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수면의 질이 활동참여에 미치는 영향

        홍덕기,김소연,김다혜,Hong, Deok-Gi,Kim, So-Yeon,Kim, Da-Hye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 2019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Vol.9 No.3

        목적 : 본 연구는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노인의 수면의 질이 활동참여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2019년 8월 21일부터 9월 29일까지 전라북도 소재 복지기관을 이용하는 노인 2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자료 수집은 한국판 수면의 질 척도(Korea version of the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PSQI-K)와 한국형 활동분류카드(Korean-Activity Card Sort: K-ACS)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기술통계, 독립표본 t-검정, 피어슨 상관관계와 단순선형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 수면의 질이 높은 그룹이 낮은 그룹보다 수단적 활동, 사회 활동과 여가 활동 모두 유의하게 높은 활동참여를 보였다(p<.001). 그리고 수면의 질은 수단적 활동, 사회 활동과 여가 활동 모두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p<.01). 또한 수면의 질이 수단적 활동(R<sup>2</sup>=.224), 사회 활동(R<sup>2</sup>=.142)과 여가 활동(R<sup>2</sup>=.227)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결론 :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활동참여 증진을 위해 수면의 질에 대한 접근이 필요하며, 향후 수면의 질을 향상하기 위한 중재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 of sleep quality on activity participation in the elderly living in the community. Methods : This study was conducted on 200 elderly people using welfare institutions located in Jeollabuk-do from August 21 to September 29, 2019. Data collection was performed using the Korean version of the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PSQI-K) and the Korean-Activity Card Sort (K-ACS). The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Pearson correlation, and sim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Results : The group with high quality of slee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participation in instrumental activities, social activities and leisure activities than the group with low quality of sleep (p<.001). The quality of sleep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instrumental activities, social activities and leisure activities (p<.01). The quality of sleep significantly affected the instrumental activities (R<sup>2</sup>=.224), social activities (R<sup>2</sup>=.142) and leisure activities (R<sup>2</sup>=.227) (p<.001). Conclusion : The quality of sleep needs to be approaches to promote the participation of elderly people living in the community, and development of an intervention program will be needed to improve quality of sleep.

      • KCI등재

        뇌졸중으로 인한 연하장애 환자들이 경험하는 ‘먹기’ 의미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홍덕기 ( Hong Deok-gi ),전병진 ( Jeon Byoung-jin ),유두한 ( Yoo Doo-han )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8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7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연하장애를 경험한 환자들에게 ‘먹기’는 무엇을 의미하는가에 대해 확인하고자 한다. 연하장애를 경험한 뇌졸중 환자 5명을 대상으로 개별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참여자로부터 얻은 원 자료는 현상학적 방법 중 Colaizzi 분석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원자료에서 94개의 의미 있는 진술들을 찾아냈고, 69개의 구성된 의미를 도출하였다. 도출된 의미에서 16개의 주제를 선정하고, 6개의 주제묶음으로 분류하였다. 최종적인 ‘먹기’의 범주로 생존, 맛의 즐거움, 기본적 욕구, 재활의지로 조직화 하였다. 연하장애 환자의 ‘먹기’에 대한 의미를 최종적으로 기술 하면, 먹기는 생존을 위해서 필수적이고, 맛의 즐거움을 느끼게 해주며, 인간의 기본적인 욕구를 충족시켜준다. 그리고 먹기는 재활을 위해 체력을 회복하는 수단이다. 따라서 연하재활을 수행하는 임상전문가는 연하장애 환자의 먹기에 대한 의미를 이해하고, 심리ㆍ정신적 지지를 제공해 줄 필요가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at ‘eating’ means to patients experiencing dysphagia.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5 stroke patients who experienced dysphagia. The raw data obtained from the study participants were analysed using Colaizzi’s phenomenological method. Ninety-four significant statements were found in the raw data, and sixty-nine formulated meanings were derived. Sixteen themes in the derived meanings were selected, which were then classified into six theme clusters. Survival, pleasure of taste, and rehabilitation will were organized into the final category of eating. To finally describe the meaning of eating for dysphagia patients, eating is essential for their survival, makes them feel the pleasure of taste, and satisfies human basic needs. Eating is also a means of regaining the strength needed for rehabilitation. Therefore, clinical professionals who perform swallowing rehabilitation should understand the meaning of eating for dysphagia patients and provide them with necessary psychological and mental support.

      • KCI등재

        생강 맛 탄산수 삼킴이 뇌졸중으로 인한 연하장애 환자의 목뿔위근 근 활성도에 미치는 효과

        홍미나 ( Hong Mi-na ),홍덕기 ( Hong Deok-gi ),김계호 ( Kim Kye-ho ),김진희 ( Kim Jin-hee )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6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5 No.3

        본 연구는 뇌졸중으로 인한 연하장애 환자 20명을 대상으로 탄산과 생강의 감각자극에 대한 목뿔위근의 근 활성도 변화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근 활성도는 목뿔위근에 표면 근전도 (surface Electromyogram, sEMG)를 부착하여 물, 탄산음료, 생강 맛 탄산음료를 삼키는 동안 평균값, 최대값을 측정하였다. 그리고 시각 아날로그 척도(Visual Analog Scales, VAS)를 통해 세 가지 식이에 대한 선호도와 강도를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세 가지 식이 삼킴에 따른 근 활성도 평균값과 최대값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 세 가지 식이 삼킴 중에서 생강 맛 탄산음료가 물과 탄산음료보다 평균값과 최대값에서 가장 큰 근 활성도를 보였다(p<.05). VAS를 이용한 맛에 대한 선호도는 물이 가장 높았으며, 자극 강도는 생강 맛 탄산음료가 가장 높은 결과를 보였다. 본 연구는 생강 맛 탄산음료가 뇌졸중으로 인한 연하장애 환자의 목뿔위근의 근 활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뇌졸중 환자의 연하재활치료 시 생강 맛 탄산수를 적용한 감각자극 훈련이 유용하게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stimulus of carbonated water and ginger carbonated water and water on suprahyoid muscle activity of the stroke patient who has the symptom of dysphagia. For the study, the 20 stroke patients who had symptom of dysphagia were selected as test subject, and the average and maximum value of the suprahyoid muscle activity of them were measured by surface electromyogram(sEMG). After that, by Visual Analog Scales(VAS), the preference of the taste and stimulation intensity of swallow were measured after swallowing of die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on the average and maximum value of suprahyoid muscle activity when swallowed each 5㎖ of water, carbonated water and ginger. The highest value of average and maximum of the stimulus was ginger carbonated water. The most preferred taste average value measured by VAS was water. The highest value of average of stimulation intensity of swallow was ginger carbonated water. Through the study, ginger carbonated water was the most effective on suprahyoid muscle activity of stroke with dysphagia patients. It is expected that ginger carbonated water will be a clinical solution to improve stroke patient``s swallowing function.

      • KCI등재

        혀-입천장을 강조한 노력삼킴과 억제한 노력삼킴 간의 목뿔위, 목뿔아래, 깨물근 활성 비교

        김계호 ( Kim Kye-ho ),홍덕기 ( Hong Deok-gi ),박상진 ( Park Sang-jin ),강은혜 ( Kang Eun-hye ),임익재 ( Lim Ick-jae )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6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5 No.4

        본 연구는 건강한 성인 참여자 20명(남성 10명, 여성 10명, 평균연령 26.10±4.14세)을 대상으로 혀-입천장을 강조한 노력삼킴과 혀-입천장을 억제한 노력삼킴 간에 목뿔위, 목뿔아래, 깨물근의 근활성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모든 참여자들은 두 가지 삼킴 방법에 따라 침을 3회씩 총 6회 삼켰으며, 각 삼킴의 순서는 상쇄균형화하여 수행하였다. 세 근육들의 근활성에 대한 자료수집은 표면 근전도(sEMG)를 사용하여 삼킴 동안에 평균값과 최대값을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대응표본 t 검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혀-입천장을 강조한 노력삼킴이 혀-입천장을 억제한 노력삼킴보다 세 근육의 평균값과 최대값에서 더 높은 활성을 보였다(p < 0.01).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혀-입천장을 강조한 노력삼킴이 삼킴과 관련된 근육들의 활성에 효과적인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was to compare suprahyoid, infrahyoid, masseter muscle activity between the effortful swallow with emphasis on tongue to palate and with effortful swallow inhibiting emphasis on tongue to palate. Twenty healthy young participants recruited present`s study(male 10, female 10, mean age 26.10±4.14). All participants was performed the effortful swallow with emphasis on tongue to palate and with inhibiting emphasis on tongue to palate. All participants are swallowed three times a total of six times swallowing saliva for each method. Order of each swallowing counterbalanced. Activitions of suprahyoid, infrahyoid, masseter muscle was analyzed utilizing surface electromyography(sEMG). Collected data was analyzed to Paired t-test. Effortful swallow with emphasis on tongue to palate was significantly greater activity in suprahyoid, infrahyoid, masseter muscle than effortful swallow with inhibiting tongue to palate(p < 0.01). This study from findings suggest that effortful swallow with emphasis on tongue to palate may be a effective method to improve the muscles related to swallowing.

      • KCI등재

        An Efficient Comparing and Updating Method of Rights Management Information for Integrated Public Domain Image Search Engine

        Il-Hwan Kim(김일환),Deok-Gi Hong(홍덕기),Jae-Keun Kim(김재근),Young-Mo Kim(김영모),Seok-Yoon Kim(김석윤)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9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24 No.1

        In this paper, we propose a Rights Management Information(RMI) expression systems for individual sites are integrated and the performance evaluation is performed to find out an efficient comparing and updating method of RMI through various image feature point search techniques. In addition, we proposed a weighted scoring model for both public domain sites and posts in order to use the most latest RMI based on reliable data. To solve problem that most public domain sites are exposed to copyright infringement by providing inconsistent RMI(Rights Management Information) expression system and non-up-to-date RMI information. The weighted scoring model proposed in this paper makes it possible to use the latest RMI for duplicated images that have been verified through the performance evaluation experiments of SIFT and CNN techniques and to improve the accuracy when applied to search engines. 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in providing users with accurate original public domain images and their RMI from the search engine even when some modified public domain images are searched by users.

      • KCI등재

        뇌성마비 아동을 대상으로 한 감각프로파일(Sensory Profile)의 구성타당도 연구

        유두한(Yoo Doo Han),홍덕기(Hong Deok Gi),황선정(Hwang Sun Jung)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14 재활복지 Vol.18 No.4

        본 연구는 뇌성마비 아동을 대상으로 감각프로파일(Sensory Profile)의 구성타당도를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만 3~10세 뇌성마비 아동 87명의 감각처리기능을 평가하기 위해 보호자를 대상으로 동의 후에 평가용지와 평가지침서를 우편 또는 방문을 통해 작성하도록 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Winstep 3.81을 통해 라쉬분석을 실시하여 항목과 대상자의 적합성, 항목의 난이도, 평정척도의 적합성, 대상자와 항목의 분리신뢰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87명의 뇌성마비 아동 중에 4명의 아동이 부적합 대상자로 나타났다. 부적합한 대상자를 제외한 83명의 대상자로 항목의 적합도를 분석한 결과, 15개 항목이 부적합 판정을 받았다. 항목의 난이도에 대한 분석결과에서는 뇌성마비 아동의 감각처리능력에 비해 낮은 난이도의 평가항목들로 구성되어 있어 높은 평가항목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감각프로파일의 평정척도 분석결과에서는 5점 척도보다는 3점 척도가 더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3점 척도의 항목과 대상자에 대한 분리신뢰도는 0.90 이상 값으로 우수한 수준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난이도가 높은 새로운 평가항목의 개발과 3점 척도의 점수체계 변환으로 타당도가 검증된 감각프로파일의 임상적 적용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construct validity of the Sensory Profile for children with congenital cerebral palsy. Parents of 87 children(the ages of 3 to 10) with congenital cerebral palsy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data were analyzed through Winstep version 3.81 using the Rasch model to examine the uni-dimensionality of the fit of each item, the distribution of difficulty of each item, and the reliability and appropriateness of the rating scale. Based on a Rasch analysis, four out of the 87 children were considered to be inappropriate participants, and 15 item of the Sensory Profile was determined to be an inappropriate item. The items of high-level difficulty are needed as new items of the Korean Sensory Profile. The rating scale of three categories were appropriate than those of the five categories. The person and item separation reliability of three categories was above 0.90, which is a relatively excellent value. Finally, it will be need to verify of validity for Korean version of Sensory Profile, to develop new item of a high level of difficulty and convert into three point rating scale.

      • KCI등재

        단락판을 갖는 이중 원추형 광대역 안테나의 반사손실 특성

        장승훈(Seung-Hoon Jang),홍덕기(Deok-Gi Hong),김효균(Hyo-gyun Kim),정성우(Sung-Woo Jung),김기채(Ki-Chai Kim) 한국전자파학회 2016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Vol.27 No.2

        본 논문에서는 UWB 통신 시스템에 사용할 수 있는 소형 · 입체형 구조인 이중 원추형의 광대역 안테나를 검토하였다. 이중 원추형 광대역 안테나의 반경, 높이, 단락판의 개수 등의 안테나 구조 변화에 따른 반사손실 특성을 FDTD 법을 사용하여 계산하였다. 그 결과, 안테나의 구조 변화에 따른 광대역 안테나의 최적 구조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최적 구조에서 안테나의 방사 지향성은 다이폴 안테나와 유사한 8자형 방사지향성 패턴을 나타내고 있었다. 반사손실의 측정 결과를 이론 계산치와 비교하여 이론 해석의 타당성도 검토하였다. This paper presents the characteristics of a double-cone broadband antenna with compact and three-dimensional structure that can be used in UWB system. The theoretical analysis is conducted using a finite difference time domain(FDTD) method. The parameters are the radius, a height of broadband double-cone antennas with shorting plate, and the number of plates on a ground plane. This paper examines influence of structural parameters on return loss. The results show that a condition for an optimum structure of broadband double-cone antennas with shorting plate exists. It also shows that the broadband double-cone antennas with shorting plate have radiation patterns similar to those of a dipole antenna. To verify the theoretical analysis, computed results are compared to experimental results.

      • KCI등재

        뇌졸중 환자의 작업수행과 운동기능을 위한 Lee Silverman Voice Treatment-BIG(LSVT-BIG) 프로그램의 임상적용에 대한 사례연구

        정선아(Jeong, Sun-A),홍덕기(Hong, Deok-Gi) 대한신경계작업치료학회 2020 재활치료과학 Vol.9 No.3

        목적 : 본 연구는 Lee Silverman Voice Treatment-BIG(LSVT-BIG) 프로그램이 뇌졸중 환자의 작업수행과 운동기능에 미치는 변화를 알아보고 임상적용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뇌졸중 환자 2명을 대상으로 LSVT-BIG 프로그램을 4주 동안 주 4일, 회당 1시간, 총 16회기를 실시하였다. 중재 전·후의 변화를 비교하기 위해 캐나다 작업수행 측정(COPM), Berg 균형 척도(BBS), Time Up and Go(TUG), 기능적 뻗기 검사(FRT), 뇌졸중 상지기능 검사(MFT)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자료 분석은 중재 전·후의 점수 변화를 비교하였다. 결과 : 대상자 2명 모두 중재 전·후로 작업수행의 수행도 및 만족도는 증가하였다. TUG의 수행시간은 대상자마다 각 0.91, 8.42초로 감소하여 보행 속도가 증가하였다. FRT 거리변화에서 대상자는 환측과 건측 모두에서 증가를 보였고, BBS 점수는 대상자마다 각 3점, 6점 증가하였다. 또한 MFT 점수에서 대상자 A는 건측에서만 1점 향상을 보였고, 대상자 B는 건측에서 1점, 환측에서 3점 향상된 점수를 보였다. 결론 : LSVT-BIG 프로그램이 뇌졸중 환자의 새로운 중재기법으로써의 임상적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향후에는 LSVT-BIG 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보완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hanges in work performance and motor function of stroke patients in the Lee Silverman Voice Treatment-BIG (LSVT-BIG) program and to confirm its clinical applicability. Methods : Two stroke patients underwent the LSVT-BIG program for a total of 16 sessions (60 minutes per session and, four days a week for four weeks). To assess any changes between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the 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ment (COPM), Berg Balance Scale (BBS), Timed Up and Go (TUG), Functional Reaching Test (FRT), Manual Function Test (MFT) were used. Differences in scores between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were analyzed. Results : The performance and satisfaction of occupational performance increased after the intervention in both subjects. The performance time of the TUG decreased to 0.91, 8.42 seconds for each subject, increasing the walking speed. In FRT distance change, the subject increased in both the affected side and unaffected side. The BBS score increased by 3 points in one subject and by 6 points in the other, indicating improved balance. In addition, in the MFT score, subject A showed an improvement of 1 point on the unaffected side, and subject B showed an improvement of 1 point on the unaffected side and 3 points on the affected side. Conclusion : We confirmed the applicability of the LSVT-BIG program as a new intervention technique for stroke patients. Future, complementary research on the effects of the LSVT-BIG program on stroke patients will be needed.

      • KCI등재

        스마트폰 사용이 건강한 성인의 보행패턴에 미치는 영향

        문종훈(Jong Hoon Moon),김성현(Sung Hyun Kim),나창호(Chang Ho Na),홍덕기(Deok Gi Hong),허성진(Sung Jin Heo) 한국전자통신학회 2018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Vol.13 No.1

        본 연구는 스마트폰 사용이 건강한 성인의 보행패턴에 미치는 영향을 알고자 하였다. 건강한 성인 20명이 본 연구에 동원되었다. 모든 대상자는 보통보행과 스마트폰 보행을 각각 2회씩 수행하였다. 보통보행은 대상자가 선택한 속도로 걸었으며, 스마트폰 보행은 동영상 시청을 하면서 걸었다. 보행 동안 GAITRite 시스템을 이용하여 보행패턴과 관련된 시, 공간적 변수를 확인하였다. 통계분석은 두 보행에 대한 시, 공간적 변수를 비교하기 위하여 대응 표본 t 검정을 이용하였다. 시간적 변수비교에서 스마트폰 보행은 보통보행보다 보행속도, 분속수에서 유의하게 낮았으며(p<.05), 한쪽 다리 지지 시간, 양쪽 다리 지지 시간에서는 유의하게 길었다(p<.05). 공간적 변수 비교에서 스마트폰 보행은 보통보행보다 한 발짝 길이, 한걸음 길이에서 유의하게 짧았으며(p<.05), 보행 시 보간에서는 유의하게 길었다(p<.05). 본 연구의 결과는 보행 동안 스마트폰 사용이 올바른 보행패턴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증명한다.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smart phone use on gait in healthy adults. Twenty healthy adults were recruited in this study. All subjects performed twice for each normal gait and smart phone gait. The normal gait walked at their chosen speed, and the smart phone gait walked while watching the video. GAITRite system was used to identify the temporal and spatial variables related to the gait pattern during walking. Statistical analysis was analyzed by paired t-test. In comparison of temporal variables, smart phone gait was significantly lower in gait speed and cadence than in normal gait(p<.05), and was significantly longer in single support time and double support time(p<.05). In comparison of spatial variables, smart phone gait was significantly shorter in step length and stride length than in normal gait(p<.05) and significantly longer in step width(p<.05).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smartphone use can negatively affect the correct gait patterns during walk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