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세계금융위기와 시민참여

        이윤수(Yunsoo Lee) 연세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21 社會科學論集 Vol.52 No.1

        불만이론(Grievance theory)과 자원이론(Resource theory)은 금융위기와 시민참여 사이의 관계를 다르게 예측한다. 본 논문은 이러한 이론의 상이한 예측에 기반하여 금융위기가 시민참여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분석했다. 유럽사회조사(The European Social Study)를 토대로 이중차분 회귀분석을 한 결과, 금융위기는 시민참여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었음을 확인하였다. 그런데 시민참여를 다양한 종류로 나누어 분석했더니 다른 결과도 도출되었다. 우선 금융위기는 투표행위와 정치인에게 연락하는 참여는 감소시켰다. 반면에 시위에 나서고 청원을 하는 참여는 증가시켰다. 이 결과는 금융위기가 시민참여의 방법에 따라서 다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는 불만이론과 자원이론이 동시에 시민참여를 설명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전형적인 시민참여에는 자원이론이, 비전형적인 시민참여에는 불만이론이 더 적합한 이론적 설명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Grievance and resource theory of participation offer the contrasting predictions on the relations between the Great Recession and citizen participation. However, limited attention has been directed toward the links between the Great Recession and citizen participation. In order to resolve the conflicting prediction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Great Recession and citizen participation. A difference-in-differences analysis from the European Social Survey shows that the Great Recession had a negative impact on citizen participation. Disentangling overall participation, the Great Recession decreased the likelihood of voting and contacting politicians. On the contrary, it increased the probability of attending a demonstration and signing a petition.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association between the Great Recession and citizen participation is contingent upon several specific ways of participation. These results are robust across alternative time length.

      • KCI등재

        직무 재창조가 객관적.주관적 직무 성과에 미치는 영향: 밀레니얼 세대와 기성세대 영업 관리자 간 집단 비교를 중심으로

        이윤수(Lee Yunsoo),이영주(Youngju Lee),조대연(Cho Daeyeon) 한국기업교육학회 2020 기업교육과인재연구 Vol.2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직무 재창조 이론에 기반을 두고 영업 관리자의 직무 재창조가 객관적⋅주관적 직무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밀레니얼 세대와 기성세대 간의 차이를 분석하는 데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A보험사의 영업 관리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총 198명(밀레니얼 세대 관리자 121명, 기성세대 관리자 77명)의 응답을 수집하였다. 설문에 응답한 영업 관리자의 객관적 직무 성과는 지점 목표비 달성률을 활용하였고, 구조 방정식 모형과 다집단 분석이 실시되었다. 구조 방정식 모형 분석 결과, 과업 재창조와 인지 재창조는 주관적 직무 성과와 정(+)적인 관련이 있었다. 다집단 분석 결과, 관계 재창조가 주관적 직무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서 밀레니얼 세대와 기성세대 간의 차이가 발견되었다. 본 연구는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직무 재창조와 직무 성과 간의 관계, 밀레니얼 세대와 기성세대의 차이에 대해 HRD 관점에서 이론적⋅실천적 시사점에 대해 논의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job crafting on objective and subjective job performance of sales managers based on the job crafting theory and to analyze the difference between millennial and old generation. This study surveyed sales managers of A insurance company and collected 198 responses (121 millennial managers and 77 old generation managers). As the objective job performance of the sales managers, the sales target achievement rate of the branch was utilized, an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 and multi-group analysis were conducted. The result of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 showed that task and cognitive crafting were positively related to subjective job performance. The result of the multi-group analysis showe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millennial and old generation in the effect of relational crafting on subjective job performance.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discussed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rom the HRD perspectiv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crafting and job performance, and the differences between millennial and old generation.

      • KCI등재

        다층모형을 활용한 고등학생 진로교육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이윤수(Yunsoo Lee),이재영(Jae Young L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3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 진로교육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는 데 있다. 방법 2019년 진로교육 현황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고등학생들의 진로교육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학생 수준과 학교 수준의 요인을 분석하였다. 다층모형을 적용하여 학생 수준의 요인으로 자기인식,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 도전정신, 학습동기, 부모와의 관계를, 학교 수준 요인으로 지역사회 협력, 관리자 지원, 진로전담교사 실행도, 진로교육 예산이 진로교육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결과 400개 고등학교에서 학생 8,365명, 400명의 관리자 및 진로지도교사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학교 수준에서는 진로교육 예산이 진로교육 만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고, 학생 수준에서는 자기인식,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 도전정신, 부모와 의 관계 모두 진로교육 만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고등학생 진로교육 만족을 높이기 위한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student and school-level factors that influence high school students’ career education satisfaction using 2019 career education survey data. Methods Based on a multi-level model, self-awareness, self-directed learning, challenge spirit, learning motivation, and relation with parents were considered as student level factors, and community support, supervisor support, career teachers ability, and career education budget were considered as school-level factors. Data from 8,365 students and 400 supervisors and career teachers in 400 high schools were analyzed.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career education budget at the school level had a positive effect on career education satisfaction. At the student level, all the variables (i.e., self-awareness, self-directed learning, challenging spirit, and relation with parents) had a positive effect on career education satisfaction. Conclusions In order to enhance high school students’ career education satisfaction, several practic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 KCI등재

        라클로의 에세 『여성교육에 대하여』로 비추어 본 『위험한 관계』에서의 여성 문제

        이윤수 ( Lee Yunsoo ) 한국불어불문학회 2019 불어불문학연구 Vol.0 No.120

        Quelques mois après le succès eclatant des Liaisons, Laclos ecrit en 1783 un essai assez court, en reponse à la question proposee par l’Academie de Châlons-sur-Marne : « Quels seraient les meilleurs moyens de perfectionner l’education des femmes ? ». Laclos tranche ainsi : « il n’est aucun moyen de perfectionner l’education des femmes ». Peu après dans la même annee, il ecrit Des femmes et de leur education dont les idees rejoignent celles de Rousseau. Il nous est apparu que ces essais sont une interpretation du roman et reflètent la pensee du romancier envers les femmes et leur education. Après avoir examine plusieurs aspects, nous sommes parvenus à une conclusion allant dans le sens de la critique de Roger Vailland qui resume bien les idees de Laclos : « La femme est naturellement l’egale de l’homme. Mais toute femme est esclave. La femme, comme tout esclave, substitue l’adresse à la force. Mais la femme peut se liberer ». Le roman de Laclos demontre cette proposition dans une societe assez cruelle pour les femmes et qui tend à les mener à l’echec. Cela n’empêche toutefois pas les femmes de garder l’espoir d’un progrès, d’une amelioration de leur condition. On en conclut que Les Liaisons dangereuses sont un champ d’experimentation de la theorie de Laclos. 1782년에 출간된 『위험한 관계』가 커다란 성공을 거둔 지 얼마 지나지 않아 작가 라클로는 짧은 에세를 쓴다. 이는 1783년 샬롱 쉬르 마른(Châlons-sur-Marne) 아카데미에서 제안된, “여성들의 교육을 완성하는 최선의 방법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라는 질문에 대한 작가의 논설이다. 이 글에서 라클로는 단숨에 “여성들의 교육을 완성시키는 방법은 없다”라고 단언해버린다. 같은 해에 라클로는 또 『여성들과 여성교육에 대하여』라는 글을 쓰는데, 여기에서는 루소의 『사회계약론』이나 『에밀』을 환기시키는 명제들을 제시한다. 우리는 혁명적 정신을 보이는 듯했지만, 결국 시대의 사상에 합류한 이 짧은 에세들이 여성과 여성교육에 대한 작가의 사상을 반영하는 한편, 『위험한 관계』에 대한 해석도 제시한다고 가정해보았다. 소설에 제시된 여성과 관련된 다양한 면모들을 이 에세들의 구절들과 견주어 보면서, 우리는 라클로의 생각들을 잘 요약한 비평가 로제 바이앙의 의견에 동의하기에 이르렀다. “여성은 본성적으로 남성과 동등하다. 그러나 모든 여성은 노예이다. 노예들이 다 그렇듯이, 여성은 힘 대신 기교나 재치를 쓰고자 한다. 그렇지만, 여성은 스스로를 해방시킬 수 있다”. 라클로는 소설에서 여성들에게는 상당히 가혹해 보일 수 있는 한 사교계를 등장시키고, 그 안에 이러한 명제를 대입시켜서 나온 결과, 즉 여성 등장인물들의 각각 다른 운명의 행보를 보여준다. 소설의 여성 등장인물들은 모두 비극을 맞이하지만, 그 안에는 여성 진보에 대한 가능성, 여성 조건의 향상에 대한 희망이 들어 있다. 소설 『위험한 관계』는 라클로가 가진 이러한 사상을 실현한 실험의 장으로도 간주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조직학습 역량구축요인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윤수(Lee Yunsoo),최명빈(Choi Myungbin),조대연(Cho Daeyeon),이경수(Lee Kyungsu) 한국기업교육학회 2019 기업교육과인재연구 Vol.21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건설사 구성원의 조직학습 역량구축요인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건설사 현장 조직과 본사 조직 간의 차이를 고려하여 두 집단 간의 차이를 분석하는 데 있다. 문헌 분석을 통해 본 연구는 조직학습 역량구축요인과 혁신행동의 관계를 검토하고 관련된 가설을 설정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는 D 건설사 구성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총 357명(현장 직원 151명, 본사 직원 149명)의 응답을 수집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구조방정식모형, 다집단 분석, 잠재평균분석이 실시되었다. 구조방정식모형 분석 결과, 공유된 비전과 협력, 참여적 의사결정은 혁신행동과 정(+)적인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집단 분석 결과, 구조방정식 결과에서 현장 직원과 본사 직원 간 차이가 없었다. 잠재평균분석 결과에서 현장 직원보다 본사 직원이 모든 변수에서 낮은 점수를 보였으나 그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건설사의 특성을 고려하여 조직학습 역량구축요인이 혁신행동의 선행변수로 역할을 하고, 특히 HRD 분야 내에서 그 중요성이 강조되어야 함을 논의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learning capacity on innovative behavior and analyze the difference between the construction site and headquarter staffs, taking into account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Through a literature review,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learning capacity and innovative behavior and established relevant hypotheses. We surveyed the members of D construction company and collected responses from 357 people (151 construction site staffs and 149 head office staff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multi-group analysis, and latent mean analysis were performed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s. The result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howed that shared vision and cooperation and participatory decision-making were positively related to innovative behavior. The result of the multi-group analysis showed that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found in the results of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Finally, in the result of the latent mean analysis, the head office staffs showed lower scores in all variables than the construction site staffs, but the latent mean difference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Based on these result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construction companies, this study discussed the importance of organizational learning capacity, as an antecedent of innovative behavior, should be emphasized in the field of HRD.

      • KCI등재

        고용불안정성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종사상 지위와 인식된 고용불안정성의 구분을 중심으로

        이윤수 ( Yunsoo Lee ) 서울대학교 한국행정연구소 2020 行政論叢 Vol.58 No.4

        근래 불안정한 고용상태로 인해 정신적으로 어려움을 겪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악화된 고용불안은 정신적인 스트레스를 증대시켜 사회적 병리 현상을 일으킬 수 있다. 이러한 중요성으로 인하여 고용불안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많은 연구가 있었다. 하지만 아직 인식된 고용불안정성과 종사상 지위에 따른 고용불안정성이 각각 정신건강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살펴본 연구는 없었다. 이 두 종류의 고용불안정성은 공통점도 있지만, 차이점도 있다. 그래서 상이한 고용불안의 정신건강에 대한 영향을 따로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논문은 ‘종사상, 인식된 고용불안정성이 정신건강(자신감, 우울증)에 각각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라는 연구 문제를 <근로환경조사 2014>을 통해 실증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인식된 고용불안은 자신감을 약화시켰고 우울증을 심화시켰다. 반면, 종사상 지위에 따른 고용불안은 정신건강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못했다. 본 결과를 토대로 정책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Insecure employment conditions are leading to growing numbers of people suffering mentally. Decreased job security can increase mental stress and, in turn, might create social pathologies. Previous literature has demonstrated that job insecurity negatively affects mental health. However, little research has assessed the differential effects of occupational status and perceived job insecurity on mental health. Occupational status insecurity and perceived job insecurity share similarities but have differences as well. Therefore, it is worth analyzing the influence of the two kinds of job insecurity separately.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nalyze the impact of job insecurity on psychological health (self-confidence and depression) using < The Fourth Korean Working Conditions Survey >. Perceived job insecurity leads to a reduction in self-confidence and an increase in depression. In contrast, occupational status job insecurity is not associated with self-confidence and depression. This study discusses theoretical contributions and policy implications from the empirical findings.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