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종묘 악현 중 삼현 사용에 관한 사적 검토 -세종시대부터 현재까지의 종묘제례악현 비교를 통하여-

        허익수 한국국악학회 2014 한국음악연구 Vol.56 No.-

        조선 건국 이후 세조 10년 이전까지 종묘제례에는 고려의 태묘에 사용하던 대성악을 사용하였다. 이후 세조 10년에 이르러 향악곡인 보태평과 정대업을 종묘제례악으로 채택한 이래 현재까지 전해져 내려오고 있다. 세종대부터 현재까지의 종묘제례악 악현도 중 영조대『대악후보』는 세조대『세조실록악보』와 성종대의『악학궤범』· 숙종대의『종묘의궤』· 정조대의『춘관통고』· 일제시기 함화진의『조선악개요』는 성종대『국조오례의』의 악현도와 동일하다. 단『조선악개요』에는 ‘세종조종묘악현도’라고 되어있는데 이는 오기로 여겨진다. 또한『춘관통고』및『조선악개요』는『증보문헌비고』 ‘보(補)’와 유사하다. 이상의 내용을 바탕으로 문헌사료를 조사해 본 결과 종묘제례악 악현의 삼현 출몰에 대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종묘제례의 음악을 보태평과 정대업으로 채택한 시기의 문헌사료인『세조실록악보』‘종묘 등가․헌가 도설’을 통해 종묘제례악 악현에 처음으로 삼현이 출현한 시기는 세조대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종묘제례악 등가 악현 내 삼현은 세조대 이후 19세기까지 현금․가야금․향비파가 각 1씩 진설되었으나 20세기 초 악현인『조선악개요』 ‘대정 6년 현행 종묘 악현’에는 출현하지 않는다. 따라서 종묘제례악 등가 악현에서 삼현이 사라진 시점은 대정 6년인 1917년으로 볼 수 있다. 종묘제례악 헌가 악현 내 삼현이 진설된 시기는 세조대에서부터이며 삼현이 사라진 시기는『증보문헌비고』사료 안의 기록인 ‘인조 21년’부터 삼현이 등장하지 않는 것처럼 보인다. 이와 관련한 선행연구들은 종묘제례악 헌가 악현에서 삼현이 사라진 시점을 인조 21년으로 추정하고 있으나『증보문헌비고』의 사료가 ‘인조 21년’ 다음에 나타난 것이 아니라 ‘보(補)’ 뒤에 출현하며, 피리와 장고의 악공 수를 제외하면 『증보문헌비고』가 정조대의『춘관통고』와 동일한 점으로 보아『증보문헌비고』의 사료는 정조대로 추정하는 것이 타당하다. 또한『인조실록』의 기사를 통해 인조 21년 당시에 종묘제례를 지내지 않았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종묘제례악 헌가는『증보문헌비고』의 ‘인조 21년’의 사료보다는 그 다음 시기 사료인 숙종대의『종묘의궤』에서부터 삼현이 제외된 것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단 향비파의 경우 고종대에 헌가 악현에서 다시 한 번 나타났다가 사라진 점이 특이하다. From the foundation of Joseon dynasty until the 10th year of King Sejo’s reign, JongmyoJeryeak(宗廟祭禮樂) used Daesungak(大晟樂) which was the Goryeo dynasty’s national ancestral shrine ritual music. Since the 10th year of King Sejo’s reign, Botaepyeong(保太平) and Jeongdaeeop(定大業)-Hyangak(鄕樂)-were chosen and used for JongmyoJeryeak(宗廟祭禮樂). Among Akhyeon(樂懸) of JongmyoJeryeak from the King Sejong’s period to the present, Daeakhubo(大樂後譜) of King Yeongjo’s period is same as Sejosilokakbo(世祖實錄樂譜) and Akhakgwebeom(樂學軌範) of the age of King Seongjong, Jongmyouigwe(宗廟儀軌) of King Sukjong’s period, Chungwantonggo(春官通考) of King Jeongjo’s period, and Joseonakgaeyo(朝鮮樂槪要) by Ham Hwa-jin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re same as Akhyeon of Gukjooryeeui(國朝五禮儀) of the age of King Seongjong, provided that the term of ‘Sejongjojongmyoakhyeondo’ in Joseonakgaeyo is considered a typo. In addition, Chungwantonggo and Joseonakgaeyo are similar to ‘Bo’(補) in Jeungbomunheonbigo(增補文獻備考). As a result of examining historical materials based on the information mentioned above it is concluded for the appearance of Samhyeon(三絃) of JongmyoJeryeak Akhyeon as follows: From the description of ‘Jongmyo Deungga, Heonga Doseol’ in Sejosilokakbo, a literature in the age when Botaepyeong and Jeongdaeop were selected for JongmyoJerye, it was found that Samhyeon first appeared in JongmyoJeryeak Akhyeon during the reign of King Sejo’s period. For Samhyeon in JongmyoJeryeak Deungga(登歌) Akhyeon, Geomungo(玄琴), Gayageum(伽倻琴) and Hyangbipa(鄕琵琶) were arranged from the King Sejo’s period until the 19th century but did not appear in ‘Daejeong 6 nyeon hyeonhaeng Jongmyo Akhyeon’ in Joseonakgaeyo. Therefore, it can be estimated that Samhyeon disappeared from JongmyoJeryeak Deungga Akhyeon in 1917, the 6th year of Daejeong. It was from the King Sejo to King Seongjong’s period when Samhyeon was arranged in JongmyoJeryeak Heonga(軒架) Akhyeon and Samhyeon did not appear from Heonga Akhyeon in King Injo’s period. Previous studies on Samhyeon assume that it was the 21st year of King Injo’s reign when Samhyeon disappeared from JongmyoJeryeak Heonga Akhyeon. However, it is proper to estimate that the literature of Jeungbomunheonbigo is of the King Jeongjo’s period in that the literature of Jeungbomunheonbigo did not appear after the 21st year of King Injo but appeared after ‘Bo’ and is same as Chungwantonggo of the age of King Jeongjo, except the number of the court musicians of Piri and Janggo. Besides, through the article of Injosilok(仁祖實錄), it is found that JongmyoJerye was not performed in the 21st year of King Injo’s reign. Therefore, it would be proper to consider that Samhyeon of JongmyoJeryeak Heonga was excluded from Jongmyouigwe(宗廟儀軌) written in the King Sukjong period rather than Jeungbomunheonbigo. For Hyangbipa, however, it is remarkable that it once appeared in Heonga Akhyeon in the reign of Emperor Gojong and then disappeared.

      • KCI등재
      • KCI등재후보

        노동위원회 비정규직 차별시정절차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허익수(Hue Ik Soo) 인하대학교 법학연구소 2009 法學硏究 Vol.12 No.3

        노동위원회는 노ㆍ사ㆍ공익 3자 구성의 합의제 행정기관으로 노동관계에 있어서 발생하는 노ㆍ사간의 이익 및 권리분쟁에 대한 신속하고 공정한 해결을 위해 조정과 판정을 주 업무로 하는 노사분쟁해결기구이다. 최근 비정규직 차별시정제도를 포함한 노동위원회의 제도개선, 나아가 노동분쟁 해결 전반의 제도개선에 대한 다양한 대안들이 제시되고 있지만, 법 시행 후 이미 2년여가 경과한 현 시점에서 여전히 비정규직 차별이 심각한 문제로 남아있고 나아가 노동위원회의 차별시정제도가 별다른 효과를 나타내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라면, 오히려 중ㆍ장기적인 법적ㆍ시스템적 개선안 보다는 단기적으로 노동위원회의 차별시정제도운영에 대한 개선이 보다 시급하게 개선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개선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일본과 미국의 제도를 노동위원회의 인적구성과 구제절차라는 측면에서 비교법적으로 살펴보고 이에 대한 개선안을 도출해보았다. 노동위원회가 노사분쟁을 해결함에 있어서는 주되게 절차와 결과에 있어서 신속성과 공정성을 최대한 고려해야 하고, 나아가 노ㆍ사ㆍ정 3자가 공정하게 참여하여 노ㆍ사 모두가 만족하는 제도운영을 고려하여야 한다. 특히 노동위원회 차별시정 제도는 비정규직의 차별받지 않을 권리를 적극적으로 보호한다는 측면에서 제도운영을 하여야 한다. 노동위원회의 제도적 운영에 대해서 이러한 원칙과 일본, 미국의 제도를 참고하여 인적구성과 절차적 측면에서 현행 노동위원회의 차별시정제도에 관한 단기적 운영개선안을 정리하면 첫째, 차별시정 제도의 활용성 제고와 적극적 권리구제를 위한 방안으로 ① 차별시정 신청의 간편화, ② 차별시정 신청기간의 확대 등이 고려되어야 하고, 둘째, 노동위원회 차별 판정에 대한 공정성 및 신뢰성 확보 방안으로는 ① 차별시정위원의 자격요건 개선, ② 차별시정 절차 전반에 대한 노사위원의 참여확대, ③ 심문회의 및 판정회의의 충실 등의 개선방안이 적극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본다. The Labor Relations Commission is a quasi-judicial governmental body which is composed of tripartite representatives: workers, employers and public interests. The major roles of Labor Relations Commission are to adjudicate and mediate(or arbitrate) rights or interests disputes arising out of the employment relationship. In a recent, there are suggested an wide alternatives to the labor dispute resolution system reform, and the system reform of LRC including its discrimination readjustment system. But, At this point after two years of enforcement of laws already passed, if irregular discrimination still remains a serious problem and discrimination correct systems of LRC have no effect on discrimination, I think that it is urgently needed short-term improvement of LRC’s discrimination correct system management than long-term regal and systemic improvement. To seek this LRC’s short-term management improvement, I made a comparative study of the Japan and the U.S’s system from it’s member organization and remedy procedures. Most of all, LRC must be considered speed and fairness in the process and results to resolve disputes, and system management, which all parties is satisfied under fairly involved. Now to conclude, for the shake of management improvement of LRC’s Discrimination corrective system, Firstly it is considered an easy method of requirement for correction and an extension of period of a application, Secondly it is considered an improvement of LRC member’s qualification requirement, an extension of a role of the workers-employers representatives, and a faithfulness of interrogation and adjudication council.

      • KCI등재
      • KCI등재

        ANK<sub>3</sub> 유전자 다형성과 조현병의 연관성에 대한 연합연구

        양소영,허익수,조은영,최미지,박태성,이유상,홍경수,Yang, So Yung,Huh, Ik-Soo,Cho, Eun Young,Choi, Mi Ji,Park, Taesung,Lee, Yu-Sang,Hong, Kyung Sue 대한생물정신의학회 2015 생물정신의학 Vol.22 No.4

        Objectives Previous genome-wide association studies have indicated the association between ankyrin 3 (ANK3) and the vulnerability of schizophrenia. We investigated the association between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 (SNPs) covering the whole ANK3 locus and schizophrenia in the Korean population. Methods The study subjects were 582 patients with schizophrenia and 502 healthy controls. Thirty-eight tag SNPs on ANK3 and five additional SNPs showing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schizophrenia in previous studies were genotyped. Results Three (rs10994181, rs16914791, rs1938526) of 43 SNPs showed a nominally significant association (p < 0.05) with at least one genotype model. But none of these associations remained significant after adjusting for multiple testing errors with Bonferroni's correction. Conclusions We could not identify a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ANK3 and schizophrenia in the Korean population. However, three SNPs showing an association signal with nominal significance need to be investigated in future studies with higher statistical power and more specific phenotype crossing the current diagnostic categories.

      • KCI등재

        공동주택단지의 공간 특성이 단지내 전기소비량에 미치는 영향 - 서울시 1,122개 공동주택 단지를 대상으로

        임재빈,허익수,강명구 서울연구원 2019 서울도시연구 Vol.20 No.3

        The apartment complex can have big difference for electricity consumption factors from the individual houses. Not only does standardized multi-homes make one building, but electricity is also consumed in public facilities and public spaces. Literatures have constructed electricity consumption models of individual houses, and the concept of apartment complex was seldom studied except the approach of microeconomic view. To expand the literatures results to population factor, the resident registration ledger was used in addition to the building ledger, applying the STIRPAT (Stochastic Impacts by Regression on Population, Affluence, and Technology). As a result, variables affecting the electricity consumption of the apartment complex are population, population density, BCR(building coverage ratio), number of floors, floor area per a house unit, the income level (house trade price per unit area), number of months used. In addition, the low BCR-High Rise type complexes showed less electricity consumption due to the increase of BCR and floors than the High BCR-Townhouse type complexes. On the other hand, the latter was more effective in reducing electricity consumption due to the increase in population density than the former.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applicable to the estimation of local electricity consumption in the case of public housing districts. 공동주택 단지는 개별 주택과는 전혀 다른 전기소비 특성을 보일 수 있다. 표준화된 다수 주택들이 집합된 건물동 을 이룰 뿐 아니라, 공동시설과 공용공간에서도 전기가 소비된다. 기존 연구는 주로 개별 주택의 전기소비 모형을 구축 해왔으며, 단지 단위의 개념은 미기후 시각의 접근 외에는 활발하지 못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공동주택 단지의 공간 특성과 단지별 전기소비량의 관계를 밝히는데 있다. 건축물장 외에 주민등록장을 연계하여 인구를 고려함으로써 기 존 연구 결과를 확장하였다. 이를 위해 주요 특성요소를 연쇄구조로 구성하는 통계기법인 STIRPAT(Stochastic Impacts by Regression on Population, Affluence, and Technology) 모형을 응용하였다. 결과로, 공동주택 단지 의 전기소비량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인구 외에 인구밀도, 건폐율, 층수, 호당면적, 소득수준(단위면적당 주택거래가 격), 사용월수, 평균기온이 유의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 저건폐율-고층 단지가 고건폐율-저층 단지보다 건폐율과 층수 의 증가에 따른 전기소비증가는 덜하고, 인구밀도 증가에 의한 전기소비감소는 적음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향후 공공 주택지구 등 공동주택단지 공급시 국지적인 전기소비량 추정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된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