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척수소뇌성 실조증 2형 1례

        홍상훈(Sanghoon Hong),이근호(Geun-ho Lee),양대웅(Dae-woong Yang),이장욱(Wookjang Lee),이백희(Bakee Lee),김종원(Jong-won Kim) 대한소아신경학회 2000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8 No.2

        This is a case of a boy with autosomal dominant cerebellar ataxia(SCA type 2), which was confirmed by DNA analysis. A 9-year-old boy had been suffering from tremor in both arm and leg for 5 years. After traffic accident, a year ago, the symtoms were more aggravated, and he visited our hospital. The boy showed slow saccades, decreased DTR, ataxic gait and limb ataxia. We analyzed DNA repetition, which revealed positive for the SCA2 expanded repeat.

      • KCI등재

        《삼보태감서양기통속연의(三寶太監西洋記通俗演義)》의 시문(詩文) 인용(引用) 및 변용(變容) 양상(樣相)

        홍상훈 ( Hong Sanghoon ) 한국중국어문학회 2014 中國文學 Vol.79 No.-

        It is clear that the experience of Zheng He[鄭和] who made seven times voyage to the Western World exerted some far-reaching influences on the literature of late Ming [明] Dynasty. The various informations of the new world broadened writer`s mental horizon and thinking space in most all of the literature genres. The 100 chapter [回]`s Sanbao-taijian Xiyangji Tongsuyanyi [三寶太監西洋記通俗演義] by Luo Maodeng [羅懋 登](or represented by him) is a typical instance of that experiences. Although this first story of the sea adventure in Chinese Literature is not a realistic novel──almost can be a fantasy, it contains substantial meanings in the society and history of late Ming Dynasty. The rich imaginations about overseas countries in this novel, for instance, gave an impetus to the Chinese of late Ming Dynasty who were still not prepared to accept the objective knowledge of the whole world and were self-sufficient for the idealism of the suzerain vassal. In addition, the writer(s) of this novel would like to represent his (or their) displeasure and indignation about the present state of late Ming Dynasty by satire and deriding style. Nevertheless, the sentence quality and story structure of this novel could not fulfill most of high-class leaders` aesthetic requirements at that time, so much as Lu xun [魯迅] in modern China. In point of fact, Xiyangji can be placed a transitional stage in writing style from generational episodes cumulation to individual story writing. So, it was natural that the writer(s) of this novel betray many clumsy workmanships when he (they) tried to make use of some old episodes and other short stories, or when he (they) tried to imitate some sentences of history books and prose texts, or when he (they) tried to joke, even when he (they) tried to show his (their) talent of story writing. As things turned out, Xiyangji has many distinguished marks of experimental writing. In this paper, I studied some types of quoting poetry and prose from outside of this novel. And I found some notable features. Only 86 pieces of poems and phrases are directly quoted without any modification in total 178 cases. With a few exceptions that resulted from the mistakes in copy, most of all the quoted poetry and prose are intentionally modified by writer(s) of Xiyangji, for the purpose of application to his (their) novel`s context. But it is true that not a few confusions induced by these modifications. Without a few very high-class readers, almost all popular readers could not distinguish the modified poem from its original one, especially in the case that the extent of modification is rather high. The prose sentences quoted in this novel were usually from the prose collections by the fairly famous literary men before the writer(s) or contemporary with him (them), history books, and the Confucian scriptures. But almost of all sentences were diversely modified also. In this case, the purpose of modification is far from the case of poetry. Apart from a few modification in consideration of the context, many modifications seems to cross the line. Intentionally or unconsciously the writer(s) reversed the arrangement of words or omitted some words. It make readers cannot grasp the meaning of the whole sentence. In conclusion, the modification in quoting poetry and proses is a very remarkable feature in the Xiyangji text. But we cannot regard the poor workmanship of modification as an immature defect. Because not a few cases suggest that the poorness is made on purpose. In other words, we can think that the writer(s) of this novel intended to hold the so-called `high-class readers` up to ridicule or to satirize them by presenting sets of absurd prose sentences. And in any sense, we can regard this kind of writing as somewhat similar to the `pastiche` of the post-Modernism.

      • KCI등재

        고대 중국에서 서사의 유비적 특성과 그 변천

        홍상훈(Sanghoon Hong) 인제대학교 인간환경미래연구원 2010 인간 · 환경 · 미래 Vol.- No.4

        중국 고대의 서사문학은 서양의 문학이론이 규정한 기준에 부합하지 않는다는 이유로 종종 상대적으로 저열한 것으로 평가되는 경향이 있었고 이런 평가는 편협한 오리엔틸리즘의 다른 결론이라는 지적 또한 오래된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지적 자체를 넘어서는 고대 중국의 서사문학의 형성과 변화에 대한 내면 논리를 본격적으로 탐구한 연구는 거의 없다고 해도 무방한 실정이다. 현재 나와 있는 적지 않은 저작들이 중국 고전 소설의 원류와 서사 형식의 변천에 대해 서술하고 있지만 그것들은 대부분 표면적인 ‘사실’을 정리하는 데에만 그칠 뿐, ‘사실’ 이면에 내재한 심층 논리를 규명하는 저작은 찾아보기 힘들다. 본고는 바로 이런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고대 중국의 서사 구조가 보여준 역사적 변천 속에 담긴 문화적 논리를 탐구하고자 했다. 『산해경(山海經)』과 『사기(史記)』로 대표되는 초기의 서사 텍스트들을 종합적으로 살펴보면서 필자는 거기에 담긴 특징적 요소로서 일종의 유비(類比) 구조를 발견했다. 그러나 후세의 역사에서 유가 사상이 독존(獨尊)의 지위를 확보함에 따라 성인(聖人)의 권위에 압도된 사대부 문인들은 잡다한 지식에 매몰되어 전체 서사의 주제를 유기적으로 구성하지 못했다. 한편, 송대(宋代) 이후 시민계층은 유가의 세계질서를 부정하면서 삶의 생생한 단면을 미학적으로 구축하고자 했다. 그러나 시민계층의 문학을 억압하는 한편 유가적 관점을 기반으로 한 ‘교화(敎化)’를 시도했던 사대부 계층의 활동으로 인해 서사문학은 애초의 방향과는 달리 ‘아화(雅化)’되는 결과를 낳았다. 그와 같은 아속(雅俗)의 갈등 속에서도 일부백화 서사문학은 정통 시문(詩文)의 장점을 적극적으로 수용하여 자체의 예술성을 높일 수 있었고, 그 결과 『홍루몽(紅樓夢)』으로 대표되는 아속이 융합된 불멸의 명작이 탄생했다. There has been a tendency that ancient Chinese narrative works such as xiaoshuo(小說) have been relatively low-estimated compared with western ones. But not a few debaters also has been criticized that such kinds of conclusions reveal the partiality originated in so called Orientalism for a long time. Nevertheless even the debaters could have not tried to put forth any advanced view based on some kinds of fundamental researches into the internal principles of the formation and transition of ancient Chinese narrative works. From a general investigation into the primary narrative texts such as Shanhai-jing(山海經) and Shiji(史記), I have founded a characteristic of narrative-analogical narrative structure. The narrative of each articles not only reveals its own analogical character, but also constitutes itself a part of the general view of the cosmos intended to construct by the author(s) of the book. But as the Confucianism insured its exclusive status in later history, almost all of the Literati overwhelmed by the authority of the 'St. Kongzi'(孔子)' daren't advocate any ingenious views of their own, and hung on the trivial facts instead. According to the rising of citizen about from Song dynasty, various kinds of colloquial literature such as kinds of theatricals and xiaoshuo(小說) etc. grew in prosperity. But this new narrative structure fundamentally deferent from traditional analogical narrative structure inevitably led to the caution of the Literati. Most debaters of the Literati attempted to restrain the colloquial literature of citizen, and tried to 'enlighten' citizen on the Confucian views of world. The result was that the quality of some colloquial narrative works was changed into classical and elegant, while some others positively expropriated the virtue of traditional to enhance their own artistic level. As a result, some monumental works represented by Hongloumeng(紅樓夢) came into the literary world.

      • KCI등재

        학업적 자기효능감 자기주도적 학습태도, 학교 만족도에 대한 마이스터고 학교 효과

        상훈(Bae, Sanghoon),조성범(Cho, Sungbum),지인(Hong, Jeein) 한국열린교육학회 2013 열린교육연구 Vol.21 No.3

        본 연구는 학업적 자기효능감, 자기주도적 학습태도, 학교 만족도에 대한 마이스터고의 학교효과를 일반고 및 특성화고와 비교의 관점에서 탐색하는데 있다. 2010년부터 3년에 걸쳐 마이스터고 11교 일반고 11교 특성화고 11교에 재학했던 학생 중 2,571총 명(마이스터고 853명 일반고 854명 특성화고 864명)의 학생을 표집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즉, 3시점 유사종단 자료를 구축하고 다층모형 분석을 수행하였다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경우, 2010년 개교 당시 마이스터고 집단은 일반고 집단과 비슷하고 특성화고 집단보다 높은 수준이었다. 그러나 이후 3년 동안 마이스터고 집단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일반고 집단보다 높은 수준의 성장률을 보였고 2012년에는 일반고 집단보다 높은 수준이었다. 자기주도적 학습태도의 경우, 마이스터고 집단은 2010년 입학 당시 일반고 집단과는 차이가 없었지만 특성화고 동료들 보다는 높은 수준이었다 이후 년 동안 비교 집단보다. 성장률에서 차이를 보일 만큼 눈에 띄는 성장은 없었다 학교 만족도에 있어서는 마이스터고 집단은 3개교 당시부터 일반고 동료들과 비슷하고 특성화고 집단보다 높은 수준이었다. 그러나 년 동안 마이스터고 학생들의 학교 만족도 성장률은 일반고 동료들의 학교 만족도 성장률 보다 높았다. 마지막으로 2010년 초기상황을 통제했을 때, 위의 세 종속 변인에 대한 마이스터고의 학교수행 효과는 사라졌다.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Meister school programs on students’ academic self-efficacy, self-directed learning attitude, and school satisfaction, this study compared the growth of outcome variables for three years among students from three different school types - Meister, vocational, and general high schools. Samples include 853 Meister students, 854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and 864 vocational students from across the nation. Multi-level modelling was conducted to find the effects of the Meister school programs on outcome variables. The study found no difference on academic self-efficacy between Meister and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in 2010 when Meister schools were established. However, the growth of academic self-efficacy of the Meister students was greater than that of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during the period 2010-2012. The same holds true for school satisfaction. Meister students had a higher level of self-directed learning attitude compared to two comparison groups, but there were no differences on the growth of self-directed learning attitude among three groups.

      • KCI등재

        학습공동체 참여가 대학생 학습 성과에 미치는 영향:

        지인(Hong, Jiin),상훈(Bae, Sanghoon) 한국열린교육학회 2018 열린교육연구 Vol.26 No.3

        With an ever-growing concern over learning outcomes, an increasing number of universities and colleges are adopting learning communities as one of their high impact practices. However, little is known about the effects of participation in these activities on learning outcomes of students. This study investigated empirical evidence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tion in learning communities and learning outcomes. The study also examined whether the effects differ by socio-economic status of students. The samples consisted of 72,893 students from 100 Korean universities across the nation. Dependent variables included a) writing skills, b) critical thinking, c) problem solving skills, d)statistical analysis skills, e) collaborative competencies, f) attitude about openness to diversity, g) citizenship, and h) values and ethics development of students. Independent variables were the student s SES and whether to participate in learning communities. The student s SES were also included as the moderator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tion in learning communities and learning outcome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various sources including the 2015 K-NSSE(Korean National Survey of Student Engagement) database and the Higher Education Information Disclosure System. Considering the hierarchical nature of the data, the study employed a Hierarchical Linear Modeling (HLM) statistical technique. To reduce the sample selection bias and estimate the effects of treatment by accounting for the covariates that predict receiving the treatment, the study employed the Propensity Scoring Matching (PSM) method.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tudent s participation in learning communities were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related to learning outcomes of students. Second, in most cases, there was no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SES and the effects of participation in learning communities on learning outcomes of students. Exceptions were that high SES participants showed greater increase in critical thinking and development of values and ethics. The study results provide two implications. First, to enhance learning outcomes of students, the universities may have to develop and implement effective learning communities on campus. Second, the universities may have to pay special attentionto low income students who may have difficulties in participating in these educational practices.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학습공동체 참여가 학습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그 영향의 정도가 학생의 사회경제적 배경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규명하는 것이다. 한국대학교육협의회와 학부교육선도대학 협의회가 공동으로 수행한「2015년 학부교육 실태조사(K-NSSE)」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표본은 100개 대학에 재학 중인 72,893명의 학생이다. 종속 변인은 대학생의 학습 성과이며, 학생들이 대학에 다님으로써 향상되었다고 인식한 글쓰기, 비판적 사고, 문제 해결력, 통계적 분 석 등 인지적 학습 성과와 협동 역량, 다양성 이해, 교양 시민, 가치관 및 윤리관 형성 등 사회․정서적 학습 성과로 구성되었다. 연구 변인은 학습공동체 참여, 조절 변인은 대학생의 사회경제적 배경이다. 학습공동체 참여 효과를 엄밀히 추정하기 위해 경향점수매칭을 활용하였으며, 분석에는 다층모형 분석을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학습공동체 참여는 학생의 개인 특성과 학습참여 행동, 대학 특성 등의 영향을 통제한 후에도 대학생의 인지적, 사회․정서적 성과에 영향을 미쳤다. 둘째, 학습공동체 참여가 비판적 사고력 향상 및 가치관 및 윤리관 확립에 미치는 효과는 고소득층 학생에게 크게나타났다. 이를 제외하면 나머지 학습 성과에 대해서는 대학생의 사회경제적 배경에 따른 학습공동체 참여의 조건적 효과는 대체로 유의하지 않았다. 즉 학습공동체 참여는 취약계층 학생들에게도 학습 성과 향상에 있어 효과적이었다. 그러나 저소득층 대학생들이 학습공동체 참여가 저조하고 학습성과도 대체로 낮다는 결과를 함께 고려하면, 현재로서의 학습공동체는 사회계층에 따른 학습 성과 의 격차를 보완하는 역할에 있어 한계가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한 논의와 정책적 시사점을 결론에 제시하였다.

      • KCI등재

        A대학의 교수-학생 상호작용과 그 문화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상훈(Bae, Sanghoon),강민수(Kang, Minsoo),지인(Hong, Jeein) 한국열린교육학회 2016 열린교육연구 Vol.24 No.3

        본 연구는 지방 소재 중소형 사립대학에서 교수와 학생의 활발한 상호작용이 하나의 문화로 자리 잡으면서 나타난 질적 현상을 탐색한 사례 연구이다. 학생과 교수 개인은 물론 대학 차원에서 교수와 학생의 교류 문화가 제도적으로 성숙해 가는 과정을 단계별로 살펴보고, 각 단계별로 나타난 특징과 이를 위한 제도적, 실천적 노력 및 현실적 문제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사례 대학의 교수-학생 상호작용 문화는 크게 발아기, 발전기, 정착기를 거치면서 진화하고 있었다. 발아기에는 기존의 관련 제도를 발전적으로 계승하는 것과 동시에 이를 더욱 활성화하기 위한 정책적 움직임이 활발하였다. 총장의 리더십이 중요한 요인으로 드러났으며, 교수와 학생의 자발적인 참여를 이끌어내는 것이 관건이었다. 둘째, 발전기에는 교수-학생 상호작용을 지원하는 제도와 프로그램의 체계성 및 정합성을 구축하는 것이 중요한 이슈였다. 사례 대학에서는 교수-학생 상호작용이 발전기에 접어들면서 한층 참여율이 증가하고 실질적으로 보편화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학생들은 교수들과 함께 다양한 프로그램에 참여하면서 대학에 대한 소속감을 함양하고 있었으며, 학습동기와 전공실력을 높이면서 자기 계발에 대한 노력을 확대하는 정서적, 사회적 경험을 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정착기에서는 지속적인 교수-학생 상호작용이 하나의 문화로 자리 잡고 이를위해 교류와 소통의 장을 정례화하는 현상이 발견되었다. 이 단계에서는 교수가 독립적이고 자율적으로 학생과 교류할 수 있도록 교수의 위상을 담보하는 노력을 펼치고 있었다. 한편 대학의 혁신을 주도하는 집단과 일반 교수 및 학생들 사이에서 나타나는 갈등이나 마찰을 해결해 나가는 것도 중요한 과제로 드러났다 This case study examined interpersonal and organizational dynamics that were accompanied with the development of student-faculty interaction as a culture in one university. The study aimed to look into the evolutionary and institutional development of a culture of student-faculty interaction, with a close look at the characteristics of each of the developmental stages, institutional efforts, and barriers in practices in the university. The study found that student-faculty interaction in the case institution had developed in the following stages: embryo, developing, and matured stages. First, during the embryo stage, the institution made efforts to further develop existing systems and create the new programs to promote an institution-wide student-faculty interaction. The leadership of the university President was found to be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 implementing the programs and this developed the culture of student-faculty interaction. Another key issue was to have both student and faculty willingly engaged in the programs and thus the process of interactions. Second, during the developing stage, building institutional structures to support student-faculty interaction was found to be an important factor. During this stage, the participation in the programs of both student and faculty had substantially been increased. Interacting with the faculty, students were found to experience a variety of emotional and social development that led to institutional commitment, improvement of academic motivation and knowledge, and development of their own talent. Lastly, in relation to the matured stage, the systemization of the programs for student-faculty interactions was found to be a key issue. In this stage, the case institution has made an effort to secure and promote the status of the faculty so that they further develop interaction with students. During this stage, another important issue was to resolve the problem of conflicts between the head quarter of the institution seeking for innovation and the faculty having a tendency of resisting change or not adapting to change as quickly as desired.

      • KCI등재

        대학생의 심층 학습(deep learning)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3개 대학 사례 연구

        상훈(Bae Sanghoon),전수빈(Jeon Suebin),지인(Hong Jiin) 한국열린교육학회 2017 열린교육연구 Vol.25 No.2

        본 연구는 대학생의 심층 학습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국내 대학 맥락에서 탐색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어떤 개인적 특성을 가진 학생이 심층 학습을 활발히 하는지와 심층 학습을 유도하는 학습 환경(learning context)은 어떠한지를 살펴보았다. 심층 학습(deep learning)이란 단순 암기를 특징으로 하는 표면적 학습(surface learning)과 대조되는 개념으로 지식의 통합, 반성, 재구성 등을 특징으로 하는 심층적인 학습 접근(deep approach to learning)을 지칭한다. 양적 조사(K-NSSE) 결과, 재학생의 심층 학습 수준이 우 수한 것으로 나타난 3개 대학에 재학 중인 학생 93명과 교수 37명에 대한 심층 면담을 수행하였고, 전사 한 자료를 주제 분류분석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학생의 심층 학습을 유도하는 학습 환경으로는 심층 학습 촉진자로서 교수의 역할, 문제해결 학습 상황, 협동 학습과 다양성 기반 학습 환경, 융합교육 환경, 기숙사 생활 등이 나타났다. 그리고 기관 특성으로는 대학의 규모와 교육 및 연구중심 등 대학기관 의 특성이 학생의 심층 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개인 특성으로는 개인의 성향, 학년이 심층 학습에 영향을 미치고, 학습에 대한 기대 및 동기와 전공 계열이 대학의 학습 환경과 상호작용하면서 심층 학습 경험을 촉진하고 있었다. 결론에서 도출된 연구 결과를 토대로 향후 대학생의 심층 학습을 이 끌어 내고자 하는 대학들이 실천적 차원에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시사점으로 제시하였다. Previous studies have claimed deep learning is highly associated with college students’ engagement as well as their academic achievement. With its importance in mind,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influential factors on Korean college students’ deep learning. To investigate the research purpose, the study conducted multi-case analysis on three universities. The three universities have been in the upper ranks of the K-NSSE for their students’ deep learning participation. The study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120 professors and students at the subject universities. The analysis followed a strict qualitative research method procedure. Two major factors on college students’ adopting deep learning strategies were noted by analyzing the interviews: personal and contextual. Once the research results were deliberated, the study suggested some practical policies which higher educational institutions may adopt to improve and facilitate their students’ deep learning.

      • KCI등재

        학교유형 및 지원적 학교풍토가 교사의 변화지향성과 지식공유에 미치는 영향

        상훈(Bae, Sanghoon),지인(Hong, Jeein) 한국열린교육학회 2013 열린교육연구 Vol.21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유형과 지원적 학교풍토가 교사의 변화 지향성 및 지식공유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있다. 독립변인으로 교사 수준에서 성별, 교직경력, 보직여부, 직무열의, 직무효능감을 활용하였고, 학교 수준에서는 학교유형, 지원적 학교풍토를 적용하였다. 전국의 일반고 17교에서 564명, 특성화고 21교에서 605명이 응답한 설문조사 자료를 대상으로 다층모형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교사가 재직하고 있는 학교의 유형은 개인배경 및 학교 조직풍토를 통제했을 때, 교사들의 변화 지향성 및 지식공유 활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학교가 조직차원에서 교사들의 노력과 공헌을 적극적으로 인정하고 격려하며, 교사들의 복지 및 학교생활에 보다 많은 관심을 보이는 조직풍토를 가질수록 교사들은 조직변화에 대하여 높은 수준의 개방성을 보였고, 보다 활발히 서로의 지식을 공유하는 경향이 있었다. 본 연구는 교사 개인에 대한 유인 및 보상의 제공과 경쟁을 유도하는 제도의 도입 외에도 단위학교 차원의 조직문화 및 풍토가 교사의 변화를 견인하는데 중요한 기제가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school type on openness to organizational change and knowledge sharing between high school teachers. The study also investigated the impact of supportive school climate on two dependent variables. Samples include 605 vocational teachers and 564 general high school teachers. Multilevel modelling was employed. Controlling for teacher-level variables, school type was not related to two dependent variables. However, supportive school climate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teachers’ openness to organizational change as well as knowledge sharing attitudes of teachers. The study results suggest that supportive school climate perceived by teachers is important in improving teachers’ openness toward change and enhancing sharing of knowledge among teachers.

      • KCI등재

        15Cr-1Mo 강의 미세조직과 기계적 특성에 미치는 Ti 및 Y2O3 첨가의 영향

        최지은 ( Ji Eun Choi ),순익 ( Sun Ig Hong ),최병권 ( Byoung Kwon Choi ),상훈 ( Sanghoon Noh ),김가언 ( Ga Eon Kim ),김태규 ( Tae Kyu Kim ) 대한금속재료학회(구 대한금속학회) 2015 대한금속·재료학회지 Vol.53 No.8

        The effects of Ti and Y2O3 addition on the microstructure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a 15Cr-1Mo steel were evaluated. The 15Cr-1Mo and 15Cr-1Mo-0.3Ti-0.35Y2O3 steels were prepared by a mechanical alloying, hot isostatic pressing and hot rolling processes. Microstructural observation of these steels indicated that the Ti and Y2O3 addition to 15Cr-1Mo steel acted to refine a grain size and to form nano-sized oxide particles such as an Y2Ti2O7. As a result, the yield and tensile strengths at room temperature and at 700 ℃ were considerably enhanced. Considerable improvement of creep properties at 700 ℃ was also observed. These improvements could be mainly attributed to the formation of nano-sized oxide particles as well as the refined grain size. It is thus concluded that the Ti and Y2O3 addition to the 15Cr-1Mo steel would be very effective in improving the mechanical properties especially at high temperatures. (Received December 05, 2014)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