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000년 이후 한국과 일본 구석기 연구의 이슈와 성과

        이기길(Gi-Kil Lee) 한국구석기학회 2021 한국구석기학보 Vol.- No.44

        2000년 이후 한국과 일본의 구석기 연구에서 중요한 변화가 두드러진다. 한국에서는 1990년대 이후 활발해진 유적 조사를 통해 축적된 풍부한 고고 자료를 바탕으로 구석기 유적과 석기군의 이해 및 편년에 진전이 있었다. 나아가 기존의 방식뿐 아니라 원산지 분석 같은 새로운 방법을 적용해 연구하고, 그 결과를 한·일간 교류를 포함하여 현생인류의 확산과 행위 등의 새로운 관점에서 해석하여 적잖은 성과를 거두었다. 특히 2013년에 발간된 ‘한국고고학전문사전 –구석기시대 편-’은 50년 구석기고고학사에서 획기적인 이정표로 평가된다. 한편, 일본에서는 전·중기구석기 날조 사건으로 인해 구석기시대의 인류 거주는 약 4만 년 전부터 시작되었다는 견해가 정설로 자리 잡게 되었다. 이후 일본학계는 2010년부터 “네안델탈인에서 현생인류로의 교체극”과 “팔레오아시아 문화사학”이란 제목으로 현생인류에 대한 종합적인 연구를 10년간 수행하였고, 현생인류의 행위, 후기구석기 초기의 양상을 주제로 아시아구석기학회를 개최하며 날조 사건 이후 새 길을 적극 모색하였다. 또한 일본열도의 구석기문화와 주민의 형성을 규명하기 위해 인접한 한국의 구석기 연구 성과에도 큰 관심을 기울였다. Significant achievements have been accumulated in Paleolithic studies of Korea and Japan since 2000. In Korea, abundant archaeological data accumulated by active surveys after the 1990s have been analysed with new methods including identification of the origin sources, and the results have been interpreted from a new perspective on the movement and behaviors of Modern Human, including Korea-Japan cultural exchanges. Besides, fairly progress was made in establishing the Paleolithic chronology and in investigating the features of lithic assemblages. Futhermore, the Korean Paleolithic Dictionary, published in 2013, is considered an outstanding milestone. Due to the hoax of Early and Middle Paleolithic, the view that human occupation was started after ca. 40,000 years become a prevalent view in Japan. From 2010, the Japanese academic society has conducted comprehensive researches on Modern Human such as “Replacement of Neanderthals by Modern Humans” and “Cultural History of PaleoAsia” for 10 years. And the Japanese Paleolithic Research Association held the annual meeting of the Asian Paleolithic Association on the subject regarding the Modern Human behavior and the Initial Upper Paleolithic. In addition, in order to investigate the arrival of Modern Human and relation with that of Korean Peninsula, various efforts were paid to know the accomplishments of the Paleolithic research in Korea.

      • KCI등재

        일제강점기에 있어 한국 구석기시대의 인식

        한창균 한국구석기학회 2014 한국구석기학보 Vol.- No.29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period, the term, the Paleolithic Age, was introduced and established in the 1920s. The understanding of the therm was remaining in the basic level in Korea; but mass media published in the 1920s, which included newspapers and magazines, gradually introduced the concept that this term implied to the public. Although there was no journal systematically dealt with paleoanthropology and paleolithic archaeology that had been developed in the West, articles that discussed the relation between the Quaternary and the Paleolithic Age, the age classification and development stage of the Paleolithic Age, the technique of chopped stone tools manufacture, the Paleolithic funerals and arts, the glacial epoch, and the climatic and natural environment changes were sporadically contained in mass media. Although these were articles for illuminating the public rather than academic articles, these papers had an important role to extend the scope of recognition on the Paleolithic Age. In the 1930s, a few Korean scholars disputed the existence of the Paleolithic Age in ancient Korea for corroborating the characteristics and transition patterns of primitive societies in Korea. However, their works were not producing the significant results, because of the deficiency of archaeological evidence for proving the existence of the Paleolithic Age in Korea. On the other hand, a few scholars attempted to prove the Paleolithic culture in Korea based on artefacts uncovered at the Donggwanjin site excavated in the mid-1930s. However, remains at the Donggwanjin site were evaluated not archaeological materials in the early 1940s. This view had influenced on Korean scholars since 1945 when Korea was libereated from Japan. This colonial legacy was overcome from the 1960s when the Jangdeok-ri, Gulpo-ri, and Seokjang-ri sites were excavated. 일제강점기에 있어 구석기시대라는 용어가 한국에 수용 및 정착하기 시작한 것은 1920년대부터라고 말할 수 있다. 비록 초보적인 수준이었지만, 이 용어가 내포하고 있는 개념은 1920년대에 발행된 대중 언론 매체(신문, 잡지 등)을 통하여 점진적으로 소개되었다. 고인류학 또는 구석기고고학에 대한 서구의 근대적인 학술 정보를 체계적으로 담고 있는 국내 간행물은 당시에 전무한 형편이었으나, 제4기와 구석기시대의 관계, 구석기시대의 시기 구분과 발전 단계, 뗀석기의 제작 기법, 구석기시대의 매장 행위와 미술, 빙하기와 자연환경의 변화 등을 언급한 글들이 언론 매체에 의하여 단편적으로 알려졌다. 학술적이라기보다 지식의 대중화라는 계몽적 성향이 짙었지만, 이를 통하여 구석기시대에 관한 인식의 범위가 조금씩 확대되어 나아갔던 것으로 보인다. 1930년대에는 한국 구석기시대의 존재 여부에 대한 논쟁이 한국 학자들 사이에서 야기되었다. 그것은 한국 원시사회의 성격과 변화 과정을 규명하려는 작업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었다. 그러나 한국 구석기시대의 존재를 구체적으로 확증할 수 있는 고고학 자료의 부재로 인하여, 그 논쟁은 뚜렷한 성과를 내지 못한 상태에 머물러 있었다. 다른 한편에서는 1930년대 중반 동관진 유적에서 발굴된 유물에 근거하여, 한국에 구석기시대가 존재한다는 사실을 입증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졌다. 1940년대 초, 동관진 출토 유물에 대한 부정적인 평가가 내려진 이후, 동관진 유적에 대한 그와 같은 비판적인 관점은 해방 이후에도 한 동안 한국 학자들에게 적지 않은 영향을 주었다. 1960년대 초반에 이루어진 장덕리, 굴포리, 석장리 유적 등의 발굴 성과는 그러한 식민지적 잔재를 극복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 KCI등재

        석장리 구석기유적 발굴의 학사적 의의

        한창균(Chang-gyun Han) 한국구석기학회 2015 한국구석기학보 Vol.- No.31

        1960년대 전반은 한국의 구석기고고학 연구에서 새로운 전환점이 이룩된 시기였다. 장덕리유적의 토탄층에서 출토한 털코끼리 화석을 비롯하여, 굴포리유적과 석장리유적의 고토양층에서 드러난 석기는 한국에 구석기 유적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분명하게 입증하는 계기가 되었다. 그동안 석장리 구석기유적에서 얻은 발굴 성과는 한국 구석기문화의 전개 과정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었다. 반면에 유적의 형성 시기, 문화층의 연대 설정, 집자리의 성격, 석기의 분류 체계 등에 관해서는 아직도 논의가 지속되고 있다. 한편, 특히 1964~1973년까지 10 년 동안, 석장리유적에서 이루어진 다양한 연구 방법은 한국의 구석기유적을 자연과학적인 측면에서 접근하는데 크게 이바지하였다. 예를 들어, 생태유물을 대상으로 한 토양의 체분석과 산도 측정, 꽃가루 분석, 나무 숯의 수종 분석, 방사성탄소연대측정법 등과 같은 일련의 자연과학 방법은 한국의 구석기고고학 연구에서 고고과학의 기초를 확립하는데 밑거름이 되었다고 말할 수 있다. 조사 현장과 실험실에서 이루어진 자연과학 방법의 응용과 더불어, 발굴 방법, 유물의 공간 분포 분석과 그에 따른 생활상 복원, 철저한 현장 기록과 체계적인 유물 정리, 구석기 관계 용어의 한글화 작업은 한국 선사고고학의 발달사에 있어 석장리 구석기유적의 발굴이 학사적인 관점에서 중요한 의의가 있음을 보여준다. The Korean Paleolithic study had a turning point in the early 1960s. In addition to mammoth fossils found in peat layers at the Jangdeok-ri site, lithic materials revealed in paleosol deposits at the Gulpo-ri site and the Seokjang-ri site provided definite evidences for corroborating the existence of the Paleolithic Age in Korea. The achievements from excavations at the Seokjang-ri site provided important materials for understanding development process of the Korean Paleolithic culture. However, researchers have been debating several important issues related to this site, such as the absolute date that the site formed, the chronology of cultural layers, the characteristics of dwellings, and the classifications of excavated lithics. On the other hand, particularly, various research and analytic methods, which was adopted in this site for ten years in 1964-1973, significantly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scientific approaches to the Korean Paleolithic sites. For example, scientific methods that had been conducted in this site to analyze ecofacts, which include sieve analysis, pH test, pollen analysis, charcoal identification, and radiocarbon dating etc., paved the way for establishing the foundation of archaeological science in Korean Paleolithic study. In addition to the application of scientific methods carried out in fields and laboratories, academic achievements of this site including the establishment of excavation methods, the reconstruction of living conditions based on spatial distribution patterns of artifacts, the making of detailed field notes, the systematic arrangement of artifacts, and the translation of foreign terms in Paleolithic archaeology to Korean clearly show the significance of excavations of the Seokjang-ri site in the development history of the Korean prehistoric archaeology.

      • KCI등재

        우리나라 후기구석기문화 ‘공존모델’의 특징과 문화복잡성 연구

        이헌종(Lee, Heon-jong) 한국구석기학회 2015 한국구석기학보 Vol.- No.32

        The flake tool industry with heavy weight tools, based on the Pebble Tool tradition from the Middle Paleolithic and the blade tool industry co-existed around 40ka. Main artifacts are persisted such as pebble tools. However technological features had changed more delicate flaking and retouching for making not only heavy weight tools but flake tools. Preparation of cores are also more advanced such as preparation of striking platform, rejuvenating process on the frontal part and corner of striking platform of cores for the more elongated flakes. On the technological contexts, it is suggested that the blade technology had given strong influence on the technological choices of the pebble-tool makers. And, flake tool industry characterized by the various flake tool assemblage which adopted the new lithic raw material and flaking technique has appeared. Around 40ka the blade tool industry was settled in Korea, and this made it spread into the Korean Peninsula until 15ka. and Microblade Culture had been gradually started from 25,000 B.P. and continued to the beginning of Neolithic. After the 15ka bifacial leaf shaped spear head and arrow head were an important stone tools to designate its time. Otherwise microlizational cognition of microblade industry has an effect to appear unique type small flake tool industry such as Hwajeongdong site. Therefore four Culture Lines shows the complexity reacting various cultural elements from around 45ka B.C. to the end of Upper Paleolithic in Korea. Especially There are three cultural lines during 40ka-25ka B.C. and whole lines co-existed during 25-15ka B.C. According to this situation Korean Upper Paleolithic should not interpreted by unilinear evolutionism. Four culture line was coexisted each time ranges and partially there are possible to exist technological hybridization between the industries. Korean Upper Paleolithic has variation through the concept coexistence model based on the period and cultural complexity system. 우리나라의 후기구석기시대에는 중기구석기시대 이래로 몸돌석기를 포함한 격지석기전통이 지속되는 상황에서 40ka 전후에 돌날석기를 기반한 후기구석기시대 문화가 공존하기 시작하였다. 돌날석기문화는 2단계를 거쳐 후기구석기시대의 최말기에 이르기까지 지속되었다. 한편 몸돌석기를 포함한 격지석기전통의 유적들의 일부는 돌날석기문화의 영향을 받아 또 다른 형태의 후기구석기시대 문화의 한 유형을 만들어 내었다. 자갈 돌석기전통의 석기문화에 종장격지를 생산하는 몸돌의 등장과 그 기술체계를 예로 들 수 있다. 돌날석기문화가 우리나라에 정착이 가능했던 것은 돌날의 기술체계의 적용이 가능한 석재 산지의 발견과 깊은 연관이 있으며, 수양개 VI지구는 그 대표적인 사례를 보여주는 유적이다. 돌날석기문화는 석재의 안정적 지원을 받는 곳에서는 다른 석기문화의 영향을 받지 않고 그 석기제작체계를 유지하였다. 한편 새로운 석재에 대한 인식은 격지석기 전통에도 영향을 주어 기존의 몸돌석기를 포함한 격지석기전통의 또 다른 갈래로 나타나게 되었다. 새로운 석재의 범위에는 항상 좋은 석재 뿐 아니라 육성암계 맥석영을 활용한 경우도 적지 않았다. 돌날석기문화가 후기 구석기시대 최말기까지 지속되고 있을 때 세형돌날문화의 한반도로의 이주가 25ka 전후에 있었고 우리나라 후기구석기시대를 넘어 초기 신석기시대까지 그 문화적 속성을 이어갔다. 한편 세형돌날문화의 소형화 인식은 격지석기를 다루는 인식에도 영향을 주어 화정동유적과 같은 독특한 유형의 격지석기들을 제작하는 경우도 나타 났다. 이와 같이 우리나라의 후기구석기문화는 단선적으로 해석할 수 없으며 네 문화갈래가 한반도 내에 공존 하며 석기문화 사이의 기술적 융합이 부분적이라도 이루어졌을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후기구석기 문화는 위의 시간적 공존모델과 문화복잡성의 관점에서 보아야 하는 다양성을 갖고 있다.

      • KCI등재

        석장리유적 발굴과 구석기고고학의 과제와 전망

        성춘택(Chuntaek Seong) 한국구석기학회 2015 한국구석기학보 Vol.- No.31

        이글은 석장리라는 중요한 구석기 유적을 통해 한국 구석기고고학을 학사적으로 조망한 것이다. 학사적인 시각을 통해 유적이 언제 조사되었는지를 확인하는 것에 머물지 않고, 연구의 시대적인 배경과 당시의 학문적인 패러다임을 궁구한다. 1964년 석장리 유적 발굴은 한국 고고학사의 획기적인 일이었으며, 이로써 연구 자료를 갖춘 구석기고고학이 출발하였다고 할 수 있다. 학사적으로는 이미 일제강점기부터 구석기시대에 대한 관심과 자료의 존재 가능성에 대한 적극적인 시각이 있었으며, 석장리 발굴이 지닌 의의 역시 그 연장선상에서 이해할 수 있다. 석장리 유적 발굴은 구석기고고학의 성장을 압축해서 보여주면서도 오늘날 연구자에게 많은 과제를 던져주기도 한다. 한국 구석기고고학에서는 유적의 자연 및 문화적인 형성과정에 대한 더 면밀한 검토가 필요하다. 그리고 고고학사와 이론의 발전에서 구석기고고학이 중심적인 역할을 하였음을 고려할 때 한국 구석기 고고학 역시 이론과 방법론에 더 깊은 관심을 가져야 한다. 특히 석기 및 유물군을 이해하는 데 자료를 남긴 수렵채집 사회에 대한 이론적이고 방법론적인 시각이 중요하다. 정지된 물적 자료로부터 역동적인 과거 인간행위에 대한 진술을 하고자 하는 고고학자에게 현존 수렵채집 사회에서 관찰되는 식생활과 이동, 공간 점유, 사회네 트워크와 관련된 패턴은 중요하고도 필수적인 도구이며, 이를 토대로 구석기고고학 관련 자료를 더 포괄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세부 편년을 세우고 수렵채집민의 이동성과 환경 변화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후기 구석 기시대 유적 점유의 역동성을 연구하는 데 더 많은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The present essay attempts to provide a historical overview of archaeological excavations at Seokjang-ri which began in 1964. While a disciplinary history may take a form in which a series of important events were chronicled, this essay emphasizes paradigmatic movements and sociopolitical settings in which a specific discovery was made and accepted by the scientific community. It is suggested that the discovery of Paleolithic materials and subsequent excavations can better be understood from the long history of interests in the Paleolithic from the early 20 th century. The excavation of the first Paleolithic site at Seokjang-ri in South Korea provided archaeologists tangible material evidence for the first time. Many issues still remain unsolved, however, and we need to critically evaluate the legacy of the Seokjang-ri excavation. Especially, natural and cultural site formation processes are need to be fully understood and carefully discussed in the archaeological reports and papers. Furthermore, understanding of hunter-gatherer society and behavioral patterns and diversity, such as subsistence economy, mobility, and social networks, is always a required tool for Paleolithic archaeologists who try to make sense out of static material remains. We also need to reconstruct and explain detailed chronology and occupational history during the Late Paleolithic.

      • KCI등재후보

        40,000 yBPを遡る遺跡は存在するのか?―日本列島における中期旧石器研究の現状と課題―

        島田和高 한국구석기학회 2010 한국구석기학보 Vol.- No.21

        2000년 "일본 전기·중기구석기 날조 사건"이 터진 이후, 일본에서 후기구석기 시대 이전에 대한 연구는 처음 연구가 시작되었던 1970년대 이전으로 거의 퇴보하였다. 이 논문에서, 본인은 연대 측정의 신뢰도 유사 석기, 석기 유물군의 형성에 관하여 몇몇 중기 구석기시대 유물군을 살펴 보았다. 이들은 새롭게 발굴되었거나, 2000년 이후에 일부 학자들이나 연구소에 의해서 재검토되고, 40,000BP 보다 앞서는 시기로 주장되었던 유적들이다. 그 결과, 이와테현 카네도리 유적의 Ⅳ문화층을 제외하고는, 이 논문에서 언급한 거의 대부분의 석기 유물군은 이들이 확실학 중기구석기시대에 속하다는 것을 입증하기에는 부족하였다. 그러나 칸토 평원에 있는 타치카와 롬층의 아래 부분에서, Ⅹ층 단계로 불리는 가장 오래된 석기 문화층이 발견되었으며, 약 30,000~35,000bp(비보정연대)로 연대 측정되었다. 이 단계는 높은 산악지대나 바닷가의 섬 지역 등 100km 이상 떨어진 외부 지역에서 가져오는 흑요석의 사용이 시작되는 때로, 후기 구석기시대의 시작을 알리는 징후 중 하나로 여겨질 수 있겠다. 동아시아 대륙을 거쳐서 일본 열도로 퍼져나간 현생 인류는 위에서 언급한 Ⅹ층 단계의 주체이다. 믿을만한 고곡학 자료를 근거로 하여, 저자는 후기구석기 시대의 현생인들이 성공적으로 이주해서 적응했던 것과는 반대로, 중기구석기 시대 유적들은, 미래의 학자들이 유적을 더 발견하게 되더라도, 그다지 성공적이지 않았던 몇 개의 이주 단계를 대표한다는 가설을 잠정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 KCI등재

        동북아시아 후기구석기시대 초기 현생인류의 등장과 확산기의 문화적 역동성 연구

        이헌종(Heon-Jong LEE) 한국구석기학회 2018 한국구석기학보 Vol.- No.38

        최근 동북아시아와 북아시아의 여러 지역에 분포하고 있는 후기구석기시대 초기(IUP) 현생인류의 증거는 다양한 연구와 논쟁으로 이어지고 있다. 기원지 논쟁에서 시베리아를 IUP 집단 확산의 출발점으로는 보는 견해와 IUP의 기원지는 중앙아시아로 볼 수 있으며, 인류의 장거리 이동의 결과물이라고 보는 견해가 주축을 이루고 있다. 알타이 지역의 르발루아 기술이 포함된 돌날석기제작기술의 초기의 특징은 ‘기원지 효과(origin effect)’의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다. 알타이지역에만 국한된 특징이라고 확정할 수는 없지만 적어도 이 지역에는 돌날문화의 기원지에서 나타나는 석기제작과정과 적응의 다양성을 보여주고 있다. 한편 만일 다른 지역을 IUP의 기원지로서의 특징을 규정하려면 그 일대에서 복합적인 기술체계가 나타나는지의 여부를 검증 하여야 할 것이다. 이러한 IUP의 특징은 동북아시아의 여러 지역으로 확산되었고, 각 지역의 석재와 생계자원의 특징에 따라 강한 지역성을 갖고 정착한 것으로 판단된다. 우리나라는 중기-후기 전환기에 자갈돌석기전통을 기반으로 하는 석기문화와 한반도로 이주한 돌날석기문화를 기반으로 하는 후기구석기시대 초기의 인류가 공존하였다. 그리고 자갈돌석기전통의 유적의 일부에서는 돌날석기문화의 기술체계를 부분적으로 수용하여 지역적 특성을 보여주고 있다. 한편 동북아시아의 일부 지역에 서는 현생인류의 이주에 앞서 각 지역에 점거하고 있던 인류의 석기문화는 르발루아기술과 돌날석기제작기술의 융합된 형태 와는 전혀 연관이 없는 지역적 특징을 갖고 있다. 하지만 이 석기문화는 시간적으로 전통적인 IUP 시기를 관통하고 있다. 이와 같이 동북아시아의 여러 지역에서 확인되는 다양한 문화상은 전통적인 IUP 개념으로 모두 설명되지 않는다. 따라서 아시아적 시각으로 이 시기를 통합적으로 설명하기 위해서는 아시아 각 지역의 특성을 반영한 중기-후기의 전환기와 후기구석기시대 초기의 문화상을 1) 유형 I: 전통적인 IUP지역, 2) 유형 II: IUP 융합지역, 3) 유형 III: 보수적 지역으로 나눈 ‘세 후기구석기초기 유형 모델(Three IUP Variants Model)’을 활용하는 것이 용이하다. 이 모델은 중기-후기 과도기에서 후기구석기시대의 시작 시기를 IUP로 설정하고 그 이후 현생인류의 문화상을 편년하는 것이 인류의 등장, 석기제작체계의 다양성과 융합과정 등을 체계적 으로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Various studies and arguments have been conducted on the modern men from the IUP spread in many regions in North and Northeast Asia. Among them, here are two major opinions; One is to define Siberia as the starting point of dispersal. The other is to define the origin of IUP as Central Asia, and the dispersal occurred as a result of long distance movement. The early characteristics of various blade tool making skills found in Altai show the features of “origin effect” very well. Though it may be too early to conclude that these features are limited to Altai region, there is no objection in such findings. To suggest other region as the origin of IUP, the technical complex of that region must be verified. Different industries of IUP was dispersed widely through Northeast Asia and each of them could be settled based on the local stone and resources for living. Meanwhile, the stone tool industry of previous humans before modern men in Northeast Asia had some regional characteristics that have no relation to the fusion of Levallois technique and blade tool producing technique but went through the traditional period of IUP. These several regions in Asian continent have abundant characteristics which cannot be explained by traditional IUP concepts any longer. Therefore, new IUP concepts should include the migration of humans and all formation process of regional industry of Upper Paleolithic through the transition of Middle to Upper Paleolithic and then be divided into different cultural areas and variants. If IUP concepts are defined from this perspective as a Three IUP Variants Model , it will be much easier to understand the hybridization and division of various technological systems of stone tool making and their settlement process, which appeared in each region in the Middle to Upper Paleolithic transition and in the EUP.

      • KCI등재

        한강 하류 김포지역의 구석기유적 연구

        이정철 한국구석기학회 2014 한국구석기학보 Vol.- No.30

        본 연구는 김포지역에서 발굴조사된 6개소의 구석기 유적을 대상으로 지질학적 편년과 석기공작에 주안점을 두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 연구는 한강 하류 구석기문화를 파악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연구 결과, 김포지역 구석기유적의 유물층은 다섯 매로 구분된다. 첫 번째 유물층은 쐐기구조의 모층, 두번째 유물층은 쐐기구조가 발달한 층, 세 번째 유물층은 쐐기구조가 발달한 층 하부의 (사질)점토층, 네 번째 유물층은 두 번째 쐐기구조가 발달한 층과 그 하부층, 다섯 번째 유물층은 각력층이다. 특히 다섯 번째유물층은 대부분의 유적에서 확인되며, 가장 많은 수의 유물이 집중되는 핵심적인 퇴적층이다. 다섯 매의유물층은 자연과학분석의 내용을 참조할 때, MIS 2기~MIS 3기에 해당되며, 일반적인 구석기 편년에 대비하면 중기 구석기시대 후반에서 후기 구석기시대에 속한다. 석기공작의 양상은 모든 유물층에서 대부분 석영계 돌감을 활용하여 대형석기나 소형석기를 제작하고 있는데, 늦은 시기의 유물층에서는 돌날 및 좀돌날 기법은 전혀 확인되지 않는다. 다듬은 석기는 가장 이른 시기에 속하는 다섯 번째 유물층에서는 찍개와 여러면석기, 주먹도끼류 등의 대형석기가 우세하지만, 늦은 시기로 갈수록 점차 긁개, 홈날, 톱니날, 밀개 등의 소형석기가 증가하며, 그 종류가 다양해진다. 한편 주먹도끼는 임진-한탄강-한강 하류에 분포권이 형성되는 바, 향후 기술형태적 분석을 통한 면밀한 비교·검토를통하여 그 계통성을 밝힐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set a geological chronology of excavated sites in the Gimpo Area and toidentify the characteristics their stone industry. Most stone assemblages in this area are dated from final middle to upper palaeolithic ;the chronology can be divided into five groups : the first artifacts layer near surface layerfrom which soil-wedge is originated belongs to MIS 2, the second artifacts layer showing thedevelopment of soil-wedge belongs to the begining of MIS 2 ~ the end of MIS 3, the thirdartifacts layer, the bottom part of the layer showing the development of soil-wedge belongsto late MIS 3, the fourth artifacts layer showing the development of second soil-wedge and itsunder layer belongs to middle MIS 3, and the fifth artifacts layer made up of coarse sand androck fragments belongs to early MIS 3 Through this, it was found that most of sites belong toMIS 2 and MIS 3. In the composition and industry of stone tools by artifacts layer, in early layers the ratio ofheavy duty tools such as chopper-shopping tools, polyhedrons and hand-axes was higher,while in late layers light duty tools such as scrapers, notches, denticulates and end-scraperwere predominant.

      • KCI등재

        동아시아 태평양 연안일대의 후기구석기시대 말기 다박리면대각선새기개 연구

        이헌종,손동혁 한국구석기학회 2012 한국구석기학보 Vol.- No.25

        Multifaceted diagonal burin is representative stone tool showing the technological properties of stone artifact from the end of Upper Paleolithic found in the Pacific region of East Asia. This stoneware spread widely in this region at the last stage of microblade culture and is an advanced type of diagonal burin. As it was adapted to the special environment of each area, the stoneware was used as one of many kinds of burins during the period of microblade culture. The so‐called ‘Hirosato‐type core’ in Japan, which is an expanded type of diagonal burins in Japan that had already existed in the country thanks to good stone materials available in some areas including Hokkaido, is likely to have been used as both burin and core. In this way, multifaceted diagonal burin has a strong regional characteristic. However, it is hardly possible that such a characteristic of core spread to the Pacific region of East Asia. As confirmed by remains in the southern region of the Far East of Siberia, namely, in the Amur Basin and Primorye, multifaceted diagonal burins are found in small numbers among many different kinds of burins and not comparable with the so‐called ‘Hirosato type core’. It is impossible for the stone tool to have been transmitted or reversely transmitted to Korea. The burins of so‐called ‘Hirosato core’ excavated at Sangmuryongri site in Korea are multifaceted diagonal burins in a broad sense. The microblade and remains collected through surface survey suggest that Paleolithic people who lived at Sangmuryongri might use wedge‐shaped microblade cores made of obsidian. Multifaceted diagonal burins are being discovered at many different sites in Korea as in other East Asian countries. 다박리면대각선새기개는 동아시아 태평양연안 일대에서 후기구석기시대 말기의 기술적 속성을 담고 있는 대표석기이다. 이 석기는 세형돌날문화 마지막 단계에 이 지역에 널리 퍼져 있었고 대각선새기개의 발전형이다. 이 석기는 각 지역의 특수한 환경에 적응하여 많은 세형돌날문화기의 많은 새기개들 중 한 종류로 사용되었다. 일본의 소위 ‘히로사토형 몸돌’은 일본의 홋카이도를 중심으로 한 일부 지역에서 좋은 석재환경에 적응하여 이미 일본에 있었던 대각선새기개의 확장형으로서 새기개로 또는 몸돌로 사용되었을 가능성을 모두 갖고 있다. 이 석기에는 이러한 지역적 특수성이 강하게 남아 있다. 시베리아 극동 남부 일대 즉 아무르 연안과 연해주 일대 및 우리나라의 여러 유적에서도 확인할 수 있듯이 많은 새기개류의 석기들과 함께 소량씩 소위 ‘히로사토형 몸돌’과 유사한 것들이 발견될 뿐 일본의 그것과 비교할 수 있는 수준이 아니다. 우리나라에서 상무룡리유적을 비롯한 여러 지역에서 다박리면대각선새기개가 출토하고 있으며, 극동지역의 다른 유적들처럼 후기구석기 말기의 석기문화의 특징과 함께 출토된 다른 새기개들과 함께 소량 확인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일부 확인되는 아라야형새기개 역시 대각선새기개가 일본의 일부지역에서 특화되어 사용된 석기라고 이해하는 것이 바람직해 보인다. 이러한 후기구석기 말기의 석기문화의 양상은 후기구석기시대 말기 태평양연안 일대의 각 지역별 환경에 따른 적응과정에서 상대적으로 조금씩 다른, 지역성이 살아있는 석기문화가 나타났음을 보여주는 준거가 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