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외부지향 기업문화와 직무소진 간의 관계: 조직 내 커뮤니케이션의 매개효과와 HR부서의 전략적 역할의 조절된 매개효과

        홍소정 ( Hong¸ Sojung ),심명정 ( Shim¸ Myungjung ),이윤수 ( Lee¸ Yunsoo ) 한국경영공학회 2021 한국경영공학회지 Vol.26 No.3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communication an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the role of human resource (H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xternal-oriented organizational culture and burnout. Methods We analyzed the responses of 10,005 employees from the 2017 human capital corporate panel (HCCP) dataset with SPSS PROCESS macro. Results (1)The moderating effect of the role of HR was significant. (2)Communication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innovative-oriented culture and burnout and fully meditated the relationship of task-oriented culture and burnout. (3)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the role of HR was significant. Conclusion Based on the findings, the present study discussed implication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ulture and burnout according to the role of HR effect.

      • KCI등재

        경계유연추구 의도와 일탈 행동이 비인격적 감독 행위에 미치는 영향: 직급에 따른 집단 비교

        홍소정 ( Sojung Hong ),이윤수 ( Yunsoo Lee ) 한국경영공학회 2022 한국경영공학회지 Vol.27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flexibility-willingness and deviation behavior on abusive supervision behavior, and in the relationship,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by job rank. Methods We conducted a multi-group analysis using responses of 362 office workers. Results For managers, organizational and interpersonal deviant behaviors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abusive supervision, but flexibility-willingnes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employees, flexibility-willingness had a negative effect on abusive supervision; interpersonal deviant behavior had a positive effect on abusive supervision, but organizational deviance behavior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relationship of flexibility-willingness and abusive supervision between managers and employees. Conclusion Based on the findings,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 KCI등재

        외부지향 문화와 일-가정 양립 갈등 관계- 스마트 워크 유용성과 스마트 기기 활용 저항의 다중 가산 조절 효과

        홍소정 ( Hong Sojung ),이윤수 ( Lee Yunsoo ) 한국경영공학회 2021 한국경영공학회지 Vol.26 No.2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ultiple additional moderating effects of perceived usefulness of smart work and resistance to smart devi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xternal-oriented culture and work-family conflict.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office workers who were exposed to smart work environment in the COVID-19 pandemic, and using 363 data were analyzed the multiple additive moderation effect. Results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resistance to smart device utilization and the perception of smart work usefulness in the external-oriented corporate culture promoted work-family conflict. In addition, the multiple additive moderation effect was confirmed through the conditional effect significance verification.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e present study discussed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balance between business culture and work-family in smart work environment.

      • KCI등재

        대학생활 참여 유형별 재정(학자금) 지원 만족도 및 대학생활 만족도 차이 분석 : 잠재프로파일분석을 중심으로

        홍소정(Sojung Hong),심명정(Myungjung Shim),이윤수(Yunsoo L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3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활 참여도에 따른 대학생 잠재프로파일을 식별하고, 프로파일별 재정(학자금) 지원 만족도와 대학생활 만족도 간 차이를 규명하는 데 있다. 방법 대학생 재정 지원, 대학생활 참여도, 대학생활 만족도 등을 조사한 한국장학패널(KOSAPS)에서 대학생활 참여도에 응답한 1,051명의 자료를 활용하여 잠재프로파일분석(LPA)을 적용하였다. 잠재프로파일 분류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요인과 프로파일별 결과변수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3단계 접근법이 활용되었다. 결과 분석 결과, 대학생활 중 교과 및 비교과 활동 참여도에 따라 4개의 프로파일(비교과 우선 프로파일, 교과 우선 프로파일, 참여저조 프로파일, 참여 활발 프로파일)이 분류되었고, 재정(학자금) 지원 만족도가 높아지면 비교과 우선 프로파일보다 교과 우선 프로파일이나 참여 활발 프로파일에 속할 확률이 높아지고, 참여 저조 프로파일보다 교과 우선 프로파일이나 참여 활발 프로파일에 속할 확률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4개의 프로파일별 대학생활 만족도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참여 활발 프로파일이 가장 높았고, 교과 우선 프로파일, 비교과 우선 프로파일, 참여 저조 프로파일 순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개인별 맞춤형 진로지도 방안 및 고등교육 재정 지원 정책 수립과 관련된 이론적, 실천적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identify latent profiles of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ion in curricular and extracurricular programs and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satisfaction with financial support and with college life between the latent profiles. Methods We analyzed the data of 1,051 university students from the 4th Korea Student Aid Panel Survey (KOSAPS) using a latent profile analysis. Additionally, the effects of predictors and the differences in outcome variables between the latent profiles were examined using a 3-step approach. Results We identified four latent profiles: extracurricular programs preferred profile, curricular preferred profile, low participation profile, and active participation profile. We also found that the higher the satisfaction with financial support, the higher the probability of belonging to the curricular preferred profile and active participation profile than other profiles. The difference in satisfaction with college lif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by the four profiles, the active participation profile was the highest, followed by curricular preferred profile, extracurricular programs preferred profile, and low participation profile. Conclusions Based on the findings,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 잠재계층성장분석을 활용한 미취업 중장년의 취업 기대감 종단 연구

        홍소정(Sojung Hong) 한국고용정보원 2022 세미나 자료 Vol.- No.-

        본 연구는 미취업 중장년층의 취업에 대한 기대감의 변화 양상을 살펴보고 하위 잠재집단을 유형화하고 잠재계층성장분석을 통해 변인과 결과 변인을 적용하여 집단 간 차이를 비교하였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한국고용정보원의 고령화연구패널(the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KLoSA) 4차(2012)~7차(2018) 자료의 만 45세 이상자 중 10,254ud 중 미취업자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미취업 중장년층의 취업에 대한 기대감의 성장 변화에 따른 잠재집단의 수는 3개로, ‘기대감 증가형(49.6%)’, ‘기대감 감소형(33.0%)’, ‘기대감 유지형(17.4%)’으로 구분되었다. 집단 분류의 영향요인 중 주관적 계층의식과 국가의 노후 보장에 대한 기대가 높을수록 ‘기대감 증가형’ 보다는 ‘기대감 감소형’이나 ‘기대감 유지형’ 집단에 속할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앞으로의 생활수준에 대한 기대감이 낮고, 정부 정책 중 국민연금제도로 인한 노후생활의 안정감이 클수록 ‘기대감 감소형’ 집단에 속할 확률이 높았으며, 다음 세대의 경제적/사회적 안정에 대한 기대감이 높고, 국민건강보험제도와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로 인한 노후생활의 안정감이 커지면 ‘기대감 증가형’ 집단에, 기초연금제도(기초노령연금)로 인한 노후생활 안정감이 높으면 ‘기대감 증가형’이나 ‘기대감 유지형’에 속하라 확률이 높았다. 각 집단의 삶의 만족도를 비교한 결과, ‘기대감 감소형’ 집단은 삶의 만족도 평균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건강이나 경제 상태, 상대적인 삶의 질과 같은 객관적 삶의 만족도는 ‘김대감 증가형’ 집단의 평균이 가장 낮았지만, 자녀와의 관계와 같은 주관적 삶의 만족도는 ‘기대감 유지형’ 집단의 평균이 낮았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과 정책적 제언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후보

        사회적 기업의 인적자원관리시스템과 사회ㆍ경제적 가치 균형성의 관계에서 사회적 기업가 정신과 금전적 인센티브의 조절된 매개효과

        김종현 ( Jonghyun Kim ),홍소정 ( Sojung Hong ),이윤수 ( Yunsoo Lee ) 고려대학교 HRD정책연구소 2021 휴먼웨어 연구 Vol.4 No.2

        본 연구는 인적 자원 관리 관점에서 사회적 기업의 지속 가능성을 담보하기 위해 경제적 가치와 사회적 가치를 균형 있게 추구하는 데 있어 어떤 요인들이 구축될 필요가 있는지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20 사회성과 인센티브 기업 서베이’ 자료를 활용하여 사회적 기업의 인적자원관리시스템과 사회적 가치 및 재무성과 방향성의 관계에서 사회적 기업가 정신(혁신성/진취성/위험 감수성)과 금전적 인센티브의 조절된 매개 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사회적 기업의 인적 자원관리시스템은 사회적 기업가 정신과 정(+)적 관계를 나타냈으며 금전적 인센티브에 대한 인식은 혁신성, 진취성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사회적 기업가 정신은 사회적 기업의 인적자원 관리시스템과 사회ㆍ경제적 가치 균형의 관계를 완전 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인센티브와 진취성의 조절된 매개 효과는 유의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사회적 기업의 사회적ㆍ경제적 가치의 균형에 대해 시사점을 논의하고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analyze the factors that related to the balance of economic and social values to ensure the sustainability of social enterprises from the human resource management perspective. Using the 2020 Social Performance Incentive Company Survey data, we estimated the moderated mediation of social entrepreneurship and financial incentiv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resource management system and social and economic value balance. The result showed that the effect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system on entrepreneurship was positively significant. Financial incentives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entrepreneurship except for risk sensitivity. Social entrepreneurship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uman resource management system and the balance of social and economic values. Finally,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incentives and progressive spirit was significant. Based on the findings, implications for the balance of social and economic values of social enterprises were discussed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presented.

      • KCI등재

        개인-직무 적합성이 객관적 및 주관적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 성별 비교

        이재영(Jae Young Lee),홍소정(Sojung Hong),이윤수(Yunsoo L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2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청년 취업자의 개인-직무 적합성이 객관적⋅주관적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에서 성별 차이를 분석하는 데 있다. 방법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한국고용정보원에서 수집한 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GOMS) 2017년 자료를 활용하였고, 만 35세 미만의 청년 재직자 중에서 근로시간 형태가 전일제이고, 상용직 근로자라고 응답한 임금근로자 9,640명(여자 4,092명, 남자 5,548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직업 적응 이론(The theory of work adjustment) 및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개인-직무 적합성으로 적성, 교육수준, 기술수준과 현재 직무수준과의 일치 정도를 활용하였고, 추가적으로 주전공과 복수전공이 직무와 일치하는 정도도 고려하였다. 객관적 경력성공을 측정하기 위해 임금 데이터를 사용했고, 주관적 경력성공을 측정하기 위해 직무 만족도를 사용했다. 결과 성별에 따른 다집단 경로 분석 결과, 개인-직무 적합성은 주관적 경력성공과 관련이 있었다. 남여 집단 모두 적성 일치 정도가 주관적 경력성공과 관련이 있었고, 교육수준 일치 정도는 여자 집단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했으며, 기술수준 일치 정도는 두 집단 모두에서 유의하지 않았다. 한편, 남자 집단에서는 복수전공 일치 정도가 객관적 경력성공과, 주전공 일치 정도는 주관적 경력성공과 관련이 있었으나 여자 집단에서는 주전공 일치 정도가 객관적 경력성공과 관련이 있었다. 결론 본 연구는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경력 초기에 해당하는 청년 재직자의 개인-직무 적합성과 경력성공의 관계, 남성과 여성의 차이에 대해 이론적⋅실천적 시사점에 대해 논의했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gender differenc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person fit and objective and subjective career success of youth employees. Methods Using the 2017 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GOMS) data collected by the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9,640 wage workers (4,092 women, 5,548 men) were analyzed. Based on the theory of work adjustment and previous research, the present study utilized aptitude, education level, skill level, and major fit as job-person fit. Wage data were used to measure objective career success, and job satisfaction was used to measure subjective career success. Results Multi-group path analysis showed that aptitude fit was related to subjective career success in both male and female groups while education level fit was associated with subjective career success only in the female group. Skill level f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both groups. On the other hand, in the male group, the double major fit was related to objective career success, and the major fit was related to subjective career success. Conclusion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present study provided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in the career development field.

      • KCI등재

        기업 내 여성관리자의 직무 스트레스 유형에 따른 잠재프로파일 분석

        박선미 ( Park¸ Sun Mi ),홍소정 ( Sojung¸ Hong ),송영수 ( Song¸ Young Soo ) 한국경영공학회 2023 한국경영공학회지 Vol.28 No.3

        Purpose This study analyzed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job stress profiles of women managers and compared each profile characteristics. Methods We conducted a latent profile analysis on 1,464 women managers in the 7th survey of the Korean Women Manager Panel. Results Four profiles were delineat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job stress experienced by women managers: 1) Low Stress, 2) Medium Stress, 3) High Workload and Competition Stress, and 4) High Job Fit Stress. Among the influencing factors on job stress profiles, individual elements such as work-family conflict and leadership competence, and organizational factors such as perceived supervisor suppor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were identified as significant. In addition, the outcome variables of career aspiration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life satisfaction showed notable differences across these profiles. Conclusion Based on these findings, we discussed how to manage individual job stress among women managers based on different types of job stress and explored alternative approaches to increase both work and life satisfaction.

      • KCI등재

        대학 교원의 학생평가 유형에 대한 잠재 프로파일 분석

        주재홍(Jaehong Joo),주라헬(Rachel Ju),홍소정(Sojung Hong) 사단법인 대학교육개발센터협의회 2024 대학 교수-학습 연구 Vol.1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 교원이 선호하는 학생평가 방법을 유형화하고, 하위 잠재 집단 간의 차이를 탐색하여 수업 질 제고를 위한 방안을 도출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한국교육개발원에서 2022년에 실시한 대학 교수·학습 과정에 관한 교수 설문조사(National Assessment of Faculty Engagement in Teaching; NAFET)에 응답한 5,213명의 교원 데이터를 활용해 인간중심 접근 방법인 잠재 프로파일 분석을 실시하여 교원의 학생평가 양상을 살펴보았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원의 학생평가 양상에 따라 ‘지필평가 지양형’, ‘전통적 평가 지향형’, ‘전반적 학생평가 경시형’, ‘협력 중심 평가 지향형’, ‘개인 작성 평가 지향형’, ‘다면평가 지향형’의 6개 프로파일이 유의하게 식별되었다. 둘째, 본 프로파일을 예측하는 요인은 대학의 연구 및 교수학습 지원, 학과의 교육 과정 및 시스템, 교원의 연구 및 교수학습 지향성 모두 교원이 특정 프로파일에 속할 확률에 대해 유의한 효과를 가졌다. 특히 예측 요인에 대한 교원의 인식 수준이 높을수록 다양한 학생평가를 활용하는 집단에 속할 확률이 유의하게 높았다. 마지막으로, 프로파일별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선정한 학습자의 학업 역량에 대한 인식, 동료 교원의 인정, 그리고 교원의 학과 적합성 수준은 일부 집단에 한하여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수업 질 제고를 위한 교원, 학과 및 학교 차원의 역할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으며, 연구의 한계점과 후속 연구 방향성에 대하여 제언하였다. This study aims to classify the student assessment styles preferred by university faculty and explore differences between sub-potential groups to derive interventions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instruction. This study examined faculty’s student assessment styles by conducting latent profile analysis using data from 5,213 respondents to the National Assessment of Faculty Engagement in Teaching in 2022. The main analysis yield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six profiles were significantly identified based on faculty’s student assessment styles. Second, the university’s research support and teaching and learning support, the department’s curriculum and system, and the faculty’s research orientation and teaching and learning orientation was significantly influenced to the probability of belonging to each profile. In particular, a higher awareness of predictive factors increased the likelihood of belonging to a group employing various student assessment. Finally, there were differences in perception of learners’ academic competency, recognition by co-faculties, and the perception of department fit when examining differences by the each profile. Based on these results, we derived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roles of faculty, departments, and university institutions in improving instructional quality. We also discussed the research limitations and directions for further resear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