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식 유통의 관점에서 본 근대 동아시아의 번역 학술어 생성 · 변화 및 그 영향

        허재영 ( Heo Jaeyoung ) 한국독서학회 2018 독서연구 Vol.0 No.49

        이 연구는 근대 한ㆍ중ㆍ일 지식 교류 과정에서 대두된 번역 문제와 번역 정책, 번역 학술어의 생성ㆍ변화 및 그 영향을 고찰하는 데 목표를 두고 출발하였다. 근대 동아시아에서는 서구의 새로운 지식을 수용하기 위해 활발한 번역 활동을 전개했는데, 이는 근대화 과정에서 자국의 혁신을 위해 새로운 지식과 정보가 필요했기 때문이다. 그 과정에서 중국과 일본은 동문(同文) 한자어를 중심으로 다양한 번역 학술어를 창출했으며, 이는 같은 한자를 사용하고 있던 한국에도 적지않은 영향을 미쳤다. 이 논문에서는 근대 동아시아 번역 문제와 번역 정책, 번역 학술어 생성 과정 및 영향 관계를 고찰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번역 문제는 번역의 필요성과 번역 능력이라는 두 가지 관점에서 일본과 중국의 사례를 검토하고자 했으며, 번역 정책에서는 한ㆍ중ㆍ일 모두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국가 주도의 번역 정책이 등장했음을 밝히고자 하였다. 그러나 한국의 경우 일본과 중국과는 달리 국가 차원의 번역 정책이 큰 효과를 거두지 못했음도 사실이다. 번역 학술어 생성 요인은 원의와 역어의 의미상의 차이를 극복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를 살피고자 했으며, 그 과정에서 등장한 ‘기기명명설’, ‘논역서지법’, ‘논역서’ 등의 논의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번역 학술어는 한국에도 적지않은 영향을 준 것으로 확인되는데, 이 논문에서는 1885년 중국에서 발행된 『성신지장』과 1908년 한국에서 번역된 『□리학 초권』을 비교하여, 번역 학술어의 차이를 기술하고자 하였다. This study first, aims to explore the translation problems and policies in East Asian countries(Korea, China and Japan) during the early modern time period. I studied the need for translation and translation skill during the time. East Asian countries to pay it because the Western knowledge and information required attention to its own innovation. In this time, Japan and China are involved in the translation problem. It is the difference in degree, but Korea is no exception. However, Korea was in the audience’s position as the latest opening. The foundation of technical term professional translation was created. I noticed the process of generation of translated words and the effects. I compared the SEONGSHINJIJANG(省身指掌, the Elementary Physiology -A textbook for Schools, written by Henry D. Porter, M.D.(博恒理) in 1885. This book published in China in 1904) with the SAENGRIHAKCHOGWUEON(生理學初卷, The human body and its health translated by Annie Baird in 1908). These books are all there is an index. The technical terms translated in Korea were the technical terms China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This is the adoption process and knowledge age, a reflection of the situation.

      • KCI등재

        근대 한국에서의 번역 서학서 수용과 학술어 사용 양상

        허재영(Heo Jaeyoung)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9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0 No.3

        이 글은 근대 중국의 번역 서학서가 한국에 수용되는 양상을 실증적으로 고찰하고, 그 과정에서 번역 학술어의 생성, 수용, 변화 과정을 규명하는 데 목표를 두었다. 특히 1870년대 상해 제조총국 번역국에서 발행한 『화학감원』과 영국 의사 벤자민 홉슨(合信)이 저술한『박물신편(博物新編)』을 대상으로 하였는데, 그 이유는 두 종의 책이 1884년 『한성순보』에 전재된 적이 있으며, 『박물신편』은 1891년 지석영의 『신학신설』에도 등장하기 때문이다. 『박물신편』과 『화학감원』은 1884년 『한성순보』에 9편의 글이 전재되어, 근대 한국에서 중국의 번역 서학서에 대한 관심이 적지 않았음을 보여준다. 그 이후 1891년 지석영의 『신학신설』에도『박물신편』을 비롯한 다수의 번역 서학서명이 등장하는데, 이는 중국에서 생성된 근대 학술어가 근대 한국에도 어느 정도 영향을 미쳤음을 의미한다. 근대 한국에서 중국 번역 서학서의 학술어 사용 양상을 고려할 때, 『신학신설』의 경우 중국식 학술어 사용 빈도가 높은데 비해, 1907년 『대동학회월보』의 경우 일본식 학술어와 중국식 학술어가 공존하는 현상이 뚜렷하다. 이는 번역 서학서의 학술어가 의미 중심의 단자(單字)로 구성되어 한국어의 특성과 일치하지 않는 점이 많으며, 필자의 지적 배경이나 학제 도입 등의 학술어 외적인 요인과도 무관하지 않을 것으로 추정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way in which modern Chinese translation of Western books are accepted in Korea and to identify the process of creation, acceptance, and transformation of translated academic words in the process. In particular, it was the subject of a the HWAHAKGAMWON(化學鑑原) published by the Shanghai JEJOCHONGGUK BYEONYEOKGUK(上海 製造總局 繙繹局 in the 1870) and the BAKMULSINPHYEON(博物新編) written by a chemist and a British doctor Benjamin Hobson(合信). It was reprinted in the HANSEONGSUNBO(漢城旬報), and the BAKMULSINPHYEON(博物新編) also appears in the SINHAKSINSEOL(新學新說) written by Ji Seokyoung(池錫永) in 1891. These two books were published in 1884 in the HANSEONGSUNBO(漢城旬報), showing that there was not much interest in Chinese translation books in modern Korea. Since then, Ji Seokyoung s work has also appeared in a number of translation books name, including new articles, which means that the modern academic language created in China had some influence on modern Korea. Considering the aspect of the use of the academic translation of Chinese translation books in modern Korea, the use of Chinese scholars is more frequent in the case of the SINHAKSINSEOL(新學新說) than in the case of the DAEDONGHAKHOIWOLBO(大同學會月報) in 1907. It is assumed that the academic term of the translation book is composed of one spell(單字) and is not consistent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language.

      • KCI등재후보

        국어사전 편찬 연구사

        허재영(Heo Jaeyoung) 한국사전학회 2009 한국사전학 Vol.- No.13

        This study aims to describe the history of study about lexicography of Korean language dictionary. I think that the history of lexicography should be distinguished from lexicology because the compilation of a dictionary leads to various problems. Lexicography means the writing and making of dictionar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Korean dictionary appeared in recent modern times. But these were simply wordbooks. In 1897, Ju Sikyeong(주시경) asserted the necessity of a Korean dictionary, and he compiled Malmoi(말모이), but the dictionary was not completed. Second, langauge law is a prerequisite to the compilation of a dictionary. These problems must be solved by government. However, during the colonial period, the government was not interested in these problems. In 1933, these problems were solved by the CHOSEON-EOHAKHOI (the Korean language Research Society). In 1957, the Korean dictionary was published by the HANGEUL-HAKHOI. The dictionary was named WOORIMAL-KHUNSAJEON (which means the large scale Korean dictionary). However, lexicography was not developed during the modem times. Third, from KHUNSAJEON various dictionaries were published and lexicography developed quantitatively. Today the compilation of a dictionary is based on corpus, and lexicography concerned with the micro and macro structure.

      • KCI등재

        국어사 교육의 변천과 발전 방향 -고등학교 국어과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내용 선정을 중심으로-

        허재영 ( Heo Jaeyoung ) 한국문법교육학회 2016 문법 교육 Vol.27 No.-

        This study aims to survey the tendency of Korean language history education in the highschool curriculum. The Kyosuyomok (敎授要目, the initial curriculum) contained contents about the Korean language history. Time after, Korean education consistently contained Korean language history. From the first curriculum to the 5<sup>th</sup> curriculum, the contents of Korean language history were due to reading classics or related with Korean alphabet. The 6<sup>th</sup> curriculum evolved into change of systematic linguistic structure. This is the results of the studies on the Korean language history. These evolutions are reflected on the history of textbooks. However, the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history contained some problems. For example, the division into periods and the selected historical materials for example. We must try to solve these problems.

      • KCI등재

        국어사 시대 구분과 20세기 초의 문법 변화

        허재영 ( Heo Jaeyoung ) 국제어문학회 ( 구 국제어문학연구회 ) 2017 국제어문 Vol.0 No.73

        이 논문은 국어사 시대 구분에서 20세기 전반기의 국어를 현대 국어로 설정하는 문제의 적절성을 비판적으로 고찰하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선행 연구에서 국어사의 시대 구분이 일치하지 않고, 학자마다 다양한 견해를 제시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현상이다. 다른 학문 분야도 마찬가지이지만, 국어사학에서도 모든 연구성과가 획일적이어서는 안 된다. 또한 학문의 분화와 전문화 과정을 거치면서 이른바 `통설`이나 `일반설`이 형성되고, 그것이 마치 상식처럼 해당 분야의 학문 세계에 전수되는 것도 자연스러운 현상이다. 이러한 전제에서 현재 국어사학계에서 국어사의 시대 구분과 관련된 문제가 제기될 수 있다. 이 문제는 이미 김종택(1985), 김상돈(1984) 등과 같이 비교적 오래 전부터 제시된 것으로 볼 수 있는데, 특히 국어사 설정에서 가장 논란이 심한 `근대 국어`와 관련해서는 홍윤표(1994, 1995), 정광(1992) 등에서 본격적인 논의가 시작되었다. 이 가운데 홍윤표(1994, 1995)의 문제의식은 기존의 국어사 시대구분이 `음운`을 기준으로 한 것이어서, `문법사`나 `어휘사`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 것이라는 데서 출발한다. 이 점은 19세기∼20세기의 문헌을 연구하는 국어사학자들이라면, 그 시기의 국어 현상이 1920년대 이후의 국어와 다른 점이 많기 때문에 쉽게 공감할 것이다. 이 논문에서는 국어사 시대 구분과 관련한 쟁점 세 가지를 살펴보고, 이 시기의 문법 변화를 고려할 때, 이 시기의 국어를 현대 국어와 구분하여 근대 국어로 설정하는 것이 적절함을 주장하고자 하였다. 이 시기 국어 변화에서 주목할 사실은 1900년대와 1920년대 국어의 모습에서 적지 않은 차이를 보인다는 점이다. 그 가운데 두드러진 것은 문체상의 변화와 국어의 단문화 경향이다. 이 점에서 이 시기를 현대 국어 시기에 포함하는 것은 다른 학문 분야의 시대 구분과도 일치하지 않는 경향이 있음을 주목해야 할 것이다. This paper aims at exploring the appropriateness of the Korean language history about the early 20<sup>th</sup> century. To be Precise, I think that the Korean language had a lot of change from 1895 to 1910. These change were not only sound changes but also grammar and lexical items. According to the common view, the Korean language history divided into Ancient Times(Prior to the Unified Silla), Middle Age(From Koryeo to the closing of the 16<sup>th</sup> Century), Early Modern Language(From the 17<sup>th</sup> Century to the Gabo Reform of 1894), and Modern Language(After the Gabo Reform). These division were not suitable because of the rapid change in the modern Korean language. The appearance of proposition YO(요), increase of vocabularies, shortened sentences and unity of speech and writing were representative language change in modern Korean language. These change began in the 1880`s and became established in the 1920`s. I think that these changes should be included in the early modern time in Korean language history.

      • 스마트 열차분리결합 시스템을 위한 예비위험원 분석

        허재영(JaeYoung Heo),이강미(Kangmi Lee),황현철(Hyeonchyeol Hwang) 한국철도학회 2014 한국철도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14 No.10

        가변편성은 저밀도 구간, 수요가 적은 시간대의 철도이용자들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철도운영자의 운영효율을 높일 수 있는 이용자 맞춤형 운영방법이다. 국내에서는 익산역을 거점으로 전라선과 호남선을 대상으로 KTX산천에서 중련운행하고 있다. 다만, 중련을 위한 열차분리결합이 운영인력 개입을 통하여 수행됨에 따라, 역사내 승객대기 시간이 증가되고, 인적오류에 의한 사고 등 문제점들이 존재한다.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무인자동시스템(Manless)을 기반으로한 열차의 분리결합을 자동화하는 스마트 분리결합 시스템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국내외적으로 새롭게 정의되는 스마트 열차분리결합 시스템의 안전성 확보를 위하여 예비위험원 분석을 통한 위험원들을 기술하였다. 스마트 분리결합 시스템을 적용하기에 앞서 도출된 위험원을 제어하기 위한 안전대책을 수립하고자 한다. In Korea, Variable formation operates double heading to target Ho-Nam Line and Jeon-La Line to Ik-San position, which can increase operational efficiency the railway operator to improve the convenience of railway users of demand less the time zone. However, according to the operation is performed by working personnel involved for Smart Train Coupling and Decoupling system, the passenger waiting time is increased in station, there are hazards by human error. Smart Train Coupling & Decoupling system is redefined in home and abroad that is system to target unmanned automatic for remedy shortcomings existing technology. This paper is newly defined the Smart Train Coupling and Decoupling system that must be done in order to secure the safety of system, first stage of safety activities, through PHA (Preliminary Hazard Analysis), the hazards, using safety to adopt measures to control hazards, which wants to adap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