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만성 뇌졸중 환자의 손목 및 팔굽 굽힘근에 반복적 진동자극이 손 기민성과 장악력,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영향

        나창호 ( Chang-ho Na ),정상미 ( Sang-mi Joung ),최원호 ( Won-ho Choi ) 대한신경치료학회 2019 신경치료 Vol.23 No.2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repeated vibration stimulus on wrist and elbow flexor muscle of chronic stroke patient to hand dexterity, grip strength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Methods The 23 subjects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randomly divided to two groups: vibration group, non-vibration group. Vibration group received vibration stimulus on wrist and elbow flexor muscle 5times a week for 2 weeks and to examine its effectiveness, and study conducted re-evaluation 2 weeks after intervention. 23 participants were measure using Fugl Meyer Assessment(FMA), Box and Block Test(BBT), JAMAR hand dynamometer, Modified Barthel Index (MBI). Results Vibration group and non-vibration group were significantly difference FMA total, BBT, JAMAR hand dynamometer(p<.05). Only vibration group was significantly difference between pre and post in FMA wrist(p<.05). Also, when comparing the changes value between the group pre and post BBT shower significantly difference(p<.05), and comparing the changes value between the group pre and 2 weeks after intervention JAMAR hand dynamometer showed significantly difference(p< .05). But, MBI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ce(p >.05) Conclusion Repeated vibration stimulus on wrist and elbow flexor muscle of chronic stroke patient was improved hand dexterity, grip strength and furthermore, grip strength showed effectiveness after intervention.

      • KCI등재

        부당내부거래 규제 정책: 대법원의 부당성 판단 기준을 중심으로

        경연 ( Kyoung Youn Na ),윤택한 ( Taek Han Yoon ),창호 ( Chang Ho Yoon ) 한국산업조직학회 2014 産業組織硏究 Vol.22 No.2

        본 논문은 부당지원행위에 대한 공정위의 승ㆍ패소여부와 과징금 자료를 이용하여 부당지원행위에 대한 사법부 판결의 내용과 파급 효과를 검토하고자 하였다. 부당지원행위에 관한 헌법재판소와 대법원의 판례에 따르면, 과징금은 부당이득을 환수하는 기능을 가질 뿐아니라 부당행위의 재발을 억제하여 경쟁 질서를 유지하고자 하는 행정재제적인 성격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은 과징금의 결정요인에 대한 추정결과를 이용하여 법원의 주요 부당성 판단기준을 구체적으로 유추하였다. 추정결과에 따르면 대기업집단내의 지원객체가 이미 자본잠식상태에 있거나, 내부거래이후 지원객체의 시장점유율이 더 증가하면, 이러한 내부거래는 부당한 행위로 판단될 가능성이 크게 나타났다. 법원에서 내부거래를 인정하는 경영적 재량권의 범위는 내부거래의 지원규모에 비례하여 증가하며, 특수 관계인에 대한 지원 사건으로 간주되면 경쟁법위반 행위에 대한 입증의 문제가 더욱 엄격하게 제기되었다. 그러나 퇴출 위험에 있거나 영업 손실을 내고 있는 기업에 대한 지원행위는, 지원규모가 크거나 특수 관계인 사건이라고 할지라도 대법원에서 경쟁제한성을 인정할 가능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paper examines the empirical content of Supreme Court rulings on large-scale intra-group transactions that may lead to unreasonable restraint of competition by unfair subsidies for member firms, and thus result in excessive concentration of economic power. According to the Supreme Court and Constitutional Court of Korea, the penalty fines imposed on subsidizing firms for unfair intra-group transactions has the effect of both deterring the violation of laws and the restoration of damage from violation of competition law (Article 23 (1.7)). This paper estimates the determinants of fines and finds that intra-group transactions are likely to be found in violation if the subsidized firm is already in a state of impaired capital or the market share of the subsidized firm increases after the transaction. However the scope of the business judgment rule, one that justifies intra-group transactions by redeeming virtues, becomes greater as the volume of transaction increases except when the subsidized firm has already impaired capital or runs the risk of exit. Also, until the recent amendment of the law, the straightforward transfer to an affiliated person has not been judged as a violation of Article 23 (1.7) unless the Fair Trade agency provides supporting evidence that such a transfer is prima facie and used to restrain competition and increasing concentration of economic power for the benefit of the business group.

      • KCI등재
      • KCI등재

        SNS를 이용한 상지 재활도구 보유현황과 사용 문제점 및 개선을 위한 예비연구

        문종훈(Jong Hoon Moon),나창호(Chang Ho Na),박경영(Kyoung Young Park),허성진(Sung Jin Heo),이창형(Chang Hyung Lee) 한국전자통신학회 2018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Vol.13 No.2

        본 예비 연구는 국내 병원 작업치료실에서 상지 재활도구의 보유현황과 사용상 문제, 그리고 개선 필요성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연구자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통하여 병원환경 작업치료실에서 근무하는 임상가를 대상으로 설문을 1차와 2차로 구분하여 실시하였다. 1차 설문은 72개를 분석하였으며, 2차 설문은 47개를 분석하였다. 1차 설문에서 16개의 상지 재활도구의 보유율은 29.2~97.2%로 확인되었으며, 2차 설문에서 9개의 상지 재활도구의 사용경험은 36.2~97.9%로 확인되었다. 또한 2차 설문에서 상지 재활도구의 사용상 문제는 47명 중 15명(31.9%)이 불편함을 호소하고 있었으며, 개선 필요성은 23명(49%)이 개선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개방형 설문형태로 취합한 9개의 상지 재활도구의 사용문제는 흥미, 내구성, 난이도, 다양한 방향에 대한 조절기능, 설치 및 편리성 부족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개선사항은 디지털화, 내구성, 난이도, 조절기능, 편리성 증대로 구분할 수 있었다. 본 예비 연구는 국내 병원 작업치료실의 상지 재활도구의 보유현황과 사용경험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추후 상지 재활도구의 문제점과 개선 필요성에 대한 폐쇄형 설문지의 개발에 근거자료가 될 것이다. The aim of this pilot survey was to investigate the presence status, usage problems, and improvement needs of the upper extremity rehabilitation equipment(: UERE) in the department of occupational therapy(: OT) of hospital setting in Korea. The authors received a questionnaires of clinicians working in a department of OT hospital setting through a social network service. Responses of 72 were analyzed in the first questionnaire, and 47 were analyzed in the second questionnaire. In the first questionnaire, the presence status of 16 UERE was confirmed to be 29.2~97.2%, and the usage experience of 9 UERE in the second questionnaire was 36.2~97.9%. In the second questionnaire, UERE ’s usage problems were reported discomfort in 15(31.9%) of 47 therapists, and improvement needs were 23(49%). The usage problems of the 9 UERE questioned by open-ended questionnaire were uninteresting, easily damaged, level unadjustable, direction unadjustable, and inconvenient installation. The improvement needs were classified into digitization, durability, level adjustable, adjustable function, convenience. The present pilot survey identified the presence status and usage experience of UERE in the department of OT and could be used as a basis for the development of closed-ended questionnaire on usage problems and improvement needs of UERE.

      • KCI등재

        영상처리 기반 재활 환자의 헬스케어 개선을 위한 낙상예방 프로그램 개발 :

        강소라(So-La Kang),윤중대(Jung-Dae Yoon),유진원(Jin-Won Yoo),나창호(Chang-Ho Na),허성진(Sung-Jin Heo),김예순(Ye-Soon Kim),문종훈(Jong-Hoon Moon) 한국전자통신학회 2018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Vol.13 No.4

        본 예비연구는 낙상예방 프로그램이 종합병원 입원환자의 낙상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중재전, 인천에 위치한 I병원에 입원하여 재활치료를 받는 환자 190명의 낙상발생빈도를 확인하였다. 낙상의 원인은 환자 보호자 및 치료사의 부주의, 치료사의 업무 부담의 가중, 침상의 높이, 보호자의 부재와 같은 치료실 환경의 문제로 나타났다. 저자들은 PDCA 모델을 통하여 문제점을 인식한 후 낙상예방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낙상예방 프로그램의 구성은 낙상예방교육 동영상을 제작하여 환자 및 보호자에게 교육하였고, 환경개선 및 치료사 교육을 2개월 간 수행하였다. 중재 후, 낙상 발생률의 분석은 22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그 결과, 낙상 발생률은 중재 전과 비교하여 통증치료실은 34.1∼66.7%가 줄었으며, 운동/작업치료실은 21.3∼40.8%가 감소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낙상예방 프로그램이 입원환자의 낙상 감소에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고 있으며, 낙상예방 모델 중 하나의 방법이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reliminary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fall prevention program on the occurrence of falls in inpatients at general hospital. Before the intervention, we identified the occurrence of the rate of falls in I hospital at Incheon and 190 patients received rehabilitation treatment. The causes of falls were carelessness of caregivers and therapists, increased burden of therapists, and height of beds. After recognizing the problems, the authors developed a fall prevention program through the PDCA model. The fall prevention program consisted of a video of fall prevention education and education for the patients and caregivers, environmental improvement and education of therapists for two months. After intervention, 230 patients were subjected to be included as analysis of the incidence of falls included As a result, the fall incidence was reduced by 34.1∼66.7% in the pain clinic and 21.3∼40.8% in the exercise clinic / department of occupational therapy compared to the before intervention. These findings show that the fall prevention program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fall of inpatients, and it can be used as a model for fall prevention.

      • 자신이 좋아하는 음악이 뇌졸중 환자의 편측공간무시와 주관적 기분에 미치는 효과

        허성진 ( Heo Sung-jin ),문종훈 ( Moon Jong-hoon ),나창호 ( Na Chang-ho ),조영남 ( Cho Yeong-nam ) 대한인지재활학회 2018 대한인지재활학회지 Vol.7 No.1

        목적: 본 연구는 자신이 좋아하는 음악이 편측공간무시가 있는 뇌졸중 환자의 편측공간무시와 주관적 기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편측공간무시가 있는 뇌졸중 환자 1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모든 대상자는 실험군 6명과 대조군 6명으로 무작위 할당되었다. 실험군은 자신이 좋아하는 음악을 환측에 1시간 동안 제공하였고 대조군은 보호자가 보편적인 관리를 1시간 동안 제공하였다. 두 군은 모두 동일하게 하루 1시간, 주 7회 5주간 수행하였다. 측정은 편측공간무시를 평가하기 위하여 알버트 검사, 선나누기 검사, 별 지우기 검사를 사용하였으며, 주관적인 기분을 평가하기 위하여 시각상사척도를 사용하였다. 결과: 중재 후, 두 집단의 변화량 비교는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선 나누기 검사와 별 지우기 검사에서 유의하게 더 큰 개선이 있었다. 주관적 기분은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더 큰 향상을 보였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편측공간무시가 있는 뇌졸중 환자에게 본인이 좋아하는 음악을 환측에 제공하는 중재가 편측공간무시의 개선을 나타낼 수 있음을 시사한다.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own favourite music on unilateral spatial neglect(USN) and subjective mood in stroke patients. Methods: The twelve stroke patients with USN were included in this study. All subjects were randomly assigned to 6 experimental and 6 control groups. Both groups were equally performed for 30 minutes a day and 7 times a week,for 5 weeks.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the own favourite music to the affected side for 30 minutes and the control group received the usual care by the caregiver for 30 minutes. The outcome measures evaluated Albert test(AT), Line Bisection Test(LBT), Star Cancellation Test(SCT) for USN, and visual analogue scale(VAS) for subjective mood. Result: After the intervention, the comparison of change score of the two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ignificantly greater improvement in LBT and SCT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In comparison of subjective mood between the two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greater improvement than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The findings of present investigation suggest that interventions of own favourite music to the affected side may show improvement of USN in stroke patients.

      • KCI등재

        스마트 폰 SNS의 설문을 통한 조루증 및 발기능에 관한 헬스케어 연구

        윤중대(Jung Dae Yoon),허성진(Sung Jin Heo),나창호(Chang Ho Na),김성현(Sung Hyun Kim),문종훈(Jong Hoon Moon) 한국전자통신학회 2017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Vol.12 No.6

        본 연구는 음경의 특성에 따른 조루증 및 발기능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99명의 성인 남성은 음경의 특성, 조루증, 발기능에 대한 설문조사에 응답하였다. 설문을 확인하는 과정에서 누락이 있거나 불완전한 응답을 제외한 69명의 설문을 분석하였다. 수집한 모든 데이터는 SPSS 22를 이용하여 독립 t 검정, 카이제곱 검정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귀두가 음경보다 더 굵은 유형은 비슷한 유형과 비교하여 주관적 조루, 객관적 조루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주관적 조루인 자는 없는 자와 비교하여 객관적 조루, 치료의향, 성교 만족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객관적 조루의 유무, 조루증 치료의향의 유무, 결혼 유무는 성교 만족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경제 수준이 높은 자는 보통 또는 낮은 자와 비교하여 발기능 자신감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본 조사연구의 결과는 음경의 특성에 따른 조루 및 발기능은 차이를 나타낼 수 있음을 시사하며, 조루증과 발기능 장애가 있는 남성의 성기능 재활을 위한 중재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ed to compare premature ejaculation and erectile function according to penile characteristics. 99 adult men responded to a questionnaire on penile characteristics, premature ejaculation and erectile function. In the questionnaire survey, 69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except missing or incomplete answers. All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independent t test, Chi-square test using SPSS 22. Glans > penis typ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subjective premature ejaculation and objective premature ejaculation compared to Glans ≑ penis type (p <.05). Men with subjective premature ejacula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objective premature ejaculation, treatment intent, and satisfaction compared to men without subjective premature ejaculation (p <.05). Presence of objective premature ejaculation, presence of treatment intent, and marital statu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satisfaction (p <.05). In economic status, high was significantly different in confidence for erectile function compared to middle or low (p <.05).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premature ejaculation and erectile function according to the penile characteristic may be different and may be used as a basis for the development of an intervention program for sexual rehabilitation of men with premature ejaculation and erectile dysfunction.

      • KCI등재

        스마트 폰 SNS 설문조사 통해 알아본 여성의 성 만족도에 관한 헬스케어 연구

        문종훈(Jong Hoon Moon),허성진(Sung Jin Heo),나창호(Chang Ho Na),김성현,강소라(So La Kang),김희진(Hee Jin Kim) 한국전자통신학회 2017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Vol.12 No.5

        This study aimed to compare the differences in sexual function and sexual preference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women, sexual experience, preference penile type, and sexual dysfunction. 72 adult women responded to the survey. 54 respondents were analyzed except respondents who did have incomplete response and no sexual experience. All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independent t-test and chi-square test using SPSS 22. In results, Married was significantly higher in intercourse frequency and sexual function than unmarried(p<.05). In economic status, high or middl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subjective sexual experience and sexual function than the low(p<.05). In subjective sexual experience, high was higher in intercourse frequency than the low, and penile length and type were important(p<.05). preference of glans> peni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subjective sexual experience than preference of glans ≑ penis, and importance of penile girth and size(p<.05). In sexual function, normal function was lower in intercourse frequency than dysfunction, and penile length was not considered significant(p<.05).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re may be differences in sexual function and sexual preference according to various causes and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psychological counseling program for sexual function rehabilitation of women. 본 연구는 여성의 인구학적 특성, 성경험, 선호하는 음경 유형, 성기능 장애 유무에 따른 성기능 및 성 선호도에 차이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72명의 성인 여성이 본 설문에 응답하였다. 응답한 자료 분석을 통해 불완전한 응답 및 성경험이 없었던 사람을 제외한 54건이 분석되었다. 수집한 모든 자료는 SPSS 22를 이용하여 독립 t 검정 및 카이제곱 검정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기혼은 미혼보다 성교빈도와 성기능에서 유의하게 더 높았다(p<.05). 경제수준이 높은 자 또는 보통인 자는 낮은 자보다 주관적 성경험, 성기능에서 유의하게 더 높았다(p<.05). 주관적 성경험이 높은 자는 낮은 자보다 성교 빈도에서 더 높았으며, 음경의 길이 및 특성을 중요하게 생각하였다(p<.05). 귀두를 더 선호하는 자는 음경과 귀두의 굵기가 비슷한 유형을 선호하는 자보다 주관적 성경험이 더 많았으며, 음경의 굵기와 크기를 중요하게 생각하였다(p<.05). 성기능 장애가 있는 자는 없는 자보다 성교 빈도에서 더 낮았으며, 음경의 길이를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았다(p<.05). 본 연구의 결과는 다양한 원인에 의하여 성기능 및 성 선호도가 차이가 있을 수 있음을 의미하며, 여성의 성기능 재활을 위한 심리상담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쓰일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스마트폰 사용이 건강한 성인의 보행패턴에 미치는 영향

        문종훈(Jong Hoon Moon),김성현(Sung Hyun Kim),나창호(Chang Ho Na),홍덕기(Deok Gi Hong),허성진(Sung Jin Heo) 한국전자통신학회 2018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Vol.13 No.1

        본 연구는 스마트폰 사용이 건강한 성인의 보행패턴에 미치는 영향을 알고자 하였다. 건강한 성인 20명이 본 연구에 동원되었다. 모든 대상자는 보통보행과 스마트폰 보행을 각각 2회씩 수행하였다. 보통보행은 대상자가 선택한 속도로 걸었으며, 스마트폰 보행은 동영상 시청을 하면서 걸었다. 보행 동안 GAITRite 시스템을 이용하여 보행패턴과 관련된 시, 공간적 변수를 확인하였다. 통계분석은 두 보행에 대한 시, 공간적 변수를 비교하기 위하여 대응 표본 t 검정을 이용하였다. 시간적 변수비교에서 스마트폰 보행은 보통보행보다 보행속도, 분속수에서 유의하게 낮았으며(p<.05), 한쪽 다리 지지 시간, 양쪽 다리 지지 시간에서는 유의하게 길었다(p<.05). 공간적 변수 비교에서 스마트폰 보행은 보통보행보다 한 발짝 길이, 한걸음 길이에서 유의하게 짧았으며(p<.05), 보행 시 보간에서는 유의하게 길었다(p<.05). 본 연구의 결과는 보행 동안 스마트폰 사용이 올바른 보행패턴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증명한다.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smart phone use on gait in healthy adults. Twenty healthy adults were recruited in this study. All subjects performed twice for each normal gait and smart phone gait. The normal gait walked at their chosen speed, and the smart phone gait walked while watching the video. GAITRite system was used to identify the temporal and spatial variables related to the gait pattern during walking. Statistical analysis was analyzed by paired t-test. In comparison of temporal variables, smart phone gait was significantly lower in gait speed and cadence than in normal gait(p<.05), and was significantly longer in single support time and double support time(p<.05). In comparison of spatial variables, smart phone gait was significantly shorter in step length and stride length than in normal gait(p<.05) and significantly longer in step width(p<.05).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smartphone use can negatively affect the correct gait patterns during walk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