컬을 수 있는 교과서에 반영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래서 개정된 교육과정이 교과서로 실행되는 과정에서 성취기준, 단원목표와 차시목표와의 관계, 언어 사용 목적과의 관계 정도를 살피며 일관성 있게 구성되고 있는 지 살펴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교육과정 상세화 측면에서 성취 기준과 단원 목표의 관련성, 성취 기준과 단원 목표, 차시 목표를 중심으로 관계성을 살펴보았다. 그 중 성취 기준과 단원 목표는 외형적 관계로 분류하였고 성취 기준과 단원 목표, 차시 목표는 서로 간의 내용 연계 정도로 판단하였다. 그리고 학습자에게 학습 안내 역할을 하는 ‘이해 학습’에서 다루고 있는 교육적 내용의 지식 형태와 분포 정도를 알아보고 교과서 내에서 어떤 유형으로 구현되고 있는지 정리하였다. 특히 본 연구는 2007 개정 교육과정의 특징이 반영된 교과서 분석을 기반으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개정 교육과정과 교육과정이 반영된 교과서에 대한 직접적인 비판과 대안의 기준이 된다. 그리고 여기에서 밝혀진 원리는 수시개정체제로 바뀐 차기 교육과정 개정 및 향후 교과서 개발에 도움이 될 것이다. This study examines to which extent the curriculum was reflected in textbooks, particularly limited to the part of understanding learning focusing on 20 Korean language textbooks for first to fourth graders of elementary school. The objectives to be achieved in a curriculum is to reflect in textbooks, which can be called as the edition for field practice. Therefore, it is able to examine whether or not the contents of revised curriculum are made consistently in the course of practising to textbooks while watching the achievement criteria, the relation between unit objectives and lesson objectives, and how much it relates to the objectives of language use. Hence,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chievement criterion and unit objectives as well as the relationship focusing on the achievement criterion, unit objectives and lesson objectives in the aspect of curriculum detailing. Out of them, the achievement criterion and unit objectives are classified as external relation and the achievement criterion, unit objectives and lesson objectives are judged to that extent of a connection in the contents between each other. Lastly, it deals with three kinds of direction for the improvement of understanding learning of Korean language textbooks in Chapter V. First, what should be achieved in a curriculum and the contents of unit learning objectives and lesson objectives in textbooks as the tool for realization of the curriculum should be made in the ever consistent appearance, and second, continuous studies of application learning to involve the meaning of practice must proceed together with the ones of understanding learning as the education of knowledge and functions in consideration of various contexts. Lastly, it needs active analysis of textbooks by teachers who have various prospective. This study is made on the basis of analysis of textbooks in which the features of the 2007 revised curriculum so that it can be the criterion of direct criticism and alternative plan of the revised curriculum and textbooks in which the revised curriculum was reflected. And those principles found out in this study will be helpful for the next revision of curriculum which was changed to the real-time revision system as well as future development of textbooks.

      • KCI등재

        집단적 기억의 정치적 관리

        홍하은(洪ハウン),오명원(吳明元),김성해(金成海) 한일관계사학회 2014 한일관계사연구 Vol.47 No.-

        언론은 집단적 기억의 형성에 개입한다. 해마다 3?1절, 광복절 등의 국경일이 돌아오면 언론은 역사적 교훈과 쟁점을 재조명함으로써 공동체의 정체성을 관리한다. 언론의 재구성을 통해 집단의 기억은 수정되기도 하고 고착화되기도 한다. 언론은 또한 이를 통해 여론 형성과 집단적 태도에 영향을 미친다. 한국과 일본은 가까운 지리적 특성만큼 깊은 교류의 역사를 갖고 있다. 역사적 깊이만큼 일본에 대한 집단적 기억은 끝없이 재구성되고 있다. 과연 언론을 통해 재구성되고 있는 일본의 모습은 어떠할까? 양국 간 관계 및 언론사에 따라 한일 간 갈등 이슈는 다르게 재포장되는 것일까? 본 연구는 이에 한일 간 갈등 이슈를 통해 언론이 집단적 기억에 어떻게 개입하고 있는가를 살펴보고자 했다. 분석사례로 과거 구한말 이후 대두되어 한일 양국의 근현대사를 관통하고 있는 독도 영유권 분쟁, 위안부 문제, 역사 교과서 왜곡문제를 선택했다. 이 쟁점들은 과거 한 시점의 사건으로 종결된 것이 아닌 현재 한일 관계에도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현재진행형의 쟁점이기도 하다. ‘여론주도층’ 역할을 하는 주요 신문의 사설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했다. 국내 여론 형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감안해 <동아일보>, <국민일보>, <서울신문>, <한국일보>, <한겨레신문>, <경향신문> 등 총 6개의 종합지를 분석대상으로 설정했다. 분석기간은 양국 간 화해 기간이었던 김대중 정부를 비롯해 관계가 악화된 것으로 알려진 이명박 정권을 모두 포함했다. 연구문제로 국내 언론의 일본에 대한 규정 방식, 한일 갈등의 원인 및 해결 프레임 등을 제기했다. 분석결과 한일 간 갈등이슈를 둘러싼 원인, 해결 프레임은 관련 주제, 정치적 상황, 언론사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역사적 사건이지만 언론은 상황에 따라 다르게 프레임을 적용해 집단적 기억을 관리하고 있는 것으로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언론이 집단적 기억을 어떻게 관리하고 있는가를 살펴봄으로써 한국과 일본의 공생, 공존을 위한 언론의 역할을 생각해보는 계기가 되길 기대한다.

      • KCI등재

        각자의 민주주의? 한국인의 민주주의 구성개념과 민주주의 만족도 평가 분석

        박선경,홍하은 인제대학교 민주주의와 자치 연구소 2023 비교민주주의연구 Vol.19 No.2

        한국인들은 민주주의를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가? 모든 시민이 같은 의미로 민주주의를 정의하는가, 혹은 각자 다르게 정의하는가? 본 연구는 한국인이 생각하는 민주주의의 핵심적인 구성개념을 분석하고, 민주주의 구성개념의 내용에 따라 지금 한국의 민주주의 수준을 어떻게 평가하는지를 분석한다. 민주주의 구성개념을 절차, 자유, 거버넌스 그리고 평등의 네 가지 차원으로 나눈 결과, 한국인들이 민주주의의 가장 필수적인 요소로 생각하는 것은 거버넌스였다. 또한, 거버넌스를 민주주의 필수개념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일수록 절차를 민주주의의 필수개념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에 비해 현재의 민주주의 전반과 민주주의에 기여한 주요사건들에 대해서 부정적으로 평가할 확률이 높았다. 사회적 평등을 민주주의의 필수요인이라고 생각한 사람들도 민주주의에 대한 불만을 표출했지만, 이러한 부정평가는 거버넌스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사람들에 비해서 덜 강했다. How do Koreans understand democracy? Do they share the same definition of democracy or do they have different understandings of the core component of democracy? This study analyzes what elements Koreans consider as the core components of democracy and examines whether they evaluate current democracy in Korea positively or negatively based on their understanding of these components. The study divides the components of democracy into four dimensions: procedure, freedom, governance, and equality. Empirical analysis found that Koreans consider governance as the most essential element of democracy. Moreover, those who view governance as a fundamental concept of democracy were more likely to evaluate Korean democracy negatively compared to those who consider procedure as essential to democracy. People who regard social equity as a crucial factor in democracy also expressed dissatisfaction with democracy compared to those who prioritize procedure, but such negative evaluations were less intense and more cautious than those of individuals who consider governance as important.

      • Biodegradable Polymeric Sprayable Foams based on Amphiphilic Gelatin for Facile Control of Massive Hemorrhage

        홍상은,김옥희,홍하은,김세준,윤국로 한국공업화학회 2019 한국공업화학회 연구논문 초록집 Vol.2019 No.1

        Hemorrhage from fatal internal injuries are a major cause of mortality. In particular, massive hemorrhage is lead to serious tissue hypoperfusion and hypoxia. Gelatin is a water-soluble natural polymer derived from collagen. Also, which is biocompatible, biodegradable and non-immunogenic. Currently, in some cases, report that a sprayable polymer materials can be effective at control bleeding from soft tissue such as liver or lung, etc. Using this concept, our research focuses on polymeric sprayable foams based on amphiphilic gelatin. In this study, we tested the amphiphilic gelatin based hemostatic foam for its effect to massive bleeding from liver trauma model in rats.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hemostasis effects were confirmed by FE-SEM (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TGA (Thermogravimetric Analysis), FT-IR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and immobilization of blood by gelatin foam test.

      • Drug-Loaded Modified Ceria-Zirconia Nanoparticles as an Enhanced Efficiency for Liver Disease Treatment

        홍상은,김옥희,홍하은,김세준,윤국로 한국공업화학회 2019 한국공업화학회 연구논문 초록집 Vol.2019 No.0

        Chemotherapy is one of the significant approach for in vivo disease includes cancer treatment but has important challenges, such as cancer cell resistance and various side effect to normal tissue. Here, we have designed and synthesized an effective liver disease treatment agent based on monodisperse ceria-zirconia nanoparticles, which are loaded with drug (which was a typically drug for hepatocellular carcinoma (HCC)) and modified with binding to the hepatocarcinoma A54 peptide (sequence AGKGTPSLETTP) and poly(ethylene glycol) on their surface (S-A54/P-CeZr).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were confirmed by FE-TEM (Field-emission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EDS (Energy-Dispersive X-ray Spectroscopy), DLS(Dynamic Light Scattering), TGA(Thermogravimetric Analysis), 1H-NMR(1H Nuclear Magnetic Resonance) analyses.

      • KCI등재

        정치참여 수단으로서 댓글의 역할과 의미, 그리고 한계

        김동윤(Dong Yoon Kim),홍하은(Ha Eun Hong)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2015 사이버 커뮤니케이션 학보 Vol.32 No.1

        이 연구는 온라인 뉴스와 SNS 뉴스 이용자 간 비교를 통해서 정치참여 수단으로서 댓글의 역할과 의미를 알아보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댓글 저널리즘의 원형으로 이해되는 온라인 뉴스와 댓글의 새로운 지평을 열고 있는 SNS 뉴스의 댓글에 대한 이용자의 인식과 활동의 차이를 알아보고, 이러한 인식과 활동이 정치참여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비교해 보았다. 분석의 결과는 다음의 몇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먼저, 이용자들은 SNS 뉴스보다 온라인 뉴스의 댓글을 더 신뢰하고, 유용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다음으로, 온라인 뉴스와 SNS 뉴스 이용자의 댓글 읽기 활동에 대한 통계적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으나, 쓰기 활동에서는 온라인 뉴스 이용자들이 더욱 적극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온라인 뉴스와 SNS 뉴스 댓글에 대한 이용자들의 이러한 인식과 활동이 그들의 정치참여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댓글 이용자의 정치참여는 정치에 대한 평소의 관심과 대화량에 의해 더욱 잘 예측되었다. 선거 시기 정치참여 수단으로서 보여준 지금까지의 역할과 의미를 감안할 때, 이상의 분석 결과는 정치참여 수단으로서 댓글의 역할과 의미는 비선거 시기라는 상황과 맥락에서 다소 제한적일 수 있음을 시사해 주었다. This empirical study has tried to see the difference of the meanings and roles of the reply as the instrument of the political participation through comparing with the users of the online and SNS news users. Analytic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ings. First, users regarded the online news reply as more reliable and useful means than the SNS news reply. Second,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in the reading activity between the online and SNS news users, but the online news users seemed to more active than the SNS news user in their writing. Third, the recognitions and activities of the online and SNS news users didn’t have the statistical effects on the predicting to their political participation, but their political participation was well predicted by the ordinary political concerns and conversation. These results made us infer that the meanings and roles of the reply as the instrument of the political participation might be varied and limited in terms of the situations and/or contexts, especially whether their interactions occur in election period or not.

      • KCI등재

        전시작전권을 둘러싼 언론의 이미지 전쟁: 적과 아군의 정체성과 근거 프레임을 중심으로

        김성해 ( Sunghae Kim ),홍하은 ( Haeun Hong ) 평화문제연구소 2016 統一問題硏究 Vol.28 No.1

        전시작전통제권의 환수시기가 기약 없이 연기되었다. 군사주권의 정상화를 요구하는 진보진영과 북한의 위협에 맞서 미국과의 동맹을 강화해야 한다는 보수진영은 충돌을 이어간다. 언론 역시 공정한 중재자가 아닌 이해관계의 당사자라는 정황이 짙다. 본 연구는 이에 전작권을 둘러싼 언론의 개입 양상을 분석했다.『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한겨레』 및 『한국일보』 등 5개 신문사의 사설과 칼럼을 대상으로 분석기간은 2006년과 2010년으로 설정했다. 분석 결과, 언론의 담론 경쟁은 논리적 설득을 목표로 하는 프레임과 감성적 공감을 겨냥하는 이항대립의 이미지를 통해 전개되고 있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특정 주장과 낙인찍기를 활용한 언론의 정파성도 뚜렷했다. 언론의 역할은 무엇일까에 대한 질문이 필요하다. 이 연구를 통해 편협한 정파성을 넘어 보다 품격 있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언론의 길을 묻는 계기가 마련되기를 희망한다. South Korea and U.S. made a decision on postponing the due date for Wartime Operational Control. Fierce debate over the issue prevails among those experts who have revealed conflict of viewpoints. The potential costs charged to Korean society remains unknown. Given the reality of ‘Cui Bono,’ however, it is necessary to look into such discursive competitions mediated by the media. For the benefit of articulating image war, it first analyzed uses of languages employed to divide the friend and the enemy. Such media frames as ‘security defaulter, tax waster, security tout and flunkyism follower’ were adopted in addition. Final samples draw on five prestigious newspapers including Chosunilbo, Joongangilbo, Dongailbo, Hangyere and Hankookilbo by differing time span. Research reveals that the media take an active role not only in making identities but placing emphasis on selected frames. Both supporters and opponents pay particular attention to strengthening their arguments equipped with reliable data as well. The reality that neither national interests nor public policies are immune from discursive war was confirmed through this study.

      • KCI등재

        정치적 선택 혹은 학습된 보수성 -언론을 통해서 본 대구 정체성의 사회적 재구성

        김성해,박현식,이병욱,홍하은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2013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 Vol.28 No.-

        보수를 상징하는 대표적인 도시 대구는 영화 속 범죄도시 ‘고담시티’에 비유되고 있다. 회복의 기미가 보이지 않는 경기침체와 연이은 사건사고 및 대구 사람들의 폐쇄성과 보수성 때문이다. 게다가 선거 때마다 ‘깃발만 꽂으면 된다.’는 말이 생길 정도로 새누리당의 표밭으로 여겨진지 오래다. 지난 제18대 대선에서도 대구와 경북 지역의 박근혜 후보 지지율은 80%를 넘었다. 대구의 몰표양상과 지역정체성은 어떤 연관성을 가지고 있을까? 또 대구의 지역정체성 형성에 있어 지역 언론의 역할은 무엇일까? 대구의 보수성을 극복하고 대구의 복원을 모색할 수 있는 전략은 없는 것일까? 이 연구는 이러한 고민에서 출발했다. 연구를 위해 우선 대구지역에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는 3대 일간지(매일신문, 영남일보, 대구일보)의 선거 관련 주요 보도를 분석했다. 국회의원을 뽑는 총선과 대통령을 뽑는 대선은 언론은 물론 지역민 전체가 주목하는 이슈로 집단적 정체성의 형성을 가장 잘 엿볼 수 있는 사례다. 분석을 위해 2012년 4월 11월의 총선과 12월 19일 대선을 전후로 앞으로 두 달, 뒤로 한 달, 모두 3개월의 사설과 칼럼을 수집했 다. 정체성의 핵심 구성 부분이 의견, 태도 및 정서라는 점을 감안할 때 오피니언란을 분석하는 것이 다른 일반기사보다 더 적절하다고 판단했다. 분석항목으로는 우선 대구지역 언론에서 대구와 대구사람은 어떻게 정의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대구(사람)의 친구와 적은 어떻게 설정되고 있으며 대구의 비전과 목표는 무엇인가에 대해서도 조사했다. 또한 대구언론이 우선하는 가치와 신념에 대해서도 분석했다. 물론 대구의 몰표행태와 정체성이 반드시 언론에 의해 형성된 것은 아니다. 그러나 대구언론의 독특한 지위 및 영향력을 감안할 때 대구를 이해하는 첫걸음은 지역 언론 특히 신문일 수밖에 없다. 대구지역 언론을 통한 정체성의 사회적 재구성을 밝힘으로써 향후 대구의 변화를 담보할 수 있는 새로운 담론전략을 제시할 수 있다고 본다. The city of Daegu is shamefully referred to as the Gotham city on the Batman movie. Not only endless decline of economic performance but recurrent disasters like a subway fire help to establish such a name. Daegu's persistent supporting the ruling party of Saenuridang also has to do with the negative image. However the current political and cultural propensity of Daegu had been dramatically shifted since the 1970s when the late president Jung-Hee Park had come to power with illegal military coup. Raising such questions as what happened to Daegu and what has made such a shift of stance is necessary. This paper thus attempted to shed a light on the media's discourse in the connection with shaping collective identity. Total number of 512 articles from three major newspapers in the area of Daegu have been analyzed. Provided that discourse analysis would be better served by examining opinion sections, both editorial and columns related to presidential and national assembly election were chosen for this purpose. To discover the current status of Daegu's identity, at first, this paper asked how those local newspaper have described the past, present and future of Daegu. Then it also examined the way of constructing enemies and friends. While looking into the values or norms preferred by the media, in addition, the researchers endeavored to unveil how they represented the blueprint of Daegu. Undoubtedly, the collective identity of Daegu has many things to do with. The understanding of media's discourse in the process of shaping the identity and preference though would provide a valuable opportunity in the current status of Daegu represented by political clientalism and lack of openness. Furthermore, whether to reform the media or to expand news literacy program depends on this kind of in-depth analys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