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Properties of $MgB_2$ Intragrain Nanobridges

        홍성학,이순걸,성원경,강원남,김동호,김영국,정국채,Hong, Sung-Hak,Lee, Soon-Gul,Seong, Won-Kyung,Kang, Won-Nam,Kim, Dong-Ho,Kim, Young-Kuk,Chung, Kook-Chae The Korean Superconductivity Society 2009 Progress in superconductivity Vol.10 No.2

        Inter-grain nanobridges of the $MgB_2$ superconductor have been fabricated by focused-ion-beam(FIB) and their electrical transport properties were studied. The $MgB_2$ film was prepatterned into microbridges by a standard argon ion milling technique and then FIB-patterned into 100 nm$\times$100 nm bridges. Current-voltage characteristics showed a strong flux-flow type behavior at all temperatures with a trait of Josephson coupling near $T_c$. At low temperatures, the curves showed a two-step resistance-doubled transition with occasional hysteresis. The resistance-doubling transition is believed to be due to a two-channel flux-flow effect. The temperature-dependent critical current data showed $I_c(T){\propto}(1-T/T_c)^2$ near $T_c$, same as a normal barrier junction, and $I_c(T){\propto}(1-T/T_c)^{1.2}$ at low temperatures, similar to that of a film.

      • KCI등재

        강원지역 플라이스토세 퇴적층 분포 양상과 편년체계

        김주용(Ju-Yong KIM),홍성학(Seong-Hak HONG),박진우(Jin-Woo PARK),오근창(Keun-Chang OH) 한국구석기학회 2018 한국구석기학보 Vol.- No.37

        본 논문은 남한 강원권의 최종간빙기~최종빙기에 형성된 구석기 유적에서 발달하는 지질토층(Geosols)의 분포 양상과 석기 유물층의 편년을 고찰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으로서 강원권의 해안가, 하천 주변, 그리고 현무암 용암 대지 위에 발 달하는 4개 구석기 유적 연구사례를 집중 검토하였으며, 특히 토층매질 형성과 유물출토층의 편년체계를 다각도로 고찰하였다. 연구 결과 해안가의 구석기 유적과 하천주변의 단구면 위에 나타나는 다양한 퇴적층과 지질토층 형성시기는 후기의 침식작용으로 인해 단구면의 형성시기와 부합되지 않는 부정합적 맥락을 고려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임진-한탄강 유역의 현무암 대지 위에 발달하는 구석기 유적들은 용암이 흐른 시기가 이른 시기(약 50만 년 전)인지 나중 시기(약 10만 년 전) 인지 구분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 구석기 유적 발굴지점별로 부지 주변이나 퇴적층 하부에 분포하는 현무암질 용암에 대하여 별도의 연대측정을 실시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강원권 구석기 유적 형성과 고인류의 환경변화에 적응했던 양상 파악을 위해 토양층서 단위로서 지질토층에 대하여 다양한 지시자료의 사용도 고려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contemplate on the occurrence of Geosols and chronological framework of artefactual layers of the paleolithic sites in the Gangwon Province of South Korea. For the methods four paleolithic sites, encompassing sites developed near the coastal area, river bank area and on the basaltic lava plateau, were examplified, particularly focusing on mutidirectional reviewing of the matrix-forming processes and chronological system of the artefactual layers. As result firstly it is shown that geochronologically the boundary between soil-sedimentary deposits and terrace surface are to be considered in the context of unconformity-bounded strata due to post erosional process. Next as to the geochronological frame of the paleolithic sites of the Imjin-Hantan river basin, it has to be taken into consideration that each paleolithic excavation sites located directly on the early basaltic lava flow (ca 500ka) has to be distinguished from that of paleolithic sites developed above the later lava flows (ca 100ka); So it makes sense to indicate that chronological data is to be optimaly obtained either from the nearby basaltic flows or from lavas flows below the sedimentary deposits in the excavation sites. Lastly it can be important that multiproxy data has to be available for the Geosols , as working soil-stratigraphic units, in order to recognize the paleolithic site- formation process and hominin response and adaptation to the changing environments in the Gangwon Province.

      • KCI등재

        웅담, 저담, 우담의 이화학적 특성 비교 분석

        서명지 ( Myung-ji Seo ),이영상 ( Young-sang Lee ),이재원 ( Jae-won Lee ),안현주 ( Hyun-joo An ),류혜경 ( Hye-kyung Ryu ),김학규 ( Hak-kyu Kim ),홍성학 ( Seong-hak Hong ) 한국산업식품공학회 2016 산업 식품공학 Vol.20 No.4

        본 연구에서는 시판되고 있는 웅담 및 저담, 우담의 담즙산 및 지방산 조성 등의 이화학적 특성 분석과 유전자 분석을 통해 각 담즙을 구별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또한 이러한 이화학적 특성 분석을 통해 확보된 바이오마커를 바탕으로 국내에 수입되고 있는 웅담의 진위여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HPLC 기반의 담즙산 분석은 각 담즙산 유래에 따른 주요 담즙산의 차이는 향후 단일 시료 및 혼합 담즙산의 진위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바이오마커로 충분히 활용이 가능한 방법이라고 판단된다. GC 기반의 지방산 분석의 경우 단일 담즙산의 진위여부는 확인이 가능하나 혼합 시료의 경우에는 정확한 담즙의 유래를 판단하기 곤란하였다. DPPH에 의한 전자공여능 분석을 통해 각 담즙 시료들의 항산화 활성을 측정한 결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향후 DPPH 이외의 다양한 항산화활성 분석을 통해 담즙 구별을 위한 바이오마커로 적용이 가능하도록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마지막으로 유전자 분석을 수행한 결과 GC 기반의 지방산 조성 분석과 마찬가지로 단일 담즙산 시료의 경우에는 확인이 가능하나 혼합 시료의 경우 저담의 혼합 여부를 추가적으로 증빙할 수는 없었다. 따라서 혼합 시료의 경우에는 담즙산 분석 결과를 뒷받침할 수 있는 추가적인 분석 방법에 대한 연구가 향후 수행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지금까지 국내에서는 각종 동물의 담즙 조성과 함량을 분석한 연구결과가 희박하여 시중에 유통되는 담즙의 종류를 확인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하지만 상기 연구를 통해 HPLC 기반의 담즙산 분석 및 GC 기반의 지방산 조성 분석 그리고 유전자 분석을 통해 1개의 혼합 시료를 제외하고 대부분의 시료에서 담즙의 종류를 판단할 수 있었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국내에 수입되는 웅담 시료를 분석한 결과 웅담이 아닌 다른 종류의 단일 동물 유래 담즙 또는 웅담과 혼합된 형태의 담즙으로 확인되어 국내에서도 비정상적인 담즙이 유통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향후 국내에 유통되고 있는 웅담의 진위여부를 확인하여 담즙의 불법유통 방지 및 식품의 안전관리에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bear, pig, and cow biles to determine their authenticities for safe food distribution. The main bile acids of bear bile were tauroursodeoxycholic acid and taurochenodeoxycholic acid, while glycochenodeoxycholic acid and taurochenodeoxycholic acid for pig bile and taurocholic acid and glycocholic acid for cow bile were majorly detected by HPLC analysis. HPLC analysis was effective in monitoring of several samples imported as bear bile if employed to determine the authenticity of each bile. After the analysis of fatty acid composition by GC analysis, the ratio of the oleic acid of bear bile was relatively low compared to pig and cow biles. The ratio of the linoleic acid of bear bile was also similar to pig bile, whereas it had a tendency to be high compared to cow bear. The genetic analysis of the imported bile samples was mostly in agreement with the results of HPLC and GC analysis to identify the origin of imported biles. Finally, this study on the identification of bile origin by physicochemical analysis can give basic information to monitor the origin of biles and further to establish a reliable system for bear bile distribu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