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유치원과 어린이집 종사자의 에듀테인먼트적인 리더십과 조직효과성

        허정경(Jung-Kyoung Huh)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5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9 No.4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에 종사하고 있는 원장 및 교사들의 리더십 유형을 파악하고, 유아교육기관 형태나 개인의 변인별 특성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에듀테인먼트적인 리더십 유형이 유아교육기관의 조직효과성과 어떠한 관계를 갖는지 밝혀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시내에 위치한 유치원과 어린이집 100개소를 임의로 선정하여 그 곳의 원장, 원감, 교사 총 299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고, 유아교육기관에서의 교사 리더십 유형을 파악하고자 기관장용, 교사용의 두가지 설문지 사용과, 직무만족, 조직적응, 직무성과, 조직헌신성의 4가지 영역으로 구성한 에듀테인먼트적인 유아교육기관의 조직효과성을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첫째, 유아교사 리더십 유형을 살펴보면, 기관장이나 교사 모두 효율형과 비효율형이 높게 나타난 반면 과업중심형과 인화중심형 리더십유형은 낮은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두 집단 간의 차이는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게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유아교육기관에 종사하고 있는 직원들의 조직효과성에 대한 인식은 원장이 모든 영역에서 원감이나 교사보다 조직효과성에 대한 인식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효율형 리더십 유형이 가장 높은 조직효과성을 보이고 있었으며, 그 다음이 과업중심형 리더십, 인화중심형 리더십, 비효율형 리더십 유형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교육기관의 조직 운영에 있어서 좋은 효과를 창출하기 위해서는 효율형 리더십이 필요하다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그리고 인화중심형 리더십보다는 과업중심형 리더십이 더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is to grasp the presidents and teathers" leadership types, who engaged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and investigate the differences of characteristics by the variable about the type and interven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 Also, this study is to make clear what the leadership patents are related to the organization effectiveness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 From the result of this research above, First, as for the teacher leadership type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 in case of the chiefs in the organization, it found the non-effective type, effective type, task-oriented type, and harmony-oriented type in order. In case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it found the effective type, non-effective type, task-oriented type, harmony-oriented type in order. Also, there arose no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school career, personal history, and organization type that became the teachers" variables of background. Second, as for the recognition about the organization effectiveness for the staffs engaged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 it found that the president had higher recognition in the organization effectiveness than the teachers. In particular, it presented the high scores in the job performance and organization adaptation among the subdivisions of organization effectiveness, and it found the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 devotion in order.

      • KCI등재

        초등학교 도덕과 교과서를 통해 본 아동의 모습

        허정경 ( Huh Jung Kyoung ) 한국아동권리학회 2005 아동과 권리 Vol.9 No.4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육과정의 변천 과정을 통해 제시하고 있는 아동 교육 목표와 추구하는 인간상에 대해 먼저 알아보고, 그에 따른 초등학교 1학년 도덕과 교육내용과 주제를 교육과정별로 분석하여, 시대별로 교과서 속에 나타난 아동의 모습을 고찰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1954년 제1차 교육과정 도덕과 교과서(초등도의, 도덕)을 시작으로 오늘날 제7차 교육과정(우리들은 1학년, 바른생활 1학기, 바른 생활2학기)까지 총 18권을 대상으로 하였다. 그리고, 교과서 속에 나타난 교육 주제와 내용을 분석하고, 다시 개인생활, 가정생활, 사회생활, 국가생활의 4가지 영역으로 나누어 빈도를 알아보았다. 초등학교 1학년 도덕 교과서를 분석한 결과, 오늘날 7차 교육과정으로 올수록 국가생활 영역은 적어지고 있는 반면에 개인생활 영역은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개인주의적 사고에 기초한 아동으로 키워나가려고 하는 경향을 나타내는 것으로 자신이 소중함이 타인에 대한 소중함으로도 발전시킬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과거 교과서 그림속에는 아동과 부모, 조부모, 교사, 이웃 어른들의 모습이 많이 보이나, 현재의 교과서에는 아동 옆에 있는 성인의 모습을 찾아볼 수 없으며, 아동이 스스로 보호하고 자립하는 어린이로 성장하기를 희망하고 있었다. 이는 과거 도덕 교육의 방향이 기존의 가치를 받아들이고, 체제에 순응하며 예절바른 어린이로 성장하기를 원했던 방향이라면, 오늘날은 가정의 역할 축소로 아동들이 가정밖에서 자라나게 되므로, 위험한 환경에 노출되고 방임 상태에 놓여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ducational topic and content of the moral subject at the first grade through the process of variation in curriculum in elementary school. And,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ildren's figures showed in the textbooks by the age.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oral textbook at the first grade of elementary school, the field of national life became smaller as it was very close to the 7th curriculum today. On the other hand, this researcher could understand it increased the field of personal life. It suggested that it had a tendency to raise them as children based on the individual thinking, and it needed to develop their valuable things to the other people's valuable things. Also, we could see a lot of features of children, parents, grandparents, teachers, and neighbors from the figures in the past textbooks. However, we could not see the adults' features beside the children in the present textbooks. It means that it is desired to be grown as children who insist on their protection and independence for themselves. It seemed to be a direction that the past moral education accepted the existing value in compliance with the establishment, and grow to be children who have good manners. However, today the children grow outdoor because the role in home was declined. Therefore, this research can understand that they are exposed to the dangerous environment and are placed in a state of laissez-faire.

      • KCI등재후보

        초등학생의 자기조절능력과 관련 변인들간의 관계

        허정경(Jung-Kyoung Huh)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4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8 No.1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자기조절능력을 측정하였고, 자기조절능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관련변인들간의 관계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초등학생들의 자기조절능력은 동기적 요인에 대한 영향력이 우세함을 알 수 있었고, 학년에 따라서는 차이를 보이지만, 성별에 따라서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리고, 초등학생의 자기조절능력이 높을수록 기질의 일반적인 활동수준이나 융통-경직성은 낮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고, 부모의 양육태도는 초등학생의 자기조절능력 중 인지적 요인에서 더 높은 상관을 보이고 있었다. 또한, 초등학생의 자기조절능력이 학업성취도에는 유의한 영향력을 갖지만, 학교생활 적응도에는 영향을 끼치고 있지 않았다. Elementary school children"s self-regulation was excellent in the influence on the motivational factor. Also the third grade student had higher self-regulation than the fifth grade ones, a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children"s self-regulation according to the sex. And as a result of investigation the relative influence of self-regulation by the children"s temperament and the parents" parenting, the factor with the largest influence on the self-regulation was persistence, a sub-factor of the temperament of the children. It had an effect on the affectionate attitudes as a parents" parenting, the approach-withdrawal and, as a activity level general of temperament, the degree of "supervision as a parents" parenting, and distractability and flexibility-rigidity as a temperament in order.

      • KCI등재

        아동의 기질과 부모의 양육태도에 따른 자기조절능력 연구

        허정경 ( Jung Kyoung Huh ) 대한아동복지학회 2007 아동복지연구 Vol.5 No.4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자기조절능력을 측정하였고, 아동의 자기조절능력에 있어서 특히, 부모의 통제가 아동의 억제와 충동 통제를 발달시킨다는 관점에서 부모의 양육태도에 따른 아동의 자기조절능력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아동의 기질과 관련지어 기질의 어떤 특성이 자기조절능력의 행동을 예측해 주는지 알아보았다. 이에, 현재 초등학생들의 자기조절능력은 중간이상의 점수를 보여주며, 각 하위요인 중 동기적 요인에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고, 그 다음이 행동적 요인, 인지적 요인 순으로, 초등학생들의 자기조절능력은 동기적 요인에 대한 영향력이 우세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아동의 자기조절능력은 학년에 따라 차이를 보이나, 성별에 따라서는 차이가 없었다. 아동의 기질과 부모양육태도에 대한 자기조절능력 하위요인들간의 관계는 모두 유의한 상관을 보이고 있었으며, 아동의 기질과 부모의 양육태도에 따른 자기조절능력의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본 결과, 자기조절능력에 가장 영향력이 큰 요인은 아동의 기질의 하위요인인 지속성이고, 그 다음이 부모의 양육태도인 애정태도, 기질의 하위요인인 접근-철회, 활동수준, 부모의 양육태도인 감독정도, 기질의 주의집중과 융통-경직성 순으로 영향을 끼치고 있었다. 즉, 아동의 자기조절능력을 발달시키기 위해서는 부모의 양육태도 중, 감독보다는 애정적인 태도를 중시하고, 아동의 기질 중 한 가지 활동을 꾸준하게 오랜 기간 수행하는 정도인 ‘지속성’을 강화시켜 줌으로써 긍정적인 자기조절능력을 증진시킬 수 있다는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그리고 부모의 양육태도에 앞서 아동의 기질이 초등학생의 자기조절능력에 먼저 영향을 끼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e self-regulation of the children in the school age was 3.30 and was excellent in the influence on the motivational factor. Also the third grade student had higher self-regulation than the fifth grade ones, a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children`s self-regulation according to the sex. And as a result of investigation the relative influence of self-regulation by the children`s temperament and the parents` parenting, the factor with the largest influence on the self-regulation was persistence, a sub-factor of the temperament of the children. It had an effect on the affectionate attitudes as a parents` parenting, the approach-withdrawal and, as a activity level general of temperament, the degree of ‘supervision as a parents’ parenting, and distractability and flexibility-rigidity as a temperament in order. It presented that the negative mood, sub-factors of temperament of the children, did not affect significantly. Ultimately, for developing the children`s self-regulation, it can improve the positive self-regulation by making much of affectionate attitudes then the supervision among the parents` parenting, and by enhancing the persistence, a scale of executing an activity among the children`s temperament continuity for a long time.

      • KCI등재

        복지공급주체에 따른 포괄적인 보육서비스 연구

        허정경 ( Jung Kyoung Huh ) 대한아동복지학회 2006 아동복지연구 Vol.4 No.4

        세계적 추세로 볼 때 보편적 보육의 패러다임은 정부-시장의 이원화 체제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사회공동체적 보육의 역할을 인정하고, 이를 위하여 민간비영리 부분과 파트너십을 구축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회공동체적 보육의 필요성을 논의하고자 하였으며, 이것을 국가(정부)가 제공하는 역할과 기업(시장), 가정(부모)가 제공할 수 있는 보육 서비스의 형태와 방안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복합적인 성격을 갖는 비영리부문을 제외하고 시장-국가-가족으로 구성된 Esping-Anderson(1990)과 Abrahamson (1991)의 복지공급주체간 복지 삼각형 분석틀을 제시하여, 현재 우리나라에서 포괄적이고 복합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보육의 운영 사례를 조사 및 정리하여, 포괄적인 보육서비스를 위한 국가의 역할과 기업(시장)의 역할, 가정(부모)의 역할을 제시하였다. 이에 복지공급주체에 따른 포괄적인 보육서비스의 방향과 역할에서 국가는 직접적인 사회급여의 형태로 아동수당과 간접적인 사회급여의 형태인 조세지원제도를 갖는다. 그리고 기업(시장)은 현물 형태인 직장보육시설과 현금 형태인 보육비 지원을 구축하며, 가정은 부모가 직접 참여하는 보육의 형태인 부모협동보육시설과 부모교육중심의 보육의 형태인 보육시설운영위원회와 보육정책위원의 역할이 강조된다고 본다. 즉 복지공급주체에 따른 포괄적인 보육서비스는 정부의 공공성 역할 강화를 기반으로 하여, 기업(시장)과 가정(부모)의 역할이 보육 서비스를 뒷받침 해 줌으로 인해서, 현재의 보육문제인 저출산과 육아의 문제를 해결해 줄 수 있는 대안이 곧 포괄적인 보육서비스로 수요자들의 욕구에 충족시켜 줄 수 있으리라 본다. This study was to discuss necessity of communal child care, and suggest role that the country(or government) offered, enterprises(or market), service type and plan for child care that the home(or parents) could offer. To achieve them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nd summarize a case study of child care managed comprehensively and multiply in Korea, suggesting a triangle analysis tool for welfare among the supply sectors of welfare by Esping-Anderson(1990) & Abrahamson(1991) comprised of market-country-family except for nonprofit sectors with the complex characteristics. In order to understand the provision of social welfare in Korea, this study puts forward a method to measure and tracks the welfare mix, and applies the method to Korea. As to the research on comprehensive child care service according to such supply sectors for welfare, this study is to suggest that the role enhancement of country can be important factor on acquisition of the publicity concerning child care ultimately by highlighting a balance of triangle when the weak role of country among the functions of child care up to date can be emphasized in Korea.

      • KCI등재

        시험과 과제물 부정행위와 아동의 도덕성 관계

        허정경 ( Jung Kyoung Huh ),한국선 ( Kuk Sun Han ) 대한가정학회 2010 Human Ecology Research(HER) Vol.48 No.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children`s cheating behaviors and their self-reported orality. For this study, 883 children were selected from 7 elementary schools and from 7 middle schools in Seoul, Korea. The participating students included 4th, 6th and 8th graders. The research was performed through the administration of questionnaires designed to measure the students` cheating behaviors and moralit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children cheated on occasion. More cheating occurred during homework than while taking an examination. During an examination, there was more lone cheating than students helping other students to cheat. With regard to homework cheating, helping others to cheat was higher than students doing their own cheating. Cheating behavior increased in higher grades, but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genders. 2. In relation to children`s morality, distinctions between 6th graders, 8th graders and 4th graders were different demonstrated. 3. In relation to cheating behavior and morality (4 factors), while PHIL (interests to others) factor decreased cheating behavior, EMP (understanding of emotion and feeling) factor increased cheating behavior.

      • KCI등재

        한국 전래동화 속 아동의 모습에 관한 고찰

        허정경 ( Jung Kyoung Huh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5 아동교육 Vol.24 No.1

        전래 동화 속 아동을 과거의 산물로 바라보기만 할 것이 아니라, 다가 올 미래를 대비할 수 있는 아동상을 예측할 수 있게 재조명되어야 한다. 그러나 전래동화의 범위가 워낙 넓으므로 체계적으로 분류하여, 주인공인 아동의 모습이 어떤 의미를 줄 수 있는지를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아동이 주인공으로 나오는 전래동화 35편을 선별한 뒤, 줄거리의 핵심 모티브에 따라 ‘어려운 문제를 해결하는 지혜를 가진 아동’, ‘효자, 효녀 아동’, ‘계모에게 구박받는 아동’, ‘운명을 이겨내는 모험의 아동’으로 분류하여 전래동화 속 아동의 모습과 의미를 살펴보았다. 이에, 전래동화 속 주인공인 아동은 사회적 약자를 상징하고 강자를 이겨내는 모습을 통해 민중의 사회 비판 의식을 드러내고 있고, 유교적 가부장제 사회 속에서 형성된 남녀 성차별적인 요소가 여자 아이가 겪는 시련을 통해 나타나기도 했다. 또한, 전래동화 속 주인공인 아동은 어른으로서 성장하기 위해 고난과 시련이라는 통과의례를 거쳐 자아 정체감과 현실 인식을 획득하게 된다. 따라서, 책을 읽는 아동 스스로가 포괄적인 주제로서의 권선징악을 탈피하여 다양한 주제를 찾아 낼 수 있도록 부모, 교사들이 이를 지지해 주어야 한다. Folk fairy tales often encounter deep-seated prejudice that they stress moral and ethical aspects. As a result, interpretation or understanding of folk fairy tales is insufficient and limited although such stories are for children. In that sense, this thesis attempted to redefine Korean folk fairy tales through phenomenological perspective and approach excluding any bias against objects or phenomena. Considering the expanse of folk fairy tales, the present study selected stories where heroes and heroines are children to determine what those main characters could imply to us. So, children in stories are classified into four types: ‘wise children who solve difficult problems’, ‘dutiful sons and daughters’, ‘abused children by their stepmothers’, and ‘children defeating fate and bad luck.’ Conclusively, the current study found the following implications in folk fairy tales: First, children who are main characters in fairy tales represent the socially disadvantaged and reveal popular criticism against society by defeating the strong. Second, female children in folk fairy tales are tried, which implies the gender discrimination formed in the confucian patriarchal society. Finally, children in folk fairy tales go through a rite of passage including hardships and adversity in the course of becoming grown-ups before they acquire ego identity and perceive reality.

      • KCI등재

        조부모부양가족 아동의 성역할 고정관념에 대한 연구

        허정경(Jung-Kyoung Huh)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7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1 No.2

        초등학교 4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현재 조부모와 아동이 함께 살고 있는 집단, 조부모와 아동이 과거에 함께 동거한 적이 있는 집단, 조부모와 동거한 적이 없는 집단으로 구분하여 아동의 성역할 고정관념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성별에 따라 아동의 성역할 고정관념이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고자 t-검증을 실시한 결과 가사와 놀이에 관한 성역할 고정관념에 있어서 남녀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부모 부양 여부와 동거 유형에 따라 성역할 고정관념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ANOVA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모든 영역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동거 조부모의 유형에 따라서, 현재 조부모와 동거하고 있는 아동의 경우에는 동거하고 있는 조부모가 할머니 혹은 할아버지인지 여부에 따라 가사 성역할 고정관념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직업과 놀이의 성역할 고정관념에 있어서 할아버지, 할머니 모두와 동거하고 있는 아동이 성역할 고정관념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조부모와의 동거기간에 따라서도, 과거에 조부모와 동거했던 적이 있는 아동의 경우에는 동거기간에 따라 성역할 고정관념에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현재 동거하고 있는 아동의 경우에는 동거기간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이처럼, 조부모부양가족 아동의 성역할 고정관념은 조부모를 부양하는 아동과 조부모를 부양한 적이 없는 아동간에 차이를 보였고, 부양가족 조부모의 연령이 높을수록 아동의 성역할 고정관념은 높았다. Targeting elementary school fourth graders total of living in Andong, collective living now with grandparents and children, grandparents and children groups that ever lived together in the past, grandparents living with you. They have not been separated into groups examined the child"s gender role stereotypes. As a result, depending on the gender of the whole child, a boy stereotypes appeared to be higher than girls in housework area and play area. Grandparents were differences in gender role stereotypes according to whether the stimulus. Groups of children do not live with grandparents as they appeared less most gender role stereotypes, sex role stereotypes grandparents of the child living like this was higher. And a result of examining gender roles and stereotypes of the types of living grandparents, In the case of children who are currently living with grandparents, stereotypes about gender roles in housework, depending on whether you are living with grandparents, grandmother or grandfather was no difference. But In the gender role stereotypes on the job and play this stereotype gender roles in children living with both grandfather and grandmother showed the highest. Differences in gender role stereotypes of the period of cohabitation with the grandparents, in the case of children who have had grandparents living in the past, there were no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gender role stereotypes cohabitation period. But in the case of children who are currently living with grandparents, there were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period of cohabit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