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Enterococcus sp.와 Lactobacillus sp. 첨가 sourdough로 제조된 보리식빵의 품질특성 : Ⅱ. 보리식빵의 이화학적 및 물성적 특성 Ⅱ. Physicochemical and Rheological Properties of Barley Btead

        홍정훈,김경자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001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Vol.16 No.4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ourdough on the characteristics of quality of barley bread, sourdough starter with Lactobacillus plantarum, Lactobacillus sanfrancisco and Enterococcus sp. were added to baking after 48 hours incubation at 37℃ 1. The pH of bread using Lactobacillus sanfrancisco starter was the lowest among tested starters. while the titratable acidity(TTA) of the strain was the highest, followed by Enterococcus sp.. 2. In bread, moisture contents of control were 38%. It was decreased during 6 days. The moisture contents of bread using Lactobacillus sanfrancisco starter were the highest among tested starters, followed by Enterococcus sp.. 3. Oneset temperature(T_o), peak temperature(T_p) and enthalphy(ΔH) were increased during storage of 6 days. The enthalphy of bread using Lactobacillus sanfrancisco starter was the lowest among tested starters, followed by Enterococcus sp..

      • KCI등재후보

        Bifidobacterium sp.로 제조된 반죽의 물성적 특성

        홍정훈,안덕준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002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Vol.17 No.2

        In order to economically utilize dough with B. longum, B. infantis and B. brevis as a bread improver, aerotolerance, α-galactosidase activity, organic acids, farinograph and extensograph of dough were investigated. In aerotolerance of Bifidobacterium sp., B. longum was highest among tested starters, followed by B. infantis. The α-galactosidase activity was highest in the B. longum among tested starters. In organic acids, the contents of lactic acid and acetic acid were the highest in the among tested starters, followed by B. infantis. In farinograms of dough, water absorption and peak time were highest in the B. brevis among tested dough. Extensogram showed that the area increased remarkably in B. longum and B. infantis at 135min of fermentation. Extensibility and resistance to extension of dough were highest in the B. infantis among the dough, followed B. longum.

      • KCI등재후보

        가열조건에 따른 오징어 Cholesterol과 Cholesterol oxidative products(COPs)의 함량변화에 관한 연구

        홍정훈,안덕준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002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Vol.17 No.4

        The effect of cooking(boiling, steaming and baking) and drying on the cholesterol content and formation of oxidized cholesterols and acid value in squid(Japanese flying squid, Todarodes pacificus) was studied. Cholesterol content of live squid meat varied with the portion sampled. The data from spectophotometric assay ranged from 263.2 mg/100g(mantle) to 315.8 mg/ 100g(tentacle). The cholesterol levels found for squid samples analyzed by gas chromatography(GC) were lower by 7% of total cholesterol for live squid meat and 24% for processed meat than those results by spectrophotometric assay. Cooking resulted some decrease in the initial total cholesterol content of raw meat from 10%(boiling for 5 min.) to 25%(steaming for 5 min.). The amounts of cholesterol remaining after baking were 68% for microwave oven samples and 64% for convection oven samples. Drying of raw tissue caused the greater reduction in cholesterol content than cooking but brought about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amples stored for 6 weeks at 4℃ and 20℃. Raw squid meats contained essentially no oxidized cholesterols, while the 22-hydroxychoesterol was detected in frozen meats. The additional oxidized cholesterols as cholestane-triol was indentified with 22-hydroxycholesterol in cooked samples. Sun dried meat stored at 4℃ and 20℃ for 6 weeks had the three kinds of oxidized cholesterols such as 22-hydroxycholesterol, cholesta-3,5-dien-7-one and cholestane-triol. For the boiled and steamed squids, 10% higher acid value and 5% higher acid value respectively were observed but oven cooked samples resulted in a 50% higher acid value than raw samples. Squids had a 45% higher acid value than raw one during sundrying and presrevation at 20℃ but there was not a severe difference of acid value between 4℃ and 20℃ stored samples.

      • KCI등재

        Sourdough 첨가 보리식빵의 물성적 특성

        김경자,홍정훈,방극송 한국조리과학회 2000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Vol.16 No.4

        1. 보리에서 분리한 균주는 Gram 양성의 구균으로 미생물 동정기를 이용하여 동정해 본 결과 Enterococcus mundtii와 89%의 상동성을 보여 이 균주는 Enterococcus속으로 동정되었다. 2. 초기 pH는 모두 5.5였으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가장 먼저 pH가 떨어지기 시작한 것은 Lactobacillus sanfrancisco이였으며 다음으로 Enterococcus mundtii의 순이였다. pH 4.5까지 떨어지는데 걸리는 시간도 Lactobacillus sanfrancisco이 8시간 10분으로 가장 짧았으며 Enterococcus mundtii는 9시간 30분이였으며 Lactobacillus plantarum은 9시간 50분의 순이었다. 동일한 pH에서 산도가 높았으며 Enterococcus mundtii, Lactobacillus plantarum의 순이었다. 3. 대조군에 비해 균주가 혼합된 식빵 3개 모두 부피가 커졌으며 이중 Lactobacillus sanfrancisco가 가장 부피가 컸으며 대조군에 비해 11%정도 부피가 증가하였다. 부피를 무게로 나눈 용적비도 부피와 같은 경향을 보였다. 식빵의 높이는 Lactobacillus sanfrancisco 와 Enterococcus mundtii 가장 컸고 다음이 Lactobacillus plantarum, 대조군의 순이었다. 4. 96시간 경과 시 대조군에만 곰팡이가 발견되었고 다른 군에서는 144시간 이후에도 곰팡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경도는 시간경과에 따라 지속적으로 증가하였으며 경도가 가장 낮은 Lactobacillus sanfrancisco와 다음으로 낮은 Enterococcus mundtii의 경우 초기에는 경도 변화가 별로 없었다가 48시간 경과 시 경도가 증가하였다.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ourdough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barley bread, sourdough starter with Lactobacillus plantarum, Lactobacillus sanfrancisco and Enterococcus mundtii was used for baking after 48 hours incubation at 37℃. The specific volume of the bread containing sourdough starter was greater than that the control. Retarding of the firmness was observed in the bread with Lactobacillus sanfrancisco compared with the control and other breads. Above results suggest that sourdough starter fermented by Lactobacillus can be used as natural bread improver.

      • SCOPUSKCI등재
      • KCI등재

        Bifibacterium infantis 및 Streptococcus thermophilus 가 밀가루 반죽의 물성적 성질에 미치는 영향

        김경자,홍정훈,방극승 한국조리과학회 2000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Vol.16 No.1

        1. 상온에서 시료 밀가루의 물결합능력은 250%이며 용해도는 1.0%였다. 2. Farinograph-본 실험에 사용된 밀가루 반죽의 v/v는 69였다. S. thermophilus가 첨가된 경우 대조군과 유사한 값인 70을 나타내었으며 B. infantis만 첨가된 군과 B. infantis + S. thermophilus 첨가군에서는 각각 65, 62로 나타났다. 반죽이 일정한 굳기에 도달하는데 필요한 수분 흡수율은 대조군이 66.5인데 비해 B. infantis + S. thermphilus군의 경우 67.8로 증가하였다. Peak time의 경우 모든 군이 6∼8분 안에 들어가면서 반죽의 탄력이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 B. infantis 첨가군과 B. infantis + S. thermophilus첨가군은 각각 6.0과 5.5로 나타났으며 안정도의 경우 41.5와 40.1로 나타났다. 3. Extenspgraph-B. infantis 첨가군에서 90분과 135분 사이에 큰폭으로 상승되었다. 135분에서 S. thermophilus 첨가군이 가장 면적이 넓었으며 다음으로 B. infantis 첨가군과 B. infantis + S. thermophilus첨가군의 순서였다. 4. Amylograph-B. infantis 첨가군과 S. thermophilus 첨가군은 대조군에 비해 최고 점도가 높게 나타났으므로 빵의 내상이 균일하고 기공배열이 가지런하므로 전체적으로 품질이 좋은 빵이 될것으로 사료된다. 호화개시온도의 경우 대조군 비해 다소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최고점 온도는 각 군 별로 차이가 없었다. In order to economically utilize dough with B. infantis and S. thermophilus as a bread improver, WHC, swelling power, solubility, farinograph, extensograph and amylograph of dough were investigated. Swelling power and solubility were less than medium flour and weak flour. WHC was higher than those. On rheological properties of dough, farinograms of dough showed progressively increasing water absorption, peak time only increased with addition of S. thermophilus. Extensograms showed that area increased S. thermophilus and B. infantis at 135 min. Extensibility and resistance to exntension of dough were higher in S. thermophilus than those in B. infantis. On amylograms, maximum viscosity of dough increased by addition of B. infantis and S. thermophilus

      • KCI등재

        생 건 참서대의 조리방법별 지방산과 유리아미노산 함량변화

        김경자,신애숙,홍정훈 한국조리과학회 1998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Vol.14 No.5

        참서대를 생으로 또는 염건하여 찜, 삶기, 구이의 3종류의 조리방법에 따라 일반성분 분석 및 유리지방산과 유리아미노산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생시료의 일반성분은 수분 78.4%, 회분 1.2%, 조지방 1.1%, 조단백질 18.3%로 나타났다. 2. 생시료의 지방산 조성은 24:0(43.1%)을 주로한 polyene 산의 비율이 67.2%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16:0(22.3%)을 주로한 포화산이 25.7%, 18:1(6.8%)을 주로한 monoene 산이 7.1%를 차지하고 있다. 주요 구성 지방산은 16:0와 24:0이었다. 생시료의 가열 조리별 조성 변화를 보면 생시료에 비해 포화산은 찜의 경우 감소하였고 나머지는 별 변화가 없었다. Monoene 산은 찜, 삶기, 구이 모두에서 감소하였으며 polyene산은 찜의 경우에만 증가하였고 나머지는 별 변화가 없었다. 염건시료에서는 생시료와는 달리 16:1을 주로 한 monoene 산이 38.9%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16:0을 주로 한 포화산이 35.3%, 22:6을 주로 한 polyene 산이 25.8%였다. 염건시료의 가열조리별 조성변화를 보면 염건생시료에 비해 포화산과 monoene 산 모두 감소하였으나 polyene 산은 큰 폭으로 증가하였다. 열처리에 의한 고도 불포화 지방산의 잔존율을 살펴보면 생시료 0.8, 삶기 0.22, 구이 0.26으로 고도 불포화 지방산이 가열조리에 따라 점차 분해되는 것을 알 수 있다. 3. 생시료의 유리 아미노산 조성은 총 유리아미노산 함량이 6934.5㎎%이었고, glutamic acid(1029.8㎎%,14.9%), aspartic acid(846.2㎎%, 12.2%), lysine(696.1㎎%, 10%), leucine(582.5㎎%, 8.4%), arginine(474.1㎎%, 6.8%), serine(388㎎%, 5.6%), alanine(386.1㎎%, 5.6%)등이 주요 유리아미노산으로 이들이 전체의 63.5%를 차지하고 있다. histidine이 196.4㎎%로 가장 적게 나타났다. 생시료의 가열 조리별 총 함량변화는 생시료가 6934.5㎎%, 찜이 7132.3㎎%, 삶기가 7229.8㎎% 그리고 구이가 6682.6㎎%로 찜과 삶기의 경우는 증가하였고 구이는 감소하였다. 생시료의 총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6490.0㎎%이었으며 이는 생시료에 비해 440.5㎎% 정도가 감소한 것이다. 주요 아미노산의 구성은 생시료와 동일하였다. glycine함량이 생시료에 비해 염건시료에서 60.8㎎% 정도 감소하였고 그 이외의 유리아미노산은 대체로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염건시료의 가열 조리별 총 함량 변화는 생시료와 마찬가지로 찜과 삶기에서는 증가하고 구이에서는 감소하였다. Changes in fatty acids and free amino acids of raw red tongue sole (RRT) and dried red tongue sole (SRT). were analyzed after steaming, boiling, or baking. 1. RRT was composed of moisture 78.4%, ash 1.2%, crude lipid 1.1%, and crude protein 18.3%. 2. The main fatty acid of RRT and SRT were palmitic acid (21.5%) and lignoceric acid (43.1%) which cover 64.5% of total fatty acid. Steamed RRT or SRT had higher content of fatty acids than boiled or baked ones. 3. The main free amino acids of RRT or SRT were glutamic acid (14.9%), aspartic acid (12.2%), lysine (10%), leucine (8.4%), and arginine (6.8%) covering more than 52.3% of total free amino acids.

      • KCI등재

        양산대학생들의 음주행동에 관한 조사연구(2)

        김영숙,신애숙,홍정훈 한국식생활문화학회 1999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Vol.14 No.3

        To investigate the drinking pattern and behaviors of Yangsan College students, a self-administrated survey was conducted to the subjects, composed of male 336 and female 165.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With regards to kind of alcoholic beverage, 71.6% of subjects responds have a preference for soju, which is favored more by male than by female. 2. The most favorite side dishes are stew and soup(48.2%), then roasted meats and fruits. 3. In the drinking habit, 40.4% of subjects responded that they drink themselves to sleep, 20.6% have more chatter, and 12.5% become silent. 4. 80% of the subjects, some of which recognized overdrinking, responded that the culture to have a drinking after official events is essential, while 6.6% responded that it goes wro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