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Total Synthesis of Macrosphelides and Their Derivatives for Immunosuppressive Theraphy

        허유미 경상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7631

        (+)-Macrosphelide A와 B는 1995년 Microsphaeropsis sp. FO-5050이라는 토양 곰팡이와 해조류에서 Satoshi Omura 연구팀이 최초로 분리한 저분자화합물군 macrolide계 화합물이다. 이 물질은 처음 분리 되었을 때, (+)-macrosphelide A가 in vitro 상에서 human leukemia HL-60 cell 이 human-umbilical-vein endothelial cells (HUVEC)에 흡착하는 것을 농도 의존적으로 방지해서 항암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알려졌다. 최근 J와 K구조가 밝혀지면서 현재까지 13종의 macrosphelide계열 화합물이 분리되었고 화합물구조가 밝혀졌다. 한편, 현재 임상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장기이식, 자가가면역질환, 원형탈모증, 안구 건조증 치료제로 사이클로스포린 (cyclosporin A)과 rapamycin은 미국 의약품 처방 순위에서100위 안에 위치할 정도로 임상의학 전반에서도 다빈도 처방의약품에 속한다. 그러나 현재 처방중인 면역억제제는 그 중요도에 비해, 구조가 복잡하여 수식이 어렵고 활성 및 독성의 개선을 기대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면역억제제는 신장기능저하, 골수억제, 혈압상승 등 다양한 부작용을 수반한다. 이에 비하여 macrosphelide는 rapamycin, cyclosporin A 비해 구조가 단순하고 분자량이 작아, 유도체 개발을 통한 활성개선에 적합한 물질임을 알 수 있다. Macrosphelide는 분자량이 340 정도의 비교적 작은 구조로서 16개의 원소로 거대 거대고리분자 (macrocycle)를 기본 골격으로 하고 있으며 세 개의 hydroxyl acid가 에스테르 결합으로 연결된 특징을 보인다. 생리활성이 뛰어나면서도 그 구조가 비교적 단순한 이유로 전합성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논문은 아직 기전과 활성이 밝혀져 있지 않은 macrosphelide B의 대량합성 및 유도체 합성을 목표로 전합성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합성의 핵심적인 특징으로는 첫째, 하나의 기질을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여러가지 중간체를 만드는 방법이라는 것과 둘째, 이들의 각 fragment를 효율적으로 연결시키는 방법인데 본 연구에서는 천연물에 기반한 기질을 사용하여 합성을 시도하였는 점, 셋째, 입체선택적인 이차 알코올을 만들기 전에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시약으로 chelation-controlled reduction을 수행해 입체선택적인 화합물을 만들고자 하였다. 알려져 있는 Yamaguchi esterification방법을 이용하여 각각의 전구체를 연결시킬 수 있는 방법을 시도하였다. 또한 click chemistry를 적용하여 아직 활성기전이 밝혀져 있지 않은 macrosphelide 화합물의 target protein을 찾는데 필요한 biotin-tagged 된 macrosphelde를 합성하고자 하였다. 또한 활성개선을 위하여 페닐기가 추가된 macrosphelide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페닐기를 연결시켜 지용성을 증가시키고, 좀 더 세포안으로 잘 들어가게 해서 세포활성이 더 개선 될수도 있다고 가정 한후 esterification으로 페닐기를 연결시킨 후 세포활성을 측정하였다.

      • 서울지역 공업계 특성화고등학교 실험?실습실의 유해환경에 대한 전문교과 교사의 인식

        허유미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서울특별시 공업계 특성화고 전문교과 교사를 대상으로 실험‧실습실의 유해환경 실태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정도를 파악하여 올바른 인식을 확립하고 실험‧실습 수업 시 유해환경의 노출을 예방하고자 한다. 연구의 내용으로는 첫째, 서울특별시 공업계 특성화고 실험‧실습실의 안전 및 환경에 대한 문헌 및 법령을 검토하여 교육현장의 적용 현황을 파악하였다. 둘째, 공업계 특성화고 전문교과 교사들이 교육청의 지침에 맞는 실험‧실습 환경에서 수업을 하고 있는지를 조사하였다. 셋째, 공업계 특성화고 전문교과 교사가 실험‧실습실에서 수업 시 유해환경요인에 노출되었다고 인식하는 정도를 파악하였다. 넷째, 기계‧금속, 전기‧전자‧통신, 화공‧섬유, 건설, 인쇄 분야의 교사들이 노출되어 있다고 생각하는 물리적, 화학적, 인간공학적 유해 환경 요소에 대해서 조사하고, 이것을 사전에 예방하기 위한 예방책과 개선방향에 대해서 제언하고자 한다. 조사연구대상은 유해환경에 노출되어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분야(기계·금속 분야, 전기‧전자‧통신 분야, 화공·섬유 분야, 건설 분야, 인쇄 분야)의 서울특별시 공업계 특성화고 및 마이스터고 총23개교의 실험‧실습 수업을 담당하는 교사 852명 중 348명을 대상으로 표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공업계열 특성화고 전문교과 교사들의 대부분이 유해환경에 대한 직무연수를 이수하지 않았으며, 특성화고 전문교과 교사들은 실험‧실습 수업을 할 때, 실험·실습실의 안전 및 유해환경에 대한 경각심이 부족하므로 반드시 연수를 통해 실험‧실습실의 유해환경 요인의 인식도를 높일 필요가 있다. 둘째, 특성화고 전문교과 교사는 주당 15~18시간의 수업시간 중 8시간 이상 실험‧실습 수업으로 유해환경에 노출되어 있고, 이를 예방할 수 있는 보호장구 착용도 미흡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특히 고경력의 교사일수록 학생과 교사 모두 보호장구 착용이 둔감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기‧전자‧통신 분야와 건설분야는 유해환경에 대한 인식률이 낮은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기계를 많이 사용하는 분야의 교사일수록 유해성을 많이 느끼고 있었으며, 보이지 않는 유해요인의 노출도가 큰 교사일수록 유해성에 민감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각 분야별 차이는 있지만 물리적 유해환경 요인은 소음, 진동, 고온 순으로 유해하다고 느끼고 있었으며, 화학적 유해환경 요인은 냄새, 분진, 이상기압 순으로 많이 느끼고 있었고, 인간공학적 요인은 코와 눈의 불편함을 많이 느끼고 있었다. 바이러스 감염의 위험은 대부분의 선생님들이 유해성을 느끼고 있었다. 넷째, 설문 참여 교사 중 85%이상의 교사들은 학교의 실험‧실습실도 작업환경 측정 대상이 되어야 하고, 전문교과 교사도 특수 건강검진 대상이 되기를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근로자의 작업환경과 다르지 않는 학교의 실험‧실습실의 환경이 법적으로 보장을 받을 수 있기를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전문교과 교사들은 실험‧실습실의 유해환경 개선사업을 진행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었으며, 가장 시급한 개선사항으로는 환기(배기)시설의 설치 및 교체가 시급하고 노출된 유해환경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한 대책으로는 환기시설 설치와 주기적 실험‧실습실의 작업환경측정을 통한 개선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진피분말 첨가 마요네즈의 품질 특성에 관한 연구

        허유미 순천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Quality characteristics of mayonnaise prepared with addition of dried orange peel powder (0, 0.5, 1, 1.5, 2%), a by-product of orange processing, were studied by measuring changes in color, emulsion stability and oxidation stability during storage at 25℃. Sensory properties and acceptabilities of the mayonnaise containing orange peel powder were also evaluated. Hunter's L. and b values of the mayonnaise were decreased with the addition of orange peel, while Hunter's a value increased. Viscosity ofn the mayonnaise decreased with storage, especially after 14 days a rapid decrease was observed, and the decrease in viscosity was larger as the amount of orange peel increased. The turbicity was increased with the addition of orange peel and increased during storage more in mayonnaise containing high levels of orange peel. Oil separation from mayonnainse was not changed during storage for 28 days in control and 0.5% orange pe3el nayonnaise, while it increased significantly from 14 days of storage in mayonnaise containing 1.0, 1.5 and 2.0% orange peel, showing almost tw3ice as much compared with control in 1.5 and 2.0% orange peel containting mayonnaise. Stability against oxidation as measured by acid value, peroxide value, p-anisidine value and oxidation value increased gradually during storage, and the storage stability against oxidation was improved in mayonnaise containing orange peel powder. Quantitative descriptive sensory evaluation of the mayonnaise revesaled that astringency, bitterness and sourness were increased as the amount of orange peel increased, while off-flavor decreased. In sensory preference test color and viscosity preference values were decreased as the amount of orange peel increased, while flavor and overall acceptability were increased, showing highest overall acceptability value in mayonnaise containing 2% orange peel. In summary, the addition of orange peel in the process of mayonnaise preparation resulted in a decrease in emulsion stability. However, the addition of orange peel improved storage stability of the mayonnaise against oxidation and decreased off-flavor, obtaining highest score in overall acceptability with addition of 2% orange peel powder.

      • COVID-19 대유행동안 임상 간호사의 스트레스, 조직의 지지, 자기 효능감이 간호의도에 미치는 영향

        허유미 을지대학교 임상간호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COVID-19 대유행 동안 임상 간호사의 스트레스, 조직의 지지, 자기 효능감 및 간호의도 정도를 파악하고, 각 변수가 간호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스트레스와 간호의도 간의 관계에서 조직의 지지와 자기 효능감이 미치는 매개효과를 확인하여 임상 간호사의 간호의도를 증진시키기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기 위해 시행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3개 시 소재의 500병상 이상의 대학병원과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경력 6개월 이상 간호사 중 COVID-19 의심 환자나 확진 환자 간호에 참여한 적이 있는 23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6.0 program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 PROCESS macro로 분석하였다. COVID-19 대유행 동안 임상 간호사의 스트레스는 40점 만점에 19.94점이었고, 조직의 지지는 45점 만점에 34.94점, 자기 효능감은 85점 만점에 59점, 간호의도는 21점 만점에 13.94점이었다. 대상자의 스트레스는 조직의 지지(r=-.251, p<.001), 자기 효능감(r=-.393, p<.001), 간호의도(r=-.233, p<.001)와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고, 조직의 지지는 자기 효능감(r=.335, p<.001), 간호의도(r=.286, p<.001)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자기 효능감은 간호의도(r=.359, p<.001)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COVID-19 대유행동안 임상 간호사의 간호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최종학력, 조직의 지지, 자기 효능감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요인의 설명력은 21%였다. 스트레스와 간호의도 간의 관계에서 조직의 지지와 자기 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스트레스는 간호의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조직의 지지와 자기 효능감을 매개로 간호의도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 초·중등 과학 교과서에 포함된 '식물의 구조와 기능' 관련 내용의 연계성 분석 : 제7차 과학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허유미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초 · 중등 과학 교과서의 ‘식물의 구조와 기능’ 관련 내용에 대한 용어와 학습 내용의 수직적 연계성을 분석함에 있다. 그리고 이를 근거로 ‘식물의 구조와 기능’ 내용의 구성 방향성을 제시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3~10학년 과학교과서와 고등학교 생물Ⅱ 교과서이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순차적으로 진행하였다. 먼저, 초 · 중등학교 과학 교과서 내에 ‘식물의 구조와 기능’ 관련 내용과 구성 비율을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식물의 구조와 기능’ 관련 내용의 기본 개념을 선정하여 범위화하였다. 마지막으로, 범위에 따른 용어와 학습 내용의 연계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각 교과서의 ‘식물의 구조와 기능’ 내용 구성 비율 및 용어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의 생물 영역 내 ‘식물의 구조와 기능’ 내용 구성 비율은 약 50%를 차지하였다. 그러나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는 주로 탐구활동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식물의 구조와 기능’ 관련 용어 수가 적었다. 따라서 중학교 과학 교과서는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와 비교할 때, ‘식물의 구조와 기능’ 관련 용어 수가 현저히 많이 포함되어 있었다. 중학교와 고등학교 10학년 과학 교과서의 ‘식물의 구조와 기능’ 관련 내용은 탐구 활동과 개념적 교과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특히, 중학교 8학년의 과학 교과서에 포함된 ‘식물의 구조와 기능’ 관련 내용 구성 비율은 약 52%를 차지하였다. 고등학교 10학년의 ‘식물의 구조와 기능’ 관련 내용에 포함된 용어는 적절히 심화된 것으로 분석되었고, 중학교의 경우와 용어 수의 차이는 거의 없었다. 중학교와 고등학교 10학년 과학 교과서, 고등학교 생물Ⅱ 교과서를 비교 · 분석해 본 결과, 각 범위 간의 관련 용어가 심화,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식물의 구조’ 범위를 제외한 다른 범위의 학년 별 표현되는 용어 수를 비교한 결과, 고등학교 생물Ⅱ 교과서에서 급격히 증가하였다. 특히, ‘식물 기관의 기능’ 범위는 고등학교 생물Ⅱ 교과서에서 약 80개 정도 더 많이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음으로, 학교 간 ‘식물의 구조와 기능’ 관련 학습 내용의 연계성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초등학교 - 중학교 간 범위 별 연계성 분석 결과, 15개 중 6개는 발전(40%), 1개는 중복(6.7%), 8개는 격차(53.3%)로 나타났다. 그리고 중학교 - 고등학교 간의 범위 별 연계성 분석 결과, 16개 중 3개는 발전(20%), 5개는 중복(33.3%), 8개는 격차(46.7%)로 분석되었다.

      • REBT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기표현 및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효과

        허유미 인제대학교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REBT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아동의 자기표현능력 향상과 사회성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REBT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자기표현 향상에 효과가 있는지, 둘째, REBT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사회성 향상에 효과가 있는지, 셋째, 자기표현과 사회성은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위와 같은 연구를 위해 경상남도 소재 S초등학교 4학년 2개 학급을 대상으로 자기표현능력, 사회성의 사전검사를 실시하여 공분산분석(ANCOVA)을 통해 동질성이 확보된 두 집단을 각각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실험집단 12명(남: 5명, 여: 7명)을 대상으로 총 10회기의 REBT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처치하고 통제집단 10명(남: 5명, 여:5명)에게는 아무런 처치도 가하지 않았으며 프로그램이 끝난 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자기표현능력과 사회성의 사후검사를 실사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을 위하여 자기표현능력과 사회성에 대한 공분산분석(ANCOVA)과 F검증을 실시하여 양적분석을 하였고, 검사지에 의한 양적 연구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하여 매 회기 학생이 기록한 소감문과 마지막 회기의 전체 소감문을 통한 질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프로그램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양적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 첫째, REBT 집단상담 프로그램 처치를 받은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사후검사에 있어서 자기표현능력이 의미 있게 높게 나타났다. 둘째, REBT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처치 받은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하여 사후검사에 있어서 사회성이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셋째, 사회성과 자기 표현력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중간 이상의 상관정도를 나타내는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양적 분석 결과의 보완을 위해 회기별 소감문 분석 및 전체 프로그램에 대한 소감문 분석을 통한 질적 분석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REBT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아동이 자기 자신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고, 자신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소극적 행동과 공격적 행동을 하지 않으려는 행동 동기를 갖게 도움을 주었다. 둘째, REBT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아동들의 자기표현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고, 소극적. 공격적 행동을 감소, 자기표현행동을 증가시켰다. 셋째, REBT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아동들의 친구 관계를 향상시켜 주고, 사회적 대화 기술을 습득하도록 도움을 주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보면, 초등학생에게 실시한 REBT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자기표현능력과 사회성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를 주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초등학생이 대인관계에서 자신의 생각과 느낌, 요구 등을 자신 있고 정확하게 표현하도록 돕는 교육적 프로그램을 학교 현장에 적용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REBT 집단상담 을 학급 단위의 학교 상담으로 실시할 때 자기표현능력이 늘어난 학생들의 사회성 향상과 그 집단의 응집력 향상을 함께 기대할 수 있기 때문에 개인 수준보다 학교 수준에서 다양한 교육적 프로그램을 통해 접근하는 것이 효과적임을 시사해 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후속연구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제언 하고자 한다. 첫째, 자기표현능력과 사회성 측정에 있어서 실제 상황에서 아동의 행동에 의한 평가나 과제 수행 등 다각적인 관점에서 측정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측정도구는 아동의 자각 정도에 의한 설문이므로 아동의 실제 생활 모습과 자각한 정도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아동의 자각에 의한 측정을 넘어서서 다각적인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는 도구의 개발이 필요하다. 또는 아동행동 변화의 평가자를 다양하게 확보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부모설문과 편견 개입 가능성이 적은 객관적인 타자에 의한 평가 등이 이루어진다면 보다 실제적인 연구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본다. 둘째, 놀이와 역할극을 통해 매 활동이 이루어지는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매 회기 촉진 활동으로 간단한 놀이를 활용하였는데 아동들의 높은 참여를 유도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놀이와 역할극을 주로 하여 자기표현을 익히고 연습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개발된다면 프로그램 처치 효과가 매우 상승될 것이다. 셋째, REBT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말하고 듣는 국어과 영역도 포함되고, 다른 사람을 배려하는 도덕 교과의 영역에도 포함이 된다. 또한 REBT 집단 상담 프로그램은 발표력을 높이거나 교우관계를 개선하는 등 학교 교육에서 관심을 가지는 많은 영역의 문제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REBT 집단 상담 재량활동 시간이나 도덕 교과 시간과 같이 학교 교육과정에 삽입하여 그 효과를 알아보는 것도 의미가 있을 것이다. 넷째, 좀 더 객관적인 연구를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자가 담임을 맡고 있는 학급 아동들을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프로그램 효과의 일반화에 제한이 있다. 실험대상, 연구자, 실험지도자를 달리하여 좀 더 연구의 객관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REBT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기표현과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봄으로써, 자기표현과 사회성 향상을 위한 방안을 제안한 점과 REBT 집단상담의 필요성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 원예활동이 초등학생의 공감능력과 대인관계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허유미 제주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원예활동이 초등학생의 공감능력과 대인관계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허 유 미 제주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심리치료학과 지도교수 김 양 순 본 연구의 목적은 공감훈련을 적용한 원예활동이 초등학생의 공감능력과 대인관계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있으며, 개인의 성장과 더불어 대인관계 증진을 위한 학교에서의 교육활동 및 심리치료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주시에 소재한 I 초등학교 6학년 4학급 학생 100명(실험집단 n=49명, 비교집단 n=51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집단은 공감능력 증진을 위한 원예활동프로그램을 구성하여 실시하였으나 비교집단은 그 어떤 프로그램도 실시하지 않았다. 원예활동프로그램은 이경아(2010)의 공감훈련프로그램을 참고하여 주의 집중하기, 감정표현하기, 관점수용하기, 나-메시지로 전달하기, 공감표현으로 구성하였다. 그리고 식물을 기르고 상호작용하는 활동과 공감경험을 실제로 활용할 수 있도록 모둠별 활동으로 이루어졌다. 실험기간은 2011년 10월부터 2011년 11월까지이며 주 2회로 총 16회기의 원예활동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실험집단의 원예활동 프로그램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두 집단 모두 사전과 사후에 공감검사와 대인관계만족도검사를 실시하여 측정자료를 수집하였다. 실험결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동질성 검증과 평균, 표준편차, 공변량분석(ANCOVA)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원예활동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공감능력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𝑭(1, 97)=21.222, p<.01]. 공감능력의 하위영역인 관점수용[𝑭(1, 97)=11.186, p<.01], 공감적 관심[𝑭(1, 97)=15.503, p<.05], 정서적 공명[𝑭(1, 97)=12.624, p<.01]에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이는 아동이 식물을 기르는 과정을 통해 공감능력을 키우고 타인에 대한 관심과 수용능력이 증가하였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둘째, 원예활동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대인관계만족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𝑭(1, 97)=17.309, p<.01]. 대인관계만족도의 하위영역인 일반적인 관계 [𝑭(1, 97)=10.076, p<.01], 부모와의 관계[𝑭(1, 97)=6.622, p<.05], 교사와의 관계 [𝑭(1, 97)=6.230, p<.05], 친구와의 관계[𝑭(1, 97)=9.855, p<.01]에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이는 아동이 다양한 원예활동들을 통해 자신과 타인의 정서를 이해하고 표현하는 능력이 발달하였고, 집단활동에서 의사소통 능력이 증가하였으며, 부모, 교사, 친구와 긍정적 대인관계 경험을 하였음을 보여주고 있다. 결론적으로, 초등학생들에게 실시한 원예활동프로그램이 공감능력과 대인관계만족도에 긍정적 역할을 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는 기존 원예활동에 새로운 요소로 공감훈련을 적용하여 원예활동을 확대․응용하는 기회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기존 공감훈련프로그램과의 비교가 이루어지지 않았으므로 효과를 파악하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앞으로 더 세분화되고 다양한 원예활동프로그램과 공감훈련프로그램을 학교현장과 심리치료에 도입되기를 기대해본다. *주제어: 원예활동, 공감, 대인관계만족도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